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6234B1 - 롤 마스크팩 용기 - Google Patents

롤 마스크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34B1
KR101656234B1 KR1020160042297A KR20160042297A KR101656234B1 KR 101656234 B1 KR101656234 B1 KR 101656234B1 KR 1020160042297 A KR1020160042297 A KR 1020160042297A KR 20160042297 A KR20160042297 A KR 20160042297A KR 101656234 B1 KR101656234 B1 KR 10165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sheet
take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섭
Original Assignee
(주) 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엠씨 filed Critical (주) 씨엠씨
Priority to KR102016004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234B1/ko
Priority to PCT/KR2016/006837 priority patent/WO20171759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마스크팩 용기로서, 마스크팩용 시트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하고 시트로 침투하는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와 별도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롤 마스크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1 보조용기; 상기 제1 보조용기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2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취출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침투물질과 제2 시트침투물질은 서로 혼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 마스크팩 용기{Receptacle for roll mask pack}
본 발명은 롤 마스크팩 용기로서, 마스크팩용 시트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하고 시트로 침투하는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와 별도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롤 마스크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화장품이나 습기가 흡수된 팩을 얼굴에 붙여서 화장품 등이 피부속으로 직접 침투하도록 하는 피부관리용품 중 하나이나. 이러한 마스크팩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얇은 용기에 밀봉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밀봉상태를 해제하여 마스크팩을 사용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스크팩과 함께 피부의 보습이나 세척을 위해 액상의 화장품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를 위하여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이들 각각에 서로 다른 피부관리용품, 예를 들어 마스크팩과 액상화장품을 보관하기도 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643호에는 액상의 화장용품을 담은 보관용기를 마스크팩과 함께 하나의 포장용기에 보관함과 동시에 화장품을 담은 보관용기를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마스크팩용 포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팩용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마스크팩용 포장용기는, 내부에 마스크팩이 수납되는 밀폐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보관부(10)와, 상기 메인보관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다수개의 결합슬릿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앰플보관부(30)와, 내부에 액상화장용품이 보관가능한 보간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모서리가 상기 결합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앰플보관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앰플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팩용 포장용기는 메인보관부(10)를 개봉하기 전에는 액상화장용품을 메인보관부(10)에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액상화장용품을 메인보관부(10)에 주입하기 불편하고, 메인보관부(10)를 개봉하여 액상화장용품을 주입한 후에는 액상화장용품이 마스크팩에 골고루 확산되지 못하고 마스크팩의 일부분에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팩용 시트와 함께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분리 제공할 수 있고,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에 주입하기 용이한 롤 마스크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1 보조용기; 상기 제1 보조용기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2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취출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침투물질과 제2 시트침투물질은 서로 혼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용기와 제2 보조용기는 연결구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연결구는 밀폐캡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 보조용기는, 상기 제2 시트침투물질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버튼가이드와, 상기 버튼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상기 밀폐캡을 상기 연결구로부터 분리하는 혼합피스톤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혼합피스톤에는 상기 밀폐캡과 접촉하여 상기 밀폐캡을 상기 연결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롤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트는 상기 롤샤프트를 중심으로 감겨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제1 보조용기는 유입구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롤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차단피스톤이 형성되며, 상기 롤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취출캡과 연결되어 상기 취출캡을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가 개방되면 상기 롤샤프트와 함께 상기 시트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캡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차단피스톤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취출캡의 분리를 방지하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4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롤 마스트팩 용기는, 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취출캡을 포함하며,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시트침투물질이 상기 용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마스크팩 용기는 마스크팩용 시트와 함께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분리 제공할 수 있고, 용기를 개봉하지 않고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에 주입하기 용이하며, 용기의 밀봉 상태에서 시트침투물질이 시트에 골고루 확산되어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시트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로부터 시트를 인출하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팩용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 마스크팩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침투물질의 혼합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롤 마스크팩 용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침투물질이 용기 본체로 유입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롤 마스크팩 용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가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시트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하고 시트로 침투하는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와 별도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롤 마스크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팩용 시트와 함께 영양제, 화장품 등의 시트침투물질을 분리 제공할 수 있고, 용기를 개봉하지 않고 시트침투물질을 시트에 주입하기 용이하며, 용기의 밀봉 상태에서 시트침투물질이 시트에 골고루 확산되어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 마스크팩 용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 롤샤프트(200), 취출캡(300), 제1 보조용기(400) 및 제2 보조용기(500)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트(S)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제1 보조용기(40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취출캡(300)이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00)의 일단은 상단이고 용기 본체(100)의 타단은 하단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은 상하방향이다. 용기 본체(100) 외에 각 구성의 일단 및 타단의 구분은 용기 본체(100)의 일단 및 타단의 방향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제1 보조용기(400)와 연통되고, 유입구(110)는 차단피스톤(210)에 의해 차단된다. 차단피스톤(210) 및 유입구(110)의 개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롤샤프트(200)와 함께 후술한다.
그리고 취출캡(30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00)의 타단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가이드홈은 취출캡(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21), 제2 홈(122), 제3 홈(123) 및 제4 홈(1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홈(121)은 차단피스톤(210)이 유입구(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2 홈(122)은 제1 홈(121)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취출캡(300)이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홈(123)은 제2 홈(122)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용기 본체(100)와 취출캡(3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4 홈(124)은 제3 홈(123)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취출캡(300)이 용기 본체(100)로 분리되도록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용기 본체(100)가 뒤집어진 상태로 타단방향은 상방향이다.
롤샤프트(200)는 용기 본체(100)에 수용되고, 시트(S)는 롤샤프트(200)를 중심으로 감겨 용기 본체(100)에 보관된다. 그리고 롤샤프트(200)의 일단에는 유입구(110)를 차단하는 차단피스톤(210)이 형성되고, 롤샤프트(200)의 타단은 취출캡(30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캡(300)을 용기 본체(100)의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차단피스톤(210)이 유입구(110)로부터 분리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캡(3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용기 본체(100)가 개방되면 롤샤프트(200)와 함께 시트(S)를 인출할 수 있다.
취출캡(300)은 용기 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취출캡(300)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1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취출캡(300)이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타단방향)으로 이동하면 유입구(110)가 개방되면서 제1 보조용기(400)에 수용되어 있는 시트침투물질(A+B)이 용기 본체(100)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시트침투물질은 제1 시트침투물질(A)과 제2 시트침투물질(B)의 혼합물이다.
제1 보조용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시트침투물질(A)을 보관한다. 그리고 제1 보조용기(400)는 유입구(110)에 의해 용기 본체(100)와 연통된다.
제2 보조용기(500)는 제1 보조용기(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용기(500)는 연결구(501)에 의해 제1 보조용기(400)와 연통되고, 연결구(501)는 밀폐캡(502)에 의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용기(500)는 버튼가이드(510), 푸시버튼(520), 스프링(530) 및 혼합피스톤(540)으로 이루어진다. 버튼가이드(510)는 제1 보조용기(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시트침투물질(B)이 수용되는 수용부(5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가이드(510)에는 푸시버튼(520) 및 스프링(530)이 삽입되는 버튼홈(512)이 형성된다. 푸시버튼(520)은 버튼홈(512)에 삽입되어 버튼가이드(510)를 따라 용기 본체(1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링(530)은 버튼홈(512)에 삽입되고 버튼가이드(510)와 푸시버튼(520) 사이에서 푸시버튼(520)을 탄성지지한다. 혼합피스톤(5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520)에 의해 밀폐캡(502)을 연결구(501)로부터 분리한다. 즉 사용자가 푸시버튼(520)을 누르면 스프링(530)이 압축되면서 혼합피스톤(540)이 수용부(511)에서 하강하여 수용부(511)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수용부(511)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밀폐캡(502)이 연결구(501)로부터 분리되고, 연결구(501)를 통해 제2 시트침투물질(B)이 제1 보조용기(400)로 전달된다. 이후, 푸시버튼(520)을 누르는 외력에 제거되면 압축된 스프링(530)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버튼(520) 및 혼합피스톤(54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혼합피스톤(540)에는 수용부(511)의 압력이 증가하여도 밀폐캡(502)이 연결구(50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돌기(54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분리돌기(541)는 혼합피스톤(540)의 이동에 따라 밀폐캡(502)과 직접 접촉하여 밀폐캡(502)을 연결구(5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구(501)가 개방됨으로써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시트침투물질(A)과 제2 시트침투물질(B)이 혼합될 수 있으며, 혼합된 시트침투물질(A+B)은 취출캡(300)을 용기 본체(100)의 타단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킴에 따라 유입구(110)가 개방되어 용기 본체(100)로 유입됨으로써 시트(S)로 침투하여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 마스트팩 용기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제2 보조용기(500)를 제외한 용기 본체(100), 롤샤프트(200), 취출캡(300) 및 제1 보조용기(40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보조용기(400)를 제외하고 제2 보조용기(500)가 용기 본체(100)에 직접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롤샤프트(200)에 차단피스톤(210)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 마스크팩 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제1 보조용기(400)에 제1 시트침투물질(A)이 보관되고 제2 보조용기(500)에 제2 시트침투물질(B)이 보관된다. 제2 시트침투물질(B)은 분말 또는 액상 비타민C이고, 제1 시트침투물질(A)은 영양제, 화장품 등의 용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시트(S)가 보관되는 용기 본체(100)에도 영양제, 화장품 등의 물질(C)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물질을 분리 수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물질의 혼합에 따른 변질을 방지하고, 마스크팩의 사용 직전에 복수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 분리 보관되는 서로다른 물질은 마스크팩의 용도, 효능에 따라 다양한 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푸시버튼(520)을 누르면 혼합피스톤(540)이 수용부(511)에서 하강하면서 수용부(511)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수용부(511)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밀폐캡(502)이 연결구(501)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2 시트침투물질(B)이 제1 보조용기(400)로 전달되어 제1 시트침투물질(A)과 혼합된다. 그리고 푸시버튼(520)을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530)에 의해 푸시버튼(520) 및 혼합피스톤(540)이 상승하면서 시트침투물질(A+B)의 일부가 연결구(501)를 통해 수용부(511)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푸시버튼(520)의 가압 및 해제를 반복하면 시트침투물질(A+B)이 제1 보조용기(400)와 제2 보조용기(500) 사이에서 흡입 및 배출되면서 제1 시트침투물질(A)과 제2 시트침투물질(B)이 완전히 혼합된다.
이후, 가이드돌기(310)가 제1 홈(121)에 위치한 상태의 취출캡(300)을 회전시켜 가이드돌기(310)를 제2 홈(122)으로 이동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310)가 제2 홈(122)을 따라 이동하도록 취출캡(300)을 잡아당기면, 롤샤프트(200)가 제2 홈(122)의 길이만큼 하강하면서 차단피스톤(210)이 하강하여 유입구(110)가 개방됨으로써 제1 보조용기(400)에 수용되어 있는 시트침투물질(A+B)이 용기 본체(10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질(C)과 시트침투물질(A+B)이 혼합되어 시트(S)로 침투하여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시트침투물질(A+B)이 용기 본체(100)로 유입될 때까지 용기 본체(100)는 여전히 취출캡(300)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므로 용기 본체(100)를 흔들어 용기 본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질(C)과 시트침투물질(A+B)이 잘 혼합되도록 하면서 이러한 혼합물질이 시트(S)에 골고루 확산되어 스며들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상하를 뒤집은 다음 취출캡(300)을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310)가 제3 홈(123)을 따라 이동하여 제4 홈(124)으로 진입하게 되고, 취출캡(3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출캡(3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취출캡(300)과 연결된 롤샤프트(200) 및 시트(S)가 용기 본체(100)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롤 마스크팩 용기는 용기를 개봉하지 않고 시트침투물질을 시트(S)에 쉽게 주입할 수 있으며 시트(S)의 인출 및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마스크팩 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용기 본체, 110 : 유입구,
121 : 제1 홈, 122 : 제2 홈,
123 : 제3 홈, 124 : 제4 홈,
200 : 롤샤프트, 210 : 차단피스톤,
300 : 취출캡, 310 : 가이드돌기,
400 : 제1 보조용기, 500 : 제2 보조용기,
501 : 연결구, 502 : 밀폐캡,
510 : 버튼가이드, 511 : 수용부,
512 : 버튼홈, 520 : 푸시버튼,
530 : 스프링, 540 : 혼합피스톤,
541 : 분리돌기,

Claims (6)

  1. 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1 보조용기;
    상기 제1 보조용기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2 보조용기;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취출캡;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롤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침투물질과 제2 시트침투물질은 서로 혼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롤샤프트를 중심으로 감겨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제1 보조용기는 유입구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롤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차단피스톤이 형성되며,
    상기 롤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취출캡과 연결되어 상기 취출캡을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가 개방되면 상기 롤샤프트와 함께 상기 시트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마스크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용기와 제2 보조용기는 연결구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연결구는 밀폐캡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 보조용기는,
    상기 제2 시트침투물질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버튼가이드와,
    상기 버튼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상기 밀폐캡을 상기 연결구로부터 분리하는 혼합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마스크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피스톤에는 상기 밀폐캡과 접촉하여 상기 밀폐캡을 상기 연결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마스크팩 용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캡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차단피스톤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취출캡의 분리를 방지하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4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마스크팩 용기.
  6. 시트가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시트침투물질을 보관하는 제1 보조용기;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취출캡;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롤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캡이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시트침투물질이 상기 용기 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롤샤프트를 중심으로 감겨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제1 보조용기는 유입구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롤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차단피스톤이 형성되며,
    상기 롤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취출캡과 연결되어 상기 취출캡을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가 개방되면 상기 롤샤프트와 함께 상기 시트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마스크팩 용기.
KR1020160042297A 2016-04-06 2016-04-06 롤 마스크팩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5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97A KR101656234B1 (ko) 2016-04-06 2016-04-06 롤 마스크팩 용기
PCT/KR2016/006837 WO2017175917A1 (ko) 2016-04-06 2016-06-27 롤 마스크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97A KR101656234B1 (ko) 2016-04-06 2016-04-06 롤 마스크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234B1 true KR101656234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6234B1 (ko) 2016-04-06 2016-04-06 롤 마스크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6234B1 (ko)
WO (1) WO20171759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11B1 (ko) 2016-05-13 2017-09-28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용기
KR102385039B1 (ko) * 2020-12-23 2022-04-08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2액 혼합용기 및 그 충전방법
KR20230001617U (ko) 2022-01-27 2023-08-03 김도형 롤 타입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4877A (zh) * 2023-06-27 2023-09-01 湖南千山制药机械股份有限公司 瓶装挤压式冻干面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75A (ja) * 1997-03-11 1998-09-22 Sekisui Chem Co Ltd 薬液吸収材容器
KR20130055951A (ko) * 2011-11-21 2013-05-29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30003573U (ko) * 2011-12-07 2013-06-17 김병기 실리콘 압력조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766Y1 (ko) * 2005-03-08 2005-05-17 주식회사 태평양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200472282Y1 (ko) *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75A (ja) * 1997-03-11 1998-09-22 Sekisui Chem Co Ltd 薬液吸収材容器
KR20130055951A (ko) * 2011-11-21 2013-05-29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30003573U (ko) * 2011-12-07 2013-06-17 김병기 실리콘 압력조리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11B1 (ko) 2016-05-13 2017-09-28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용기
KR102385039B1 (ko) * 2020-12-23 2022-04-08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2액 혼합용기 및 그 충전방법
KR20230001617U (ko) 2022-01-27 2023-08-03 김도형 롤 타입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5917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234B1 (ko) 롤 마스크팩 용기
KR102147751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포장 및 분배 장치
US3608782A (en) Device for holding two products separately and dispensing them simultaneously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43405Y1 (ko)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JP6728371B2 (ja) 2つの内容物用の包装吐出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充填組立体
KR101694148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이액 혼합 용기
CN106999350A (zh) 用于存储和混合分装的物质的设备和方法
KR20140045536A (ko) 투석을 위한 용기
US20160198833A1 (en) Device for preventing evaporation of cosmetic contents in cosmetic refill case
KR101409201B1 (ko) 고체 및 액상 화장품 원재료를 분리하여 동시에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캡슐
KR200475965Y1 (ko) 이액형 용액을 혼합을 위한 화장용기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0464818Y1 (ko)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JP2019510582A (ja) 美容マスク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容器システム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MXPA05011364A (es) Surtidor de muestra cosmetica de una sola dosis.
KR101831195B1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KR101857013B1 (ko)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조성물이 분리수용된 간편 화장품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70087062A (ko) 마스크 팩 포장용기
KR20180137173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673263B1 (ko)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KR100840386B1 (ko) 용기마개
KR101761482B1 (ko) 브러쉬가 내장된 리버스 퓨전 콤팩트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