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26B1 -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526B1 KR101658526B1 KR1020130155197A KR20130155197A KR101658526B1 KR 101658526 B1 KR101658526 B1 KR 101658526B1 KR 1020130155197 A KR1020130155197 A KR 1020130155197A KR 20130155197 A KR20130155197 A KR 20130155197A KR 101658526 B1 KR101658526 B1 KR 101658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member
- terminal
- terminal connecting
- battery
- battery p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단자들이 돌출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이상의 개수로 측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 접속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U(Battery Management Unit)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전극 단자의 하면과 접속되는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일측이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상에 위치한 전극 단자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곡되어 돌출된 일측을 덮어 전극 단자의 상면과 접속되는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array in which battery cells protruding from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in two or more number of side surfaces of a battery cell a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Wherein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bent and protruded upward,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so as to cover the bent and protruded one sid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팩의 조립 과정에서 과전압을 방지하는 구조의 단자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terminal connection members structured to prevent overvoltage during assembly of a battery pack.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삽입과 이탈이 자유로운 탈착식 구조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외부기기의 내부에 매립되는 형태의 내장형 구조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과 같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지의 삽입과 이탈이 가능한 반면에, 일부 휴대폰, MP3(MPEG Audio Layer-3),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디바이스는 그 구조 및 용량의 문제로 내장형 전지팩의 사용이 요구되기도 한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hat is free to be inserted or removed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equipment to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to be used, or may be used as a built-in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embedded in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devices such as notebooks can insert and leave batteri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while devices such as some phones, MPEG Audio Layer-3 (MP3), tablet PCs, smart pads, etc., The use of built-in battery packs is also a problem.
한편, 최근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소자로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보호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등이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U(Battery Management Unit)에 포함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has recently been rapidly used, contains various combustible materials and has a serious disadvantage in terms of safety due to the danger of overheating, explosion, etc. due to overcharging, overcurrent and other physical external impacts. According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with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element,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or the like as a safety element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an abnormal state such as overcharging or overcurrent, It is included in the BMU (Battery Management Unit).
이러한 이차전지는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이차전지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ince such a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y manufactured with a small size and weight, a prismatic battery or a pouch-type battery having a small weight to capacity ratio is mainly used as a battery cell of a secondary battery. Particularly, a pouch-shaped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low weight and low manufacturing cost.
한편, 디바이스에 따라서 고출력 또는 대용량의 전지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전지셀 다수개를 연결한 전지팩을 사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high-output or large-capacity battery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device,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s used.
도 1에는 전지팩을 구성하기 위해 전지셀들이 장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 부위에 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for constituting a battery pack,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팩(10)은 다수의 전지셀들(22, 24, 26, 28)이 PCB(Printed Circuit Board: 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전지셀(22, 24, 26, 28)의 전극 단자들은 PCB(30)의 단자 접속부재들(32, 34, 36, 38)에 결합된다. 1 and 2, the
구체적으로 전지셀들(22, 24, 26, 28)의 전극 단자들을 대략 ‘L’자 형으로 이루어진 단자 접속부재들(32, 34, 36, 38) 상에 위치시킨 후,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부위를 전극 단자의 상면과 접하도록 덮고 용접을 수행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Specifically, after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이러한 전지팩(10)은 PCB(30)의 단자 접속부재들(32, 34, 36, 38) 상에 전극 단자들이 위치하도록 전지셀들(22, 24, 26, 28)을 배열하는 과정 이후, 각각의 단자 접속부재(32, 34, 36, 38)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부위를 덮는 과정, 및 용접 과정을 거쳐 전지셀들(22, 24, 26, 28)의 전극 단자들이 단자 접속부재들(32, 34, 36, 38) 에 결합된다. The
그러나, 상기의 과정 중 단자 접속부재(32, 34, 36, 38) 상에 전극 단자가 위치하도록 전지셀들(22, 24, 26, 28)을 배열하는 과정에서, 급작스런 과전압이 인가되어 PCB(30)의 회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전압의 인가는 단락, 발화를 유발시킬 뿐 만 아니라, PCB를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 접속부재상에 절연 부위가 포함된 구조의 솔더 아이(Solder Eye)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지셀들의 배열 과정에서는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극 단자와 단자 접속부재의 결합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재료 및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또한 과전압의 인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지셀을 위치시킨 후 전지셀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한 후 다른 하나의 전지셀을 위치시키고 전지셀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전지셀들을 연결할 수 있으나, 공정의 효율이 떨어질 뿐 만 아니라, 쇼트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 부위에 가림막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Also, in order to prevent the application of the overvoltag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fter positioning one battery cell is performed, and then the other battery cell is positioned an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s connected ,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sequentially, but not only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lowered, but also a disadvantage is that a screening membrane must be installed at the work sit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기 위한 전지셀의연결 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for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and to simplify the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장착 과정에서 BMU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capable of preventing an overvoltage from being applied to a BMU during mounting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improving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극 단자들이 돌출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이상의 개수로 측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들과 연결되는 단자 접속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U(Battery Management Unit)를 포함하고 있고,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cell array in which battery cells protruding from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in two or more number of side walls of a battery cell array; And a BMU (Battery Management Unit) having connection portions formed there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상기 단자 접속부는,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상기 전극 단자의 하면과 접속되는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A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일측이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상에 위치한 전극 단자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곡되어 돌출된 일측을 덮어 전극 단자의 상면과 접속되는 제 2 단자 접속부재;A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bent at one side and protrudes upwardly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to cover the bent and protruded one sid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located on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는 전지셀의 전극 단자들이 제 1 단자 접속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BMU와 통전이 되지 않으며,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덮었을 때 BMU와 통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at is,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o that when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are located at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e BMU is not energized,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is covered, the BMU is energized.
따라서, 다수의 전지셀들을 배열하여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들이 제 1 단자 접속부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덮는 과정, 및 용접 등으로 단자 접속부재들과 전극 단자들을 결합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므로 공정상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positioned on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and the process of joining the terminal connection members and the electrode terminals by welding or the like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이에 따라, 종래의 조립공정에서 발생하였던 문제, 즉 과전압에 의해 PCB회로에 충격이 인가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assembling process, that is, the problem that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CB circuit due to the overvoltage,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상기 전지셀은,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The battery cell may be, for example, a pouch-shaped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is a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sealed in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and may be a plate-shaped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with a small width.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generally includes a pouch-shaped battery case, and the pouch-shaped battery case includes an outer cover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 barrier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exhibiting barrier properties against moisture, air, and the like; And an inner sealant layer composed of a polymer resin that can be heat-sealed.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케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은 본 출원인의 PCT 국제출원 제PCT/KR2004/00331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그러나, 전지케이스가 1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as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For example, the case may be a two-unit member, which houses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hous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inner surface, And a structure for sealing by heat fusion. A pouch-shaped battery cell having such a structure is disclosed in PCT International Application No. PCT / KR2004 / 003312 of the present applicant, which applica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attery cas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the housing portion formed as one member of the upper and / or lower inner surface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or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re thermally fused and sealed.
상기 전지셀들은 다수 개가 배열되었을 때 최적의 공간 활용을 위하여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들은 다수가 배열되었을 때, 한정된 공간에서 전지셀들의 부피를 최대화하여 높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판상형의 장방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지셀들은 전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the battery cells may have the same structure for optimum utilization of the space. Wh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the battery cells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rectangular shape so as to maximize the volume of the battery cells in a limited space to provide a high capacity. So that one side fa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전극 단자들은 판상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단자들이 단자 접속부에 접속될 때 면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므로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s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plate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electrode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ey are connect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so that they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BMU는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단자 접속부들은 상기 PCB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들은 단자 접속부와 연결됨으로써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MU is a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and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CB,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by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는 도전성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상에 전극 단자를 위치시키고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덮어 결합시키는 경우 전극 단자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제 2 단자 접속부재 및 제 1 단자 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conductive plate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electrode terminal is positioned on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is covered and joine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respectively ≪ / RTI >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 접속부는 2 단위의 부재로서, 제 1 단자접속 부재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이들이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연결시 통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structures. Specifically,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s a unit of two units, and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energized when they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n an electrically disconnected state .
상기 단자 접속부는 전지셀들의 양극 단자들 및 음극 단자들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양극 단자들 및 음극 단자들 모두 상기 단자 접속부에 연결될 수 도 있다.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nd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상기 전극 단자와 단자 접속부의 결합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 전극 단자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ar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may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 2 단자 접속부재에는 안전성의 향상을 위하여 TCO(Thermal Cut-out)가 연결될 수 있다. TCO는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값에 도달하였을 때 전류가 차단되는 부품이다. On the other hand, a TCO (thermal cut-ou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for improving safety. The TCO is a component whose current is cut off when the temperature rises and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전지셀은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The type of the battery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large energy storage amount per volum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및 넷북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wherein the device is selected from a cell phone, a portable computer,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a netbook, Do not.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se devices and their fabrication method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의 전극 단자들이 제 1 단자 접속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BMU와 통전이 되지 않고,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덮었을 때 BMU와 통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의 조립공정에서 발생하였던 문제, 즉 과전압에 의해 PCB회로에 충격이 인가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are located at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electricity is not supplied to the BMU,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is covered, the battery pack is energized with the BMU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assembling process, that is, the problem that the PCB circuit is impacted by the overvoltage,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을 배열하여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들이 제 1 단자 접속부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제 2 단자 접속부재를 덮는 과정, 용접 등으로 단자 접속부재들과 전극 단자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므로 공정상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lso, a proces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o that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positioned on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 process of cover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member, welding the terminal connection members and the electrode terminals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전지팩을 구성하기 위해 전지셀들이 장착되는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위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전지셀 연결 구조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위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지셀의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to constitute a conventional battery pack;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cell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ttery cell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지팩에 포함되는 팩 케이스, 및 외부 입출력단자 등의 기타 구성요소는 생략하였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ck cas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are omitted.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전지셀 연결 구조에 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B 부위에 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cell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은 측면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지셀 배열체를 형성하고 있고,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의 전극 단자들(112, 122, 132, 142)은 각각 PCB(150)에 접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3 and 4, a plurality of
BMU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PCB(150)에는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가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의 전극 단자들(112, 122, 132, 142)은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호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을 이룬다. The first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는 도전성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단자 접속부재(152)는 PCB(150)의 일면에 밀착되어 있고, 제 2 단자 접속부재(154)는 일측이 PCB(150)의 일면에 밀착되어 있고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The first
또한,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지셀(110)의 전극 단자(112)와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구체적으로,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상에 전극 단자(112)를 위치시킨 후, 제 2 단자 접속부재(154)의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를 덮어 결합시키는 경우 전극 단자(112)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제 2 단자 접속부재(154) 및 제 1 단자 접속부재(1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즉, PCB(150)와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을 배열하여 전극 단자들(112, 122, 132, 142)이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이들이 통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 2 단자 접속부재(154)를 덮어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경우 이들이 통전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이러한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와의 결합으로 통전되는 전극 단자(112)는 양극 단자(112a) 및 음극 단자(112b) 중 양극 단자(112a)이다.The
또한, 전지셀(110)의 양극 단자(112a)와 연결되는 제 2 단자 접속부재(154)에는 TCO(Thermal Cut-out: 158)가 연결되어 있다. TCO(158)는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값에 도달하였을 때 전류가 차단되는 부품으로서, 전지셀들 (110, 120, 130, 140)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단락 등의 오작동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해당 전지셀과 PCB(150)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여 전지팩(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TCO (thermal cut-out) 158 is connected to the second
도 5에는 도 3의 전지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ttery cell of Fig.
도 5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셀(110)은 전극 단자들(양극단자: 112a, 음극단자: 112b)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10)이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전지셀(110)은 금속층(도시하지 않음)과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115)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열융착에 의해 실링부(116)를 형성한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이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통칭하기도 한다.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3, the
이러한 전지셀(110)은 전극 단자(112a)가 제 1 단자 접속부재(152)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154) 사이에서 면접촉되어 결합되도록 판상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110, 120, 130, 140)이 배열될 때 공간상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측의 실링부들(116a, 116b)이 전지셀 본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셀(110)은 다수 개가 배열되었을 때, 최적의 공간 활용을 위하여 서로 동일한 구조의 판상형의 장방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전지셀들은 양 측 실링부들이 전지셀 본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Also, when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16)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전극 단자의 하면과 접속되는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일측이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상에 위치한 전극 단자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곡되어 돌출된 일측을 덮어 전극 단자의 상면과 접속되는 제 2 단자 접속부재;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재 및 제 2 단자 접속부재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battery cell array in which battery cells protruding from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in two or more number of side-by-side directions, a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and a BMU Battery Management Unit)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A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bent at one side and protrudes upwardly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to cover the bent and protruded one sid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located on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 ≪ / RTI >
Wherein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member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5197A KR101658526B1 (en) | 2013-12-13 | 2013-12-13 |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5197A KR101658526B1 (en) | 2013-12-13 | 2013-12-13 |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9136A KR20150069136A (en) | 2015-06-23 |
KR101658526B1 true KR101658526B1 (en) | 2016-09-21 |
Family
ID=5351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5197A Active KR101658526B1 (en) | 2013-12-13 | 2013-12-13 |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5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430B1 (en) | 2016-10-24 | 2020-10-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
KR102426252B1 (en) * | 2017-10-30 | 2022-07-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
US11509159B2 (en) | 2019-08-28 | 2022-11-2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cutoff protection device control from an external compon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4637A (en) | 2004-06-15 | 2006-01-05 | Nec Tokin Tochigi Ltd | Battery pack |
JP2013165067A (en) | 2013-04-10 | 2013-08-22 | Toshiba Corp | Secondary battery pack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456B1 (en) * | 2004-12-24 | 2008-12-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Detachable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KR100959872B1 (en) * | 2008-01-04 | 2010-05-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Protective circuit board,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3
- 2013-12-13 KR KR1020130155197A patent/KR1016585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4637A (en) | 2004-06-15 | 2006-01-05 | Nec Tokin Tochigi Ltd | Battery pack |
JP2013165067A (en) | 2013-04-10 | 2013-08-22 | Toshiba Corp | Secondary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9136A (en) | 2015-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9944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 |
KR101289282B1 (en) |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 |
US9660302B2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non-protruded connector | |
KR101237756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 |
EP3035413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fixing tape | |
KR101650030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 |
KR101305248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KR20130018097A (en) |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 |
KR20130016034A (en) | Secondary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 |
KR20130016035A (en) |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 |
KR101684349B1 (en) |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 |
KR20130018098A (en) |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 |
KR20150037040A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Battery Cells Mounted in Cartridge Frame | |
KR20070080868A (en) | PCM with fasten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101658526B1 (en) |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 |
KR20150040444A (en) | Battery Pack Having PCM Protection Tape | |
CN105765765B (en) | Battery pack with protection circuit module shell | |
KR20150038914A (en) | Battery Pack Having Hook Type PCM Case | |
CN106165153A (en) | Battery pack with protective circuit module fixing part | |
KR100927250B1 (en) | Prefabricated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20140046227A (en) | Battery pack having hinge type pcm case | |
KR101717184B1 (en) | Battery Pack Having High Energy Density | |
KR101451195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KR20140100038A (en) | Battery Pack Having Fixing Part for PCM | |
KR101688574B1 (en) | Battery Pack Having Fixing Structure by Hot Mel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