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930B1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 Google Patents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930B1 KR101656930B1 KR1020140082482A KR20140082482A KR101656930B1 KR 101656930 B1 KR101656930 B1 KR 101656930B1 KR 1020140082482 A KR1020140082482 A KR 1020140082482A KR 20140082482 A KR20140082482 A KR 20140082482A KR 101656930 B1 KR101656930 B1 KR 101656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impeller
- stirring tank
- tank reactor
- stirr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6—Stirr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기재는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기재에 따르면, 경제적이고 발포층 저감 효과가 탁월한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tank reactor and a production method of the PVC resin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itation tank reactor which is economical and excellent 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foam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VC resin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기재는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제적이고 발포층 저감 효과가 탁월한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er tank rea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VC resin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rrer tank reactor which is economical and has an excellent foam layer reducing effec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VC resin using the same.
반응기 내에서 임펠러는 기계 동력을 교반 에너지로 바꾸어 직접 액체를 섞어 주는 부분으로 임펠러의 형상에서부터 회전 밸런스까지 하나 하나가 교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특히, 고속 회전 혹은 중속 회전인 경우에는 임펠러의 형상이 교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서로 다른 상의 액체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반응물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반응기 내의 임펠러의 종류나 형상, 각도, 속도 등을 조절하여 각각의 균질화된 입자 상태를 얻어 최적의 입도 분포 및 입자 형태를 갖는 생성물을 얻고자 하였다.In the reactor, the impeller is a part that mixes the liquid directly by changing the mechanical power to the agitation energy. Each one from the shape of the impeller to the rotational balance are factors affecting the stirring efficienc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igh-speed rotation or medium-speed rotation, the shape of the impeller greatly affects the stirring performance. For the reactants containing liquid phases of different phases, in the existing studies, the homogeneous particle states were obtained by adjusting the type, shape, angle and speed of the impeller in the reactor to obtain products having the optimum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particle shape Respectively.
그러나, 고온 중합시 환류 응축기까지 foam과 가벼운 PVC 입자가 상승하여 재중합을 다소 일으켜 크기가 큰 입자를 만들거나 다량의 스케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the foam and the light PVC particles rise up to the reflux condenser, causing some re-polymerization, thereby generating large particles or generating a large scale.
또한 배치식 반응기를 사용하거나 혹은 비중 차이가 클 경우 교반탱크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체를 밀어주는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부 임펠러를 작게 디자인하였으나, 역으로 중합시 환류 응축기에서 떨어지는 염화비닐 모노머와 발생한 발포층을 반응기 하부까지 고르게 섞여줄 정도의 교반력이 확보되지 못한 단점이 확인되었다. In addition, the upper impeller was designed to be small in order to increase the force pushing the flui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gitation tank to the upper part by using a batch type reactor or when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s large. Convers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gitating force sufficient to evenly mix the lay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could not be secured.
한편, 하단 임펠러가 교반탱크 최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교반탱크 내 생성물 볼륨이 채워지기 전, 높은 하부 교반력과 P/V값의 상승으로 하부의 입자간 충돌이 빈번해져 미세입자의 생성량이 많아지는 단점도 함께 확인되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impeller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stage of the stirring tank, before the product volume in the stirring tank is filled, the lower interfacial collision force and the P / V value increase, Disadvantages were also identified.
이 같은 발포층을 저감하거나 혹은 발포층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경제성을 갖추면서 발포층 저감 효과가 탁월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요청된다. Various techniques for reducing such a foam layer or for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 foam layer have been applied, but there is still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is excellent in economical efficiency and excellent 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foam layer.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회전 조건 하에 상단 유속이 하단 유속보다 빨라지도록 임펠러의 하단과 상단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고온 중합시 교반탱크 상부까지 올라온 발포층을 교반탱크의 하부로 내려보내는 힘을 증가시켜 상부 와류(vortex)를 저감하고, 하단 임펠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미세입자 감소, 입자 사이즈 증대 및 균일성 증대를 도모하였으며, 환류 응축기 까지 상승한 발포층을 별도의 발포 방지제 투입 혹은 발포 방지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by controlling the positions of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impeller so that the upper flow velocity becomes faster than the lower flow velocity under the same rotation condition, By reducing the upper vortex by increasing the downward force an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impeller,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fine particles, increase the particle size, and increase the uniformity. The foam layer, which has risen to the reflux condens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he amount of the catalyst without applying the injection or foaming prevention technique.
즉, 본 기재는 경제적이고 발포층 저감 효과가 탁월한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gitating tank reactor which is economical and excellent 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foam laye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PVC resin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Stirred Tank Reactor)로서, 상기 교반탱크의 상부에 리플럭스 콘덴서가 결합되고,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irred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wherein a reflux condens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tank,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 중 상기 교반탱크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의 임펠러까지의 높이(h1)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h1/D)가 0.11 내지 0.17이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의 하단과 상단의 임펠러의 간격(h2)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h2/D)가 0.61 내지 0.67, 혹은 0.78 내지 0.84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제공한다.
(H1 / D) of the height (h1)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o the impeller at the lower end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is 0.11 to 0.17, Wherein a ratio (h2 / D) of an interval (h2)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impeller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is in the range of 0.61 to 0.67, or 0.78 to 0.84. Lt; / RTI >
또한, 본 기재는 상기 교반탱크 반응기를 사용하여 염화비닐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VC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VC resin, comprising polymerizing a vinyl chloride monomer using the stirring tank reactor.
본 기재에 따르면, 경제적이고 발포층 저감 효과가 탁월한 교반탱크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PVC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itating tank reactor which is economical and excellent in the foam layer reducing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PVC resin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2단 임펠러 스터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재의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wo-stage impeller stirrer.
2 is a schematic view of a stirring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기재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기재의 교반탱크 반응기는 상기 교반탱크(10)의 상부에 리플럭스 콘덴서(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13,14) 중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의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h1/D)가 0.11 내지 0.17이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의 하단(14)과 상단(13)의 임펠러의 간격(h2)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h2/D)가 0.61 내지 0.67, 혹은 0.78 내지 0.84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irrer tank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flux condens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교반탱크 반응기는 일례로 중합용 반응기일 수 있다.The stirring tank reactor may be,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reactor.
상기 중합용 반응기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현탄중합용 반응기일 수 있고, 연질 및 경질 제품의 생산 및 품질에 유리한 PVC 수지가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The reactor for polymerization may be, for example, a reactor for the present carbon-to-carbon bond reaction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has the effect of producing a PVC resin which is advantageous in production and quality of soft and hard products .
상기 임펠러는 일례로 파우들러(pfaudler) 타입, 피치 패들(pitch1ed paddle) 타입, 혹은 피치 터빈(pitch1ed turbine) 타입 등일 수 있다.The impeller may be, for example, a pfaudler type, a pitch 1 paddle type, a pitch turbine type, or the like.
상기 임펠러는 일례로 스터러 축(shaft)을 중심으로 ∪자형, Ⅴ자형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The impeller may be, for example, a U-shaped, V-shaped, or a mixture thereof, around a stirrer shaft.
상기 임펠러는 일례로 각각 날개가 2 내지 5개, 2 내지 4개, 또는 3개일 수 있다.The impeller can be, for example, 2 to 5, 2 to 4, or 3, respectively.
상기 하단 임펠러(14)는 일례로 내측벽 하단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상단 임펠러(13)와 하단 임펠러(14) 사이에 임펠러가 1종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impell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상기 리플럭스 콘덴서(미도시)는 반응 중 기화된 용매를 응축시켜 다시 반응기 아래쪽으로 되돌리는 형태를 반복하여 중합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중합을 하는데 무리가 없고 각기 다른 온도에서도 중합하는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의 제품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eflux condenser (not shown) repeats the process of condensing the vaporized solvent during the reaction and returning it to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thereby efficiently controlling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polymerization, Even whe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t different temperatures, a product characteristic of a similar tendency can be realized.
상기 교반탱크 반응기는 일례로 배플(미도시) 및 자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리플럭스 콘덴서(미도시)와 결합하여 더 많은 제열 범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나 많은 발열에도 반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stirring tank reactor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not shown) and a jacket (not shown), in which case it can be combined with a reflux condenser (not shown) to have more heat removal ra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r a large amount of heat.
상기 배플 및 자켓은 통상적으로 교반탱크 반응기에 설치될 수 있는 배플 및 자켓인 경우 제한되지 않는다.The baffle and jacket are not normally limited to baffles and jackets that can be installed in a stirred tank reactor.
상기 배플의 내경(B)와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는 일례로 0.1 내지 0.2 범위 내일 수 있다.
The ratio of the inner diameter (B) of the baffle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10)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1 to 0.2 .
상기 교반탱크(10)는 일례로 상부에는 반응물 유입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고, 바닥면에는 생성물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재(11)이 결합될 수 있다.The
본 기재에서는 스터러의 동력장치 등과 같은 통상 교반탱크 반응기에 포함되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장치나 수단 등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pparatuses, means, etc., which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re included in a conventional stirring tank reactor such as a power unit for a stirrer and the like.
일례로, 상기 교반탱크(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h1/D)가 0.11 내지 0.17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미세입자 감소, 입자 사이즈 증대 및 균일성 증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The ratio h1 / D of the height h1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구체적인 예로, 상기 높이(h1)은 상기 교반태크(10)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부재(11)상에 구비된 축수(12)로부터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The height h1 may be a height from the
또 다른 예로,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의 하단 임펠러(14)와 상단 임펠러(13)의 간격(h2)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h2/D)는 0.61 내지 0.67 혹은 0.78 내지 0.84 범위 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부의 물질(혼합물)과 하부의 물질(혼합물)이 섞이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교반력이 높아져, 제조되는 중합체의 균일한 입도 분포 및 입자 크기 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atio (h2 / D) of the distance h2 between the
상기 교반탱크는 일례로 상기 교반탱크(10)의 바닥면에서 구비된 배출부재(11) 상에 구비된 축수(12)로부터 이격된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 대 스터러 축(샤프트, 15)의 길이(L)의 비가 0.70 내지 0.1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미세입자 감소, 입자 사이즈 증대 및 균일성 증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irring tank may have a height h1 from the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는 일례로 하단 임펠러(14)와 상단 임펠러(13)의 간격(h2) 대 샤프트(shaft, 15)의 길이(L)의 비(h2/L)가 0.36 내지 0.40, 혹은 0.46 내지 0.50 범위 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중합에서 발생한 발포층을 하부로 낮추어 상부 와류(bortex)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he ratio (h2 / L) of the distance h2 between the
상기 교반탱크(10)는 일례로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13,14)의 너비(d1,d2)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d1/D, d2/D)가 각각 0.42 내지 0.45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환류 응축기 상부에서 응축되어 떨어지는 염화비닐 모노머를 교반탱크 하부까지 고르게 섞고 환류 응축기까지 상승한 발포층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The ratio d1 / D, d2 / D of the widths d1 and d2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s 13 and 14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본 기재의 PVC 수지의 제조방법은 본 기재의 교반탱크(10) 반응기를 사용하여 염화비닐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VC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polymerizing the vinyl chloride monomer using the stirring tank (10)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중합은 일례로 현탁중합일 수 있고, 이 경우 겉보기 비중이 낮고 가소제 효율이 높아 연질 및 경질 제품의 생산 및 품질에 유리한 PVC 수지가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The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in suspension, for example. In this case, PVC resin having an apparent specific gravity low and a high plasticizer efficiency is advantageous in producing soft and hard products and in quality.
상기 현탁중합은 일례로 40 내지 85 ℃, 50 내지 75 ℃, 또는 58 내지 68℃에서 실시될 수 있다.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at 40 to 85 캜, 50 to 75 캜, or 58 to 68 캜.
상기 PVC 수지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중합도 700 내지 1000의 PVC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VC resin may be, for example, to produce PVC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700 to 1000.
상기 PVC 수지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상기 현탁중합 후 미반응 단량체를 회수하는 단계와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고 수득한 슬러리를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VC resin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recovering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removing unreacted monomers, and dehydrating and drying the obtained slurry.
하기 도 1은 기존의 2단 임펠러 스터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샤프트(shaft, 15)와 이에 결합된 상단 임펠러(13) 및 하단 임펠러(14)가 도시되어 있고, 교반탱크(10)의 반응기 내경(D) 대 상하단 임펠러(13,14)간 간격(h2)의 비(h2/D)는 0.78~0.84이고,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부재(11)상에 구비된 축수(12)로부터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 대 스터러 축(샤프트, 15)의 길이(L)의 비는 0이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13,14)의 너비(d1, d2)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로서 d1/D가 0.40 내지 0.42이고, d2/D가 0.42 내지 0.45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two-stage impeller stirrer, in which a
하기 도 2는 본 기재의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반응기 내부에 샤프트(shaft, 15)와 이에 결합된 상단 임펠러(13) 및 하단 임펠러(14)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반응기 바닥면에 배출부재(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부재 위로 샤프트(15)의 축수(12)가 바닥면에서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만큼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tirring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ctor, a
상기 교반탱크(10)의 반응기 내경(D) 대 상하단 임펠러(13,14)간 간격(h2)의 비(h2/D)는 0.78~0.84이고,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부재(11)상에 구비된 축수(12)로부터 하단 임펠러(14)까지의 높이(h1) 대 스터러 축(샤프트, 15)의 길이(L)의 비는 0.06~0.10이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13,14)의 너비(d1,d2) 대 상기 교반탱크(10)의 내경(D)의 비(d1/D, d2/D)가 각각 0.42 내지 0.45인 도면이다. The ratio h2 / D of the reactor inner diameter D of the
상기 배출부재는 일례로 블로우다운(blowdown) 장치일 수 있다.The discharge member may be, for example, a blowdown device.
상기 블로우다운 장치는 일례로 블로우다운 탱크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중합 종료 후 블로우다운 장치의 배출밸브를 열어 중합된 수지(resin)를 교반탱크 반응기로부터 블로우다운 탱크로 이송할 수 있다.The blowdown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blowdown tank, for example, in which case the polymerized resin can be transferred from the stirred tank reactor to the blowdown tank by opening the discharge valve of the blowdown device after polymerization.
상기 블로우다운 장치, 블로우다운 탱크, 슬러리 탱크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관(pipe)에는 일례로 가스를 분출시킬 수 있는 벤트(vent) 및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블로우다운 탱크는 통상 중합체 제조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블로우다운 탱크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blowdown device, the blowdown tank, the slurry tank, or the pipe connecting them may be provided with a vent and a pump capable of discharging gas. The blow-down tan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case of a blow-down tank which can be usually used in a polymer production process.
상기 샤프트(15)의 축수(12)는 일례로 배출부재(11)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기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도 2의 교반탱크 반응기로서, 환류 응축기(미도시) 및 h1이 100-150mm, h2가 700-750mm, d1=380-400mm, d2=380-400mm이고 D=897mm, L=1498mm인 2단 임펠러 스터러(13,14)가 부착된 1루베(가로 1m x 세로 1m x 높이 1m) 스테인레스 중합반응기(h1/D가=0.11~0.17, h2/D=0.78~0.84, d1/D=0.42~0.45, d2/D=0.42~0.45)에 중합수 140 중량부, 수화도가 88%인 폴리비닐알코올 0.05 중량부, 수화도가 72%인 폴리비닐알코올 0.02 중량부, 수화도가 55%인 폴리비닐알코올 0.015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0.005 중량부 및 t-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네이트(BND) 0.088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교반 하에 내부를 진공 펌프로 탈기하고, 염화비닐 단량체 9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2, a two-stage impeller (not shown) having a reflux condenser (not shown) and h1 of 100-150 mm, h2 of 700-750 mm, d1 of 380-400 mm, d2 of 380-400 mm, D of 897 mm and L of 1498 mm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reactor (h1 / D = 0.11 to 0.17, h2 / D = 0.78 to 0.84, d1 / D = 0.42 to 0.45) having a stirrer (13, 14) ,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hydration of 88%, 0.05 part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hydration of 72%, 0.02 part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hydration of 72%,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hydration of 55% 0.015 parts by weight of alcohol, 0.005 parts by weight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0.088 parts by weight of t-butyl peroxyneodecanonate (BND) were charged. Then, the inside was degassed with a vacuum pump while stirring, and 9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Respectively.
상기 중합반응기 온도를 반응 전과정 동안 58 ℃로 유지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켰고, 전체 중합 시간의 50%가 지난 시점에서 염화비닐 단량체 10 중량부를 추가로 투입하였다. The reaction was continued while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t 58 캜 throughout the reaction, and 1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was further added at 50% of the total polymerization time.
이후 중합반응기 압력이 1.0 kg/cm2 변화가 있는 시점에 중합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미반응 단량체를 회수한 후, 슬러리 상태로 중합반응기에서 회수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슬러리를 통상의 방법으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하여중합도 1000인 염화비닐 중합체(PVC 수지)를 얻었다.
The polymerization was stopped when the polymerization reactor pressure was changed to 1.0 kg / cm 2 . After adding 0.05 part by weight of triethylene glycol-bis- [3- (3-t-butyl-5-methyl-4-hydroxyphenyl) propionate] as an antioxidant, unreacted monomers were recovered, And recovered in a polymerization reactor in a slurry state. The slurry thus obtained was dried in a fluidized bed drier by a conventional method to obtain a vinyl chloride polymer (PVC resin)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h2가 550-600 mm(h2/D=0.61~0.67)이고, 중합반응기 온도를 반응 전과정 동안 68 ℃로 유지하면서 반응을 진행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도 700인 PVC 수지를 제조하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2 in Example 1 was 550-600 mm (h2 / D = 0.61-0.67)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t 68 캜 throughout the reaction A PVC resin with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700 was prepar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h1가 0mm(h1/D=0)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도 1000인 PVC 수지를 제조하였다.
A PVC resin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1 was 0 mm (h1 / D = 0).
[시험예] [Test Example]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PVC 수지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roperties of the PVC resin prepared in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평균입경: ASTM D 1243-79에 의해 측정하였다.* Average particle siz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43-79.
* Fine(200 mesh1): ASTM D 1243-79 방법으로 측정하였다.Fine (200 mesh1): Measured by the ASTM D 1243-79 method.
* 겉보기 비중(g/cc): ASTM D 1895-89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Apparent Specific Gravity (g / cc):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895-89.
* 가소제 흡수율(wt%): ASTM D 3367-95에 의거하여 시료에 흡수되는 DOP량을 흡수전의 시료의 중량에 대한 중량%로 나타내어 측정하였다.* Plasticizer Absorption Rate (wt%): The amount of DOP absorbed by the sample in accordance with ASTM D 3367-95 was measured in terms of wt%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sample before absorption.
* 폼 레벨(%): 반응기 상단의 둥근 Eclipse 부근에 구비된 니들 형태의 폼 디텍터로 측정하였다. * Foam level (%): Measured with a needle-shaped foam detector near the rounded Eclipse at the top of the reactor.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른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사용하여 PVC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실시예 1, 2), 종래와 같이 교반탱크의 바닥면에 하단 임펠러가 이격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대비 교반력 상승으로 인해 PVC 수지의 입자 크기를 작게 만들고 입도 분포를 좁게 만들어, 최종적으로 큰 입자나 미세한(fine) 입자의 양이 감소되었고, 또한 겉보기 비중이 줄고 가소제 흡수율이 높아졌으며, 특히 폼 레벨이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2단 임펠러 타입의 반응기의 경우 하단 임펠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수지(resin)의 물성을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when a PVC resin was produced using a stirring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1 and 2),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tirring tank In the case where the impeller was not separated (Comparative Example 1), the grain size of the PVC resin was made small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narrowed due to an increase in contrast agglomeration force so that the amount of large particles or fine particles was finally reduced, And the plasticizer absorption rate was increas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foam level was re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an be significantly chang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impeller in the case of the two stage impeller type reactor.
특히, 상하단 임펠러 간격이 넓은 실시예 1 보다 그 간격이 저감된 실시예 2의 경우, 보다 개선된 수지(resin)의 물성을 제공하는 것을 규명할 수 있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Example 2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mpeller is narrower than that of Example 1 having a wide ga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improved resin.
추가 실험예 1Additional 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h1이 0mm이고 d1이 360 내지 380 mm(h1/D=0, d1/D=0.40-0.42)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도 1000인 PVC 수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물성을 측정한 결과, 평균입경 181 ㎛, Fine(200 mesh) 2.1%, 겉보기 비중 0.565 g/cc, 가소제 흡수율 17.3 wt%, 그리고 폼 레벨 12%이었다. A PVC resin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1 was 0 mm and d1 was 360 to 380 mm (h1 / D = 0, d1 / D = 0.40-0.42) (200 mesh), an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0.565 g / cc, a plasticizer absorption rate of 17.3 wt%, and a foam level of 12% 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즉, 본 기재에 따른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사용하여 PVC 수지를 제조한 실시예 1에서 상기 추가 실험예 1보다 하부 입자간 충돌 횟수와 P/V값을 줄여 미세 입자를 상대적으로 저감할 수 있었고, 큰 입자들의 뭉침으로 평균 입경이 증대되었으며, 또한 검토빅 비중도 증가한 품질을 보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동일 rpm 내 상단 임펠러의 유속이 더욱 빨라져 올라온 발포층을 아래로 내려보낼 수 있는 힘이 커져 중합에서 발생한 발포층을 아래로 낮추어 상부 와류(vortex)를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at is, in Example 1 in which a PVC resin was produced by using a stirring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llisions between lower particles and the P / V value were reduced, The average grain size was increased due to the lumps of large particles, and the quality of the test was also increased. In Example 1, the flow rate of the upper impeller in the same rpm was further increased, and the force for lowering the expanded foam layer was increase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am layer lowered in the polymerization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upper vortex.
추가 실험예 2Further Experimental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폼 레벨이 70% 이상일 때마다 소포제로서 코그니스사의 제품명 Foam Star 혹은 다우코닝사의 제품명 Siloxane LDC120A를 최대 100 ppm 일괄, 분할 투입하여 발포를 억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도 1000인 PVC 수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물성을 측정한 결과, 평균입경 188 ㎛, Fine(200 mesh) 0.6%, 겉보기 비중 0.558 g/cc, 가소제 흡수율 18.5 wt%, 그리고 폼 레벨 11%이었다.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foaming was suppressed by collectively adding up to 100 ppm of the product name Siloxane LDC120A manufactured by Dow Corning Incorporated under the product name of Cognis Co. as the antifoaming agent every time the foam level was 70% A PVC resin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188 탆, Fine (200 mesh) 0.6%, apparent specific gravity 0.558 g / cc, plasticizer absorptivity 18.5 wt% The foam level was 11%.
즉, 본 기재에 따른 2단 임펠러 스터러를 포함하는 교반탱크 반응기를 사용하여 PVC 수지를 제조하는 실시예 1 및 2에서, 종래와 같이 발포층이 과다하게 생성될 경우마다 소포제를 투입한 상기 추가 실험예 2보다 특별히 큰 물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더불어 소포제 투입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폼의 개선도 없었다. 이를 통해 2단 임펠러 타입의 반응기의 경우 별도의 소포제 투입 없이 임펠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수지(resin)의 물성을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at is, in Examples 1 and 2 in which a PVC resin was produced using a stirring tank reactor includ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 of the defoamer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Experiment 2, and no foam was improved in spite of the addition of defoam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an be changed considerabl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impeller without injecting the defoamer in the case of the two stage impeller type reactor.
이는 특별한 첨가제 없이 소포제 투입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원가절감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또한 폼 상승으로 인한 재중합이나 환류응축기의 막힘 현상을 저하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제열효과가 우수해져 반응기의 안정적인 운영에도 효과적이다.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since it can exhibit the same effect as the addition of defoamer without special additive, and it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the reheat polymerization due to the foam rise or the clogging of the reflux condenser is retarded or delayed, .
10: 교반 탱크 (반응기) 11: 배출부재
12: 축수 14: 하단 임펠러
13: 상단 임펠러 15: 스터러 축(샤프트)10: stirring tank (reactor) 11: discharge member
12: Bearing number 14: Bottom impeller
13: upper impeller 15: stirrer shaft (shaft)
Claims (13)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 중 상기 교반탱크의 바닥면에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의 임펠러까지의 높이(h1)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h1/D)가 0.11 내지 0.17이고,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의 하단과 상단의 임펠러의 간격(h2)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h2/D)가 0.61 내지 0.67 혹은 0.78 내지 0.84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A stirrer tank reactor comprising a two-stage impeller stirrer, wherein a reflux condens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tank,
(H1 / D) of the height (h1)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o the impeller at the lower end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is 0.11 to 0.17,
Wherein a ratio (h2 / D) of an interval (h2) between a lower end and an upper impeller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o an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is in a range of 0.61 to 0.67 or 0.78 to 0.84
Stirred tank reactor.
상기 교반탱크 반응기는, 중합용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rring tank reactor is a polymerization reactor
Stirred tank reactor.
상기 중합용 반응기는,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현탁중합용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tor for polymerization is a reactor for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a vinyl chloride monomer
Stirred tank reactor.
상기 임펠러는, 파우들러(pfaudler) 타입, 피치 패들(pitch1ed paddle) 타입, 혹은 피치 터빈(pitch1ed turbine)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ller may be a pfaudler type, a pitch 1 paddle type, or a pitch 1 turbine type.
Stirred tank reactor.
상기 임펠러는, 스터러 축(shaft)을 중심으로 ∪자형, Ⅴ자형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ller is characterized by being U-shaped, V-shaped, or a mixture thereof, around a stirrer shaft
Stirred tank reactor.
상기 교반탱크는, 상부에 반응물 유입관이 결합되고, 바닥면에 생성물 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er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actant inlet pipe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nd a product outlet pipe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Stirred tank reactor.
상기 교반탱크는, 교반탱크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부재 상에 구비된축수로부터 이격된 하단 임펠러까지의 높이(h1) 대 스터러 축(shaft)의 길이(L)의 비가 0.07 내지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tank may have a ratio of a height h1 to a length L of a stirrer shaft from 0.07 to 0.10 from a bearing water provided on a discharge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stirring tank to a lower- Featured
Stirred tank reactor.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는, 하단과 상단의 임펠러의 간격(h2) 대 샤프트(shaft)의 길이(L)의 비(h2/L)가 0.36 내지 0.40 혹은 0.46 내지 0.5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h2 / L) of the distance (h2) between the lower and upper impellers to the length (L) of the shaft is in the range of 0.36 to 0.40 or 0.46 to 0.50
Stirred tank reactor.
상기 2단 임펠러 스터러의 너비(d1,d2) 대 상기 교반탱크의 내경(D)의 비(d1/D, d2/D)가 각각 0.42 내지 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d1 / D, d2 / D) of the width (d1, d2) of the two-stage impeller stirrer to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tirring tank is 0.42 to 0.45
Stirred tank reactor.
상기 교반탱크는 내부에 배플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탱크 반응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rring tank is provided with a baffle therein
Stirred tank reactor.
PVC 수지의 제조방법.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olymerizing the vinyl chloride monomer using the stirring tank reac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Method of making PVC resin.
상기 중합은, 현탁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의 제조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merization is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of making PVC resin.
상기 중합은, 중합도 700 내지 1000의 PVC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lymeriza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 PVC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700 to 1000
Method of making PV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482A KR101656930B1 (en) | 2014-07-02 | 2014-07-02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482A KR101656930B1 (en) | 2014-07-02 | 2014-07-02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074A KR20160004074A (en) | 2016-01-12 |
KR101656930B1 true KR101656930B1 (en) | 2016-09-12 |
Family
ID=5517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482A Active KR101656930B1 (en) | 2014-07-02 | 2014-07-02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9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819B1 (en) * | 2016-08-22 | 2019-08-02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Method for preparing vinylidene chloride |
WO2021049883A1 (en) * | 2019-09-10 | 2021-03-18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Batch-type stirrer for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polyvinyl chloride resin, and batch-type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or using same |
KR102543296B1 (en) * | 2019-09-10 | 2023-06-16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Agitator for Batch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Resin and Batch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or Using the Same |
KR20240178602A (en) * | 2023-06-22 | 2024-12-31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Multi-stage impeller rea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409B1 (en) | 2009-10-16 | 2012-06-28 | 삼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Oxidation reactor for manufacturing aromatic carboxylic acid and mothod or manufacturing aromatic carboxylic acid by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16395A1 (en) * | 2009-02-09 | 2010-08-11 | Lonza Biologics plc. | Bioreactor for the cultivation of mammalian cells |
KR101541949B1 (en) * | 2011-05-24 | 2015-08-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of prepar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
KR101510931B1 (en) * | 2012-10-09 | 2015-04-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for emergency stopping vinyl chloride based polymer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
-
2014
- 2014-07-02 KR KR1020140082482A patent/KR1016569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409B1 (en) | 2009-10-16 | 2012-06-28 | 삼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Oxidation reactor for manufacturing aromatic carboxylic acid and mothod or manufacturing aromatic carboxylic acid by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074A (en) | 2016-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930B1 (en)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1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1e same | |
JP5863136B2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tetrafluoroethylene-containing resin with high fluorine content | |
CN1193986A (en) | Continuous production of expandable styrene polymer beads | |
US9403144B2 (en) | Apparatus for mass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resin and method for mass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resin | |
CN102675495B (en) | Olefinic polymerization reactor and polymerization method | |
CN102170965B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gas phase fluidised bed polymerisation reaction | |
CN112638953A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resin and polyvinyl alcohol resin | |
KR101659150B1 (en) | Stirred tank reactor and method for preparing pvc resin using the same | |
US9434833B2 (en) | Bulk PVC composition, bulk PVC polyme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02151537B (en) | Raw rubber polymerization reaction device | |
CN107344982B (en) | A kind of method for producing broad/b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utyl rubber | |
KR100759188B1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having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apparatus | |
TWI751686B (en) | Agitator for batch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resin, and batch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batch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or using the same | |
KR102248720B1 (en) | Preparing method for vinylchloride polymer | |
KR101987438B1 (en) | Preparing method for polyvinyl chloride polymer | |
KR102351983B1 (en) | Preparation method for polyvinyl chloride | |
KR10270627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romatic vinyl based copolymer | |
JP5019778B2 (en) | Method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 |
KR101878777B1 (en) | Polymerization apparatus having loop for circulating reaction gas | |
CN110054716B (en) | Low temperature butyl rubber slurry separation process | |
KR101338723B1 (en) | A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 |
JP4504251B2 (en) | Method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 |
KR102546715B1 (en) | Composition for polymerizing vinyl chloride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polymer using the same | |
CN114874378B (en) | Preparation method of high-absorptivity resin | |
CN115181201B (en) | Copolymerization method of C4-C8 alpha-mono-olefin and maleic anhydri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