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51B1 -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551B1 KR101658551B1 KR1020100006023A KR20100006023A KR101658551B1 KR 101658551 B1 KR101658551 B1 KR 101658551B1 KR 1020100006023 A KR1020100006023 A KR 1020100006023A KR 20100006023 A KR20100006023 A KR 20100006023A KR 101658551 B1 KR101658551 B1 KR 101658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opening
- inclined portion
- guide
- dischar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의 취출 성능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얼음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얼음의 저장 및 이동을 도모하는 경사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 얼음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갖는 얼음 보관함; 및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중에 의해 이동된 얼음을 통 얼음 또는 조각 얼음 상태로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얼음 취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ice storage box for improving the extraction performance and storability of 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storage device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portion for storing and moving ice,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ce is discharged below the inclined portion; And an ice taking-ou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so as to be rotatable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selectively discharging the ice moved by its own weight into ice ice or chilled 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이 저장 및 공급되는 얼음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보관함에 이빙 되는 얼음의 취출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균일한 얼음 취출을 도모하고, 다량의 얼음을 보관할 수 있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bin in which ice is stored and su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extraction performance of ice delivered to the ice storage box so as to uniformly take out ice and store a large amount of ice.
일반적으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 보관함에는 얼음이 취출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여 얼음의 취출을 도모하기 위한 얼음 취출 부재가 구비된다.Generally, an ice storage box for storing ic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taking out ice, and an ice taking-out member for taking out the ice adjacent to the opening is provided.
종래의 얼음 보관함은, 이빙된 얼음이 상기 얼음 보관함 내부에 다수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얼음 취출을 선택할 경우에 얼음 취출 부재를 통해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공급되었다.The conventional ice storage box was supplied to the user for a specific time through the ice extraction member when the user chose to take out the ice, with a plurality of ice pieces stored inside the ice storage box.
이와 같이 공급되는 종래의 얼음 보관함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얼음이 불균일한 편차를 갖으면서 공급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사용자의 적지 않은 불만을 야기 시켜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필요로 하였다.The conventional ice storage box supplied with such a problem has a problem that the ice supplied to the user is supplied with uneven variation, which causes a user's uncomfortable complaint and needs countermeasures.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의 취출 성능이 향상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ice tak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얼음이 토출구를 향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가능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stably guiding ice moved by gravity toward a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얼음의 보관 및 취출을 실시할 수 있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and taking out ice regardless of the type of ice making mach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은 얼음의 저장 및 이동을 도모하는 경사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 얼음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갖는 얼음 보관함; 및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중에 의해 이동된 얼음을 통 얼음 또는 조각 얼음 상태로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얼음 취출 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ce storage device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nclined portion for storing and moving ic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ice below the inclined portion; And an ice taking-ou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selectively discharging the ice moved by its own weight into the ice or chilled ice state.
상기 얼음 보관함은 상기 얼음 보관함의 폭 방향 양측에서 토출구를 향해 제1 경사부가 마련된 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제2 경사부를 갖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경사부의 하측과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 얼음 회전 영역을 포함한다.The ice storage box includes: a rear housing having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ice storage box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A front housing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housing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an ice rotation area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part and the ejection opening.
상기 얼음 취출 부재는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통 얼음을 분쇄하기 위해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회전 블레이드부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와 함께 얼음을 가압하여 파쇄시키는 고정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얼음 분쇄부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배치되고, 통 얼음 상태의 얼음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한다.Wherein the ice extraction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includes a rotating blade par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for crushing the ice cubes and a rotating blade part arranged to face the rotating blade part and crushing the ice with the rotating blade part An ice crushing part including a fixed blade part; A rotating shaft o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installed;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for selectively blocking ice movement in the ice-making state.
상기 제1 경사부는 하단이 개폐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안내 경사부와; 하단이 고정 블레이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안내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Where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has a first guide inclined portion whose lower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second guide inclined portion whose lower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blade portion.
상기 제1 안내 경사부의 경사 종료점은 회전축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And the inclination end point of the first guide inclined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otation axis.
상기 제2 경사부는 전방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서 분할 배치된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divided and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상기 제2 경사부는 전방 하우징에서 후방 하우징을 향해 경사진 정면 경사부가 구비된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includes a front inclined portion inclined from the front housing toward the rear housing.
상기 정면 경사부와 측면 경사부 사이에는 얼음을 토출구로 유도하기 위해 전방 하우징의 사선 방향으로 절곡 배치된 안내부를 더 포함한다.And further between the front slant part and the side slant part, a guide part b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to guide ice to the discharge opening.
상기 전방 하우징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ront housing is narrowed in width toward the front.
상기 전방 하우징에는 이빙된 얼음의 이동을 분산하는 얼음 분산부가 구비된다.The fron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ce dispersing unit for dispersing the movement of the ice cubes.
상기 얼음 분산부는 제2 경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ce dispers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 얼음 분산부는 얼음 취출 부재에 인접 되게 배치된다.The ice dispersing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ce extraction member.
상기 얼음 분산부는 얼음 회전 영역의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ce dispersing portion has a width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ce rotation area.
상기 얼음 분산부는 회전축의 직경 보다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ce dispersing portion has a width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는 회전축이 고정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 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양단에 마련되며, 얼음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얼음과 접촉하여 얼음을 파쇄시키는 톱니모양의 파쇄부를 포함한다.The rotating blade portion includes a center portion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fixedly coupled; At least two extension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xtended portion and adapted to receive ice; And a plurality of toothed crushing part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part to crush the ice in contact with the ice.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는 배치각도가 상호 간에 비틀려지게 배치된다.The blades of the rotating blade portion are arranged so that their arrangement angles are mutually twisted.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는 일단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토출구의 측벽에 고정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 블레이드의 일면에 톱니 모양의 파쇄부가 마련된다.The fixed blade portion has one end fixed to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discharge port, and at least two or more fixed blades are provided with serrated crush portions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two or mor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are provided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are each independently rotatable.
상기 개폐 부재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개폐 부재는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 궤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안내면과; 상기 제1 안내면의 외측으로 연장 되며, 제1 경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first guide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rotation locus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And a turning portion extending outside the first guide surface and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개폐 부재는 회동부에 삽입 배치되고, 개폐 부재가 토출구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개폐 부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일단부가 얼음 보관함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에 삽입 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opening / closing member being inserted into the turning portion, the turning shaft support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ce storage box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상기 제1 안내면은 상부로 라운드지게 이루어진다.The first guide surface is rounded upward.
상기 개폐 부재의 제1 안내면에는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시에 상기 제1 안내면에 위치한 얼음이 토출구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The first guiding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catching jaw provided to prevent ice located on the first guiding surfac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le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closing position.
상기 얼음 보관함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되, 상기 도어에 모터가 마련되고, 상기 모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터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ce storage box is mount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The door is provided with a motor, and the motor shaft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상기 모터는 토출구를 통해 조각 얼음이 배출되도록 모터축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고, 통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축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o discharge the poured i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o discharge the poured 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얼음 보관함은 토출구를 향해 얼음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안내된 이후에도 통 얼음 또는 조각 얼음으로 취출 가능해 짐으로써,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c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movement of ice toward the discharge port stably and can be taken out into the ice or the chilled ice even after being guided,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본 발명에 의한 얼음 보관함은 제빙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고, 얼음의 취출 성능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ic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ice maker and has an effect of uniformly holding the ice taking-out performanc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이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에 구비된 후방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취출 부재에 구비된 회전 블레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취출 부재에 구비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보관함의 작동 상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frigerator; FIG.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housing provided in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n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blade portion provided in the ice extra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ice extra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to FIG. 11 are operating states of the ic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얼음 보관함은 냉장고, 정수기 또는 제빙기와 같이 얼음을 필요로 하는 곳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얼음 보관함은 냉장고에 설치되었을 때를 상태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ice storage device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ce storage box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refrigerator, a water purifier or an ice maker where ice is required. In this embodiment, the ice storage box is installed in a refrigerat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5)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실(5)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가 구비된다.1,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storage room 5 and a
상기 도어(2)의 내측에는 제빙실(20)이 마련되며, 상기 제빙실(20)의 내부에는 얼음을 제빙하기 위한 제빙기(30)와, 상기 제빙기(30)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 보관함(100)이 하측에 마련된다.An
상기 얼음 보관함(100)의 후방에는 상기 얼음 보관함(100) 내부에 마련되는 얼음 취출 부재(도 2 참고,200)를 구동시키는 모터(10)가 구비된다.A
또한, 상기 제빙실(20)의 일측에는 제빙실 도어(21)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빙실(20)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n ice-making
본 발명에 의한 얼음 보관함과 얼음 취출 부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ice storage box and ice pick-up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얼음 보관함(100)은 후방 하우징(120)과 전방 하우징(1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2 to 3, the
상기 후방 하우징(120)은 얼음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수용부를 갖고, 내부 양측에는 토출구(102)를 향해 제1 경사부(112)가 구비된다.The
상기 제1 경사부(112)는 이빙된 얼음을 상기 토출구(102)로 안내시키기 위해 제1 안내 경사부(112a)와, 제2 안내 경사부(112b)가 마련된다.The first
즉, 후방 하우징(1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제1 안내 경사부(112a)가 배치되고, 좌측으로는 제2 안내 경사부(112b)가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상기 제1 경사부(112)는 하단이 개폐 부재(2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안내 경사부(112a)가 마련되고, 하단이 고정 블레이드부(214)에 인접하여 제2 안내 경사부(112b)가 배치된다.The first
상기 제1,2 안내 경사부(112a, 112b)는 얼음 보관함(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얼음을 안내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first and
상기 제2 안내 경사부(112b)의 경사 종료점은 회전축(2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The inclination end point of the second
왜냐하면, 고정 블레이드부(214)가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제2 안내 경사부(112b)의 상측으로 얼음이 비산 되면서, 회전 블레이드부(212)에 상기 조각 얼음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because the ice is scatter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상기 토출구(104)의 상측에는 얼음이 상기 토출구(102)로 토출 되기 이전에 얼음 취출 부재(200)에 의해 회전되는 얼음 회전 영역(104)이 마련된다.An
상기 얼음 회전 영역(104)은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가 설치되는 영역인 동시에, 상기 얼음이 후술할 회전 블레이드부(212)에 의해 회전되는 공간을 의미한다.The
상기 후방 하우징(120)은 전방 하우징(130)과 결합 된다.The
상기 전방 하우징(130)은 후방 하우징(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토출구(10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2 경사부(114)가 마련된다.The
상기 제2 경사부(114)는 얼음 보관함(100)의 폭 방향에 배치되고, 전방 하우징(130)의 내주면을 따라 분할 배치된다.The second
상기 제2 경사부(114)는 전방 하우징(130)에서 후방 하우징(120)을 향해 경사진 정면 경사부(114a)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방 하우징(130)의 측면에서 얼음 취출 부재(200)를 향해 경사진 측면 경사부(114b)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상기 정면 경사부(114a)와 측면 경사부(114b)의 경사각도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얼음이 토출구(102)를 향해 이동될 때,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각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상기 후방 하우징(130)에 구비된 정면 경사부(114a)는 얼음의 취출을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 정면 경사부(114a)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얼음을 저장할 수있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얼음이 저장 가능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취출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The
얼음 취출 부재(200)는 전방 하우징(130)과 후방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되, 토출구(102)의 상부인 얼음 회전 영역(104)에 배치된다.The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게 설치된다. 왜냐하면, 통 얼음과, 조각 얼음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이다.The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는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통 얼음을 분쇄하기 위해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회전 블레이드부(212)가 마련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와 함께 얼음을 가압하여 파쇄시키는 고정 블레이드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fixed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갯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회전 블레이드부(212)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The fixed
그리하여,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 사이에 얼음이 끼인 상태에서 회전 블레이드가 회전력에 의해 얼음을 가압하면 얼음이 파쇄되어 조각 얼음이 된다.Thus, when the rotating blade presses the ice by the rotat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ice is sandwiched between the fixed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는 모터축이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 조각 얼음이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고,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후술할 개폐 부재(230)를 통해 통 얼음이 토출 되도록 작동된다.When the motor shaft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ice-making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 블레이드부(212)는 회전축(220)이 중앙에 삽입 배치된다.The
상기 회전축(220)에는 지지판과 연결판이 결합하고, 상기 지지판과 연결판 사이에는 상기 연결판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The
상기 전방 하우징(130)의 외측에는 커버 부재(400)가 별도로 부착된다. 상기 커버 부재(400)는 사용자가 제빙실 도어(21) 오픈시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설치한다.A
본 발명에 의한 얼음 보관함의 전방 하우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front housing of an ic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하우징(13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부(114)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부(114)의 중앙에 토출구(102)를 향해 배치되고, 이빙된 얼음의 이동을 분산하는 얼음 분산부(300)가 배치된다.4 to 5, the
상기 얼음 분산부(300)는 제2 경사부(114)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 및 라운드지게 이루어진다.The
왜냐하면, 얼음이 얼음 분산부(300)의 상면에 낙하 될 때, 상기 얼음 분산부(300)의 우측 또는 좌측 중의 어느 한 곳으로 얼음이 이동됨으로써, 특정 위치로 얼음이 집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ice dro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얼음이 얼음 분산부(300)의 좌측과 우측을 향해 일정하게 분산 공급되고, 얼음 취출 부재(200)를 통해 순차적으로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ice is distributed and supplied uniformly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상기 얼음 분산부(300)는 얼음 취출 부재(200)에 인접 되게 배치된다. 왜냐하면,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에서 토출되는 조각 얼음이 상기 얼음 분산부(300)와 얼음 취출 부재(200) 사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상기 얼음 분산부(300)는 얼음 회전 영역(104)의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다.The
상기 얼음 분산부(300)는 회전축(220)의 직경 보다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다.The
왜냐하면, 상기 회전축(220)의 직경보다 상기 얼음 분산부(30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는 얼음의 분산을 도모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20)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If the diameter of the
상기 정면 경사부(114a)와 측면 경사부(114b) 사이에는 얼음을 토출구(102)로 유도하기 위해 전방 하우징의 사선 방향으로 절곡 배치된 안내부(114c)를 더 포함한다.Between the
상기 안내부(114c)는 전방 하우징(130) 내부로 이빙되는 얼음을 토출구(102)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활을 하며, 경사진 종료점이 상기 토출구(102)를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수개의 얼음이 저장되는 후방 하우징(130)에서 취출구(102)로 취출 되는 얼음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상기 전방 하우징(130)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The
왜냐하면, 전방 하우징(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빙실 도어(21)가 닫힐 때, 상기 전방 하우징(130)이 냉장고(1)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빙실 도어(21)가 닫히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because the
따라서, 상기 전방 하우징(130)은 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를 갖으면서 폭이 좁아지게 이루어짐으로써, 제빙실 도어(21)의 안정적인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전, 후방 하우징(120,130)이 결합된 얼음 보관함(100)의 두께는, 상기 얼음 보관함(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서랍(미도시)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디자인적인 측면도 만족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도면을 참조하여 얼음 취출 부재에 구비된 회전 블레이드부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tating blade portion provided in the ice extraction member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블레이드부(212)는 회전축(220)이 고정 결합되는 중심부(212a)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부(212a)에는 중앙에 상기 회전축(220)의 회전 운동이 전달될 수 있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중심부(212a)에는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장부(212b)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연장부(212b)는 사이사이 마다 얼음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212e)가 구비된다.At least two or
상기 연장부(212b)는 전체적으로 중심부(212a)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212b)의 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용부(212e)에 있는 얼음이 이탈되거나 넘어가지 않도록 돌출된 걸림부(212c)가 형성된다.The
따라서, 수용부(212e)에 얼음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212b)의 단부에 위치한 얼음은 상기 걸림부(212c)에 걸려서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blade rotates while the ice is received in the
그리고, 복수개의 얼음이 상기 걸림부(212c)인근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움직이면, 상기 걸림부(212c)가 복수 개의 얼음 사이를 휘젓고 다니므로 얼음들끼리 부착되어 한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otating blade is mov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ice is positioned near the catching
상기 연장부(212b)의 일측면에는 고정 블레이드부(214)와 간섭하여 얼음을 파쇄하는 톱니형태의 파쇄부(212d)가 마련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연장부(212b)의 타측면, 즉, 파쇄부(212d)의 반대편은 얼음이 통 얼음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매끈한 면 상태로 마련된다.The other side of the
회전 블레이드부(212)에 구비된 회전 블레이드는 회전축(220)에 고정설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은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약간씩 비틀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otary blades provided in the
즉,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이 완전히 겹쳐지지 않고, 일정각도씩 비틀려 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blades are not completely overlapped but twisted by a certain angle.
이는 얼음을 파쇄하기 위해 회전 블레이드가 고정 블레이드부(214) 방향으로 회동을 하는 경우, 회전블레이드가 일렬로 서로 완전하게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면, 얼음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분산되어 그만큼 얼음의 파쇄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rotating blades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부분 비틀려지게 배치되면, 얼음이 첫 번째 회전 블레이드의 파쇄부(212d)와 접촉하여 파쇄된 후, 그 다음 두 번째 회전 블레이드의 파쇄부(212d), 그리고 세 번째 회전 블레이드의 파쇄부(212d)와 일정 시간간격으로 접촉하게 된다.However, if it is arranged so as to be slightly twist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ce is crushed in contact with the crushing
그리하여, 상기 얼음 취출 부재(300)의 회전력이 각각의 파쇄부(212d)에 집중될 수 있어서, 얼음에 대한 파쇄성능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ce-removing
한편,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도 2 참조)에서도 얼음의 파쇄를 위하여 톱니모양의 파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의 배치형상은 "L"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형태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blade portion 214 (see FIG. 2) is also provided with a serrated crushing portion for crushing ice, and the fixed
도면을 참조하여 얼음 취출 부재에 구비된 개폐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ice extraction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개폐 부재(230)는 얼음 보관함(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23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동부(234)에는 상기 개폐 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238)가 마련된다.7,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 회동부(234)에는 탄성 부재(238)에 삽입되는 회동축(236)이 삽입 배치된다.Further, a
상기 탄성 부재(238)의 일단부는 얼음 보관함(1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23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 부재(230)가 탄성 지지 되도록 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얼음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230)가 움직인 후, 얼음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개폐 부재(230)를 들어올려서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Then,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한편, 상기 개폐 부재(230)는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회전궤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안내면(232)과, 상기 제1 안내면(232) 및 상기 회동부(234)와 연결되는 제2안내면을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제1 안내면(510)은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회전궤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면이 라운드 처리되어 얼음의 토출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uide surface 51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rotation locus of the
상기 개폐 부재(23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각각의 개폐 부재(230)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특정한 개폐 부재(230)의 작동이 다른 개폐 부재(23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openable and
이와 같이 복수개로 개폐 부재(230)를 마련하고, 각각의 개폐 부재(230)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reason why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open /
만약에 개폐 부재(230)가 하나로만 구성된 경우, 얼음이 개폐 부재(230)의 제1 안내면(232)의 일부에만 걸쳐진 상태에서 토출되지 않고 정체될 수 있고, 얼음이 위치하지 않은 틈새로 다른 얼음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If 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복수개의 개폐 부재(230) 중 어느 하나에 얼음이 걸리게 되어 그 개폐 부재(23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그 얼음이 걸리지 않은 다른 개폐 부재(230)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도치 않은 다른 얼음의 토출을 막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ice-catching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238)는 복수개의 개폐 부재(230) 각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the
각각의 개폐 부재(230)에는 상기 개폐 부재(230) 폐쇄작용시에 상기 개폐 부재(230)와 회전 블레이드 사이에 끼어있는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2a)이 마련된다.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걸림턱(232a)은 상기 제1 안내면(232)의 상면 단부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ce storage box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얼음 보관함을 통해 얼음이 토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되, 후방 하우징을 통해 얼음이 토출되는 상태를 먼저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tate in which ice is discharged through an ice storage box will be described first, and a state in which ice is discharged through a rear housing will be described first.
본 발명의 전방 하우징을 통한 얼음 토출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ice discharge state through the front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얼음은 얼음 보관함(100) 내부를 향해 불규칙적으로 이빙 되나, 크게 나누어 보면 상기 얼음 보관함(100)의 좌, 우측과, 내측 전면을 향해 얼음이 낙하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ice is irregularly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상기 얼음이 내측 전면을 향해 이빙될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된 얼음이 얼음 분산부(300)를 향해 낙하 된다.When the ice is released toward the inner front, ice shown by the solid line drops toward the
상기 얼음은 얼음 분산부(300)에 일차적으로 부딪친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얼음은 얼음 분산부(300)의 라운드진 외측을 따라 정면 경사부(114a)로 이동되거나, 또는 측면 경사부(114b)로 이동된다.The ice is moved to the
상기 정면 경사부(114a)로 이동된 얼음은, 점선으로 도시된 현재의 위치에서 중력에 의해 얼음 취출 부재(200)를 향해 이동된다.The ice moved to the
상기 얼음은 이동 중에 현 위치에서 그대로 하향 이동되어 개폐 부재(230)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 부재(230)의 제1 안내면(232)(도 7 참조) 상에 위치하게 된다.The ice moves downward as it is at the current position and is mov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이때, 제1 안내면(232)은 상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이루어져 있고, 걸림턱(232a)이 구비되어 있어서, 얼음이 토출구(102)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개폐 부재(230)에서 걸림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상태에서 토출 부재(230)가 회전되면서 토출구(102)를 통해 얼음이 토출된다.In this state, the
도면을 참조하여 제2 경사부의 측면 경사부를 통해 이동되는 얼음의 이동 상태를 설명한다.The movement of the ice moved through the side inclined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전방 하우징(130)의 측면 경사부(114b)를 따라 토출구(102)로 이동되는 얼음은 개폐 부재(230)로 이동되는 얼음과, 얼음 취출 부재(200)로 이동되는 얼음으로 나뉜다.9, the ice moved to the
상기 개폐 부재(230)로 이동되는 얼음은, 상기 측면 경사부(114b)의 경사진 기울기를 따라서 이동되되, 안내부(114C)에 의해 개폐 부재(230)를 향해 이동이 안내된다.The ice mov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안내부(114C)는 전방 하우징(130)의 사선 방향으로 절곡 배치되어 있어서, 전면 경사부(114a)로의 이동을 극히 제한하면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얼음이 이동되도록 안내한다.The guide portion 114C is bent and arranged in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상기 안내부(114C)는 경사진 종료점이 토출구(102)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구(102)로 얼음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Since the inclined end point of the guide portion 114C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로 이동되는 얼음은, 안내부(114C)에 의해 전면 경사부(114a)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된다.The ice moved 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 보관함(100)가 냉장고 본체(2)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기 또는 얼음 정수기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가능함을 밝혀 둔다.In this embodiment, the
도면을 참조하여 전방 경사부를 통해 얼음이 취출되는 상태를 설명한다.The state in which the ice is taken out through the forward inclined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얼음 보관함(100)의 내측으로 이빙된 얼음은 상기 얼음 보관함(100)에 구비된 후방 하우징(120)의 내측 형상을 따라서 다수개가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ice stored inside 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은 얼음 토출 부재(200)가 구비된 토출구(102)를 향해 다수개가 적층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ice are stacked toward the
상기 얼음은 얼음 회전 영역(104)과, 제1,2 안내 경사부(112a,112b)의 경사진 기울기에 따라서 다수개가 적층 된다.A plurality of ice are stack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slopes of the
만약, 사용자가 파쇄된 조각 얼음을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조각얼음 취출과 관련된 입력명령을 내리게 되고, 상기 얼음 취출 부재(200)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If the user desires shredded piece ice, the user issues an input command related to the shredding ice ejection, and the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파쇄부(212d)가 고정 블레이드부(214)의 파쇄부(212d)와 점점 가까워지게 된다.Then, the crushing
상기 얼음은 수용부(212e)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의 위에 놓이게 된다.The ic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상기 상태에서 회전 블레이드부(214)가 더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4)의 파쇄부(212d)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부(214)의 파쇄부(212d)간에 끼인 얼음이 부서지면서 조각 얼음이 되고, 상기 토출구(102) 방향으로 떨어져서 외부로 토출 된다.When the
상기 조각얼음이 토출 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 부재(23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므로 통 얼음은 아래로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pierced ice is discharged, the opening / closing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 얼음 상태의 얼음이 토출 되도록 통 얼음 취출과 관련된 입력명령을 내리면, 얼음 취출 부재(200)가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 작동된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user issues an input command related to the extraction of ice cubes so as to discharge the ice cubes, the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 수용부(212e)에 수용되었던 얼음이 상기 회전블레부(21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230)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n, the ice received in the receiving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회전운동이 지속 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부(212)의 연장부(212b)가 상기 개폐 부재(230) 위에 놓여있던 얼음을 누른다.In this state, if the rotation of the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가압력이 상기 얼음을 통하여 상기 개폐 부재(230)에 가해지게 된다.T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상기 얼음과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230)는 아랫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 연장부(212b)의 단부와 상기 개폐 부재(230) 단부 간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발생 되고, 상기 이격 공간 사이로 얼음이 토출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얼음이 소정량 토출되면, 상기 얼음 토출 부재(200)는 회전을 멈추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얼음에 대한 가압력이 사라지게 된다.When the ice is discharged a predetermined amount, the
상기 가압력이 사라지면, 개폐 부재(230)는 탄성 부재(238)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12)의 연장부(212b)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When the pressing force disappears, 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상기 얼음이 상기 토출구(102)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ice is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만약,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230)와, 개폐 부재(230)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230)에 마련되는 걸림턱(232a)에 의하여 얼음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토출구(102)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ice is present betwe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30 : 제빙기
100 : 얼음 보관함 110 : 경사부
112 : 제1 경사부 114 : 제2 경사부
114a : 정면 경사부 114b : 측면 경사부
120 : 후방 하우징 130 : 전방 하우징
200 : 얼음 취출 부재 212 : 회전 블레이드부
214 : 고정 블레이드부 220 : 회전축
230 : 개폐 부재 300 : 얼음 분산부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Refrigerator 30: Ice machine
100: Ice storage box 110:
112: first inclined portion 114: second inclined portion
114a:
120: rear housing 130: front housing
200: an ice extraction member 212: a rotating blade part
214: fixed blade portion 220:
230: opening and closing member 300: ice distributing part
Claims (25)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중에 의해 이동된 얼음을 통 얼음 또는 조각 얼음 상태로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얼음 취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보관함은 상기 얼음 취출 부재에서 우측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제1 안내 경사부와, 상기 얼음 취출 부재에서 좌측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제2 안내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 경사부가 마련된 후방 하우징;
상기 후방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2 경사부를 갖는 전방 하우징;
상기 제2 경사부로 낙하하는 얼음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경사부로 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기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얼음 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분산부는 상기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축의 직경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An ice reservoir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portion for storing and moving ice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ce is discharged below the inclined portion;
And an ice taking-ou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ice moved by its own weight into the ice ice or the frozen ice state,
The ice storage box includes a rear housing having a first inclined portion including a first guide inclined portion inclined upward to the right side from the ice extraction member and a second inclined inclined portion inclined upward to the left from the ice extraction member;
A rear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housing and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let A front housing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And an ice dispersing portion protruding round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o disperse the ice falling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being rotatably coupled,
Wherein the ice dispersing portion has a width wider than a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상기 얼음 보관함은
상기 경사부의 하측과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 얼음 회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reservoir
And an ice rotation area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part and the ejection opening.
상기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축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통 얼음을 분쇄하기 위해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이뤄진 회전 블레이드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안내 경사부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와 함께 얼음을 가압하여 파쇄시키는 고정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shaft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es,
A rotating blade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made of a plurality of blades for crushing the cylinder ice;
And a fixed blad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inclined portion to press and crush ice together with the rotary blade portion.
상기 제1 안내 경사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통 얼음 상태의 얼음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ing slope to selectively block ice movement in the ice-making state.
상기 제1 안내 경사부의 경사 종료점은 회전축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inclination end point of the first guide inclined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a height of a rotation axis.
상기 제2 경사부는
전방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서 분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ramp
Wherein the ice cubes are divided and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상기 제2 경사부는
전방 하우징에서 후방 하우징을 향해 경사진 정면 경사부;
전방 하우징의 측면에서 얼음 취출 부재를 향해 경사진 측면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ramp
A front surface inclined portion inclined from the front housing toward the rear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side slope portion inclin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toward the ice extraction member.
상기 정면 경사부와 측면 경사부 사이에는
얼음을 토출구로 유도하기 위해 전방 하우징의 사선 방향으로 절곡 배치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8. The method of claim 7,
Between the front inclined portion and the side inclined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b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to guide the ice to the discharge opening.
상기 전방 하우징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ront housing is narrowed in width toward the front side.
상기 얼음 분산부는 상기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dispersing unit is provid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상기 얼음 분산부는 상기 제2 경사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dispersing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er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 얼음 분산부는
얼음 취출 부재에 인접 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c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ce extraction member.
상기 얼음 분산부는
상기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 영역의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ce-
And a width of the ice discharge member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rotation area of the ice discharge member.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는
회전축이 고정 결합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 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단에 마련되며, 얼음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얼음과 접촉하여 얼음을 파쇄시키는 톱니모양의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blade portion
A center portion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fixedly coupled;
At least two extension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xtended portion and engaged with ice;
And a plurality of serrated crushing portio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contacting the ice to crush the ice.
상기 회전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는 배치각도가 상호 간에 비틀려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lades of the rotating blade portion are arranged so that their arrangement angles are mutually twisted.
상기 고정블레이드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 블레이드의 일면에 톱니 모양의 파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3,
The stationary blad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serrated crushing portions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at least two of the stationary blades.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ice cube containers are provided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each of them is independently rotatable.
상기 개폐 부재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개폐 부재는
얼음 취출 부재의 회전 궤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안내면;
상기 제1 안내면의 외측으로 연장 되며, 제1 경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
A first guide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rotational locus of the ice extraction member;
And a pivot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guide surface and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개폐 부재는
회동부에 삽입 배치되고, 개폐 부재가 토출구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
상기 개폐 부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일단부가 얼음 보관함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에 삽입 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
A pivot shaft inserted into the pivot portion and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toward the discharge port;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ce storage box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상기 제1 안내면은 상부로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the first guide surface is rounded to the upper side.
상기 개폐 부재의 제1 안내면에는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시에 상기 제1 안내면에 위치한 얼음이 토출구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21. The method of claim 20,
On the first guid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jaw provided to prevent ice located on the first guide surface from being released to the discharge por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상기 얼음 보관함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되,
상기 도어에 모터가 마련되고, 상기 모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터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storage box is mount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motor, and the motor shaft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depending on a user's selection.
상기 모터는
토출구를 통해 조각 얼음이 배출되도록 모터축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고, 통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축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motor
Wherein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o discharge the pieces of i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o discharge the 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023A KR101658551B1 (en) | 2010-01-22 | 2010-01-22 |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023A KR101658551B1 (en) | 2010-01-22 | 2010-01-22 |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6342A KR20110086342A (en) | 2011-07-28 |
KR101658551B1 true KR101658551B1 (en) | 2016-09-21 |
Family
ID=4492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023A Active KR101658551B1 (en) | 2010-01-22 | 2010-01-22 |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55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1563B1 (en) | 2005-03-30 | 2006-10-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Bin with Ice Stack Prevention |
KR100690671B1 (en) | 2005-03-1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bean in refrigerator |
KR100793787B1 (en) | 2006-12-29 | 2008-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KR100820816B1 (en) * | 2006-10-24 | 2008-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extraction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
-
2010
- 2010-01-22 KR KR1020100006023A patent/KR1016585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671B1 (en) | 2005-03-1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bean in refrigerator |
KR100631563B1 (en) | 2005-03-30 | 2006-10-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Bin with Ice Stack Prevention |
KR100820816B1 (en) * | 2006-10-24 | 2008-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extraction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
KR100793787B1 (en) | 2006-12-29 | 2008-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6342A (en) | 2011-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9405B1 (en) | A rerigerator and an ice container | |
US7571619B2 (en) | Refrigerator | |
KR100845859B1 (en) | Ice Discharge Device | |
US6880355B2 (en) | Refrigerator with ice feeding unit | |
EP1930672B1 (en) |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 |
US9810471B2 (en) | Refrigerator | |
EP2584293B1 (en) | Ice bucket for unlaying ice curdling | |
US20060059939A1 (en) | Refrigerator having a shaved ice supplying device | |
US8459055B2 (en) |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US20060248911A1 (en) | Ice dispens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 |
KR101798550B1 (en) | Ice bin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bin | |
KR101555755B1 (en) | Ice bin and ice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9980083739A (en) | Ice Supply for Refrigerator | |
KR20110072367A (en) | Refrigerator | |
KR101798547B1 (en) | Ice bin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bin | |
KR20130142613A (en) | A rerigerator including an ice container | |
KR20060115306A (en) | Refrigerator | |
KR101658551B1 (en) | Ice Bank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
KR20080016370A (en) | Refrigerator | |
KR101714443B1 (en) | A rerigerator and an ice container | |
KR101637351B1 (en) | An ice storage box assembly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 storage box assembly | |
KR101596834B1 (en) | A refrigerator | |
KR20070034714A (en) | Refrigerator | |
KR20080105351A (en) | Ice blower | |
KR200154591Y1 (en) | Ice Dispens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