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3908B1 -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908B1
KR101653908B1 KR1020150026359A KR20150026359A KR101653908B1 KR 101653908 B1 KR101653908 B1 KR 101653908B1 KR 1020150026359 A KR1020150026359 A KR 1020150026359A KR 20150026359 A KR20150026359 A KR 20150026359A KR 101653908 B1 KR101653908 B1 KR 10165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olarization
light
beam splitter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욱
노태규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908B1/ko
Priority to US14/680,012 priority patent/US958151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9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 G01L11/02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optical means
    • G01L11/025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optical means using a pressure-sensitive optical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08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 G02B6/020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grating profile, e.g. chirped, apodised, tilted, hel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171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 G02B6/021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85Characterised by the polarisation mode dispersion [PMD] properties, e.g. for minimising P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polarisation maintain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interferome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는,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 빔 분배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 상기 편광 빔 분배기에서 출사되는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통과하는 편광 조절기, 편광 유지 광섬유(PMF)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를 내측에 수용하는 압력 챔버, 및 상기 편광 조절기를 통과한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편광 빔 분배기로 출사되어 입력되는 광 스펙트럼 분석기(optical spectrum analyzer; OSA)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 빔 분배기, 상기 편광 조절기,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의 일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일측은 각각 광섬유와 융착 접속되고,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의 타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타측은 서로 융착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는 단일 모드 광섬유, 다중 모드 계단형 광섬유, 다중 모드 언덕형 광섬유 및 대구경 다중 모드 광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OPTICAL FIBER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섬유 압력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 인가 시 출력 간섭 스펙트럼의 파장변화를 통해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 압력 센서에 대한 것이다.
오늘 날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많은 센서가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새로운 센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압력 측정 센서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된다. 광섬유를 이용해 상기와 같은 센서를 구현한다면, 전자식 센서에 비해 더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전자기 간섭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부식에 강하고, 일반적인 전선보다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장점을 살리기 위해 편광 유지 광섬유(Polarization-maintaing fiber; PMF)를 이용한다. PMF는 광섬유 코어에 큰 복굴절(birefringence)을 유도함으로써 편광된 입사광의 편광을 광섬유 출력단까지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광섬유이다. 광섬유 코어(core)에 복굴절을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클래딩(cladding)의 일부분에 팽창율이 다른 스트레스 로드(stress rod)를 삽입하여 코어에 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과 코어의 모양을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PMF의 종류에는 팬더형(panda type), 보우타이형(bow-tie type), 타원클래드형(elliptical clad type) PMF가 있다. 이와 같은 PMF 주변의 온도를 변화시키면, PMF의 물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PMF의 물성이 변하는 특징을 이용하면 PMF에 인가되는 다양한 물리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편광 유지 광자 결정 광섬유(polarization-maintaining photonic crystal fiber; PM-PCF)계 기반의 사냑(sagnac) 복굴절 간섭계(interfeometer)는 구조가 간단하고 외부 물리량 변화에 대한 물성 변화민감도가 높으며 입력 편광에 의존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외부 온도 변화에 둔감하기 때문에 센서부나 센서 복조용 필터(demodulation filter)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광섬유 압력 센서의 센서부로 쓰이는 PM-PCF의 경우 PMF에 비해 10배 이상 고가이고, 민감도는 절반이하라는 약점을 갖는다. 또한 광섬유의 구조가 주기적인 공기구멍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인 광섬유와의 융착 접속(fusion splicing)이 어려워 융착 접속 손실이 커지게 되고, 증가된 접속 손실은 센서의 정확보들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Appl. Optics. vol.47, pp2835-2839, 2008)에서는 58.4cm 길이의 PM-PCF(polarization-maintaining photonic crystal fiber)로 구성된 사냑 복굴절 간섭계 구조의 광섬유 압력 센서가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 측정 범위는 0-0.3MPa까지였으며, 측정된 압력 민감도는 약 3.42nm/MPa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MF를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Polarization-diversity-loop-based Sagnac interferometer)의 형태로 연결하여 센서부에 압력이 인가될 경우, PMF의 복굴절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출력 스펙트럼의 변화를 통해 압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는,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 빔 분배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 상기 편광 빔 분배기에서 출사되는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통과하는 편광 조절기, 편광 유지 광섬유(PMF)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를 내측에 수용하는 압력 챔버, 및 상기 편광 조절기를 통과한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편광 빔 분배기로 출사되어 입력되는 광 스펙트럼 분석기(optical spectrum analyzer; OSA)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 빔 분배기, 상기 편광 조절기,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의 일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일측은 각각 광섬유와 융착 접속되고,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의 타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타측은 서로 융착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는 단일 모드 광섬유, 다중 모드 계단형 광섬유, 다중 모드 언덕형 광섬유 및 대구경 다중 모드 광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 챔버는 가스 조절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대역 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 대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대역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태양광, 형광등, 배열등 및 레이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는, 보우 타이형, 팬더형, 타원 클래딩 편광 유지 광섬유 또는 편광 유지 광자결정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 챔버로 공급되는 가스는 수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염소, 헬륨 ,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및 라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 방법은,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편광 빔 분배기를 통과하는 단계, 상기 편광 빔 분배기를 통과한 빛이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편광 조절기를 통과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상기 편광 빔 분배기를 통과하여 결합되어 출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압력 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광의 파장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 챔버의 압력변화는 편광 유지 광섬유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챔버의 온도 변화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에 의해서 상기 광섬유 압력 센서의 압력 측정 오차를 보상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는 PMF를 센서부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광섬유 압력 센서에 비하여 약 4배 이상 향상된 민감도를 가지며, 온도 변화에는 스펙트럼 특성이 변하나 압력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FBG를 센서부의 옆에 위치시켜 사용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챔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출력 투과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의 센서 표지자로 사용된 골의 파장 이동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 상이 고리기반 사냑 간섭계(11)의 입력원과 출력원으로 각각 광대역 광원(1)과 OSA(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1)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 대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파를 포함하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일 수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태양광(solar source), 형광등, 백열등 및 레이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압력센서에 사용되는 광대역 광원은 광(전자파)을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광원이 원칙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이 발생되는 원리는 발광성 소재에 전계를 가해서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형광체에 자외선, 청색, 녹색 등의 빛을 가하여 보다 긴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 형광 (photoluminescence), 고에너지 전자를 충돌시켜 빛을 내는 냉광 (cathodeluminescence),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것(electron-hole recombination) 등이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1)에서 출력되는 광은 특정한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PBS(2)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PBS(2)는 입사광을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으로 분할하여 출사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편광은 편광 빔 분배기(2)의 수직 편광 출력 단자(2d)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편광 출력단자(2d)는 입사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며,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수평 편광 출력 단자(2c)에서 출사되는 빛의 편광은 입사광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편광과 수직 편광은 상호 간에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의 빛은 편광 조절기(3, 3a)를 통과하고, 나서 결합될 때도 상기 PBS(2)에서 분리된 형식으로 편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해된 두 개의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의 빛은 각각 도 1의 편광조절기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PBS(2)와 편광 조절기(3, 3a)는 압력 챔버(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챔버(7)는 PMF(5)와 FBG(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F(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에서 센서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코어의 한쪽 방향으로 스트레스를 가하거나 코어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하면 광섬유는 복굴절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복굴절을 가지는 광섬유를 PMF라고 한다. 또한 일반 광섬유에서도 제작 과정에서 광섬유의 코어가 완전히 원형이 되지 않으며, 불균일한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에 미약하지만, 복굴절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PMF(5)로는 스트레스 유도 요소(stress-induced element)의 포함 여부에 따라 편광 유지 광모드 영역 광섬유(polarization-maintaining large-mode area), PM-PC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광자 결정 광섬유(photonic crystal fiber; PCF)에서 복굴절을 유도시키기 위해 코어 주변으로 배열된 공기 구멍의 구조에 따라 주변과 다른 크기의 공기 구멍이 2개 이상 존재하는 PCF, 주변과 다른 크기의 공기 구멍 지름이 0.1~50μm인 PCF, 주변과 다른 크기의 공기 구멍들 간 간격이 0~20μm인 PC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압력 센서는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한 압력 측정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센서부인 PMF(5) 주변에 FBG(6)를 설치할 수 있으며, 센서부(5) 주변의 온도가 변화될 경우 PMF의 복굴절로 생성되는 출력 투과 스펙트럼과 FBG의 첨두 모양 반사 스펙트럼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함께 분석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출력 투과 스펙트럼의 이동량을 보상할 수 있다.
각 광학 요소들을 연결하는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 4)는 빛을 단일모드로 도파시킬 수 있는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 를 갖는 광섬유를 의미한다. 상기 광섬유는 PMF(5), PBS(2), 편광 조절기(3, 3a)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4)의 구조에 따라 단일모드 광섬유 (single-mode graded-index fiber), 대구경 다중모드 광섬유 (high numerical aperture multi-mode 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광섬유의 재질에 따라 실리카 (silica) 계 광섬유, 불소(fluorine) 계 광섬유, 희토류(rare-earth material) 계 광섬유, 폴리머(polymer) 계 광섬유, 연유리 광섬유 (flint glass 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의 제작 방법에 따라 PCF, 다중코어 광섬유 (multi-core fiber), 비틀린 광섬유(twisted fiber), 식각된 광섬유(etched fiber), 연마된 광섬유(tapered fiber), 렌즈형 광섬유(lensed fiber), 금속 코팅된 광섬유(metal-coated 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광섬유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PMF, 비선형 광섬유(nonlinear fiber), 분산 천이 광섬유(dispersion-shifted fiber), 분산 보상 광섬유(dispersion compensation fiber), 비영분산 분산 천이 광섬유 (non-zero dispersion-shifted 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편광 출력단자(2c)로 출력된 수평 편광의 빛은 편광 조절기로 입사될 수 있다. 편광 조절기는 1/2 파장판(3) 및 1/4 파장판(3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편광 조절기의 조합이외에도 편광 조절기는 벌크형(bulk type) 또는 광섬유형(optical fiber type)으로 마련되어, 1/2 파장판(3) 또는 1/4 파장판(3a) 또는 1/2 파장판(3) 및 1/4 파장판(3a)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 조절기는 벌크형(bulk-type) 복굴절 요소를 사용하는 벌크형 편광 조절기와 광섬유의 스트레스 유도(stress-induced) 복굴절을 이용하는 광섬유형 편광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조절기(3, 3a)는 PMF(5) 또는 PBS(2)와 광섬유(4)로 연결되며, PBS(2)를 통해 분해된 두 개의 수직 편광, 수평 편광의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OSA(12)는 상기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OSA(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를 통과한 광 신호들의 강도와 파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챔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 챔버(7)에서 센서부인 PMF(5)와 온도 보상용으로 사용되는 FBG(6)는 피복(jacket)을 제거한 상태로 단일모드 광섬유(4)와 융착 접속(8)되어 있으며, PMF(5)와 FBG(6)도 서로 융착 접속(8)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4)와 PMF(5) 또는 FBG(6)는 광섬유 패치 코드(patchcord) 또는 기계적 스플라이서(mechanical splicer) 중 적어도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챔버(7)는 압력 챔버의 가스 주입 구멍(7a)와 가스 배출 구멍(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 구멍(7a)은 가스 조절기(Mass flow controller; MFC, 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MFC(10)는 주입 가스(9)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입 가스(9)로는 수소(H2), 질소(N2), 산소(O2), 플루오린(F), 염소(Cl2),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제논(Xe), 및 라돈(R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은 광대역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PBS(2)를 통과하는 단계(S10)와, 상기 PBS(2)를 통과한 빛이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으로 분리되는 단계(S20)와,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편광 조절기(3, 3a)를 통과하는 단계(S30) 및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상기 PBS(2)를 통과하여 결합되어 출사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BS(2)와 편광 조절기(3, 3a)는 압력 챔버(7)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챔버(7)는 PMF(5)와 FBG(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측정방법은 상기 압력 챔버(7)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광의 파장이 변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출력 투과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출력 투과 스펙트럼은 1530 nm에서 1610 nm까지의 범위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주기적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빗살(comb) 무늬 형태의 스펙트럼은 PMF에 의한 출력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협대역의 첨두 모양을 띄는 스펙트럼은 FBG에 의한 특정 공진 파장에서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력 챔버(7) 내부에 고정된 PMF(5)와 FBG(6)에 압력을 인가하면, PMF(5)의 물성 중 복굴절이 변화되어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에서 출력되는 출력 투과 스펙트럼에 파장 천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에서 파장 천이가 발생하더라도 FBG(6)에서 반사되는 특정 공진 파장의 첨두 모양 스펙트럼은 FBG(6)에 압력이 인가되더라도 파장 천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FBG(6)에서 반사되는 첨두 모양 스펙트럼은 주변 온도 변화에 의하여서만 파장 변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에서 온도 보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섬유 압력 센서의 출력 스펙트럼에서 발생하는 파장 변화를 OSA(12)를 통해 관측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편광 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11)에서 측정된 파장 결과를 고찰하면, 압력 측정 범위(0-0.3MPa)에서 압력이 증가할수록 출력 스펙트럼의 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가 압력이 0MPa 에서 0.3MPa로 증가되는 동안 출력 투과 스펙트럼은 ~4.5 nm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압력 센서의 센서 표지자(indicator)로 사용된 골의 파장 이동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이 0MPa 일 때, 센서 표지자 (indicator) 로 선택된 스펙트럼 골(dip)의 파장(~1578.66 nm)을 참조점(reference point)으로 정할 경우, 챔버 내부 압력이 변화될 때 센서 표지자의 변화되는 파장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인가 압력이 증가할수록 출력 투과 스펙트럼 골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고, 인가 압력에 대한 센서 표지자의 파장 변화는 매우 선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광대역 광원, 2: 편광 빔 분배기
2a: 편광 빔 분배기의 입력단자 2b: 편광 빔 분배기의 출력단자
2c: 편광 빔 분배기의 수평 편광 출력단자
2d: 편광 빔 분배기의 수직 편광 출력단자
3: 1/2 파장판 3a: 1/4 파장판
4: 단일 모드 광섬유 5: 편광 유지 광섬유
6: 광섬유 브래그 격자 7: 압력 챔버
7a: 압력 챔버의 가스 주입 구멍 7b: 압력 챔버의 가스 배출 구멍
8: 광섬유 융착 접속 지점 9: 주입 가스
10: 가스 조절기
11: 편광 상이 고리기반 사냑 간섭계
12: 광 스펙트럼 분석기

Claims (10)

  1. 광대역 광원(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 빔 분배기(2);
    상기 편광 빔 분배기(2)에서 출사되는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통과하는 편광 조절기(3; 3a);
    편광 유지 광섬유(5)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6)를 내측에 수용하는 압력 챔버(7); 및
    상기 편광 조절기(3; 3a)를 통과한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을 갖는 빛이 편광 빔 분배기(2)로 출사되어 입력되는 광 스펙트럼 분석기(12)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 빔 분배기(2), 상기 편광 조절기(3; 3a),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5)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6)는 광섬유(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5)의 일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6)의 일측은 각각 광섬유(4)와 융착 접속되고,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5)의 타측과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6)의 타측은 서로 융착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4)는 단일 모드 광섬유, 다중 모드 계단형 광섬유, 다중 모드 언덕형 광섬유 및 대구경 다중 모드 광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7)는 가스 조절기(1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1)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 대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파를 포함하는 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1)은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태양광, 형광등, 배열등 및 레이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유지 광섬유(5)는,
    보우 타이형, 팬더형, 타원 클래딩 편광 유지 광섬유 또는
    편광 유지 광자결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 유 압력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7)로 공급되는 가스는 수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염소, 헬륨 ,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및 라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
  7. 삭제
  8. 제1항에 따른 광섬유 압력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편광 빔 분배기(2)를 통과하는 단계(S10);
    상기 편광 빔 분배기(2)를 통과한 빛이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으로 분리되는 단계(S20);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편광 조절기(3; 3a)를 통과하는 단계(S30); 및
    상기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이 상기 편광 빔 분배기(2)를 통과하여 결합되어 출사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압력 챔버(7)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광의 파장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7)의 압력변화는 편광 유지 광섬유(5)에 의해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7)의 온도 변화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6)에 의해서 상기 광섬유 압력 센서의 압력 측정 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KR1020150026359A 2015-02-25 2015-02-25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5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59A KR101653908B1 (ko) 2015-02-25 2015-02-25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US14/680,012 US9581515B2 (en) 2015-02-25 2015-04-06 Optical fiber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59A KR101653908B1 (ko) 2015-02-25 2015-02-25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908B1 true KR101653908B1 (ko) 2016-09-02

Family

ID=5668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3908B1 (ko) 2015-02-25 2015-02-25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1515B2 (ko)
KR (1) KR10165390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069A (ko) * 2017-05-31 2018-12-10 한국광기술원 압력센서
CN111356897A (zh) * 2020-02-24 2020-06-30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半导体芯片表面形貌计量的系统和方法
KR20200112357A (ko) * 2019-03-22 2020-10-05 광주과학기술원 이종의 복굴절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민감도가 상쇄된 사냑 간섭계
KR20210108459A (ko) * 2018-12-29 2021-09-02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퀵 체인지 커넥터
US11243067B2 (en) 2020-02-24 2022-02-08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KR20220114314A (ko) 2021-02-08 2022-08-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 분포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연속 분포 외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1454491B2 (en) 2020-02-24 2022-09-27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having light source with extended spectrum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CN115420709A (zh) * 2022-07-21 2022-12-02 华南师范大学 一种基于非对称结构的镉离子光纤传感器
US11562919B2 (en) 2020-02-24 2023-01-24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0382A4 (en) * 2015-07-10 2019-0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BER WITH BRAGG GRILLE AND THIN-LAYER COATING AND CONNECTOR
CN107101951B (zh) * 2017-05-07 2019-05-10 东北大学 一种用于氢气浓度和温度同时测量的光纤传感器
CN108195468B (zh) * 2017-12-22 2020-09-01 苏州玻色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光子晶体分光原理的微型光谱仪
CN108562386B (zh) * 2018-04-20 2020-09-11 中国矿业大学 一种温度补偿的光子晶体光纤横向应力传感器
CN108717042B (zh) * 2018-05-28 2020-08-21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全保偏反射式氢气浓度检测装置
CN109682512B (zh) * 2018-12-27 2024-08-06 中天科技光纤有限公司 一种保偏光纤压力传感器及其测试方法
US11387912B2 (en) * 2020-11-19 2022-07-12 Fujitsu Limited Wavelength converter and fiber optic transmission system
CN112924082B (zh) * 2021-01-25 2021-09-28 广东海洋大学 一种基于悬浮芯光纤和边孔光纤的高灵敏度气压传感器
CN114152591B (zh) * 2021-12-03 2024-02-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四研究所 级联光纤光栅传感阵列的位置及波长解调系统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453B1 (ko) * 1995-05-02 1999-06-15 가나이 쓰도무 광 압력 검출 방법 및 광 압력 검출 장치
KR20130007691A (ko) * 2011-06-27 2013-01-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다파장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스펙트럼 파장 제어 방법
KR20140102513A (ko) * 2013-02-14 2014-08-22 (주)에프비지코리아 온도 보상 구조를 갖는 광섬유 변위센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726A (en) * 1995-09-05 1996-10-01 Yao; X. Stev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olarization sensitive devices
GB2427910B (en) * 2005-07-02 2008-03-12 Sensor Highway Ltd Fiber optic temperature and pressure sensor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N101730838A (zh) * 2007-07-09 2010-06-09 Abb研究有限公司 压力传感器
KR101321557B1 (ko) * 2012-03-05 2013-10-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수소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수소 농도 측정 방법
EP2856098B1 (en) * 2012-05-25 2019-10-16 Vascular Imaging Corporation Optical fiber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453B1 (ko) * 1995-05-02 1999-06-15 가나이 쓰도무 광 압력 검출 방법 및 광 압력 검출 장치
KR20130007691A (ko) * 2011-06-27 2013-01-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다파장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스펙트럼 파장 제어 방법
KR20140102513A (ko) * 2013-02-14 2014-08-22 (주)에프비지코리아 온도 보상 구조를 갖는 광섬유 변위센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12B1 (ko) * 2017-05-31 2019-04-05 한국광기술원 압력센서
KR20180131069A (ko) * 2017-05-31 2018-12-10 한국광기술원 압력센서
KR20210108459A (ko) * 2018-12-29 2021-09-02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퀵 체인지 커넥터
KR102709105B1 (ko) * 2018-12-29 2024-09-23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퀵 체인지 커넥터
KR20200112357A (ko) * 2019-03-22 2020-10-05 광주과학기술원 이종의 복굴절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민감도가 상쇄된 사냑 간섭계
KR102191682B1 (ko) * 2019-03-22 2020-12-16 광주과학기술원 이종의 복굴절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민감도가 상쇄된 사냑 간섭계
TWI730713B (zh) * 2020-02-24 2021-06-11 大陸商長江存儲科技有限責任公司 用於半導體晶片表面形貌計量的系統和方法
US11243067B2 (en) 2020-02-24 2022-02-08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US11448499B2 (en) 2020-02-24 2022-09-20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US11454491B2 (en) 2020-02-24 2022-09-27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having light source with extended spectrum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US11562919B2 (en) 2020-02-24 2023-01-24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US11796307B2 (en) 2020-02-24 2023-10-24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hip surface topography metrology
CN111356897A (zh) * 2020-02-24 2020-06-30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半导体芯片表面形貌计量的系统和方法
KR20220114314A (ko) 2021-02-08 2022-08-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 분포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연속 분포 외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5420709A (zh) * 2022-07-21 2022-12-02 华南师范大学 一种基于非对称结构的镉离子光纤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81515B2 (en) 2017-02-28
US20160245713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908B1 (ko) 광섬유 압력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방법
KR101612258B1 (ko) 광섬유 진동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진동 측정방법
US11346770B2 (en) Optical fiber sensor for salinity and temperature measurement
Zu et al. A temperature-insensitive twist sensor by using low-birefringence photonic-crystal-fiber-based Sagnac interferometer
Gong et al. An optical fiber curvature sensor based on two peanut-shape structures modal interferometer
Hong et al. Highly Birefringent Anti‐Resonant Hollow‐Core Fiber with a Bi‐Thickness Fourfold Semi‐Tube Structure
Dong et al. Refractive index and temperature sensor based on D-shaped fiber combined with a fiber Bragg grating
JP4568817B2 (ja) 光センサ、感知するための方法、光学装置、回転を感知するための方法、光学システム、および干渉計
Shi et al. Torsion sensing with a fiber ring laser incorporating a pair of rotary long-period fiber gratings
Slavík et al. High-performance all-fiber Fabry-Perot filters with superimposed chirped Bragg gratings
Dong et al. An optical liquid-level sensor based on D-shape fiber modal interferometer
Lu et al. Asymmetrical fiber Mach–Zehnder interferometer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axial strain and temperature
Wang et al. An inline fiber curvature sensor based on anti-resonant reflecting guidance in silica tube
Gong et al. Strain sensor realized by using low-birefringence photonic-crystal-fiber-based Sagnac loop
Dong et al. Temperature-independent fiber bending sensor based on a superimposed grating
KR101704731B1 (ko) 광자 결정 광섬유를 이용한 광전류센서 및 그의 제작방법
Zhang et al. Multi-function sensor based on rectangular-lattice photonic crystal fiber with high pressure sensitivity
Zuo et al. Double phase matching in MZI with antiresonant effect for optical fiber sensor application
KR101916940B1 (ko) 광섬유 전류 센서 시스템
Xu et al. Reflective liquid level sensor based on parallel connection of cascaded FBG and SNCS structure
Yin et al. Dual-wavelength erbium-doped fiber laser with tunable wavelength spacing using a twin core fiber-based filter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distributed Brillouin sensors based on elliptical-core two-mode fiber
Yin et al. Tunable fiber laser by cascading twin core fiber-based directional couplers
Kim et al. Distributed analysis on the spatial mode structure in a PANDA-type few-mode Fiber by Brillouin dynamic gratings
Fu et al. A refractive index sensor based on the tapering the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3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