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75B1 - 고관능화 수지 블렌드 - Google Patents
고관능화 수지 블렌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475B1 KR101657475B1 KR1020147010108A KR20147010108A KR101657475B1 KR 101657475 B1 KR101657475 B1 KR 101657475B1 KR 1020147010108 A KR1020147010108 A KR 1020147010108A KR 20147010108 A KR20147010108 A KR 20147010108A KR 101657475 B1 KR101657475 B1 KR 101657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polymer
- acrylate
- meth
- ble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0—Acy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1—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or reverse ATR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선행기술문헌>
1. US 2009-0118150 A1 (공개일: 2009.05.07)
2. US 6974853 B2 (공개일: 2005.12.13)
3. US 2011-0213091 A1 (공개일: 2011.09.01)
4. US 2003-0105258 A1 (공개일: 2003.06.05)
5. US 2004-0171779 A1 (공개일: 2004.09.02)
6. US 2006-0074210 A1 (공개일: 2006.04.06)
7. US 2011-0224359 A1 (공개일: 2011.09.15)
8. 문헌 [Percec, V. et al; "Ultrafast Syntheses of Ultrahigh Molar Mass Polymers by Metal-Catalyzed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of Acrylates, Methacrylates, and Vinyl Chloride Mediated by SET at 25℃", A. J. AM. Chem. Soc. 2006, 128, p.14156-14165]
9. WO 2009/155303 A3 (공개일: 2009.12.23)
도 2는 본 발명에서 유용한 SET-LRP 메카니즘에 따른 제안된 제어 라디칼 중합을 도시한다.
도 3은 동일한 중합체의 통상적인 비블렌딩된 결과물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수지 블렌드의 AFB (본원에 규정됨)에 따른 압축 변형률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동일한 중합체의 통상적인 비블렌딩된 결과물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수지 블렌드의 AFB에 따른 인장 강도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동일한 중합체의 통상적인 비블렌딩된 결과물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수지 블렌드의 AFB에 따른 파단 신장율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Claims (31)
- a) 하기 성분:
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삼관능성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아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성분; 및
i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모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 중합체 성분
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여기서 수지 블렌드는 적어도 1종의 공반응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블렌드의 평균 관능가는 1.8 내지 4.0이고,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는 5,000g/mol 초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공반응성 성분이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렌드가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렌드가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백본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렌드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및 치환된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1종 이상의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화 성분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경화 성분이 광개시제인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지 블렌드가 총 조성물의 3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C1-C20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렌드의 중합체 성분이 제어 라디칼 중합의 반응 생성물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 비-반응성 희석제, 충전제, 가소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경화제, 가교제, 촉매, 안료 및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HEMA);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HPMA);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1,6-헥산디올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우레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n-부틸렌옥시드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 알킬렌 옥시드 부가물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가 디페닐포스피닐(2,4,6-트리메틸페닐)메타논 (TPO); 벤조페논; 치환된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치환된 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알킬 에스테르; 크산톤; 치환된 크산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에톡시크산톤; 클로로-티오-크산톤; N-메틸 디에탄올-아민-벤조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및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캄포로퀴논 퍼옥시에스테르 개시제; 및 9-플루오렌 카르복실산 퍼옥시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조성물.
- 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삼관능성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아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성분; 및
i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모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 중합체 성분
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조성물로서,
여기서 상기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1종의 공반응성 성분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수지 블렌드의 평균 관능가는 1.8 내지 4.0이고,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는 5,000g/mol 초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성:
(i) 70℃의 온도에서 25% 압축에 70 시간의 노출 후 35% 미만의 압축 변형률;
(ii) 실온에서 150 내지 300의 파단시 신장율 (%);
(iii) 3 내지 8의 인장 강도 (Mpa)
중 1가지 이상을 갖는 조성물. - a) 하기 성분:
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삼관능성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아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성분; 및
i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모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 중합체 성분
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수지 블렌드는 적어도 1종의 공반응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블렌드의 평균 관능가는 1.8 내지 4.0이고,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는 5,000g/mol 초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목적하는 형상 및 두께로 물품 상에 침착시켜 비경화된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경화된 시일을 적절한 경화 시스템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경화시켜 경화된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에 시일을 적용하는 방법. - a) 하기 성분:
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삼관능성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아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성분; 및
i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모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 중합체 성분
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수지 블렌드는 적어도 1종의 공반응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블렌드의 평균 관능가는 1.8 내지 4.0이고,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는 5,000g/mol 초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c) 상기 조성물을 목적하는 형상 및 두께로 물품 상에 침착시켜 비경화된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경화된 시일을 또 다른 물품에 접합시키고, 상기 비경화된 시일을 적절한 경화 시스템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경화시켜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에 시일을 적용하는 방법. - a) 하기 성분:
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삼관능성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아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성분; 및
ii)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모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 중합체 성분
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수지 블렌드는 적어도 1종의 공반응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블렌드의 평균 관능가는 1.8 내지 4.0이고,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는 5,000g/mol 초과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b) 상기 조성물을 목적하는 형상 및 두께로 물품 상에 침착시켜 비경화된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성물을 상기 물품 상에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된 조성물과 인접 관계로 제2 물품을 위치시켜 상기 물품과 상기 제2 물품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에 시일을 적용하는 방법.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렌드의 중합체 성분 i) 및 중합체 성분 ii)가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방법.
- a) 단량체 조성물을 상기 단량체용 용매에 제공하는 단계;
b) 하기 성분:
i) 적어도 삼관능성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개시제;
ii) 적어도 1종의 일관능성 또는 이관능성 개시제; 및
iii) 유기금속 화합물 또는 IV 내지 VIII족 전이 금속의 히드라이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상기 용매 중의 단량체 조성물을 조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생성된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반응시켜 다관능성 중합체의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관능성 중합체는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것인 단계;
d)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반응성 기로 말단 캡핑하여 1.8 내지 4.0의 평균 관능가를 갖는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는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다관능화 수지 블렌드의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를 말단 캡핑하는데 사용되는 반응성 기가 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기인 것인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응성 희석제, 비-반응성 희석제, 충전제, 가소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경화제, 가교제, 촉매, 안료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다관능화 수지 블렌드가 반응성 희석제, 비-반응성 희석제, 충전제, 가소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경화제, 가교제, 촉매, 안료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촉매가 Cu (0) 또는 구리(I) 브로마이드인 방법.
- a) 단량체 조성물을 상기 단량체에 적합한 용매에 제공하는 단계;
b) 하기 성분:
i) 적어도 삼관능성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개시제;
iii) 유기금속 화합물 또는 IV 내지 VIII족 전이 금속의 히드라이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용매 중의 단량체 조성물과 조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생성된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반응시켜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d) 제2 단량체 조성물을 상기 단량체에 적합한 용매에 제공하는 단계;
e) 하기 성분:
ii) 적어도 1종의 일관능성 또는 이관능성 개시제; 및
iii) 유기금속 화합물 또는 IV 내지 VIII족 전이 금속의 히드라이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상기 용매 중의 제2 단량체 조성물을 조합하여 제2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f) 생성된 단계 e)의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반응시켜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일관능가 또는 이관능가를 갖는 관능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g) 단계 c) 및 f)의 반응 결과물의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반응성 기로 말단 캡핑하여 1.8 내지 4.0의 평균 관능가를 갖는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는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다관능화 수지 블렌드의 제조 방법. - a) 단량체 조성물을 상기 단량체에 적합한 용매에 제공하는 단계;
b) 하기 성분:
i) 적어도 삼관능성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개시제;
iii) 유기금속 화합물 또는 IV 내지 VIII족 전이 금속의 히드라이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상기 용매 중의 단량체 조성물을 조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생성된 단계 b)의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반응시켜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다관능성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반응성 기로 말단 캡핑하여 1.8 내지 4.0의 평균 관능가를 달성하는 단계;
e) 제2 단량체 조성물을 상기 단량체용 용매에 제공하는 단계;
f) 하기 성분:
ii) 적어도 1종의 일관능성 또는 이관능성 개시제; 및
iii) 유기금속 화합물 또는 IV 내지 VIII족 전이 금속의 히드라이드
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상기 용매 중의 제2 단량체 조성물을 조합하여 제2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g) 생성된 단계 f)의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반응시켜 1.01 내지 2.50의 다분산도를 갖는 일관능가 또는 이관능가를 갖는 관능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일관능성 또는 이관능성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반응성 기로 말단 캡핑하여 1.8 내지 4.0의 평균 관능가를 달성하는 단계;
i) 단계 d) 및 h)의 반응 결과물의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렌드는 1.8 내지 4.0의 평균 관능가를 갖고, 상기 블렌드의 중합체는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다관능화 수지 블렌드의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촉매가 Cu (0) 또는 구리(I) 브로마이드인 방법.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536433P | 2011-09-19 | 2011-09-19 | |
US61/536,433 | 2011-09-19 | ||
PCT/US2012/055870 WO2013043573A2 (en) | 2011-09-19 | 2012-09-18 | Highly functionalized resin blen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451A KR20140054451A (ko) | 2014-05-08 |
KR101657475B1 true KR101657475B1 (ko) | 2016-09-20 |
Family
ID=4791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01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7475B1 (ko) | 2011-09-19 | 2012-09-18 | 고관능화 수지 블렌드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9090765B2 (ko) |
EP (1) | EP2768900B1 (ko) |
JP (2) | JP6055833B2 (ko) |
KR (1) | KR101657475B1 (ko) |
CN (1) | CN103998518B (ko) |
CA (1) | CA2849071C (ko) |
DK (1) | DK2768900T3 (ko) |
MX (1) | MX344299B (ko) |
WO (1) | WO201304357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80163B1 (en) * | 2013-03-29 | 2019-12-11 | Hoya Corporation | Coating composition |
EP3230327A4 (en) * | 2014-12-08 | 2018-07-18 | Henkel IP & Holding GmbH | Process for making branched reactive block polymers |
US9587062B2 (en) * | 2014-12-15 | 2017-03-07 | Henkel IP & Holding GmbH and Henkel AG & Co. KGaA | Photocrosslinkable block copolymers for hot-melt adhesives |
EP3034520A1 (de) * | 2014-12-19 | 2016-06-22 | HILTI Aktiengesellschaft | Reaktionsharz-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
WO2016111743A1 (en) | 2015-01-08 | 2016-07-14 | Henkel IP & Holding GmbH | Process for prepar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acrylates having narrow polydispersity indices |
KR102351378B1 (ko) * | 2015-07-20 | 2022-01-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점착제 조성물 및 표시장치 |
CN107216419B (zh) * | 2017-05-23 | 2019-07-26 | 常州大学 | 一种制备高浓度羟基聚丙烯酸树脂及其固化的方法 |
WO2019083876A1 (en) | 2017-10-26 | 2019-05-02 | Carbon, Inc. | REDUCTION OF WITHDRAWAL OR LOWERING IN OBJECTS PRODUCED BY ADDITIVE MANUFACTURING |
WO2019099347A1 (en) | 2017-11-20 | 2019-05-23 | Carbon, Inc. | Light-curable siloxane resi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
US11479628B2 (en) | 2017-12-08 | 2022-10-25 | Carbon, Inc. | Shelf stable, low tin concentration, dual cure additive manufacturing resins |
WO2019168807A1 (en) | 2018-03-02 | 2019-09-06 | Carbon, Inc. | Sustainable additive manufacturing resins and methods of recycling |
US11981778B2 (en) | 2020-01-17 | 2024-05-14 | Carbon, Inc. | Chemical recyc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
WO2025080931A1 (en) | 2023-10-12 | 2025-04-17 | Carbon, Inc. | Dual cure resins for mixed modulus materials |
WO2025137013A1 (en) | 2023-12-19 | 2025-06-26 | Carbon, Inc. | Silicone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05258A1 (en) | 2001-10-05 | 2003-06-05 | Marc Husemann | UV-crosslinkable acrylic hotmelt PSAs with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US20090118150A1 (en) | 2004-10-25 | 2009-05-07 | Marina Baum |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of |
US20110213091A1 (en) | 2008-11-12 | 2011-09-01 | Evonik Roehm Gmbh | Method for producing telechelics having a b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91472B (en) * | 1999-03-23 | 2007-12-21 | Univ Carnegie Mellon | Catalytic processes for the controlled polymerization of free radically (co)polymerizable monomers and functional polymeric systems prepared thereby |
DE10036801A1 (de) * | 2000-07-28 | 2002-02-07 | Tesa Ag | Acrylathaftklebemassen mit enger Molekulargewichtsverteilung |
EP1433799A3 (en) * | 2002-12-23 | 2004-07-14 | Ucb, S.A. | Star shaped acrylic block copolymer |
JPWO2005087890A1 (ja) * | 2004-03-11 | 2008-01-24 | 株式会社カネカ | 活性エネルギー硬化型現場成形ガスケット用組成物および現場成形ガスケット |
WO2008072578A1 (ja) * | 2006-12-08 | 2008-06-19 | Nippon Shokubai Co., Ltd. | コート材用組成物 |
JP2009292981A (ja) * | 2008-06-06 | 2009-12-17 | Kaneka Corp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および光学ディスク装置 |
JP5676256B2 (ja) * | 2008-06-06 | 2015-02-25 | 株式会社カネカ | 難接着基材用接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および光学ディスク装置 |
CN102099382B (zh) * | 2008-06-18 | 2014-01-29 | 汉高公司 | 用于受控自由基聚合的装置和方法 |
DE102008043666A1 (de) | 2008-11-12 | 2010-05-20 | Evonik Röhm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Diblockcopolymeren mit einem bimodalen verteilten A-Block |
JP5499501B2 (ja) * | 2009-03-17 | 2014-05-21 | 東亞合成株式会社 | 接着剤組成物 |
JP2012145751A (ja) * | 2011-01-12 | 2012-08-02 | Nippon Shokubai Co Ltd | 光学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表示装置 |
-
2012
- 2012-09-18 DK DK12834357.1T patent/DK2768900T3/da active
- 2012-09-18 MX MX2014003258A patent/MX344299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18 CA CA2849071A patent/CA284907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18 WO PCT/US2012/055870 patent/WO201304357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18 US US14/345,863 patent/US9090765B2/en active Active
- 2012-09-18 EP EP12834357.1A patent/EP2768900B1/en active Active
- 2012-09-18 JP JP2014530944A patent/JP60558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18 CN CN201280053589.0A patent/CN103998518B/zh active Active
- 2012-09-18 KR KR1020147010108A patent/KR10165747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9-30 JP JP2015193086A patent/JP60880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05258A1 (en) | 2001-10-05 | 2003-06-05 | Marc Husemann | UV-crosslinkable acrylic hotmelt PSAs with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US20090118150A1 (en) | 2004-10-25 | 2009-05-07 | Marina Baum |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of |
US20110213091A1 (en) | 2008-11-12 | 2011-09-01 | Evonik Roehm Gmbh | Method for producing telechelics having a b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49071A1 (en) | 2013-03-28 |
CN103998518B (zh) | 2017-03-01 |
EP2768900A2 (en) | 2014-08-27 |
CA2849071C (en) | 2016-05-03 |
EP2768900A4 (en) | 2015-10-14 |
MX344299B (es) | 2016-12-09 |
KR20140054451A (ko) | 2014-05-08 |
CN103998518A (zh) | 2014-08-20 |
US20140221573A1 (en) | 2014-08-07 |
WO2013043573A2 (en) | 2013-03-28 |
MX2014003258A (es) | 2015-01-16 |
JP6088018B2 (ja) | 2017-03-01 |
EP2768900B1 (en) | 2020-02-26 |
WO2013043573A3 (en) | 2013-06-27 |
JP2014531489A (ja) | 2014-11-27 |
JP2016040373A (ja) | 2016-03-24 |
US9090765B2 (en) | 2015-07-28 |
DK2768900T3 (da) | 2020-05-18 |
JP6055833B2 (ja) | 2016-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7475B1 (ko) | 고관능화 수지 블렌드 | |
US9371474B2 (en) | (Meth)acrylate-functional polyacrylate resins with narrow but b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 |
JP5661611B2 (ja) | (メタ)アクリレートを主成分とするシリル官能化abaトリ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製造する方法 | |
US9725528B2 (en) | Process of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of branched polyacrylates | |
CN103958532A (zh) | 新型含氟化合物制品、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得的组合物 | |
KR101512390B1 (ko) | 사슬 말단 부근에 수분-경화성 관능기 클러스터를 갖는 경화성 조성물 | |
EP1179545B1 (en) | Polymers and curable compositions | |
US20170267801A1 (en) | Process for making branched reactive block polymers | |
JP7395262B2 (ja) | 硬化性組成物および(メタ)アクリル系重合体 | |
JP2000186112A (ja) | 重合体及び硬化性組成物 | |
JP2003252940A (ja) | 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法 | |
JP2021187989A (ja) | ビニル系重合体 | |
JP2001323019A (ja) | 末端に官能基を有するビニル系重合体及び末端に官能基を有するビニル系重合体を含む硬化性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