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279B1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279B1 KR101658279B1 KR1020140050129A KR20140050129A KR101658279B1 KR 101658279 B1 KR101658279 B1 KR 101658279B1 KR 1020140050129 A KR1020140050129 A KR 1020140050129A KR 20140050129 A KR20140050129 A KR 20140050129A KR 101658279 B1 KR101658279 B1 KR 1016582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ray
- base member
- link
-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70 computed tomography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 촬영을 위한 제1센서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하고,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CT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어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X선 촬영장치로서, 상기 X선 센서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하단에 고정된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X선 검출이 가능한 제1상태 및 상기 제1센서를 이용한 X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상태로 위치가 가변되는 제2센서;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과 상기 제2센서의 일측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수단 및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의 타측이 상기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first sensor for CT photographing and a second sensor for panoramic photographing, and capable of performing CT photographing or panoramic photographing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depending on the kind of photographing .
An X-ray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cludes an X-ray source portion for irradiating X-rays, an X-ray sensor portion for irradiating the X- And the X-ray sensor unit comprises: a base member; A first sensor fixed to one lower end of the base member; The first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first sensor to be able to detect X-rays, and the second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so that X-ray detection using the first sensor is possible A second sensor; And link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sensor, respectively,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contacts the X- And an actuating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T 촬영을 위한 제1센서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하고,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CT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first sensor for CT photographing and a second sensor for panoramic photographing, Or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panoramic photographing.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아 및 각종 치주질환을 치료하거나 치열의 교정 등을 목적으로 치아 및 치조골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가 설치된다. Generally, in the dentistry, an X-ray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X-ray imaging is installed to treat teeth and various periodontal diseases, and to grasp the state of the teeth and alveolar bone for the purpose of correction of the dental heat.
X선 촬영장치는, 삼차원적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CT(Computerized Tomography)용 X선 촬영장치 및 이차원적 평면으로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X-ray imaging apparatus can be classified into an X-ray imaging apparatus for CT (computerized tomography) capable of capturing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 panoramic X-ray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imaging in two-dimensional plane.
CT용 X선 촬영장치는 일반촬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신체의 단층면상을 나타내는 영상장치로, X선을 360도에 걸쳐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인체에 투사하고, 투과한 X선을 센서 등의 검출기를 통해 수집하여, 인체의 단면에 대한 흡수치를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단층촬영장치이다. An X-ray imaging apparatus for CT is an imaging apparatus that displays a single-faced image of a body that can not be represented by a normal imaging. The X-ray is projected on a human body while rotating at a constant angle over 360 degrees. The transmitted X- And reconstructs the absorption valu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uman body to display the image.
파노라마용 X선 촬영장치는 X선 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으로 전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전체 치아 상태와 턱관절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panoramic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can take panoramic photographs so that the entire tooth state and the jaw joint can be seen at a glance by photographing the who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X-ray generating device.
최근에는, CT용 X선 촬영과 파노라마용 X선 촬영을 모두 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n X-ray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both X-ray CT imaging and panoramic X-ray imaging has been developed.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879호에 CT센서와 파노라마센서가 선택적으로 광원부를 향하게 하여 상기 CT센서 및 상기 파노라마센서가 각각 상기 피사체의 CT X선 영상 및 파노라마 X선 영상을 획득하게 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6879, a CT sensor and a panoramic sensor selectively point toward a light source, and the CT sensor and the panoramic sensor acquire a CT X-ray image and a panoramic X-ray image of the subject, respectively A configuration has been disclosed.
구체적으로,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879호의 도 10에는 제1X선센서(142d)가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2개의 센서로 각각 촬영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FIG. 10 of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106879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그러나,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제1X선센서(142d)가 촬영을 위한 촬영위치로 회동된 경우에, 제1X선센서(142d)의 위치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여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즉,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제1X선센서(142d)를 회동시킴에 따라 광원부의 광원에 대해 수직한 촬영위치로 정밀하게 위치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촬영 중 제1X선센서(142d)가 흔들려 최종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position the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879호(2010년10월04일)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06879 (October 04, 2010)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T 촬영을 위한 제1센서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하고,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CT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first sensor for taking a CT image and a second sensor for taking a panoramic image, Or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panoramic photograph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는,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 상기 X선 소스부에서 조사되어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X선 촬영장치로서, 상기 X선 센서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하단에 고정된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X선 검출이 가능한 제1상태 및 상기 제1센서를 이용한 X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상태로 위치가 가변되는 제2센서;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과 상기 제2센서의 일측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수단 및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의 타측이 상기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an X-ray source unit for irradiating X-rays, and an X-ray sensor unit for irradiating the X- Wherein the X-ray sensor unit comprises: a base member; A first sensor fixed to one lower end of the base member; The first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first sensor to be able to detect X-rays, and the second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so that X-ray detection using the first sensor is possible A second sensor; And link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second sensor, and a link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such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contacts the X- And an actuating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 하방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1브라켓; 상기 제2센서의 일측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2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nk means includes: a pair of first brackets provided below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 pair of second brackets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second sensor; And a pair of pivotal links each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바람직하게, 상기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링크는 일단의 위치가 타단의 위치보다 높도록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Preferab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the pivotal link may be in a tilted state such that one end posi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end 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구비된 구동브라켓; 일단이 상기 구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driving bracke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A drive link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e bracket at one en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toward the X-ray source side; And a driving sour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link and linearly moving the driving link.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구동링크가 관통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한 장방형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이 연결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와 나선결합된 이동스크루; 및 상기 이동스크루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체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member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slot through which the driving link is linearly movable, and the driving source includes a moving body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link is connected; A moving screw spirally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And a driving motor for linearly moving the moving body by rotating the moving screw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바람직하게, 상기 제2센서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링크의 선형이동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가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or is formed with a slit groove extending in a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체의 대응면에는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a linear movement guide block is provid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moving body facing the base member, and the base member includes a linear movement guide rail coupled with the linear movement guide block to guide linear movement of the base member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CT 촬영을 위한 제1센서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제2센서를 구비하고,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CT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ensor for CT photographing and a second sensor for panoramic photographing are provided, and the CT scanner or the panorama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depending on the type of photographing .
또한,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과 제2센서의 일측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수단 및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한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키므로, 제2센서의 위치 가변시 또는 제2센서의 제1상태, 제2상태에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Also, there may be provided a link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sensor, and drivin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and linearly movable toward the X-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second sensor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changes or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of the second sensor.
또한, 상기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링크는 일단의 위치가 타단의 위치보다 높도록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위치 가변시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the tilting link is tilted so that the position of one end is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Can be prevented.
또한,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구동링크가 제2센서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므로, 작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since the drive link of the drive means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slit groove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or, the operation distance can be shortened.
또한,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과 선형이동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제2센서의 위치 가변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second sensor can be precisely and stably performed through the linear movement guide block and the linear movement guide rail.
도 1은 종래의 X선 촬영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제2센서가 제1상태로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제2센서가 제1상태로 위치한 경우와 제2상태로 위치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ventional X-ray imaging apparatus.
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cond sensor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first state.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ase where the second sensor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second sensor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first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을 조사하는 X선 소스부(200) 및 상기 X선 소스부(200)에서 조사되어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센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6,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X선 소스부(200)는 X선 촬영을 위한 X선을 생성하여 수검자의 두부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부분이고, 상기 X선 센서부(100)는 상기 X선 소스로부터 수검자의 두부로 조사된 후 수진자의 두부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는 부분이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X선 센서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0), 제1센서(120), 제2센서(130), 작동부(141, 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5, the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소정 형상의 케이싱(미도시) 내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방형 슬롯(110h)이 형성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장방형 슬롯(110h)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단턱부(110h-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1센서(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일측 하단에 고정된 센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120)는 CT 촬영용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0a)와 센서부(12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센서(130)는 상기 제1센서(120)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X선 검출이 가능한 제1상태(도 6의 (a)에 해당) 및 상기 제1센서(120)를 이용한 X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상태(도 6의 (b)에 해당)로 위치가 가변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2센서(130)는 파노라마 촬영용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30a)와 센서부(13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링크수단(141)과 구동수단(1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센서(13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기능한다. The
상기 작동부(141, 143)의 링크수단(141)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일측 양단과 상기 제2센서(130)의 일측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link means 141 of the actuating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수단(14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일측 양단 하방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1브라켓(141a), 상기 제2센서(130)의 일측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2브라켓(141b) 및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141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141b)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동링크(14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3, the link means 141 includes a pair of
상기 구동수단(143)은 상기 제2센서(13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130)의 타측이 상기 X선 소스부(200)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4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센서(130)의 타측에 구비된 구동브라켓(143a), 일단이 상기 구동브라켓(143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X선 소스부(200)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링크(143b) 및 상기 구동링크(143b)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143b)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원(14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3, the
이때, 상기 구동링크(143b)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형성된 장방형 슬롯(110h)을 따라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링크(143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43b-1) 및 상기 수직부(143b-1)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부(143b-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143b-2)가 장방형 슬롯(110h)의 단턱부(110h-1)에 걸려진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5, the
한편, 상기 구동원(143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링크(143b)의 타단이 연결된 이동체(143c-1), 상기 이동체(143c-1)와 나선결합된 이동스크루(143c-2) 및 상기 이동스크루(143c-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체(143c-1)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모터(143c-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143c-3)의 정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스크루(143c-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스크루(143c-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체(143c-1)가 일측으로 선형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43c-3)의 역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스크루(143c-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스크루(143c-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체(143c-1)가 타측으로 선형이동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한편, 상기 이동스크루(143c-2)의 단부는 브라켓(BK)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moving
상기 이동체(143c-1)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형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체(143c-1)와 결합된 구동링크(143b)가 상기 이동체(143c-1)와 함께 선형이동하게 된다. As the moving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체(143c-1)의 대응면에는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LMB)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는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LMB)과 레일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143c-1)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레일(LML)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 linear movement guide block LMB is provid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moving
따라서,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LMB)과 선형이동 가이드 레일(LML)에 의해 상기 이동체(143c-1)의 선형이동이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Therefore,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X선 촬영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 도 3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센서(130)가 상기 제1센서(120)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X선 검출이 가능한 제1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s shown in FIGS. 2, 3, and 6 (a), the
도 2, 도 3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43c-3)와 상기 이동스크루(143c-2)에 의해 상기 이동체(143c-1) 및 구동브라켓(143a)이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링크수단(141)에 의해 상기 제2센서(130)가 상기 제1센서(120)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상태가 된다. 1 and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X선 조사부를 통해 X선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X선이 수검자(미도시)의 두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센서(130)에 도달하게 되어 X선 촬영이 이뤄진다. In this state, when the X-ray is irradiated through the X-ray irradiating unit, the X-ray passes through the head of the examinee (not shown) and reaches the
다음으로, 도 4, 도 5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20)를 이용한 X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센서(130)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s shown in FIGS. 4, 5 and 6 (b), the
상기 제2센서(130)가 제1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43c-3)와 상기 이동스크루(143c-2)에 의해 상기 이동체(143c-1) 및 구동브라켓(143a)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링크수단(141)에 의해 상기 제2센서(130)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상태가 된다. When the moving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X선 조사부를 통해 X선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X선이 수검자(미도시)의 두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센서(120)에 도달하게 되어 X선 촬영이 이뤄진다. In this state, when the X-ray is irradiated through the X-ray irradiating unit, the X-ray passes through the head of the examinee (not shown) and reaches the
한편, 상기 제2센서(13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링크(143b)의 선형이동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홈(130h)이 형성되며, 상기 제2센서(130)가 제2상태로 위치한 경우에, 상기 구동링크(143b)가 상기 슬릿홈(130h)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A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센서(130)가 제2상태로 위치한 경우에 상기 구동링크(143b)가 상기 슬릿홈(130h)에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3c-3)와 상기 이동스크루(143c-2)에 의한 상기 이동체(143c-1) 및 구동브라켓(143a)의 작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구동링크(143b)가 상기 슬릿홈(130h)에 삽입되는 길이 만큼 상기 이동체(143c-1) 및 구동브라켓(143a)의 작동거리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상기 제2센서(130)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링크(141c)는 일단의 위치가 타단의 위치보다 높도록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제2센서(130)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제1상태의 위치로 위치를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링크수단(141)의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operable state of the link means 141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0:X선 센서부 110:베이스부재
110h:장방형 슬롯 120:제1센서
130:제2센서 130h:슬릿홈
140:작동부 141:링크수단
141a:제1브라켓 141b:제2브라켓
141c:회동링크 143:구동수단
143a:구동브라켓 143b:구동링크
143c:구동원 143c-1:이동체
143c-2:이동스크루 143c-3:구동모터
200:X선 소스부 LMB:선형이동 가이드 블록
LML:선형이동 가이드 레일100: X-ray sensor part 110: base member
110h: rectangular slot 120: first sensor
130:
140: operation unit 141: link means
141a:
141c: rotation link 143: drive means
143a:
143c: driving
143c-2: Moving
200: X-ray source part LMB: linear movement guide block
LML: Linear guide rail
Claims (7)
상기 X선 센서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하단에 고정된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의 전방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X선 검출이 가능한 제1상태 및 상기 제1센서를 이용한 X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상태로 위치가 가변되는 제2센서;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과 상기 제2센서의 중앙 부분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수단 및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의 타측이 상기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X선 촬영장치. An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an X-ray source part for irradiating X-rays, and an X-ray sensor part for irradiating the X-ray source part and detecting an X-ray passing through the head of the examinee,
The X-
A base member;
A first sensor fixed to one lower end of the base member;
The first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first sensor to be able to detect X-rays, and the second position being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so that X-ray detection using the first sensor is possible A second sensor; And
Link means pivot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nd both ends of a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is connected to the X- And an actuating unit configured to change a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The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양단 하방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1브라켓;
상기 제2센서의 일측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2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means comprises:
A pair of first brackets provided below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A pair of second brackets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second sensor; And
And a pair of pivotal links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bracket and pivotally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bracket.
상기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링크는 일단의 위치가 타단의 위치보다 높도록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the pivotal link is tilted so that one end posi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end position.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센서의 타측에 구비된 구동브라켓;
일단이 상기 구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X선 소스부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drive bracke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nsor;
A driving link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ing bracket at one end and is capable of moving linearly toward the X-ray source side; And
And a driving sour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link for linearly moving the driving link.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구동링크가 관통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한 장방형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이 연결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와 나선결합된 이동스크루; 및
상기 이동스크루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체를 선형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e member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slot through which the driving link is linearly movable,
The drive source
A moving body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link is connected;
A moving screw spirally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And
And a driving motor for linearly moving the moving body by rotating the moving screw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제2센서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링크의 선형이동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센서가 제2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가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or is formed with a slit groove extending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And the drive link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slit groove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tate.
상기 베이스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체의 대응면에는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linear movement guide rail is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moving body facing the base member and the base member is provided with a linear movement guide rail coupled with the linear movement guide block to guid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ody. Ray imaging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129A KR101658279B1 (en) | 2014-04-25 | 2014-04-25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129A KR101658279B1 (en) | 2014-04-25 | 2014-04-25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045A KR20150124045A (en) | 2015-11-05 |
KR101658279B1 true KR101658279B1 (en) | 2016-09-21 |
Family
ID=5460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0129A Active KR101658279B1 (en) | 2014-04-25 | 2014-04-25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2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20155005A (en) * | 2015-01-02 | 2016-07-03 | Palodex Group Oy | X-ray imaging unit for medical imag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603B1 (en) | 2008-07-24 | 2011-05-30 | (주)바텍이우홀딩스 | RPC-driven Dental X-ray Imaging Device |
KR101034676B1 (en) | 2009-03-24 | 2011-06-13 | (주)바텍이우홀딩스 | Otolaryngology and Dental X-ray |
US20120039436A1 (en) | 2009-05-04 | 2012-02-16 | Sylvie Bothorel | Combined panoramic and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935B1 (en) * | 2009-01-20 | 2011-06-20 | 주식회사바텍 | Lightweight X-ray camera |
-
2014
- 2014-04-25 KR KR1020140050129A patent/KR1016582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603B1 (en) | 2008-07-24 | 2011-05-30 | (주)바텍이우홀딩스 | RPC-driven Dental X-ray Imaging Device |
KR101034676B1 (en) | 2009-03-24 | 2011-06-13 | (주)바텍이우홀딩스 | Otolaryngology and Dental X-ray |
US20120039436A1 (en) | 2009-05-04 | 2012-02-16 | Sylvie Bothorel | Combined panoramic and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045A (en) | 2015-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0331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FI119866B (en) | X-ray apparatus with improved access for patients | |
KR101632904B1 (en) | X-ray imaging device | |
KR101401927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ombining panorama and ct for dental clinic | |
US9724051B2 (en) | Medical X-ray CT photography apparatus using positional shift based on rotation angle | |
JP5702236B2 (en) | X-ray imaging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 |
JP5436301B2 (en) | Radiography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 |
JP7082492B2 (en) | X-ray CT device for measurement and its interference prevention method | |
JP4724760B2 (en) | X-ray equipment | |
KR101725642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 |
ITBO20120153A1 (en) | BEAM RESTRICTION DEVICE FOR RADIOLOGICAL EQUIPMENT | |
JP2006061501A (en) | X-ray equipment | |
KR101659178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KR10166105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x-ray photographing | |
KR101658279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KR101660129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JP6069678B2 (en) | Alignment tool f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337239B1 (en) | Driving structure of rotation arm of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ombining panorama and ct for dental clinic | |
KR101660130B1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JP4876879B2 (en) | Screen for X-ray long photography and X-ray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66877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uted tomography | |
KR101463749B1 (en) | X-ray collima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KR102180602B1 (en) | Cephalo X-ray image acquisition device capable of obtaining 3D facial optical images and cephalo X-ray images | |
KR20150083607A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KR102336421B1 (en) | X-ray collima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