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770B1 - Built-in dehumidifier - Google Patents
Built-in dehumid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770B1 KR101656770B1 KR1020140166144A KR20140166144A KR101656770B1 KR 101656770 B1 KR101656770 B1 KR 101656770B1 KR 1020140166144 A KR1020140166144 A KR 1020140166144A KR 20140166144 A KR20140166144 A KR 20140166144A KR 101656770 B1 KR101656770 B1 KR 101656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air
- thermoelectric module
- sink
- exhaust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9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전 냉각시키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에 상기 열전모듈의 냉기를 전달하는 콜드 싱크; 상기 열전모듈의 발열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열을 방열하면서, 외부 공기의 강제 흡입 및 냉각과 제습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강제 배기하게 하는 방열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스 룸 등과 같이 제습이 필요한 공간의 천장면에 구비되어 차지 공간이 적고, 흡입된 공기가 열전 냉각된 콜드싱크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응축시킨 후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열전 냉각 방식을 통해 제습이 가능하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여 항균/탈취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n exhaust port formed therein; A thermoelectric module provided on the body for thermoelectrically cool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by an application power source; A cold sink provided on a cool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for transmitting cool ai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the sucked air; A heat sink provided on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sipate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heat dissipating fan for forcibly sucking and cooling the outside air while discharging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ng plate, and for forcibly exhausting the dehumidified air to the exhaust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provided in a ceiling of a space requiring dehumidification, such as a dress room, and has a small charge space, and sucked air passes through a thermoelectric cooled cold sink, The dehumidified dry air is dis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rough the simple structure of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and the antibacterial / deodorizing function can be combined using the cluster ioniz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빌트인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레스 룸 등과 같이 제습이 필요한 공간 천장에 빌트인 형태로 설치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de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installed in a built-in space in a ceiling requiring dehumidification such as a dress room.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dehumidifier sucks the humid air from the indoor space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reduces the humidity, and then discharges the dehumidified air back into the indoor space. Device.
여기서,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Here, the dehumidifier uses a method of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n a liquefied state from the ambient air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As the refrigerant evaporates,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lowe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also lowered. Accordingly, as the temperature around the evaporator drop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condenses and forms dew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이러한 제습기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0342670호 및 등록특허 제1231278호에 제안된 바 있다.Techniques related to such a dehumidifier have bee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No. 0342670 and Japanese Patent No. 1231278.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0342670호 및 등록특허 제1231278호에 개시된 제습기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humidifier disclosed in Patent No. 0342670 and No. 1231278 as a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등록특허 제0342670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제습기의 내부 구성 및 통풍의 양상을 나타낸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제습기는 본체(1) 내에 압축기(21), 응축기(22), 증발기(23) 및 송풍 팬(24)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내장하고, 상기 본체(1)에 형성한 흡기구(5)로부터 배기구(16)를 향하여 통풍하는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23) 및 응축기(22)와 접촉시켜서, 제습, 건조시켜 토출 송풍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가늘고 길게 구성하며, 상기 흡기구(5)를 상기 가늘고 긴 방향이 전후가 되도록 사용시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1) 전면의 상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구(16)를 상기 본체(1)의 상면부에 설치하고, 상기 흡기구(5)로부터 상기 배기구(16)에 이르도록 한 송풍로(20)를 상기 본체(1) 내의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송풍로(20) 내에 본(1)체의 좌우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상기 증발기(23), 상기 응축기(22) 및 상기 송풍 팬(24)을 차례로 배열함과 동시에, 본체(1) 하부의 전방에는 전후로 인출이 가능한 제습수 저류용 탱크(26)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압축기(21)를 배치시켜, 상기 전후로 가늘고 긴 본체(1)의 구성에 의해 벽장내의 이불과의 사이의 측부 간격이나 가구와 가구 사이의 틈새 등, 폭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1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humidifier and the ventilation in Patent No. 03426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1, the dehumidifier of the prior art 1 includes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21, a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제습기는 제습이 필요한 공간, 예를 들어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에 위치시켜 사용하는데 이렇게 바닥에 설치할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며, 제습을 위한 구성인 압축기(21), 응축기(22), 증발기(23) 및 송풍 팬(24) 간 결합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is used in a space requiring dehumidification, for example, on the floor of a room or a living room, and a space for installing it on the floor is separately required. A compressor 21, a condenser 22 ), The evaporator (23), and the blowing fan (24).
도 2는 등록특허 제1231278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제습기는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130)와; 상기 베리어(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간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200)와; 상기 베리어(1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재(182)와; 상기 흡착부재(18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 내부를 유동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히터 유입구가 구비되는 히터어셈블리(170)와;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부재(182)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로 안내하는 고온덕트(178)가 포함되고, 상기 고온덕트(178)를 통하여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유입구(174)를 통하여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No. 12312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제습기는 제습 공간의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고,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 등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레스 룸 등과 같이 제습이 필요한 공간의 천장면에 구비되어 차지 공간이 적고, 흡입된 공기가 열전 냉각된 콜드싱크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응축시킨 후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열전 냉각 방식을 통해 제습이 가능한 빌트인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provided in a ceiling scene of a space requiring dehumidification such as a dress roo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t-in dehumidifier capable of dehumidifying through a simple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air containing water vapor to condense and then discharging the cooled and dehumidified dry ai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여 항균/탈취 기능을 겸비할 수 있게 한 빌트인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ilt-in dehumidifier that can combine an antibacterial / deodorizing function using a cluster ioniz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전 냉각시키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에 상기 열전모듈의 냉기를 전달하는 콜드 싱크; 상기 열전모듈의 발열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열을 방열하면서, 외부 공기의 강제 흡입 및 냉각과 제습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강제 배기하게 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빌트인 제습기를 통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 thermoelectric module provided on the body for thermoelectrically cool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by an application power source; A cold sink provided on a cool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for transmitting cool ai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the sucked air; A heat sink provided on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sipate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built-in dehumidifier including a radiator fan for radiating the heat of the radiator plate while forcedly sucking and cooling the outside air and for forcibly exhausting the dehumidified air to the exhaust po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부여하도록 클러스터 이오나이저(Cluster Ionizer)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body may include a cluster ionizer to impart an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유로 가이드가 배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직립한 상기 방열판의 상부가 개방되어 유로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전후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배기구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guide is disposed opposite to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and the flow guide opens the upper portion of the upright heat sink to form a flow path,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is formed The suction port and the exhaust port can be formed in the individual space by the partition wall extending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유로 가이드가 배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경사진 상기 방열판의 전방이 개방되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흡입구 및 배기구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직립한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외측벽 각각에 상기 배기구 방향으로 냉각 및 제습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연결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guide is disposed opposite to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and the flow gu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upright to support the heat dissipation plate so that the suction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in the individual space and a connection port for guiding each of the outer walls of the partition wall to discharge air cooled and dehumidified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port.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콜드 싱크의 하측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해 저장되도록 물받이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ink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d sink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ater vapor in the air is converted into wat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방열팬의 구동을 제어하며, 목표습도 도달시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방열팬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radiating fan and may redu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radiating fan when the target humidity is reached.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스 룸 등과 같이 제습이 필요한 공간의 천장면에 구비되어 차지 공간이 적고, 흡입된 공기가 열전 냉각된 콜드싱크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응축시킨 후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열전 냉각 방식을 통해 제습이 가능하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여 항균/탈취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provided in a ceiling of a space requiring dehumidification, such as a dress room, and has a small charge space, and sucked air passes through a thermoelectric cooled cold sink, The dehumidified dry air is dis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rough the simple structure of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and the antibacterial / deodorizing function can be combined using the cluster ionizer.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 및 통풍의 양상을 나타낸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nd the appearance of ventila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intended to mean that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의 시공 상태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side sectional view.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100)는 몸체(110), 커버(120), 콜드 싱크(130), 열전모듈(140), 방열판(150), 방열팬(160), 유로 가이드(170),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80) 및 전원부/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built-in
몸체(11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흡입구(112)와 배기구(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112)와 배기구(114)는 다수 배열된 슬릿(Slit) 형태이면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12)가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114)가 상기 몸체(110)의 양쪽 끝단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 중 흡입구(112)에는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커버(120)는 상기 몸체(110) 상에 씌워져 내구 구성물을 보호하도록 마감하는 구성요소로, 바닥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 형성된다.The
콜드 싱크(Cold sink: 130)는 후술할 열전모듈(140)의 전면인 냉각면에 구비되어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열전 냉각되는 열전모듈(140)의 냉기를 전달하며, 전면에 냉각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직립된 핀이 다수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콜드 싱크(130)는 흡입구(1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유입된 공기를 바로 응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더욱이, 상기 콜드 싱크(130)의 하측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물받이(132)가 구비되며, 배출홀에 연결된 별도의 호스 및 펌프 등을 통하여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으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Further, the
열전모듈(140)은 몸체(110)의 내부에 직립하게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펠티어(Peltier) 효과에 따라 일측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타측 접합부에서 열을 발산한다. 여기서, 열전모듈은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의 상호변환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에너지재료로써,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기판을 사이에 두고 칩 형태의 p형과 n형의 열전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실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열전모듈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게 되면 열전반도체 내부의 전하(전자, 정공)는 열전모듈의 일단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반대면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열전 모듈의 일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면은 발열이 된다.The
이때, 상기 열전모듈(140)은 흡입구(1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인가 전원에 의해 콜드 싱크(130)를 냉각시켜 유입된 공기를 열전 냉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방열판(150)은 열전모듈(140)의 후면인 발열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140)의 열을 방열시키면서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건조한 상태로 배출되게 하며, 후면에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직립된 핀이 다수 구비된다.The
방열팬(160)은 방열판(150)의 표면에 구비되어 공랭 방식에 의해 상기 방열판(150)의 열을 방열하면서,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게 하고, 냉각과 제습된 공기를 배기구(114)를 통해 강제 배기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The
이렇게, 상기 방열팬(160)은 방열판(150)의 열을 방열하면서 흡입구(112)에서의 흡기와 배기구(114)에서의 배기에 따른 유로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유로 가이드(170)는 방열판(150)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기 방열판(150)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172)가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부(172)의 전후에 경사지게 연장된 격벽(174)에 의해 흡입구(112) 및 배기구(114)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한다.The
더욱이, 상기 유로 가이드(170)는 상기 방열판(150)의 상부에 유로인 개방 공간이 형성되게 하므로 콜드 싱크(13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여 방열팬(160)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Further, since the
한편, 상기 유로 가이드(170)는 콜드 싱크(130), 양측 배기구(114) 그리고 방열판(150)과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80)가 각각 독립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한다.The flow path guide 170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즉, 상기 유로 가이드(170)는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방열팬(160)의 흡입력에 의해 콜드 싱크(130)와 방열판(150)의 상부 공간을 통해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80)에서 발생되는 이온과 함께 방열판(150)의 핀 사이 공간과 개구부(172)로 이동하면서 배기구(114)로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기되는 것이다.That is, the
클러스터 이오나이저(Cluster Ionizer: 180)는 방열판(15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습된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켜 제습 공간 내에 배기하므로 제습 공간 내의 항균 및 탈취가 가능하다.The
전원부/제어부는 몸체(110) 상에 구비되어 열전모듈(140), 방열팬(160) 및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80) 등의 구동을 제어하며, 목표습도 도달시 상기 열전모듈(140) 및 방열팬(160)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키고, 취침 모드시 상기 열전모듈(140) 및 방열팬(160)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켜 저소음모드로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전원부/제어부는 빌트 인 제습기(100)가 리모콘으로 동작되도록 제반 기술 및 구조가 적용된다.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on the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100)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uilt-in
우선, 리모컨 등을 통해 전원 입력을 제어하면 전원부/제어부에서 열전모듈(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냉각면에 구비된 콜드 싱크(130)의 온도가 응축이 가능한 설정 온도로 유지된다.First, when the power input is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power is supplied to the
다음으로, 상기 흡입구(112)에 흡입된 공기가 열전모듈(140)에 의해 냉각된 콜드 싱크(130)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낮추게 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킨 후 공기가 이슬점에 도달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된다.Next, the air sucked into the
다음으로, 수증기가 응결된 물이 상기 콜드 싱크(130)의 표면에 맺혀 물받이(132)에 수집되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는 방열판(150)에서 방열되는 열에 의해 건조되면서 개구부(172)와 배기구(114)를 통해 드레스룸 내로 배출되거나, 상기 개구부(172)를 통해 천장 위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cooled and dehumidified air is dried by the heat dissipated from the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통해 항균 및 탈취 기능을 선택하면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80)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이온을 통해 제습 공간 내에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etc., the
또한, 목표습도 도달시 열전모듈(140) 및 방열팬(160)의 전압을 전원부/제어부에서 자동으로 다운시켜 저소음 모드로 동작하고, 취침 모드시에도 역시 상기 열전모듈(140) 및 방열팬(160)의 전압을 낮춰 저소음 모드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arget humidity is reached, the voltage of the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built-in dehumid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트인 제습기(200)는 몸체(210), 커버(220), 콜드 싱크(230), 열전모듈(240), 방열판(250), 방열팬(260), 유로 가이드(270), 클러스터 이오나이저(280) 및 전원부/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콜드 싱크(230), 열전모듈(240), 방열판(250) 및 방열팬(260)은 제1 실시예와 달리 공간 제약의 이유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상이하다.The built-in
몸체(21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흡입구(212)와 배기구(2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12)와 배기구(214)는 다수 배열된 슬릿(Slit) 형태이면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212)가 상기 몸체(21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14)가 상기 흡입구(212)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210) 중 흡입구(212)에는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커버(220)는 상기 몸체(210) 상에 씌워져 내구 구성물을 보호하도록 마감하는 구성요소로, 바닥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 형성된다.The
콜드 싱크(Cold sink: 230)는 후술할 열전모듈(240)의 저면인 냉각면에 구비되어 흡입구(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열전 냉각되는 열전모듈(240)의 냉기를 전달하며, 전면에 냉각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직립된 핀이 다수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콜드 싱크(230)는 흡입구(2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유입된 공기를 바로 응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더욱이, 상기 콜드 싱크(230)의 하측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물받이(232)가 구비되며, 배출홀에 연결된 별도의 호스 및 펌프 등을 통하여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으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The
열전모듈(240)은 몸체(210)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펠티어(Peltier) 효과에 따라 일측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타측 접합부에서 열을 발산한다. 여기서, 열전모듈은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의 상호변환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에너지재료로써,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기판을 사이에 두고 칩 형태의 p형과 n형의 열전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실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열전모듈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게 되면 열전반도체 내부의 전하(전자, 정공)는 열전모듈의 일단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반대면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열전 모듈의 일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면은 발열이 된다.The
이때, 상기 열전모듈(240)은 인가 전원에 의해 콜드 싱크(230)를 냉각시켜 유입된 공기를 열전 냉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방열판(250)은 상기 방열판(250)의 양단이 유로 가이드(270)의 격벽(274)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면서 경사지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250)은 열전모듈(240)의 상면인 발열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240)의 열을 방열시키면서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건조한 상태로 배출되게 하며, 상면에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직립된 핀이 다수 구비된다.The
방열팬(260)은 방열판(250)의 표면에 구비되어 공랭 방식에 의해 상기 방열판(250)의 열을 방열하면서, 흡입구(2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게 하고, 냉각과 제습된 공기가 배기구(214)를 통해 강제 배기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The
이렇게, 상기 방열팬(260)은 방열판(250)의 열을 방열하면서 흡입구(212)에서의 흡기와 배기구(214)에서의 배기에 따른 유로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유로 가이드(270)는 방열판(250)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기 방열판(250)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274)을 기준으로 외측에 연결구(272)가 각각 연결된다.The
여기서, 상기 격벽(274)은 이격된 한 쌍이 배치되며, 방열판(250)이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상기 방열판(250)의 양단이 삽입되는 경사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74)은 커버(220)의 내벽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The
더욱이, 상기 격벽(274)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입구(212) 및 배기구(214)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흡입구(212)와 이와 양쪽에서 이웃한 상기 배기구(214)의 사이에 직립하게 배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유로 가이드(270)는 상기 방열판(250)의 경사진 전방이 커버(220)의 천장면과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유로인 개방 공간이 형성되게 하므로 콜드 싱크(23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여 방열팬(260)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유로 가이드(270) 중 격벽(274)은 흡입구(212), 콜드 싱크(230), 열전모듈(240), 방열팬(260), 클러스터 이오나이저(280)와, 양측 배기구(214), 방열판(250)의 양단을 각각 독립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몸체(2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한다.The
즉, 상기 유로 가이드(270)는 흡입구(2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방열팬(260)의 흡입력에 의해 콜드 싱크(230)와 방열판(250)의 상부 공간을 통해 클러스터 이오나이저(280)에서 발생되는 이온과 함께 방열판(250)의 핀 사이 공간과 개구부로 이동하면서 연결구(272)를 거치고 배기구(214)로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기되는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연결구(272)는 격벽(274)의 외벽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격벽(274)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방열판(250)의 양단인 핀 사이 공간을 통해 냉각 및 제습된 건조한 공기가 배기구(214)로 배기되도록 공기 방향을 안내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272)은 이격된 판의 상면에서 측면을 곡면으로 마감하여 이 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종방향으로 전환시켜 양측 배기구(214)로 배출하게 되며, 커버(220)의 내벽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The connecting
클러스터 이오나이저(Cluster Ionizer: 280)는 방열팬(26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습된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켜 제습 공간 내에 배기하므로 제습 공간 내의 항균 및 탈취가 가능하다.The
전원부/제어부는 몸체(210) 상에 구비되어 열전모듈(240), 방열팬(260) 및 클러스터 이오나이저(280) 등의 구동을 제어하며, 목표습도 도달시 상기 열전모듈(240) 및 방열팬(260)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키고, 취침 모드시 상기 열전모듈(240) 및 방열팬(260)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켜 저소음모드로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전원부/제어부는 빌트 인 제습기(200)가 리모콘으로 동작되도록 제반 기술 및 구조가 적용된다.
The power unit /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200: 빌트인 제습기
110, 210: 몸체
120, 220: 커버
130, 230: 콜드 싱크
140, 240: 열전모듈
150, 250: 방열판
160, 260: 방열팬
170, 270: 유로 가이드
180, 280: 클러스터 이오나이저100, 200: Built-in dehumidifier
110, 210: body
120, 220: cover
130, 230: Cold sink
140, 240: thermoelectric module
150, 250: heat sink
160, 260: heat radiating fan
170, 270: a flow guide
180, 280: Cluster Ionizer
Claims (6)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전 냉각시키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에 상기 열전모듈의 냉기를 전달하는 콜드 싱크;
상기 열전모듈의 발열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열을 방열하면서, 외부 공기의 강제 흡입 및 냉각과 제습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강제 배기하게 하는 방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유로 가이드가 배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경사진 상기 방열판의 전방이 개방되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흡입구 및 배기구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직립한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외측벽 각각에 상기 배기구 방향으로 냉각 및 제습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빌트인 제습기.
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 thermoelectric module provided on the body for thermoelectrically cool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by an application power source;
A cold sink provided on a cool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for transmitting cool ai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the sucked air;
A heat sink provided on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sipate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nd a heat dissipating fan for forcibly sucking and cooling the outside air while discharging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ng plate and for forcibly exhausting the dehumidified air to the exhaust port
A flow guide is disposed opposite to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Wherein the flow gu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both side walls of the heat radiating plate to open the front of the inclined heat radiating plate to form a flow path so that the upright partition wall is formed such that the inle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in the individual space while supporting the heat radiating plate And a connection port for guiding each of the outer walls of the partition wall to discharge the air cooled and dehumidified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port.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부여하도록 클러스터 이오나이저(Cluster Ionizer)를 포함하는 빌트인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uilt-in dehumidifier including a cluster ionizer for imparting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s to the inside of the body.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유로 가이드가 배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직립한 상기 방열판의 상부가 개방되어 유로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방열판의 양측벽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전후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배기구가 개별 공간 내에 형성되도록 하는 빌트인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ow guide is disposed opposite to both side walls of the heat sink,
Wherein the flow guide is formed in an individual space by an open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both side walls of the heat dissipating plate so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upright heat dissipating plate is opened to form a flow path and a suction port and an exhaust port are formed by barrier ribs extending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opening portion, Built-in dehumidifier to ensure.
상기 콜드 싱크의 하측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해 저장되도록 물받이가 구비되는 빌트인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ink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d sink to convert water vapor in the air into water.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방열팬의 구동을 제어하며, 목표습도 도달시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방열팬의 인가 전압을 다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빌트인 제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radiating fan and for lowe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radiating fan when the target humidity is reach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144A KR101656770B1 (en) | 2014-11-26 | 2014-11-26 | Built-in dehumid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144A KR101656770B1 (en) | 2014-11-26 | 2014-11-26 | Built-in dehumid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2908A KR20160062908A (en) | 2016-06-03 |
KR101656770B1 true KR101656770B1 (en) | 2016-09-13 |
Family
ID=5619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6144A Active KR101656770B1 (en) | 2014-11-26 | 2014-11-26 | Built-in dehumid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7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42424B (en) * | 2020-05-11 | 2024-12-03 |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 Dehumidifier |
KR102691730B1 (en) | 2022-08-11 | 2024-08-05 |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 An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7614Y1 (en) * | 2004-01-28 | 2004-04-14 | 이규철 | A dehumidifier for a control box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3378A (en) * | 1998-02-05 | 1999-08-17 | Takenaka Komuten Co Ltd | Air outlet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
JP3258971B2 (en) | 1999-01-29 | 2002-02-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Dehumidifier |
KR101231278B1 (en) | 2006-05-02 | 2013-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ehumidifier |
KR102043834B1 (en) * | 2013-01-09 | 2019-11-13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
-
2014
- 2014-11-26 KR KR1020140166144A patent/KR1016567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7614Y1 (en) * | 2004-01-28 | 2004-04-14 | 이규철 | A dehumidifier for a control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2908A (en) | 2016-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48337T3 (en) | Dehumidifier | |
TWI664377B (en) | Dehumidifier | |
JP5113502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 |
JP5396705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ES2784541T3 (en) | Humidity adjustment device | |
KR20150005776A (en) | Dehumidifier | |
WO2018154836A1 (en) | Dehumidifier | |
KR101457948B1 (en) | Personal air conditioner | |
KR102014233B1 (en) | Dehumidifier for dress-room | |
TWI825294B (en) | Dehumidifier | |
KR101205301B1 (en) | dehumidification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
KR101656770B1 (en) | Built-in dehumidifier | |
KR20100037419A (en) | Ventilator having a dehumidifier | |
JP4781408B2 (en) | Dehumidifier | |
JP4325716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5402162B2 (en) | Dehumidifier | |
TW201441557A (en) | Air conditioner device | |
KR20110112531A (en) | Evaporative Dehumidifier | |
KR102436120B1 (en) | Dehumidifier for lowering temperature of output air | |
JP2019215100A (en) | Dehumidifier | |
KR100980542B1 (en) | Air Conditioning Unit with Radiant Panel | |
JP2023024123A (en) | Air-conditioning indoor unit | |
US20150233611A1 (en) | Portable air conditioner | |
WO2014030539A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91807B1 (en) | Warm wind blow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ehumidif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