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6998B1 -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998B1
KR101656998B1 KR1020150064246A KR20150064246A KR101656998B1 KR 101656998 B1 KR101656998 B1 KR 101656998B1 KR 1020150064246 A KR1020150064246 A KR 1020150064246A KR 20150064246 A KR20150064246 A KR 20150064246A KR 101656998 B1 KR101656998 B1 KR 10165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compressed air
chamb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주식
Original Assignee
(주)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테크 filed Critical (주)티엠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9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도가 높은 작업장 등의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입부를 통해 집진기에 유입을 유도시켜 주기 위한 집진유도부; 상기 집진유도부에 분산 설치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구가 연결된 집진기; 상기 집진기의 유출구에 유출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집진유도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상기 집진기에 유입시켜 주기 위해 흡입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석션부; 상기 집진기에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질이 사이클론발생부에 구비된 제1챔버 및 제2챔버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집하되는 집하부; 및 상기 오염물질이 분리된 압축공기가 상기 집진기의 유출구에 연결된 유출관을 통해 상기 에어석션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시켜 주는 배기부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urifying indoor air such as a workplace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guide for guid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in a work site into a dust collector through a suction unit;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inlet through an inlet pipe dispersed in the dust guide portion; An air suction unit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dust collector through an outlet pipe to generate suction compressed air to introduce contaminants introduced from the dust guide unit into the dust collector;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ed air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provided in the cyclone generating section; A bottom portion for collecting contaminant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the compressed air from which the pollutants have been separ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through an outflow pipe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dust collector.

Description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using a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오염도가 높은 작업장 등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집진유도부에 분산 설치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중 사이클론 발생 집진기를 이용하여 작업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인체에 해로운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분리제거 과정을 거쳐 깨끗하게 정화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such as a workplace with high pollution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xhausting air cleaned and purified through separation and removal processes for various pollutants harmful to human bodies contained in the air.

근래 들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지구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이를 규제하기 위한 환경관련 법규도 한층 더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ir pollution has become serious, and concern about global environmental protection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예컨대, 각종 다양한 형틀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 작업을 비롯한 페인트를 사용하는 스프레이 도장작업, 고무 타이어 제조작업, 섬유 및 피혁의 염색작업, 도금에 의한 금속의 표면처리작업 등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분진이나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이하 "오염물질"이라고 한다.)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각종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작업장으로부터 실외로 배출시켜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and dirt which are generated when performing spraying work using paint, including casting work made by various forms, various types of molds, rubber tire manufacturing work, dyeing of fibers and leather, metal surface treatment by plating, The polluted air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dust, powdered paper, rubber powder, organic comp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lutant")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workplace to the outside, greatly pollu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1462호(2004년 08월 31일)로 등록된 '실내공기 정화장치(이를 '문헌 1'이라 한다.)'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door air pu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which is registered as a Korean Utility Model No. 20-0361462 (Aug. 31, 2004), is well known.

상기 언급된 문헌 1에 대해 살펴보면,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정화유닛(10),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되돌려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 정화유닛(20),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용 정화유닛(10) 및 상기 순환용 정화유닛(2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제안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document 1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discharge purifier unit 10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a circulation purifier unit 20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circulating the indoor air back to the room, And an air supply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air to the discharge purification unit (10) and the circulation purification unit (20).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복수 개의 제1 내지 제3필터(12, 13, 14), 원통형 필터(21)를 수시로 교체하거나 청소를 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또한 작업장에 존재하는 상기 언급된 분진이나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에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질들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frequent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plurality of first to third filters 12, 13, and 14 and the cylindrical filter 21,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dust, the powdery flour, the rubber powder, and the organic compoun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진유도부에 분산 설치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중 사이클론 발생 집진기를 이용하여 작업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인체에 해로운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분리제거 과정을 거쳐 깨끗하게 정화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cyclone dust collector of a compressed air suction type, which is dispersed in a dust collection inducing unit, to separate and remove various pollutants harmful to the human body contained in air in a workplace So that the purified air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작업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입부를 통해 집진기에 유입을 유도시켜 주기 위한 집진유도부가 구성되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guide for guiding inflow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into a dust collector through a suction unit.

또한, 상기 집진유도부에 분산 설치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구가 연결된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의 유출구에 유출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집진유도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상기 집진기에 유입시켜 주기 위해 흡입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석션부가 구성되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an inlet through an inlet pipe dispersed in the dust guide portion, a suction pipe connected to an outlet port of the dust collector through an outlet pipe, and configured to generate suction compressed air to introduce contaminants introduced from the dust guide portion into the dust collector And an air suction part is formed.

또한, 상기 집진기에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질이 사이클론발생부에 구비된 제1챔버 및 제2챔버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성되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haust port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air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provided in the cyclone generating unit.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집하되는 집하부 및 상기 오염물질이 분리된 압축공기가 상기 집진기의 유출구에 연결된 유출관을 통해 상기 에어석션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시켜 주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nd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the compressed air separated from the contaminated materi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through an outflow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다양한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집진유도부에 분산 설치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중 사이클론 발생 집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분, 분진,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과 같은 유해성 오염물질들을 필터(Filter) 사용 없이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깨끗하게 정화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ouble cyclone dust collector of the compressed air suction typ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guide is used, the harmful pollutants such as moisture, oil, dust, flour, rubber powder, Filt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without using air, and clean air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ereby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protection.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장 환경에 따라 집하부를 개별로 설치하거나, 또는 한 곳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effect of facilitating the treatment of pollutants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bottoms individually or to integrate them in one place according to the workplac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도부에 다중으로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통해서 실내의 오염물질이 포집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도부에 다중으로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통해서 실내의 오염물질이 포집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집진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집진기에 구비된 내통과 상부포집실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집진유도부의 구성을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집진유도부의 구성을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ollutants in a room are collected through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a dust collecting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urify air.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ollutants in a room are collected through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a dust collecting gui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urify ai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ust collector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in detail.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in det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in detail.
FIG. 7 is a detailed view of the structure of an upper passageway for passing through an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or in FIG.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guide portion in Fig. 1 and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guide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by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ituent means and operations therefor ar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ccordingl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essential constituent means and one embodiment should not be restricted.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수단에 대해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1 to 9.

본 발명은 집진유도부(300, 300a)에 분산 설치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중 사이클론(Cyclone) 발생 집진기(100-1 내지 100-n)를 이용하여 작업장(800) 내의 공기에 포함된 인체에 해로운 각종 오염물질(810) 예컨대, 수분이나 유분, 분진,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에 대한 분리제거 과정을 거쳐 정화시킨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dusts which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contained in the air in the workshop 800 by using the double cyclone generating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of compressed air sucking type dispersed in the dust collecting induction parts 300, Clean air that has been purified through separation and removal processes of pollutants 810 such as moisture, oil, dust, flour, rubber powder, organic compounds, etc.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언급된 사이클론이라 함은 유체를 선회 흐름을 통해서 유체 속에 포함된 각종 이상(異相) 입자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이를 분리 포집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above-mentioned cyclone refers to separating and collecting various kinds of abnormal phase particles contained in a fluid through a swirling flow, by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을 기준으로 하여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고, 상기 실내측에 해당하는 작업장(800) 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예컨대, 상기 언급된 오염물질(810)을 흡입부(200)를 통해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유입을 유도시켜 주기 위한 집진유도부(300, 300a)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indoor side and an outdoor side based on the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includes, for exampl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for guiding the contaminants 810 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hrough the suction unit 200 are constructed.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의 전단에는 오염물질(810)을 흡입시켜 주기 위한 흡입부(200)를 구성시켜 주되, 상기 흡입부(200)는 나팔 형상으로 구비하여 작업장(800) 내에 확산된 각종 오염물질(810)에 대한 흡입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uction unit 200 may be formed in a trumpet shape so as to allow the contaminant 810 to be sucked in the front end of the dust guide unit 300 or 300a. It may be desirable to facilitate the inhalation action on various contaminants 810.

또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와 흡입부(200)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작업장(800)의 환경에 따라 오염물질(810)의 흡입력을 좀 더 향상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보조집진팬(Fan)(220)이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집진팬(220)의 앞 단에는 프리(Pre)집진부(210) 즉, 필터(Filter)를 설치하여 부피가 다소 큰 오염물질(810)을 미리 걸러내어 유입관(11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further enhancing the suction force of the pollutant 81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workshop 800, an auxiliary dust collecting fan (Fan) is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dust collecting inducing parts 300 and 300a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200, A preliminary dust collecting unit 210 or a filter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dust collecting fan 220 to filter the contaminants 810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in advance It may be preferable to prevent the inflow pipe 114 from being clogged.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는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시켜 주되, 유입관(114)이 설치된 쪽을 향해 지름이 감소하도록 예컨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작업장(800)으로부터 흡입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압력을 높여주는 구조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inducing units 300 and 300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taper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side where the inflow pipe 114 is installed, And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sucked from the workshop 800.

또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의 유입관(114)이 설치된 부위에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의 흡입공기완충부(310, 310a)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상기 작업장(800)으로부터 흡입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압력의 균형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유입시켜 주는 작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uction air buffering parts 310 and 310a having a round shape are formed in the dust inlet part 300 and the dust inlet part 300a, It is possible to flow the dust in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pressure against the compressed air sucked from the workshop 800.

그리고,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에 다수 개로 분산 설치된 유입관(114)을 통해 유입구(111)가 연결되는 집진기(100-1 내지 100-n)가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는 유입관(114)을 통해 집진유도부(300, 300a)에 한 개씩 연결되도록 설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작업장(800)의 환경 즉, 면적의 크기나 오염물질(810)의 종류 및 발생량, 농도 등에 따라 상기 유입관(114)의 설치 갯 수를 가감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are connected to the inlet 111 through an inlet pipe 114, which is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ar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one by one through the inflow pipe 114. At this time, the environment of the work site 800, The number of the inlet pipes 114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the contaminants 810,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s 810, and the like.

또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에 분산 설치된 유입관(114)에는 제어부(600)에 의해 개폐되어 압축공기의 유입과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Valve)(700-1 내지 700-n)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어밸브(700-1 내지 700-n)는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이미 유입된 오염물질(810)이 집진유도부(300, 300a)로 다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방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Check Valve)로 구성된다.Control valves 600-1 through 700-n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600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compressed air are provided in the inflow pipe 114 distributed to the dust guide units 300 and 300a. The control valves 700-1 to 700-n are arranged such that the contaminants 810 already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flow back to th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And a check valve for controlling the one-way flow.

더불어, 상기 제어밸브(700-1 내지 700-n) 역시 작업장(800)의 환경 즉, 면적의 크기나 오염물질(810)의 종류 및 발생량, 농도 등에 따라 이를 제어부(60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 제어되어,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오염물질(810)을 유입시켜 주거나 또는 차단시켜 주는 작용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valves 700-1 to 700-n are individually opened / closed by the control unit 60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workshop 800, that is, the size of the area, the type and amount of the pollutants 810, So that the pollutants 810 are introduced into or blocked from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또한,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의 유출구(112)에 유출관(115)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810)을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유입시켜 주기 위해 흡입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석션(Air Suction)부(500)가 구성된다.The pollutants 810 connected to the outlets 112 of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hrough the outflow pipe 115 and flowing from th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to the dust collector 100 -1 to 100-n, an air suction unit 500 for generating suction compressed air is constructed.

상기 에어석션부(500)는 제어부(600)의 제어를 받아 작업장(800)의 환경 즉, 면적의 크기나 오염물질(810)의 종류 및 발생량, 농도 등에 따라 생성되는 흡입 압축공기의 세기를 가감 조절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The air suction unit 5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0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compressed air generat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 site 800, that is, the size of the area, the type and amount of the pollutant 810, .

또한,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질(810)이 사이클론발생부(120)에 구비된 제1챔버(122) 및 제2챔버(123)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구성된다.The contaminants 810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are generated in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second chamber 123 provided in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20 And the discharge port 113 is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ed air by the centrifugal force.

더불어, 상기 배출구(113)에 연결된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810)이 집하되는 집하부(400, 400-1 내지 400-n)를 구성시켜 주되, 상기 집하부(400)는 작업장(800)의 환경에 따라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배출관(116)이 한 곳에 통합적으로 설치되어 오염물질(810)을 일괄적으로 처리시켜 주거나, 또는 첨부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집하부(400-1 내지 400-n)는 하나의 배출관(116)이 각각 하나씩 별도로 설치되어 오염물질(810)을 개별적으로 처리시켜 주는 또 다른 구성으로 된다.400-1 to 400-n where the pollutants 81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6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3 are collect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shop 800,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116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one location to collectively treat the pollutants 810, The bottoms 400-1 to 400-n may have another structure in which one discharge pipe 116 is installed separately to treat the pollutants 810 individually.

그리고, 상기 오염물질(810)이 분리된 압축공기가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의 유출구(112)에 연결된 유출관(115)을 통해 상기 에어석션부(500)를 거쳐 외부로 배기시켜 주는 배기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compressed air from which the pollutants 810 are separated passes through the outlet pipe 115 connected to the outlet 112 of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500, And an exhaust unit 510 for exhausting the exhaust gas.

다음은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의 구성수단에 대해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struction of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ttached hereto.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는 제1챔버(122)와 제2챔버(123)에서 연이어 이중으로 사이클론을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발생부(120)와 상기 사이클론발생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작업장(800) 내의 오염물질(810)을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하는 드레인부(140) 및 상기 사이클론발생부(120)와 드레인부(140)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include a cyclone generating unit 120 for generating a cyclone in succession in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second chamber 123, A drain portion 140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810 in the workplace 800 through an outlet 113 and a coupling portion 130 for coupling the cyclone generating portion 120 and the drain portion 140 to each other, .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는 에어석션부(500)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가진 압축공기가 흡입부(200)와 집진유도부(300, 300a), 유입관(114)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사이클론발생부(120)를 거친 압축공기가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관(115)으로 유출되는 구성으로 된다.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are arranged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hav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air suction unit 500 flows through the suction unit 200, the dust guide unit 300, 300a, and the inflow pipe 114 The compressed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111 and the cyclone generating section 120 flows out to the outlet pipe 115 through the outlet port 112.

또한,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사이클론발생부(120)는 유입구(111)와 연통되는 제1챔버(122)와 상기 제1챔버(122)에 둘러싸인 원통 형상의 외통(124) 및 상기 외통(124)의 내부에 형성된 내통(126)과 상기 내통(126)에 둘러싸여 정화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125)를 통해 유출구(112)에 연통되는 제2챔버(123)로 구성된다.The cyclone generating unit 120 included in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includes a first chamber 122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1 and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120 surrounded by the first chamber 122. [ And a second chamber 123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12 through an exhaust pipe 124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and purified air surrounded by the inner cylinder 126 and the exhaust pipe 125, ).

다시 말해서, 상기 사이클론발생부(120)에 구비된 바디(120a)의 내측 상단에는 유출구(112)와 연통되는 체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1)는 외통(124)의 가운데 부위에 구비된 배기관(125)에 체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를 유출구(112)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In other words, a coupling part 121 communicating with the outflow port 112 is formed at the inner upper end of the body 120a provided in the cyclone generating part 120, and the coupling part 121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outer cylinder 124 So that the purified air compressed in the exhaust pipe 125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12.

더불어, 상기 외통(124)과 배기관(125) 사이에 구비된 내통(126)은 드레인부(140) 쪽을 향해 그 지름이 감소하도록 원뿔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In addition, the inner cylinder 126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24 and the exhaust pipe 125 is formed into a conical shape so as to have a reduced diameter toward the drain portion 140.

또한, 상기 드레인부(140)는 바디(140a)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41a)를 통해 제1챔버(122)와 외통(124)에 연통되고, 상기 공간부(141a) 내측으로는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810)을 이차적으로 포집하는 상부포집실(142)로 구성된다.The drain 14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outer cylinder 124 through a space 141a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40a and compresses And an upper collection chamber 142 for collecting the pollutants 810 separated from the air.

한편, 상기 외통(124)의 상단에는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접선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날개 형상을 가진 제1안내부(127a)의 사이에 제1유로(128a)를 등간격으로 구성시켜 주게 된다.5,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4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127a having a wing shape so that compressed air can be discharged in a tangential direction along the periphery thereof, 128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예컨대, 상기 제1유로(128a)의 폭을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외통(124)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화살표와 같이 제1유로(128a)를 통해서 선회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는 외통(124)과 바디(120a) 사이에 구비된 제1챔버(122)로 하강 선회하면서 유입시켜 주게 된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first flow path 128a may be made narrow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by rotating the compressed air flow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4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8a And the air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122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24 and the body 120a while flowing downward.

한편, 상기 내통(126)의 상단에는 첨부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접선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날개 형상을 가진 제2안내부(127b)의 사이에 제2유로(128b)를 등간격으로 구성시켜 주게 된다.6, a second flow path 128b (see FIG. 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guide portion 127b having a wing shape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can be discharged in a tangential direction along the periphery thereof, ) At regular intervals.

예컨대, 상기 제2유로(128b)의 폭을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내통(126)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화살표와 같이 제2유로(128b)를 통해서 다시 한번 더 선회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는 내통(126)과 배기관(125) 사이에 구비된 제2챔버(122)에 하강 선회하면서 유입시켜 주게 된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flow path 128b may be made narrow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compressed air flow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e 126 may be again drawn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28b And is caused to flow into the second chamber 122 provid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126 and the exhaust pipe 125 while being swirled downwar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이클론발생부(120)는 압축공기가 제1챔버(122) 내를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오염물질(810)이 원심력에 의해 일차적으로 분리되어 바디(120a)의 내측벽에 부딪혀 밀려나게 된다.In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ed air flows downward while circulating in the first chamber 122. In this process, the contaminant 810 is sepa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primarily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is push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body 120a.

이어서,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810)은 사이클론발생부(120)에 구비된 바디(120a)의 내측벽 및 드레인부(140)에 구비된 바디(140a)의 내측벽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는 상기 바디(140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플랜지(Flange)(14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챔버(122)와 연통된 하부포집실(150)에 모여 일차적인 포집 작용이 이루어진다.The contaminants 810 sepa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desce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120a of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20 and the inner wall of the body 140a of the drain 140 Which is collected in a lower collection chamber 15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122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langes 143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140a.

상기 외통(124)의 직경이 내통(12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저압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챔버(122)에서 발생하는 선회 운동은 제2챔버(123)에서 발생하는 선회 운동보다 저속으로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챔버(122)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되는 오염물질(810)에는 많은 량의 수분이나 유분 및 큰 이물질들을 분리시켜 주게 된다.Since the diameter of the outer cylinder 124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126, the pivoting motion generated in the first chamber 122 is less than the pivoting motion generated in the second chamber 123 It becomes low speed.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moisture, oil, and large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from the contaminant 810 that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22.

그리고, 일차적으로 오염물질(810)이 분리된 압축공기는 외통(124)과 내통(126) 사이의 공간부(141b)를 따라 위쪽으로 다시 유입되고, 이는 상기 내통(126) 상단에 형성된 제2유로(128b)를 통과하면서 또다시 선회 운동으로 제2챔버(123)에 유입하게 된다.The compressed air in which the contaminant 810 is primarily separated flows upward again along the space 141b between the outer cylinder 124 and the inner cylinder 126, And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123 by the swirling movem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28b.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통(126)의 직경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원뿔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제2챔버(123) 내에서의 선회 운동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점 고속으로 가속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the meantime, since the inner cylinder 126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ical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126 decreases, the swing motion in the second chamber 123 accelerates gradually as it goes down .

다시 말해서, 상기 제2챔버(123)는 내통(126)과 배기관(12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에 의해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고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내통(126)과 배기관(125) 사이에서의 압축공기의 선회 속도를 더욱 빨라지게 가속하여 원심력을 상승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since the second chamber 12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cylinder 126 and the exhaust pipe 125 is narrowed,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passes becomes smaller as it is lowered, The centrifugal force is accelerated by accelerating the revolution speed of the compressed air between the inner cylinder 126 and the exhaust pipe 125 to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따라서, 상기 제2챔버(123) 내에서의 압축공기는 배기관(125)을 중심으로 화살표와 같이 빠른 속도로 하강 선회 운동을 하면서 이차적으로 제1챔버(122)에서 분리해내지 못한 미량의 수분이나 유분 및 작은 이물질들이 포함된 오염물질(810)을 압축공기로부터 추가적으로 분리하여 공기정화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Accordingly, the compressed air in the second chamber 123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22 due to a slight amount of moisture, which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22, while moving downward at a high speed as indicated by an arrow about the exhaust pipe 125 The pollutant 810 containing oil and small foreign matter is further sepa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to increase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로(128a) 및 제2유로(128b)에서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두 번 선회시켜 주는 가속 작용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작업장(800) 내의 오염물질(810)에 대한 분리가 한층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celerating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inlet 111 from the first flow path 128a and the second flow path 128b twice, The separation to the contaminant 810 is made more efficient.

한편,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오염물질(810)이 원심력에 의해 이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내통(126)의 내측벽으로 부딪혀 밀려나면서 하강하여 하부포집실(150)에 모여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nts 810 are sepa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by centrifugal force and collide with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ylinder 126 to descend and collect in the lower collection chamber 150.

그리고, 상기 제2챔버(123)에서 이차적으로 오염물질(810)이 분리된 즉, 정화된 깨끗한 압축공기는 배기관(125)의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유출구(112)에 연결된 유출관(115) 및 에어석션부(500)를 거쳐 배기부(510)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켜 주게 된다.The clean compressed air in which the contaminant 8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hamber 123 is cleaned by the outlet pipe 115 connected to the outlet 112 and the air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art 510 through the suction part 500.

한편, 상기 드레인부(140)에는 내통(126)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포집실(142)의 내부에 탄성력을 가진 탄성체(144)가 압력차단부(14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포집실(142)의 개방된 상부는 제2챔버(123)와 연통되어 상기 제2챔버(123)에서 분리된 오염물질(810)이 하강하여 포집된다.An elastic member 144 having an elastic forc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blocking portion 145 in the drain trapping chamber 1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ain pipe 140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pipe 126,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llection chamber 14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hamber 123, and the pollutant 810 separated from the second chamber 123 falls and is collected.

또한, 상기 상부포집실(142)의 개방된 하부에는 제1챔버(122) 및 공간부(141a)와 연통되도록 홀(146)이 형성된 배출부(147)가 구성된다.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llecting chamber 142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rt 147 having a hole 146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space 141a.

더불어, 상기 홀(146)을 통해 배출부(147) 내부와 공간부(141a), 하부포집실(150)이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홀(146)이 개방되면 하부포집실(150)의 압축공기가 홀(146)을 통해 배출부(147)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147 is communicated with the space 141a and the lower collection chamber 150 through the hole 146. When the hole 146 is opened, the lower collection chamber 150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ion 147 through the hole 146. [

한편, 상기 상부포집실(142)에 삽입 설치된 압력차단부(145)는 공간부(141a)와 상부포집실(142) 간의 압력차로 홀(146)을 개폐시켜 주고, 이에 따라 배출부(147)에 구비되어 탄성체(151)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배출핀(148)을 개폐하여, 오염물질(810)을 배출구(113)로 배출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The pressure blocking portion 145 inserted into the upper collecting chamber 142 opens and closes the hole 146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141a and the upper collecting chamber 142, And discharges the contaminants 810 to the discharge port 113 b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n 148 sliding up and dow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1. [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드레인부(140)에는 고압이 생성된 제1챔버(122)와 저압이 생성된 제2챔버(123) 간의 압력차로 상부포집실(142)의 내부를 승강시켜 압력차단부(145)가 홀(146)을 개폐시켜 주고, 이에 따라 배출부(147)에 구비된 배출핀(148)을 개폐하여, 오염물질(810)을 배출구(113)로 배출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in part 140, the inside of the upper collecting chamber 142 is lifted and lowered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122 where the high pressure is generated and the second chamber 123 where the low pressure is generated, The discharge port 145 of the discharge port 147 opens and closes the hole 146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n 148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147 to discharge the pollutant 810 to the discharge port 113 .

참고로, 미설명 부호 152는 배출부(147) 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하 연통을 차단하는 디스크(Disk)이고, 미설명 부호 153은 배출핀(148)이 하강할 때 홀(146)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공기유통로이다.Reference numeral 152 denotes a disk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47 to block vertical communication. Reference numeral 153 denotes an inlet (not shown) through the hole 146 when the discharge pin 148 descends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3).

나아가서, 상기 배출부(147)의 하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배출홈(149)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홈(149)을 통해 하부포집실(150)과 연통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포집실(150)에 포집된 오염물질(810)이 배출부(147) 내부로 유입되고, 이는 결국 배출구(113)에 연결된 배출관(116)을 통해 집하부(400, 400-1 내지 400-n)에 최종적으로 집하처리되는 구성으로 된다.Further, a discharge groove 149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47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thereof,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lower collection chamber 150 through the discharge groove 149. Accordingly, the pollutants 810 collected in the lower collecting chamber 150 ar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ing part 147, which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400, 400-1 through 400-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6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ort 113, 400-n,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집진유도부(300, 300a)에 분산 설치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사이클론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제1챔버(122)와 제2챔버(123)에서 연이어 이중으로 사이클론을 발생시켜 주고, 이에 따라 압축공기로부터 2회에 걸쳐 오염물질(810)을 분리시켜 주기 때문에 작업장(800) 내의 공기정화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second chamber 123 provid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s 100-1 through 100-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induction units 300 and 300a, And thus separates the pollutants 810 from the compressed air twice. Therefore, the air purifying capability of the workplace 800 is further improv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바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람직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ed to the inner bar described in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as mentioned above.

100-1 내지 100-n : 집진기
111 : 유입구
112 : 유출구
113 : 배출구
114 : 유입관
115 : 유출관
116 : 배출관
120 : 사이클론발생부
120a : 바디
121 : 체결부
122 : 제1챔버(Chamber)
123 : 제2챔버(Chamber)
124 : 외통
125 : 배기관
126 : 내통
127a : 제1안내부
128a : 제1유로
127b : 제2안내부
128b : 제2유로
130 : 결합부
140 : 드레인부
140a : 바디
141a, 141b : 공간부
142 : 상부포집실
143 : 플랜지(Flange)
144 : 탄성체
145 : 압력차단부
146 : 홀
147 : 배출부
148 : 배출핀
149 : 배출홈
150 : 하부포집실
151 : 탄성체
152 : 디스크(Disk)
153 : 공기유통로
200 : 흡입부
210 : 프리(Pre)집진부
220 : 보조집진팬(Fan)
300, 300a : 집진유도부
310, 310a : 흡입공기완충부
400, 400-1 내지 400-n : 집하부
500 : 에어석션(Air Suction)부
510 : 배기부
600 : 제어부
700-1 내지 700-n : 제어밸브
800 : 작업장
810 : 오염물질
100-1 to 100-n:
111: inlet
112: Outlet
113: Outlet
114: inlet pipe
115: outflow pipe
116:
120: Cyclone generator
120a: Body
121:
122: first chamber < RTI ID = 0.0 >
123: Second chamber
124:
125: Exhaust pipe
126: My heart
127a: first guide portion
128a:
127b: second guide portion
128b:
130:
140: drain part
140a: Body
141a, 141b:
142: Upper collection chamber
143: Flange
144: elastomer
145:
146: hole
147:
148:
149: discharge groove
150: Lower collection chamber
151: elastomer
152: Disk
153: air distribution channel
200:
210: Pre-
220: Auxiliary dust collection fan
300, 300a:
310, 310a: suction air buffer
400, 400-1 to 400-n:
500: Air Suction part
510:
600:
700-1 to 700-n: control valve
800: Workshop
810: Contaminants

Claims (9)

작업장(800) 내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810)을 흡입부(200)를 통해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유입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유입관(114)이 설치된 부위에 둥근 형상의 흡입공기완충부(310, 310a)를 형성시킨 집진유도부(300, 300a);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에 분산 설치된 유입관(114)을 통해 유입구(111)가 연결된 집진기(100-1 내지 100-n);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의 유출구(112)에 유출관(115)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810)을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유입시켜 주기 위해 흡입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석션부(500);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에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질(810)이 사이클론발생부(120)에 구비된 제1챔버(122) 및 제2챔버(123)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배출구(113);
상기 배출구(113)에 연결된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810)이 집하되는 집하부(400, 400-1 내지 400-n); 및
상기 오염물질(810)이 분리된 압축공기가 상기 집진기(100-1 내지 100-n)의 유출구(112)에 연결된 유출관(115)을 통해 상기 에어석션부(500)를 거쳐 외부로 배기시켜 주는 배기부(51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In order to induce the contaminants 810 contained in the air in the workshop 800 to b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hrough the suction unit 200, (300, 300a) having suction air buffers (310, 310a) formed therein;
Dust collectors 100-1 through 100-n connected to the inlet 111 through an inlet pipe 114 dispersed in the dust guide portions 300 and 300a;
The pollutants 810 connected to the outlets 112 of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hrough the outflow pipe 115 and flowing from the dust collecting guides 300 and 300a to the dust collectors 100-1 100 to 100-n) to generate suction compressed air;
The contaminants 810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are collected in the first chamber 122 and the second chamber 123 provided in the cyclone generating unit 120, A discharge port 113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air;
(400, 400-1 to 400-n) in which the pollutants (81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6)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3) are collected; And
The compressed air from which the pollutants 810 are separate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500 through the outflow pipe 115 connected to the outlet 112 of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 And an exhaust unit (510) provided in the exhaust port (5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는 유입관(114)이 설치된 쪽을 향해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inducing parts (300, 300a) are formed in a taper shape so as to reduce the diameter toward the inlet pipe (114).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도부(300, 300a)와 집진기(100-1 내지 100-n) 사이의 유입관(114)에는 제어부(600)에 의해 개폐되어 압축공기의 유입과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700-1 내지 700-n)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 pipe (114) between the dust guide unit (300, 300a) and the dust collectors (100-1 to 100-n) Wherein the control valves (700-1 to 700-n) are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64246A 2015-05-08 2015-05-08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Expired - Fee Related KR101656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246A KR101656998B1 (en) 2015-05-08 2015-05-08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246A KR101656998B1 (en) 2015-05-08 2015-05-08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998B1 true KR101656998B1 (en) 2016-09-12

Family

ID=5695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2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6998B1 (en) 2015-05-08 2015-05-08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06A (en) * 1999-04-23 2000-11-15 구본준 An apparatus for etching a glass substrate
JP2010207660A (en) * 2009-03-06 2010-09-24 Nippon Spindle Mfg Co Ltd Dust collector
JP2013189937A (en) * 2012-03-14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Diesel engine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ship
KR101489358B1 (en) * 2014-05-12 2015-02-06 이상필 Purification apparatus for compressed 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06A (en) * 1999-04-23 2000-11-15 구본준 An apparatus for etching a glass substrate
JP2010207660A (en) * 2009-03-06 2010-09-24 Nippon Spindle Mfg Co Ltd Dust collector
JP2013189937A (en) * 2012-03-14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Diesel engine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ship
KR101489358B1 (en) * 2014-05-12 2015-02-06 이상필 Purification apparatus for compressed 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8279B (en) A kind of multifunction environment-protection type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KR10203177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044658B1 (en) Dust collector for easy dust removal of filter
KR20140032245A (en) A dust collector
KR101193642B1 (en) filter
KR102105600B1 (en) Double cyclone dust cleaner
KR200430268Y1 (en) Mobile Air Filter
CN108057288A (en) A kind of construction dust-extraction unit
KR101256512B1 (en) Wet-type dust collector having advanced purification performance
KR101656998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CN105999977A (en) Gas-liquid separation device
CN106178736B (en) A kind of pretreatment unit of oil-containing fog dust dirt and its clarifier of application
KR101149615B1 (en) A portable dust collector
KR20160071081A (en) Air purifying device
CN203702040U (en) Drill dust collector capable of cleaning filter elements automatically
KR100686897B1 (en) Subway ventilation
KR102006594B1 (en) Four season total care system
KR20090115351A (en) Air purifier
KR20090016184A (en) Filter Dust Collector with Dust Collector
KR20090007760U (en) Multicyclone Dust Collector
KR100519301B1 (en) wall air-cleaner combined ventilation function
CN205145906U (en) A helical structure , filter equipment , dust collecting equipment for multi -stage filtration device
CN210814487U (en) Waste gas treatment device for industrial equipment convenient to dismouting
KR200279594Y1 (en) Dry and wet type vacuum collector
KR101289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dust in shot bla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