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6239B1 - 스테레오 현미경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39B1
KR101656239B1 KR1020120044784A KR20120044784A KR101656239B1 KR 101656239 B1 KR101656239 B1 KR 101656239B1 KR 1020120044784 A KR1020120044784 A KR 1020120044784A KR 20120044784 A KR20120044784 A KR 20120044784A KR 101656239 B1 KR101656239 B1 KR 10165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zoom
distance
unit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518A (ko
Inventor
홍종규
이현기
김민영
정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2004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239B1/ko
Priority to PCT/KR2013/003352 priority patent/WO2013162219A1/ko
Priority to US14/239,007 priority patent/US9423603B2/en
Publication of KR2013012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02B21/025Objectives with variable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이 조절되더라도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스테레오 현미경이 개시된다. 상기 스테레오 현미경은 포커싱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줌 유닛과, 상기 각각의 줌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프리즘과, 상기 제1 프리즘 유닛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제2 프리즘 및, 상기 제2 프리즘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되,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의 거리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 프리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현미경{STEREO MICROSCOPE}
본 발명은 스테레오 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적물을 입체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스테레오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확대경의 일종으로 전후 2군의 렌즈, 즉 대물렌즈와 접안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현미경은 관찰자의 두 눈을 이용하여 물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하도록 저안렌즈부가 2개인 스테레오 타입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바, 이러한 형식은 대물렌즈계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어 물체를 관찰하는 아베(Abbe)형식과, 대물렌즈계의 광축이 소정의 공학적 각도를 이루어 물체를 관찰하는 그리누(Greenough)형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스테레오 현미경은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사용자의 성향에 맞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이 조절되더라도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스테레오 현미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포커싱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줌 유닛과, 상기 각각의 줌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프리즘과, 상기 제1 프리즘 유닛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제2 프리즘 및, 상기 제2 프리즘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되,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의 거리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 프리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한 쌍의 줌 유닛의 좌우 이격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안렌즈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기 성향에 맞도록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홀과 같이 깊이가 있는 목적물도 경계와의 간섭 없이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줌 유닛의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되어 영상의 입체감이 조절된다 하더라도 광학계의 초점은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대물렌즈(100), 포커싱 렌즈(110), 한 쌍의 줌 유닛(120), 한 쌍의 제1 프리즘(130), 한 쌍의 제2 프리즘(140), 제3 프리즘(150)을 포함한다.
상기 대물렌즈로(100)는 메인 빔 소스나 패턴 프로젝션(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목적물에 조사된 다음 반사되는 빔이 통과된다.
상기 포커싱 렌즈(110)는 상기 대물렌즈(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100)를 통과한 빔이 통과하되, 상기 대물렌즈(100)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빔의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은 상기 포커싱 렌즈(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은 복수개의 줌 렌즈들(121)(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줌 렌즈들(121)(122)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일렬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은 서로 이웃하는 줌 렌즈들(121)(12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배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은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좌우 이격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안렌즈(180)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기 성향에 맞도록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홀 등과 같이 깊이가 있는 목적물을 관찰할 시에는 큰 각을 가지는 스테레오 각도로 관찰을 하게 되면 영상의 입체감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홀과 경계면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어 홀 내부의 영상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홀과 같이 깊이가 있는 목적물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프리즘(130)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130)은 상기 각각의 줌 유닛(120)으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상기 각각의 줌 유닛(120)의 외측 방향으로 90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킨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130)은 상기 각각의 줌 유닛(120)과 연동되어 좌우 이동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은 상기 한 쌍의 제1 프리즘(130)으로부터 빔을 받아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 유닛(130)의 후방부 방향으로 90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킨다.
상기 제3 프리즘(150)은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으로부터 빔을 받아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의 상부 방향으로 90도 굴절시킨 후 이를 다시 상기 제3 프리즘(150)의 전방부 방향으로 90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리즘(150)은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과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리즘(140)의 후방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 프리즘(150)은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130)이 상기 각각의 줌 유닛(120)과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즘(130)과 상기 제2 프리즘(140)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의 거리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제1 프리즘(130)과 상기 제2 프리즘(140)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한다. 따라서 상기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된다 하더라도 광학계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프리즘(150)을 통해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하여 광학계의 초점이 맞춰진 빔은 제4 프리즘(160)과 한 쌍의 렌즈(170) 그리고 한 쌍의 제5 내지 제8 프리즘(161)(162)(163)(164)을 순차적으로 더 통과한 후 한 쌍의 접안렌즈(180)로 유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180)를 통해 목적물의 스테레오 영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좌우 이격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쌍의 접안렌즈(180)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기 성향에 맞도록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홀 등과 같이 깊이가 있는 목적물을 관찰할 시에는 큰 각을 가지는 스테레오 각도로 관찰을 하게 되면 영상의 입체감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홀과 경계면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어 홀 내부의 영상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레오 현미경은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홀과 같이 깊이가 있는 목적물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130)이 상기 각각의 줌 유닛(120)과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즘(130)과 상기 제2 프리즘(140)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의 거리만큼 상기 제3 프리즘(150)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140)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130)과 상기 각각의 제2 프리즘(140)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하여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줌 유닛(120)의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된다 하더라도 광학계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대물렌즈 (110) : 포커싱 렌즈
(120) : 줌 유닛 (130) : 제1 프리즘
(140) : 제2 프리즘 (150) : 제3 프리즘
(180) : 접안렌즈

Claims (7)

  1. 포커싱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줌 유닛;
    상기 각각의 줌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프리즘;
    상기 제1 프리즘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제2 프리즘; 및
    상기 제2 프리즘으로부터 빔을 받아 굴절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되, 상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 조절을 위해 상기 줌 유닛들 사이의 좌우 간격 조절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1 프리즘이 상기 각각의 줌 유닛과 연동되어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의 거리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즘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제1 프리즘과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 프리즘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2. 목적물에 조사되어 반사된 빔이 통과하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율을 조절하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적어도 두 개의 줌 유닛들;
    상기 줌 유닛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서 상기 줌 유닛들의 간격조절과 연동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각각의 줌 유닛들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굴절시키는 제1 프리즘; 및
    상기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 조절을 위해 상기 줌 유닛들 사이의 좌우 간격 조절에 연동하는 상기 제1 프리즘의 좌우 이동에 따라 변동된 빔 패스 거리를 보상하여, 빔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는,
    상기 제1 프리즘에 의해 굴절된 빔을 전달받아 굴절시키는 제2 프리즘; 및
    상기 제2 프리즘에 의해 굴절된 빔을 전달받아 굴절시키는 제3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리즘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좌우 이동에 따라 변동된 상기 제1 프리즘 및 상기 제2 프리즘 사이의 빔 패스 거리만큼 상기 제2 프리즘과 이격된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리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프리즘에 의해 굴절된 빔을 제공받는 접안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안렌즈는 상기 제3 프리즘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줌 유닛은,
    상기 대물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된 제1 줌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제2 줌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줌 유닛들의 제1 줌 렌즈들은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줌 유닛들의 제2 줌 렌즈들은 서로 이격된 좌우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줌 렌즈 및 상기 제2 줌 렌즈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일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빔이 통과하며, 상기 빔의 초점을 맞추도록 상기 대물렌즈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포커싱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줌 유닛들은 상기 포커싱 렌즈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현미경.
KR1020120044784A 2012-04-27 2012-04-27 스테레오 현미경 Active KR10165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84A KR101656239B1 (ko) 2012-04-27 2012-04-27 스테레오 현미경
PCT/KR2013/003352 WO2013162219A1 (ko) 2012-04-27 2013-04-19 스테레오 현미경
US14/239,007 US9423603B2 (en) 2012-04-27 2013-04-19 Stereo micr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84A KR101656239B1 (ko) 2012-04-27 2012-04-27 스테레오 현미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18A KR20130121518A (ko) 2013-11-06
KR101656239B1 true KR101656239B1 (ko) 2016-09-09

Family

ID=4948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84A Active KR101656239B1 (ko) 2012-04-27 2012-04-27 스테레오 현미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23603B2 (ko)
KR (1) KR101656239B1 (ko)
WO (1) WO2013162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7079B4 (de) 2015-09-07 2017-03-23 Olympus Winter & Ibe Gmbh Optisches System eines Stereo-Videoendoskops, Stereo-Videoendoskop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ischen Systems für ein Stereo-Videoendoskop
US10197806B2 (en) * 2016-06-07 2019-02-05 Google Llc Fabrication of air gap regions in multicomponent lens systems
DE102016115140B4 (de) 2016-08-16 2022-07-28 Leica Microsystems Cms Gmbh Wechselsystem für ein Mikroskop sowie Mikroskop
DE102017123320A1 (de) * 2017-10-09 2019-04-11 Olympus Winter & Ibe Gmbh Stereoendoskop
GB2567439A (en) * 2017-10-10 2019-04-17 Vision Eng Stereo microscope with single objecti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13A (ja) 2002-08-28 2004-06-10 Carl-Zeiss-Stiftung Trading As Carl Zeiss 顕微鏡システムおよび顕微鏡検査方法
KR100471598B1 (ko) * 2004-11-11 2005-03-09 (주)오선하이테크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동시 관찰이 가능한 현미경
KR101056484B1 (ko) * 2010-02-19 2011-08-12 김우준 사각 광경로를 형성하는 광학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779A (en) * 1971-09-22 1975-04-15 Dermot John Pierse Dual magnification microscope
JPH11514448A (ja) * 1994-11-29 1999-12-07 エッジ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インスツル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顕微鏡照明及び立体観察の改良
KR19990059968A (ko) 1997-12-31 1999-07-26 유무성 입체 영상 표현이 가능한 쌍안 실체 현미경
DE10140402B4 (de) * 2000-09-26 2012-08-30 Carl Zeiss Meditec Ag Bildumkehrsystem, Ophthalmoskopie-Vorsatzmodul und Operationsmikroskop
KR100481645B1 (ko) 2002-10-09 2005-04-14 충청북도 현미경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입체 출력 시스템
KR100622042B1 (ko) 2004-07-21 2006-09-13 한국방송공사 양안식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구동장치 및 제어방법
KR100786677B1 (ko) 2006-04-11 2007-12-21 (주)한국입체방송 무손실 광로결합장치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용 스테레오줌 렌즈계
KR20110125853A (ko)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카메라 입사 동공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3d 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413A (ja) 2002-08-28 2004-06-10 Carl-Zeiss-Stiftung Trading As Carl Zeiss 顕微鏡システムおよび顕微鏡検査方法
KR100471598B1 (ko) * 2004-11-11 2005-03-09 (주)오선하이테크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동시 관찰이 가능한 현미경
KR101056484B1 (ko) * 2010-02-19 2011-08-12 김우준 사각 광경로를 형성하는 광학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18A (ko) 2013-11-06
WO2013162219A1 (ko) 2013-10-31
US20150043065A1 (en) 2015-02-12
US9423603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6675B2 (en) Optical device with increased depth of field
JP5066350B2 (ja) グリノー式実体顕微鏡
CN1975504B (zh) 高功率立体显微镜
US8305684B2 (en) Microscope apparatus having optical systems forming optical paths parallel to an optical axis of an objective lens
KR101656239B1 (ko) 스테레오 현미경
ATE265696T1 (de) Sehhilfe in form einer lupenbrille mit autofokussiereinrichtung
KR20130121520A (ko) 스테레오 현미경 시스템
CN204807795U (zh) 立体显微镜、立体聚束栅及视频显微系统
US9891420B2 (en) Variable 3-dimensional stereomicroscope assembly
KR101654589B1 (ko) 초점 및 물체 거리 자동 변환 기능을 구비한 3차원 입체 영상 기반의 의료 현미경 시스템
US7253948B2 (en) Optical magnification device for distance variation
JP2009009135A (ja) センタリングされた照明を持つ顕微鏡
JP2012141470A (ja) 結像光学系、及び、顕微鏡装置
CN208795925U (zh) 用于手术显微镜的变焦双目镜筒
CN100501492C (zh) 借助于激光射线处理物体的设备
WO2020095445A1 (ja) 顕微鏡
WO2020095444A1 (ja) 顕微鏡
Bagnell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JP2012042774A (ja) 結像光学系、顕微鏡装置及び実体顕微鏡装置
JP2010139909A (ja) 顕微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