[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9364B1 -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64B1
KR101659364B1 KR1020150109896A KR20150109896A KR101659364B1 KR 101659364 B1 KR101659364 B1 KR 101659364B1 KR 1020150109896 A KR1020150109896 A KR 1020150109896A KR 20150109896 A KR20150109896 A KR 20150109896A KR 101659364 B1 KR101659364 B1 KR 10165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image output
output device
image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원 filed Critical 김석원
Priority to KR102015010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홀로그램용 투명 필름이 설치된 쇼케이스장치를 구성하는 공간부의 바닥과 천정 중 어느 한곳에는 전반사거울을 다른 한곳에는 영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공간부의 전면과 후면에는 무반사유리를 설치하며, 영상출력장치의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통상의 설정값에비하여 2-10배 향상시킴으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양면에서 선명한 홀로그램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which includes a floor and a ceiling of a space forming part of a showcase apparatus provided with a hologram transparent film, a total reflection mirror, and a video output device on the other 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observing a clear hologram image on both sides at an inexpensive price by providing an antireflection glass and improv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by 2-10 times as compared with a normal setting value .

Description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0001]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크지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홀로그램 영상을 선택적으로 전면 혹은 후면 또는 양면 투시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로하고 선명한 입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making a hologram image through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or both surface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minimizing an area occupied by 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And a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an image.

상품, 공연, 문화제 등 임의의 대상물을 홍보하는데 최근 홀로그램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홀로그램 기술 중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은 홀로그램용 필름을 활용한 컨텐츠 반사형태의 기술로 프로젝터 등을 통하여 영상이 바닥에 설치된 거울에 투사되고, 여기서 반사된 이미지가 45도로 기울어진 투명 홀로그램용 필름에 투영됨으로써 시각적인 착시를 일으키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는 기술이다.Recently, holograms have been widely used to promote arbitrary objects such as commodities, performances, and cultural events. Among the hologram techniques, the floating hologram technology is a technique of reflecting contents using a hologram film. Is a techniqu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projected image is projected on a film for a transparent hologram inclined at 45 degrees, thereby causing a visual illusion.

이러한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802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주로 공연장에서 사용되거나, 사각형태의 공간부내에 임의의 홍보영상(문화제영상, 제품영상, 홍보용 콘텐츠 영상 등)을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등, 주로 상품 홍보를 위한 쇼케이스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Such a floating hologram technique is mainly used in a performance hall as sh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58028, or used for outputting any publicity image (cultural image, product image, promotional content image, etc.) in a rectangular space It is mainly used for showcase devices for promoting products.

그러나, 종래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을 제외하고 모두 막힌 상태로 일방향에서만 착시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이를 상품 홍보용 쇼케이스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설치위치가 벽면과 접하는 위치로 제한될 뿐 아니라, 영상이 공중에 뜬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시야 반대방향에 모니터(2) 세로길이에 상당하는 공간(4)이 요구되므로 쇼케이스 장치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좁은 장소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공연의 경우 출연자는 현재 관객에게 출력되고 있는 홀로그램 영상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공연을 하여야 하므로, 출연자와 홀로그램영상간 정확한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loating hologram technique is a phenomenon in which an optical illusion occurs only in one direction in a closed state except for the front side. In addition, since the space (4)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monitor (2) is requi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view in order to display the effect that the image is floated in the air, the size of the showcase device becomes excessively large, In the case of a performance, the performer must perform the performance without knowing what the hologram image currently output to the audience is, so it is not easy to match the exact timing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hologram image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공개특허 10-2015-0008727호에서는 양방향 슈도 홀로그램 장치가 제시되었으며, 이는 복수개의 투명 필름과 복수개의 투사장치를 이용하여 공연자 또는 강의자가 관객이 보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을 보면서 다양한 대사와 동작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bidirectional pseudo hologram apparatu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08727, which uses a plurality of transparent films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 devices to display a video corresponding to a viewer's or viewer's view A technique that allows various metabolism and motion to be seen while being viewe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복수개의 투사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비용이 증가하게되고, 두개의 투사장치 영상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정밀한 동기화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투사장치를 일정수치 이상의 조도를 갖는 전시장등에 사용할 경우 전시장의 조명에 의하여 선명한 영상을 확인할 수 없을 분 아니라 공간부의 전후면에 유리가 설치되는 경우 유리에 반사되는 외부 이미지와 홀로그램 영상이 혼재되어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 devices must be used, which increases the cost of the device. In order to match two projection device images, precise synchronization is required. When the glass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pace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image reflected by the glass and the holographic image are mixed and the clear image can not be see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로그램용 투명 필름이 설치된 쇼케이스장치를 구성하는 공간부의 후방에 무반사유리를 설치하며, 영상출력장치의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통상의 설정값에비하여 2-10배 향상시킴으로서, 작은 공간에도 선명한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ogram transparent film, in which an antireflection glass is provided behind a space portion constituting a showcase device, and the contrast and brightness of the video output device are set to 2- And a holographic image output device capable of observing a clear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even in a small space.

그리고, 사용환경에 맞도록 후면에 설치되는 후방 무반사유리의 투과율을 조정하고, 필요한 경우 공간부 후면에 조명을 더 설치하여 선명하고 떠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reflection glas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is adjusted so as to match the use environment, and if necessary, illumina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 to obtain clear and floating images.

아울러, 공간부의 바닥과 천정 중 어느 한곳에 영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반대편에 선택적으로 전반사거울을 설치하여, 전방, 후방 또는 전후방 모두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video output device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a floor and a ceiling of the space, and a total reflection mirro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ideo output device so that the hologram image can be checked in front, rear, or front and back.

이러한, 홀로그램 영상 출력장치의 후방 무반사유리 투과율과 콘트라스트와 밝기 및 조명설치 등을 조정하여 포디움, 쇼케이스, 홍보차량 등에 사용하도록 한다.The rear anti-reflective glass transmittance of the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the contrast, the brightness, and the lighting setup are adjusted to be used for the podium, showcase, and publicity vehic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어두운색 계열로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홀로그램용 투명필름, 상기 공간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무반사유리, 상기 공간부의 바닥 또는 천정 중 한면에 설치되는 영상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통상의 설정값에 비하여 2-10배 향상시키고, 후방 무반사유리의 투과율은 35-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에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hologram-use transparent film which includes a space portion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opened and both sides of which are formed in a dark color system, a transparent film for hologram provided inclinedly in the space portion, And a video output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wherein the video output device enhance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by 2-10 times as compared with a normal set valu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reflection glass is Is 35 to 99%.

상기에서 후방 무반사유리의 투과율이 35-50%인 경우 공간부 후방에 영상출력장치 길이의 절반 이상 길이로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선명하고 떠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where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reflection glass is 35-50%, a space formed by a half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image output device and a light installed in the space are provided behind the space portion to obtain a clear and floating image .

그리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반대편에 전반사거울을 설치하여 양방향 홀로그램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A total reflection mirror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ideo output device so that bidirectional hologram view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한면에 한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각 영상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One or more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es may be installed on one of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nd when a plurality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es are installed, the video output apparatus may control the video output to output the panoramic image.

그리고, 상기 공간부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실외사용의 경우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최대로 하고, 조명을 더 설치한다.Further, the space portion can be used indoors or outdoors. In the case of outdoor use,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maximized, and further illumination is installed.

이러한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는 쇼케이스, 포디움, 차량 등에 사용된다.Such a holographic image output device is used for a showcase, a podium, a vehicle, and the like.

한편, 홀로그램용 필름은 사각형의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상기 홀로그램용 필름은 프레임의 측면에서 나사결합되어 장력을 향상시키면서 구겨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ogram film is fixed to a rectangular frame. The hologram film is screw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to improve tension and prevent wrinkling.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후방 무반사유리의 투과율을 달리함으로서 홀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일방향, 양방향 시청이 가능하도록 함과아울러 최적의 선명하고 떠 있는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one-directional and two-way viewing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hologram is to be used by changing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reflection glass,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로그램용 투명 필름이 설치된 공간부의 바닥과 천정 중 어느 한곳에는 전반사거울을 다른 한곳에는 영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공간부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무반사유리를 설치하며, 영상출력장치의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통상의 설정값에 비하여 2-10배 향상시킴으로서, 양면에서 선명한 홀로그램 영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ogram-forming transparent film which is provided on one of a floor and a ceiling of a space, a total reflection mirror, and an image output device, and an antireflection glass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pace, The contrast and the brightness of the hologram image can be improved by 2 to 10 time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setting value, so that a clear hologram image can be observed on both sides.

아울러, 입체감을 가지면서 후방에 공간을 요구하지 않거나 요구되는 공간이 작은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포디움에 홀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행사의 홍보효과를 향상하고, 발표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space or require a space in the rear with a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can apply the hologram to the podium, thereby improving the promotion effect of the even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oceed.

도 1은 종래 홀로그램을 이용한 일방향 쇼케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홍보용 홀로그램을 이용한 양방향 쇼케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필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을 위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양방향 쇼케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유세차량용 홀로그램을 이용한 양방향 쇼케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포디움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one-way showcase device using a conventional hologram.
2 and 3 are views showing a bidirectional showcase device using an indoor promotional hol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hologram film joi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showcase device using a hologram for a panoramic im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 bidirectional showcase device using holograms for outdoor use vehic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odium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어두운색 계열로 내주면이 형성된 공간부(10)와, 상기 공간부(10)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 상기 공간부(10)의 바닥 또는 천정 중 한면에 구비되는 영상출력장치(40), 상기 공간부(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무반사유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40)는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통상의 설정값에 비하여 2-10배 향상시켜 공간부(10)의 전후방으로 외부 빛이 유입되더라도 선명한 홀로그램 영상을 양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후방 무반사유리(50)의 투과율은 35-99%이다.As shown in FIG. 2, 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tial section 10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opened and both sides of which are formed with dark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hologram transparent An image output device 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or the bottom of the space 10 and a rear antireflection glass 50 provided behind the space 10, The image output device 40 improve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by 2-10 times as compared with a normal setting value so that a clear hologram image can be confirmed in both directions even when external light flows in front of and behind the space 10, The transmittance of the glass 50 is 35-99%.

상기한 홀로그램영상 출력 장치에는 영상 출력장치(40)의 반대면에 전반사거울(3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전반사거울(30)이 없는 경우 상기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는 공간부의 후방에서만 홀로그램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is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mage output device 40. In the absenc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the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can recognize the hologram only .

이러한 전반사거울(30)은 광학적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유리 등의 재질 표면에 알루미늄, 실리콘, 나이오븀과 같은 물질을 극미세하게 박막 처리한 제품으로, 일반거울의 반사율이 80% 중/후반인데 비해, 전반사거울의 반사율은 94-98%이다. 또한 전반사거울은 투사된 이미지가 흐릿하게 이중으로 보이는 고스트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영상의 반사과정에서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In order to realiz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is a product in which materials such as glass, aluminum, silicon, and niobium are extremely thinly processed on the surface of a glass or the like, and the reflectance of a general mirror is in middle / The reflectanc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is 94-98%. In additio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does not show a ghost phenomenon in which the projected image is doubly blurred, and distortion does not occur in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image.

그리고, 상기 공간부의 전방에도 전방 무반사유리(52)가 더 설치되며, 이는 공간부(10) 내부에 구비된 영상출력장치(40) 등의 장비를 외부의 물리력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양방향에서 빛이 들어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영상의 선명도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 무반사유리(anti-reflecting glass:투과율 98%)를 설치할 경우 투과도가 높아지고, 종래 유리나 아크릴 설치시 발생되는 반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홀로그램 영상의 선명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a front antireflection glass 52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 portion, and light is introduced in both directions while protecting the image output device 40 and the like provided inside the space portion 10 from external physical forces (98% of the transmittance) is increased, and the reflec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glass or acrylic is installed does not occur, so that the reflection of the hologram image This is because sharpness is improved.

상기 영상출력장치(40)는 일반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통상적인 모니터는 밝기가 300-400칸델라(cd/㎡)인데, 이 밝기로 홀로그램 영상을 제대로 감상하기가 어려워 실내용은 밝기를 1,000-1,500cd/㎡로, 실외용은 밝기를 1,500-2,500cd/㎡로 한다. 그리고 밝기만 올릴경우 콘트라스트비가 떨어져서 영상이 퍼져보이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비도 올려서 색의 번짐 현상을 잡아주어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한다.The image output apparatus 40 uses a general monitor, and a typical monitor has a brightness of 300-400 candelas (cd / m 2). Because of this brightness, it is difficult to appreciate the hologram image properly. cd / m 2 for outdoor use, and 1,500-2,500 cd / m 2 for outdoor use. When the brightness is increased, the contrast ratio is decreased and the image may be seen to be spread. Therefore, the contrast ratio is increased and the color blurring phenomenon is caused to improve the sharpness of the image.

그리고, 상기 후방 무반사유리(50)의 투과율이 35-50%인 경우 공간부 후방에 시야방향으로 영상출력장치 길이의 절반 이상 길이로 공간(A)이 더 요구되면, 상기 공간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영상이 떠 있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해당 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reflective glass 50 is 35-50%, if the space A is further required to be long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image output device in the visual direction behind the space por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illumination to recognize the space so that the hologram image is recognized as floating.

그리고, 후방 무반사유리(50)의 투과율이 50% 이상인 경우 상기한 공간과 조명은 요구되지 않는다.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viral glass 50 is 50% or more, the above space and illumination are not required.

한편, 상기한 후방 무반사유리(50)의 투과율이 50% 이산인 경우에도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공간부(10)의 내부에도 조명(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viral glass 50 is 50% discrete, the lighting unit 7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space 10 for improving the sharpness.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은 45°경사지게 설치된다.The hologram transparent film 20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of 45 degrees.

한편, 상기 홀로그램용 필름(20)은 평평하게 구겨짐없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용 필름은 프레임(22)의 측부에서 체결수단(24)으로 결합되는데, 그 실시예로는 상기 프레임(22)의 체결수단(24)이 삽입되는 면을 이분 형성하되 내측 프레임(22a)의 상단부 외측면이 외측 프레이(22b)의 내주면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을 내측 프레임(22a)의 측면으로 밀착시킨 후 외측 프레임(22b)을 체결수단(24)으로 내측 프레임(22a)의 측면에 체결하여, 도 5와 같이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을 프레임(22)의 모서리에서 한번, 그리고 내/외측 프레임(22a)(22b)의 결합부에서 한번 더 꺾어서 조여주므로 장력을 극대화시키고,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4 and 5, the hologram film 20 is joined to the side of the frame 22 by the fastening means 24, and the hologram film 20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frame 22a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2b so that the hologram transparent film The outer frame 22b is faste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22a by the fastening means 24 so that the transparent film 20 for hologram can be fastened to the frame 22a, Once at the corner of the inner and outer frames 22a and 22b and once again at the joining portions of the inner and outer frames 22a and 22b, thereby maximizing the tension and preventing creasing.

이러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양방향 쇼케이스 장치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An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showcase device using such a hologram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제 1실시예로서 홍보용 진열대를 살펴보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부(10)의 전면과 후면은 무반사유리(50)가 설치되고 측면은 내부가 검정색으로 칠해져서 막혀 있으며, 이러한 공간부(10)의 천정에 영상출력장치(40)를 설치하고 바닥면에는 전반사거울(30)을 설치하며, 홀로그램용 필름(20)이 공간부(10)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것으로, 영상출력장치(40)에서 출력된 영상이 홀로그램용 필름(20)과 전반사거울(30)에서 각각 반사되어 홀로그램용 필름(20)에서 반사된 빛이 진열대의 전방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전반사에서 반사되어 전방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영상출력장치(40)에서 출력된 영상은 전반사거울(30)에서 반사된 후 홀로그램용 필름(20)의 배면에서 반사되어 후방에서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2,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pace portion 10 are provided with an antireflection glass 50, and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covered with black and covered with a black color. The image output device 4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ousing 1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ogram film 20. The hologram film 20 is inclined inside the space 10, Is reflected by the hologram film 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so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hologram film 20 can identify the hologram image at the front of the shelf, And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40 is reflected by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and then reflected by the back surface of the hologram film 20 so that it can be confirmed from behind.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다수개 설치하여 파노라마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video output apparatuses may be provided to output a panoramic image.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부(10)의 천정에 일렬로 다수의 영상출력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 영상출력장치(40)들의 크기에 맞도록 홀로그램용 필름(20)을 제작 설치하여 하나의 대형 와이드 영상으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video output devices 40 are installed in a line on the ceiling of the space portion 10, and a hologram film 20 is formed to fit the size of the multiple video output devices 40 It can be produced and installed to produce one large-sized image.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공간부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로 유세차량에 본원발명을 설치하여 기존 유세차량과 차별화하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pace is used outdoor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mpaign vehicle to differentiate it from existing campaign vehicles.

이를 위하여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40)로 70인치, 84인치 등의 대형 모니터를 사용하고, 유세차량(80)의 특성상 기호, 정당, 공약, 후보자의 홀로그램 영상 등을 출력하고, 공간부(10)의 내부에 LED조명(70)을 설치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키며, 주로 주간에 실외에서 사용되므로 밝기를 2000cd/㎡로 극대화하고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비도 향상시켜 낮에도 시청가능하도록 한다.
7 and 8, a large-sized monitor such as a 70-inch or 84-inch monitor is used as the video output device 40 and a sign, a party, a pledge, a hologram image of a candidate, etc., And the LED lighting 70 is installed inside the space part 10 to improve the stereoscopic effect. Since it is mainly used outdoors during the daytime, the brightness is maximized to 2000 cd / m 2, do.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부(10)의 전면과 후면은 무반사유리(50)가 설치되고 측면은 내부가 검정색으로 칠해져서 막혀 있으며, 이러한 공간부(10)의 천정에 영상출력장치(40)를 설치하고 바닥면에는 전반사 거울(30)을 설치하며, 홀로그램용 필름(20)이 공간부(10)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것으로, 영상출력장치(40)에서 출력된 영상이 홀로그램용 필름(20)과 전반사 거울(30)에서 각각 반사되어 홀로그램용 필름(20)에서 반사된 빛이 진열대의 전방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후방에 70%투명도를 갖는 무반사유리 설치로 인하여 영상이 특정 벽면에 맺히는 것이 아니므로 공중에 떠 있는 홀로그램 영상을 얻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pace portion 10 are provided with an antireflection glass 50, and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painted with black and clogged. The output device 4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hologram film 20 is inclined inside the space portion 10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40 is reflected by the hologram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lm 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and reflected by the hologram film 20 can confirm the hologram image at the front of the shelf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ntireflection glass having the 70% Since the image is not formed on a specific wall surface, a hologram image floating in the air can be obtained.

이대, 전방 무반사유리(52)는 98% 투명도를 갖고, 공간부 내부에는 조명(70)이 더 설치된다.The front antireflection glass 52 has a transparency of 98%, and the interior of the sp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70.

도면번호 12는 포디움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frame constituting the podium.

10 : 공간부 20 : 홀로그램용 투명필름
30 : 전반사거울 40 : 영상출력장치
50 : 무반사유리 70 : 조명
10: space part 20: transparent film for hologram
30: total reflection mirror 40: video output device
50: Non-reflective glass 70: Lighting

Claims (8)

전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은 밀폐형성된 공간부(10)와,
상기 공간부의 바닥 또는 천정 중 어느 한면에 구비되는 영상출력장치(40),
상기 공간부의 영상출력장치(40)의 반대면에 구비되는 전반사거울(30),
상기 공간부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장치(40)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일면에서 반사되고, 상기 영상출력장치(40)에서 출력되어 전반사거울(30)을 통해서 반사된 영상이 타면에서 반사되어, 양방향으로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1개의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
상기 영상출력장치(40)는 밝기는 600-4000cd/㎡로 하고, 상기 밝기에서 색의 번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콘트라스트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
A space portion 10 whos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and whose both sides are closed,
A video output device (40) provided on either the floor or the ceiling of the space,
A total reflection mirror 30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mage output device 40 of the space portion,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40 is reflected on one side and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40 and reflected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mirror 30 is reflected on the other side, One hologram transparent film 20 capable of transferring images in both directions,
Wherein the image output device (40) has a brightness of 600 to 4000 cd / m < 2 >, and adjusts the contrast ratio so that color blurring does not occur at the brightn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전방에는 투과율 95-99%의 전방 무반사유리(52)가 더 설치되고, 후방에는 투과율이 35-99%인 후방 무반사유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2.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ont antireflection glass (52) having a transmittance of 95 to 99%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 and a rear antireflection glass (50) having a transmittance of 35 to 99% A holographic image output devic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무반사유리의 투과율이 35-50%인 경우, 공간부 후방에 영상출력장치 길이의 절반 이상 길이로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조명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3.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pace formed by a length of half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image output device is formed behind the space part 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rear antivibration glass is 35-50% A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40)는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한면에 한개 또는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각 영상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The image output apparatus (4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a plurality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es (40) can be installed in a row on one of a wall surface and a floor surface, And outputs an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는 실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실외사용의 경우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최대로 하고, 조명을 더 설치하여, 유세차량, 홍보차량을 포함하는 실외홍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can be used outdoors. In the case of outdoor use,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maximized, and further illumination is provided to use for outdoor advertising including a campaign vehicle and a publicity vehicle A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는 포디움을 구성하는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The hologram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ogram image output device is installed in a frame (12) constituting a podi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용 투명필름은 프레임(22)의 측부에서 체결수단(24)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프레임(22)의 체결수단(24)이 삽입되는 면을 이분 형성하되 내측 프레임(22a)의 상단부 외측면이 외측 프레이(22b)의 내주면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홀로그램용 투명필름(20)을 내측 프레임(22a)의 측면으로 밀착시킨 후 외측 프레임(22b)을 체결수단(24)으로 내측 프레임(22a)의 측부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출력 장치.The hologram transparent film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film for hologram is combined with a fastening means (24) at the side of the frame (22),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means (24) The transparent film 20 for hologram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22a such that the upper end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2a projects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22b, And is fastened to the side of the inner frame (22a).
KR1020150109896A 2015-08-04 2015-08-04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tive KR101659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96A KR101659364B1 (en) 2015-08-04 2015-08-04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96A KR101659364B1 (en) 2015-08-04 2015-08-04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364B1 true KR101659364B1 (en) 2016-09-30

Family

ID=5707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96A Active KR101659364B1 (en) 2015-08-04 2015-08-04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6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0080A1 (en) * 2006-09-08 2008-03-13 Medialusion B.V.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150008727A (en) * 2013-07-15 2015-01-23 광주과학기술원 Two-way Pseudo-hologram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0080A1 (en) * 2006-09-08 2008-03-13 Medialusion B.V.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150008727A (en) * 2013-07-15 2015-01-23 광주과학기술원 Two-way Pseudo-hologram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7355B1 (en) Switchable transparent screens for image projection system
US10139721B1 (en) Apparatus for synthesizing spatially separated images
GB2428304A (en) Dual image projection system using separation mirror
GB2508404A (en) Display Projecting Image onto Inclined Transparent Panel with Semi-Reflective Coating
CN204389861U (en) Integral type projection display equipment
Yamamoto et al. Aerial 3D LED display by use of retroreflective sheeting
GB2372618A (en) Display device
JP2017142279A (en) Aerial video display
US20190244432A1 (en) Exhibition system arranged for presenting a mixed reality and a method of using said system
KR102025473B1 (en) Image system for synthesising in space with separated images
GB2532234B (en) Image display system
US20110304824A1 (en) Screen
KR101659364B1 (en) Hologram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8919969B2 (en) On-product projection for digital merchandizing
US8373747B2 (en) Imaging device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images to simulate movement of three-dimensional objects
WO2018133337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70100215A (en) Auto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which transparent display is coupled
CN101191899A (en) Omnidirectional image-forming system
CN211454223U (en) Grating type light-resistant projection film
RU115547U1 (en) MULTIMEDIA ADVERTISING AND INFORMATION SYSTEM
CN211454219U (en) Light-resistant rear projection type hard curtain
JP2018105902A (en) Double side projection system and double side projection method
CA2239816A1 (en) Device for representing moving images in planes located one behind the other
CN219916681U (en) Projection device capable of being combined in mirror image mode
KR20080112832A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