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06B1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4306B1 KR101654306B1 KR1020160032736A KR20160032736A KR101654306B1 KR 101654306 B1 KR101654306 B1 KR 101654306B1 KR 1020160032736 A KR1020160032736 A KR 1020160032736A KR 20160032736 A KR20160032736 A KR 20160032736A KR 101654306 B1 KR101654306 B1 KR 101654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ometric data
- server
- terminal
- database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에 의한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에 의한 생체 데이터의 인증 과정에 대한 설명도.
B : 생체 데이터 취득기 T : 단말기
SV1 : 제 1 서버 SV2 : 제 2 서버
SV3 : 제 3 서버
DB(B) : 생체 데이터 취득기의 데이터베이스
DB(T) :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DB(SV1) :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DB(SV2) :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DB(SV3) : 제 3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Claims (26)
- 생체 데이터를 취득하는 생체 데이터 취득기;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서버; 및
제 2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인증 결과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와 더불어 OTP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인증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생체 데이터를 취득하는 생체 데이터 취득기;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의 데이터를 혼합하고, 혼합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에 의한 생체 데이터의 혼합은,
송신할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수신된 혼합된 생체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일부 데이터를 발췌하여, 발췌된 일부를 저장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혼합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는,
혼합된 형태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인증 시스템은,
제 2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2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인증 결과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서버 및 상기 제 2 서버에서의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생체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혼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혼합된 형태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생체 데이터를 취득하는 생체 데이터 취득기;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서버;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 2 서버; 및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 3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버는,
수신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일부는 상기 제 2 서버로 송신하고, 검증되지 않은 생체 데이터 중 상기 제 2 서버로 송신하지 않은 일부는 상기 제 3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그 결과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된 상기 제 3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된 경우, 그 결과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2 서버로부터의 검증 결과 및 상기 제 3 서버로부터의 검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의 데이터를 혼합하고, 혼합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에 의한 생체 데이터의 혼합은,
송신할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 상기 제 2 서버 및 제 3 서버에서의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생체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혼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및 제 3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혼합된 형태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인증 시스템.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 데이터를 취득하는 생체 데이터 취득기;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서버; 및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 2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의 데이터를 혼합하고, 혼합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에 의한 혼합은,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의 데이터를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N개의 분할된 영역의 데이터를 균등하게 포함하는 M개의 분할 코드를 생성하는 것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에 의한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은, 혼합 이전의 일정 구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M개의 분할 코드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M개의 분할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 코드를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은 적어도 일부의 분할 코드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서버는, 수신된 적어도 일부의 분할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 코드를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은 적어도 일부의 분할 코드를 상기 제 2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서버는, 수신된 적어도 일부의 분할 코드를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인증 과정에서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시킨 후, 새로이 취득된 생체 데이터의 일부 구간과 결합된 생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새로이 취득된 생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인증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코드와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새로이 취득된 생체 데이터를 상기 제 1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의 인증 과정에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2 서버로 상기 제 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코드를 요청하여 해당 분할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분할 코드,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할 코드 및 상기 제 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분할 코드를 재혼합하고, 재혼합된 생체 데이터와 상기 생체 데이터 취득기로부터 새로이 취득된 생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의 만족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736A KR101654306B1 (ko) | 2016-03-18 | 2016-03-18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736A KR101654306B1 (ko) | 2016-03-18 | 2016-03-18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4306B1 true KR101654306B1 (ko) | 2016-09-05 |
Family
ID=5693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7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4306B1 (ko) | 2016-03-18 | 2016-03-18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43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1084A (ko) * | 2017-10-12 | 2019-04-22 | 한국인터넷진흥원 | 모바일 기기 기반의 생체인식 정보 검증 방법 |
KR20200031490A (ko) * | 2018-09-14 | 2020-03-24 | 주식회사 키맥코리아 | 생체인식 보안 설정 및 해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생체인식 보안 디바이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0737A (ko) * | 2001-11-15 | 2003-05-23 | 배진호 | 지문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06293712A (ja) * | 2005-04-11 | 2006-10-26 | Glory Ltd |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
KR20090022425A (ko) * | 2007-08-30 | 2009-03-04 | 씨티아이에스(주) | 다중인증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514153B1 (ko) * | 2013-12-04 | 2015-04-21 |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 바이오 정보 분산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
-
2016
- 2016-03-18 KR KR1020160032736A patent/KR10165430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0737A (ko) * | 2001-11-15 | 2003-05-23 | 배진호 | 지문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06293712A (ja) * | 2005-04-11 | 2006-10-26 | Glory Ltd |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
KR20090022425A (ko) * | 2007-08-30 | 2009-03-04 | 씨티아이에스(주) | 다중인증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514153B1 (ko) * | 2013-12-04 | 2015-04-21 |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 바이오 정보 분산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1084A (ko) * | 2017-10-12 | 2019-04-22 | 한국인터넷진흥원 | 모바일 기기 기반의 생체인식 정보 검증 방법 |
KR101986244B1 (ko) * | 2017-10-12 | 2019-06-05 | 한국인터넷진흥원 | 모바일 기기 기반의 생체인식 정보 검증 방법 |
KR20200031490A (ko) * | 2018-09-14 | 2020-03-24 | 주식회사 키맥코리아 | 생체인식 보안 설정 및 해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생체인식 보안 디바이스 |
KR102169770B1 (ko) * | 2018-09-14 | 2020-10-26 | 주식회사 아이트 | 생체인식 보안 설정 및 해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생체인식 보안 디바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583184B (zh) | 身份验证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 |
KR102193644B1 (ko) | 설비 검증 방법 및 장치 | |
KR101883156B1 (ko) | 인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인증 서버 및 서비스 서버 | |
US1105737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provide a web service | |
US8509493B2 (en) |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 |
US20210035075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Multi-User Interactions on a Device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 |
CN106992956A (zh) | 一种实现设备间认证的方法、装置和系统 | |
CN104820814A (zh) | 第二代身份证防伪验证系统 | |
CN110611647A (zh) | 一种区块链系统上的节点加入方法和装置 | |
CN102456102A (zh) | 用Usb key技术对信息系统特殊操作进行身份再认证的方法 | |
KR101654306B1 (ko)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분산형 등록 및 인증 시스템 | |
JP2017102842A (ja) | 本人認証システム、本人認証用情報出力システム、認証サーバー、本人認証方法、本人認証用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9344593B (zh) | 生物信息验证方法以及验证服务器、录入和验证客户端 | |
CN108965335B (zh) | 防止恶意访问登录接口的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介质 | |
CN115086090A (zh) | 基于UKey的网络登录认证方法及装置 | |
US11321437B2 (en) | Method for enabling a biometric template | |
CN114510701A (zh) | 单点登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EP3217593A1 (en) | Two-factor authentic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transaction point or system | |
KR20030052194A (ko) |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 및 사용자 인증방법 | |
CN113935008B (zh) | 用户认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20170142983A (ko) | 생체정보를 이용한 지정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2356836B1 (ko) | 보안성이 향상된 사용자 인증 방법 | |
US2020038249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biometric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 |
CN102457484A (zh) | 用户名密码认证加校验码两者集合来验证用户信息的方法 | |
CN112714111A (zh) | 大数据系统中对用户身份进行多模式认证的方法、装置及相关产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