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52B1 - Electronic parts click mechanism and rheostat - Google Patents
Electronic parts click mechanism and rheost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3352B1 KR101653352B1 KR1020117004146A KR20117004146A KR101653352B1 KR 101653352 B1 KR101653352 B1 KR 101653352B1 KR 1020117004146 A KR1020117004146 A KR 1020117004146A KR 20117004146 A KR20117004146 A KR 20117004146A KR 101653352 B1 KR101653352 B1 KR 101653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ck
- stopper
- pressing
- click spring
-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4—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auxiliary driv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46—Arrangements of fixed resistors with intervening connectors, e.g. ta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클릭 스프링의 반력을 강하게 하여, 높은 토크감, 높은 클릭감을 실현하고, 클릭음을 명료하게 한다. 클릭 스프링(5)의 환형상부(5a)로부터 연장되는 연신부(5e)를 스토퍼(4)의 누름부(4f)에 걸어맞춘다. 클릭판(13)의 압압부(5c)로의 압압에 의해 클릭 스프링(5)은 스토퍼(4)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운동하고자 하고 있지만, 누름부(4f)는 연신부(5e)를 누름으로써 그 경사운동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클릭 스프링의 반력을 강하게 하여, 높은 토크감, 높은 클릭감을 실현하고, 클릭음을 명료하게 할 수 있다.By increas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click spring, a high torque feeling and a high click feeling are realized, and the click sound is clarified. The extending portion 5e extending from the annular portion 5a of the click spring 5 is engaged with the pressing portion 4f of the stopper 4. [ The click spring 5 tends to tilt with the stopper 4 as a fulcrum due to the pressing of the click plate 13 to the pressing portion 5c. However, the pressing portion 4f pushes the extending portion 5e, Suppresses tilting motion. Thereby, the reaction force of the click spring is strengthened, a high torque feeling and a high click feeling are realized, and a click sound can be clarif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클릭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를 개폐하고,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가변 저항기의 클릭 기구에 강한 토크감, 강한 클릭감을 부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ck mechanism of an electronic par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imparting a strong torque feeling and strong click feeling to a click mechanism of a variable resistor which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by opening and closing the switch by rotating the rotary shaft.
무선기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가변 저항기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에 반해, 그 가변 저항기에 사용되는 조작 손잡이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형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변 저항기에는 오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높은 슬라이딩운동 토크와, 조작 감촉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높은 스텝 토크가 요구되고 있다.A variable resistor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ireless device is required to be miniaturized, while an operation knob used in the variable resistor has been enlarged to improve operability. For this reason, the variable resistor is required to have a high sliding torque and a high step torque in order to clarify the feeling of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erroneous rotation.
종래, 클릭판과 슬라이딩운동함으로써, 토크감 및 클릭감을 내는 클릭 스프링(P1)과,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클릭 스프링(P1)을 회전시키는 스토퍼(P2)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 click spring P1 for imparting a torque feeling and a click feeling by sliding motion with a click plate and a stopper P2 for rotating the click spring P1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are combined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즉, 스토퍼(P2)의 돌기부(P2a)를 클릭 스프링(P1)의 관통구멍(P1a)에 삽입하고, 열 코킹 등에 의해 돌기부(P2a)의 선단부를 소성변형함으로써, 클릭 스프링(P1)과 스토퍼(P2)를 결합하고 있었다.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P2a of the stopper P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1a of the click spring P1, and the tip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P2a is plastically deformed by thermal caulking or the like, P2).
그러나, 돌기부(P2a)의 선단부의 소성변형만으로는 클릭 스프링(P1)과 스토퍼(P2)의 결합력은 약하여, 클릭 스프링(P1)의 반력을 강하게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높은 슬라이딩운동 토크, 높은 스텝 토크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However, only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P2a weake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lick spring P1 and the stopper P2, so that the reaction force of the click spring P1 can not be strengthen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high sliding motion torque and a high step torqu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클릭 스프링의 환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신부를 스토퍼의 누름부에 걸어맞춘다. 클릭판의 압압부로의 압압에 의해 클릭 스프링은 스토퍼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운동하고자 하고 있지만, 누름부는 연신부를 누름으로써 그 경사운동을 억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tretch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annular upper portion of the click spring is engaged with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topper. The click spring tilts about the stopper as a fulcrum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lick plate, but the pushing portion suppresses the tilting motion by pressing the stretching portion.
클릭 스프링의 반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종래보다 높은 슬라이딩운동 토크, 높은 스텝 토크를 실현할 수 있다.The reaction force of the click spring can be strengthened, and a sliding motion torque and a high step torque can be realized which are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도 1은 가변 저항기의 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가변 저항기의 예의 사시도.
도 3은 가변 저항기의 예의 단면도.
도 4A는 클릭 스프링의 예의 평면도. 도 4B는 그 정면도. 도 4C는 그 저면도.
도 5A는 스토퍼의 예의 평면도. 도 5B는 그 정면도. 도 5C는 그 저면도. 도 5D는 그 좌측면도.
도 6A는 스토퍼와 클릭 스프링을 조합시킨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그 단면도.
도 7A는 스토퍼와 클릭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그 단면도.
도 8A는 스토퍼와 클릭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그 단면도.
도 9A는 스토퍼와 클릭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그 단면도.
도 10A는 종래의 스토퍼와 클릭 스프링을 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4A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click spring; 4B is a front view thereof; 4C is a bottom view thereof.
5A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stopper. 5B is a front view thereof; 5C is a bottom view thereof. 5D is a left side view thereof.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stopper and a click spring are combined; 6B is a sectional view thereof.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of a stopper and a click spring; 7B is a sectional view thereof.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of a stopper and a click spring; 8B is a sectional view thereof.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of a stopper and a click sprin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topper and a click spring are combined. 10B is a sectional view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가변 저항기의 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에 가변 저항기의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에 가변 저항기의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resistor.
가변 저항기는 클릭 기구(A)(도 3)와 가변 저항기 유닛(B)을 구성 요소로 하고, 이들 사이에 걸쳐 삽입통과되어 부착되는 회전축(1)에 의해 장착된다.The variable resistor is constituted by a click mechanism (A) (Fig. 3) and a variable resistor unit (B), and is mounted by a rotary shaft (1) inserted and inserted therebetween.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2)은 중앙에 관통구멍(2a)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구멍(2a)에는 회전축(1)이 삽입된다. 베어링(2)은 대략 직육면체의 대부(2b) 및 원통부(2c)로 이루어진다. 대부(2b)는 하우징(9)의 돌기부(9b) 및 리벳(12)을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2d), 클릭판부(6)의 구멍(6e), 토크판부(7)의 구멍(7c)에 삽입되는 돌기부(2e)를 가진다. 원통부(2c)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를 고정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된 암나사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가변 저항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bearing 2 made of resin or metal has a through
회전축(1)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3개의 원기둥형상체로 구성되고,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직경이 가장 작은 원기둥형상체인 좁은 직경부(1a)는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일부가 잘려져 있다. 이 예에서는, 서로 180도를 이루는 위치에 서로 평행한 면이 설치되어 있다. 직경이 다음으로 작은 원기둥형상체인 슬라이딩운동부(1b)는 회전축(1)이 베어링(2)에 삽입된 후에, 회전축(1)의 회전에 의해 관통구멍(2a)의 주면과 슬라이딩운동한다. 슬라이딩운동부(1b)의 좁은 직경부(1a)에 가까운 위치에는 오목부(1d)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d)에는 회전축(1)이 베어링(2)에 삽입된 후에, 원환형상의 부품, 예를 들어 금속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C링(3)이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은 베어링(2)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직경이 가장 큰 원기둥형상체인 손잡이부(1c)는 좁은 직경부(1a)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일부가 잘려 있다. 이 예에서는, 서로 180도를 이루는 위치에 서로 평행한 면이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1c)에는 가변 저항기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된다.The rotating
클릭 스프링(5)의 평면도를 도 4A에 나타내고, 정면도를 도 4B에 나타내며, 저면도를 도 4C에 나타낸다. 클릭 스프링(5)은 압압부(5c)와 관통구멍(5d)을 구비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환형상부(5a)와, 환형상부(5a)로부터 연신하고 있는 연신부(5e)를 구비한다. 환형상부(5a)는 선(L1)에 있어서 구부러져 있고, 선(L2)에 있어서 선(L1)에 있어서의 구부러짐과는 반대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선(L2)보다 앞부분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가 압압부(5c)를 구성한다. 환형상부(5a)에는 내경이 작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광폭부(5b)가 있다. 그 광폭부(5b)에 2개의 관통구멍(5d)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관통구멍(5d)은 연신부(5e)와 압압부(5c)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선대칭으로 관통구멍(5d)을 설치함으로써, 밸런스가 좋아져, 가변 저항기로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 예에서는, 연신부(5e)는 환형상부(5a)로부터 크랭크형상으로 접어구부러져 성형되어 있다.A plan view of the
스토퍼(4)의 평면도를 도 5A에 나타내고, 정면도를 도 5B에 나타내며, 저면도를 도 5C에 나타내고, 좌측면도를 도 5D에 나타낸다. 스토퍼(4)는 예를 들어 금속 다이 캐스트나 금속 기계 절삭법으로 성형된다. 원판형상의 기체(4a)의 중앙에 축부(4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축부(4b)의 중앙에는 회전축(1)의 좁은 직경부(1a)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4b)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원호형상의 부재인 연동부(4i)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4a)의 일방의 판면상이며 축부(4b)의 둘레에 원호형상의 위치 결정부(4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기체(4a)의 그 일방의 판면상에는 클릭 스프링(5)의 2개의 관통구멍(5d)에 대응하는 2개의 돌기부(4g)가 설치되어 있다. 원주형상의 돌기부(4g)의 직경은 관통구멍(5d)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기체(4a)에는 그 일방의 판면으로부터 타방의 판면으로 빠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4e)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개구(4e)에 인접하여 개구(4e)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누름부(4f)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 top view of the
클릭 스프링(5)과 스토퍼(4)가 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6A에 나타내고, 단면도를 도 6B에 나타낸다. 스토퍼(4)의 2개의 돌기부(4g)는 각각 클릭 스프링(5)의 관통구멍(5d)에 삽입되고, 클릭 스프링(5)의 연신부(5e)는 스토퍼(4)의 개구(4e)에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4)와 클릭 스프링(5)이 조합된다. 원호형상의 위치 결정부(4d)의 양단부(4h)가 각각 클릭 스프링(5)의 광폭부(5b)에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다. 클릭 스프링(5)의 환형상부(5a)의 관통구멍(5d)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스토퍼(4)의 기체(4a)와 접촉한다. 클릭 스프링(5)의 환형상부(5a)의 압압부(5c)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스토퍼(4)와는 접촉하지 않고, 압압부(5c)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기체(4a)의 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클릭 스프링(5)과 스토퍼(4)가 조합된 상태로, 회전축(1)의 좁은 직경부(1a)가 관통구멍(4c)에 삽입된다.The
클릭판부(6)(도 1)는 중앙부에 클릭 스프링(5)보다 약간 큰 개구(6a)를 가진다. 클릭판부(6)에는 개구(6a)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6b)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b)에는 구멍(6c)이 설치되어 있다. 클릭판부(6)는 네 모서리에 고정용의 구멍(6d)을 가지고, 부착용의 2개의 구멍(6e)을 연결접속하는 긴 구멍(6f)을 가진다.The click plate portion 6 (Fig. 1) has an opening 6a slightly larger than the
토크판부(7)는 중앙부에 스토퍼(4)의 축부(4b)보다 약간 큰 개구(7a)를 가진다. 또, 토크판부(7)는 클릭판부(6)와 마찬가지로, 네 모서리에 고정용의 구멍(7b)을 가지고, 부착용의 2개의 구멍(7c)을 연결접속하는 긴 구멍(7d)을 가진다.The
클릭판(13)은 이 예에서는 클릭판부(6)와 토크판부(7)를 중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중첩시킴으로써 클릭판부(6)의 돌출부(6b)와 구멍(6c)이 토크판부(7)의 일방의 판면상에 요철부를 구성한다. 클릭판(13)은 스토퍼(4)에 가까운 쪽이 클릭판부(6)가 되는 방향으로 베어링(2)에 씌워지고, 돌기부(2e)는 구멍(6e) 및 구멍(7c)에 삽입된다.The
클릭판(13)상에 제1 가변 저항기부(14) 및 제2 가변 저항기부(15)가 적층된다.The first
제1 가변 저항기부(14)는 절연 기판(9a)(도 3)을 수용하는 하우징(9)과, 슬라이딩운동 접점(8a)이 설치된 회전체(8)로 이루어진다. 절연 기판(9a)에는 집전체와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8)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슬라이딩운동 접점(8a)이 집전체 및 저항체에 접촉하는 위치가 정해지고, 이 위치에 따라서 제1 가변 저항기부(14)의 저항값이 정해진다. 집전체 및 저항체에는 각각 취출 단자(9d)가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로 취출되어 있다. 제1 가변 저항기부(14)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제2 가변 저항기부(15)는 하우징(11)과 회전체(10)로 이루어지고, 제1 가변 저항기부(14)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금속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리벳(12)을 하우징(11)에 형성된 구멍(11a)(도 3), 하우징(9)에 형성된 구멍(9c), 토크판부(7)에 형성된 구멍(7b), 클릭판부(6)에 형성된 구멍(6d), 베어링(2)에 형성된 구멍(2d)에 각각 삽입하고, 그 후 예를 들어 아일렛에 의해, 베어링(2)의 대부(2b)의 하면으로부터 리벳(12)의 선단을 고착한다. 이것에 의해, 가변 저항기의 각 부품을 고정한다.The
이와 같이 가변 저항기가 조립된 상태로, 클릭판(13)은 스토퍼(4)와 함께 클릭 스프링(5)을 끼우고, 클릭판(13)에 압압되어 클릭 스프링(5)은 압압부(5c)가 스토퍼(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이 클릭판(13)의 압압부(5c)로의 압압에 의해 클릭 스프링(5)은 스토퍼(4)를 지지점(이 예에서는 스토퍼(4)가 클릭 스프링(5)의 선(L1)(도 4)과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이라고 하고 있다.)으로 하여 경사운동하고자 하고 있지만, 스토퍼(4)의 누름부(4f)는 연신부(5e)를 누름으로써 그 경사운동을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열 코킹 등에 의한 소성변형이 아니라, 누름부(4f)로 연신부(5e)를 누름으로써 클릭 스프링(5)의 경사운동을 억제함으로써, 클릭 스프링(5)의 반력을 종래보다 강하게 할 수 있고, 클릭 스프링(5)이 클릭판(13)을 압압하는 힘을 종래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강한 토크감, 클릭감을 실현할 수 있다.The
이 실시형태와 같이, 연신부(5e)를 환형상부(5a)에 있어서 압압부(5c)와 서로 180도를 이루는 위치로부터 연신시킴으로써, 클릭 스프링(5)의 반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180도를 이루는 위치로부터 연신부(5e)를 연신시킴으로써, 지지점인 선(L1)의 위치와, 누름부(4f)가 연신부(5e)를 누르는 위치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부(4f)는 보다 작은 힘으로 경사운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ction force of the
회전축(1)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따라 스토퍼(4) 및 스토퍼(4)에 유지된 클릭 스프링(5)의 압압부(5c)는 클릭판(13)과 슬라이딩운동하면서 회전한다. 이 슬라이딩운동에 의해 토크감이 발생한다. 회전에 따라, 압압부(5c)가 클릭판(13)의 요철부를 타넘을 때에 클릭감이 생긴다. 즉, 돌출부(6b)에 올라탄 압압부(5c)가 구멍(6c) 또는 돌출부(6b)의 외측으로 떨어져 토크판부(7)와 충돌할 때에, 클릭감, 클릭음이 발생한다.The
회전축(1)의 회전에 따라서 스토퍼(4) 및 클릭 스프링(5)도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축(1)을 천천히 돌리면, 압압부(5c)도 천천히 돌출부(6b)에 올라타고, 천천히 돌출부(6b)로부터 떨어진다. 종래는 스토퍼(P2)와 클릭 스프링(P1)은 돌기부(P2a)의 선단부를 소성변형함으로써 고정되어 있어, 클릭 스프링(P1)이 스토퍼(P2)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회전축을 천천히 돌린 경우에는, 생기는 클릭음, 클릭감이 명료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The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4)의 돌기부(4g)와 클릭 스프링(5)의 관통구멍(5d)을 열 코킹 등의 소성변형에 의해 고정하고 있지는 않다. 돌기부(4g)는 관통구멍(5d)에 여유롭게 끼워져 있을 뿐이며, 클릭 스프링(5)은 스토퍼(4)에 대하여 종래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클릭 스프링(5)의 압압부(5c)가 구멍(6c)에 어느 정도 걸리고, 또는 돌출부(6b)의 외측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날 뿐이며, 클릭 스프링(5)이 단독으로 움직여 토크판부(7)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을 천천히 돌린 경우에도, 생기는 클릭음, 클릭감을 명료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스토퍼(4)의 돌기부(4g)를 열 코킹 등의 소성변형하지 않음으로써, 소성변형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스토퍼(4)의 재료가 소성변형 가능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4)의 재료의 선택의 여지가 넓어져, 스토퍼(4)를 메탈 인젝션 몰드(MIM)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protruding
스토퍼(4)와 클릭 스프링(5)의 변형예를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다.Modifications of the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신부(5e)를 크랭크형상으로 접어구부리지 않고 환형상부(5a)로부터 1방향으로 연신시켜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광폭부(5b)와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연신부(5e)를 연신시켜도 된다. 이 경우, 스토퍼(4)의 누름부(4f)는 누름부(4f)가 연신부(5e)와 접촉하는 면이 기체(4a)의 상면으로부터 클릭 스프링(5)의 두께만큼 떨어지도록 위치된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stretching
또,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4f)의 상면을 기체(4a)의 면과 동일한 높이로 해도 된다.8A and 8B,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상부(5a)를 선(L1)에 있어서 접어구부리지 않고, 또한 연신부(5e)를 크랭크형상으로 접어구부리지 않고 환형상부(5a)로부터 1방향으로 연신시켜도 된다. 이 경우, 누름부(4f)와 연신부(5e)는 회전축(1)의 축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4)와 클릭 스프링(5)의 환형상부(5a)가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한 쪽이, 클릭 스프링(5)은 스토퍼(4)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고장이 적어져 신뢰성이 높아진다.9A and 9B, the
본 발명에 의한 클릭 기구(A)는 가변 저항기 이외의 전자부품, 예를 들어 회전 스위치에 사용할 수 있다.The click mechanis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ctronic component other than the variable resistor, for example, a rotary switch.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부와, 상기 연신부에 걸어맞춰지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상기 클릭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기 클릭 스프링을 끼우고, 상기 압압부가 상기 스토퍼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압압부를 압압하고 있으며,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압부가 상기 요철부를 타넘을 때에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판을 구비한 전자부품의 클릭 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릭판의 상기 압압부로의 압압에 의해 상기 클릭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운동하고자 하고 있지만, 상기 누름부는 상기 연신부를 누름으로써 그 경사운동을 억제하고 있고,
상기 클릭 스프링의 연신부는 접어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릭 스프링의 환형상부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면과는 상이한 면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누름부는 상기 연신부를 누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클릭 기구.A click spring having an annular portion having a pressing portion and a through hole and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and an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annular portion,
A stopper having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pushing portion engaged with the extending portion, the stopper rotating the click spr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push spring is fitted together with the stopper and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approaches the stopp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rotates the concave- In a click mechanism of an electronic part having a click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feeling in an electronic part,
The click spring tends to tilt with the stopper as a fulcrum due to the pressing of the click plate to the pressing portion, but the pressing portion suppresses the tilting motion by pressing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stretching portion of the click spring is bent and formed,
Wherein the pushing portion of the stopper presses the stretching portion on a surface different from a surface on which the annular portion of the click spr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상기 클릭 스프링의 연신부는 상기 환형상부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와 서로 180도를 이루는 위치로부터 연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클릭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tching portion of the click spring is extended from a position at 180 degrees with the pressing portion in the annular portion.
상기 클릭 스프링은 상기 환형상부의 상기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고 있고, 상기 환형상부의 상기 압압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클릭 기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lick spring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in a portion including the through hole of the annular por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in a portion includ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annular portion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28408 | 2009-02-10 | ||
JP2009028408A JP5256070B2 (en) | 2009-02-10 | 2009-02-10 | Electronic component click mechanism, variable resis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605A KR20110113605A (en) | 2011-10-17 |
KR101653352B1 true KR101653352B1 (en) | 2016-09-01 |
Family
ID=4256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4146A Active KR101653352B1 (en) | 2009-02-10 | 2010-02-05 | Electronic parts click mechanism and rheostat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256070B2 (en) |
KR (1) | KR101653352B1 (en) |
CN (1) | CN102318018B (en) |
TW (1) | TWI399760B (en) |
WO (1) | WO2010092910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398A (en) * | 2017-03-02 | 2019-08-28 |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 Rotary operation par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6121B2 (en) * | 2011-05-26 | 2014-07-01 | Motorola Solutions, Inc. | Rotary control switch |
JP5914312B2 (en) | 2012-12-07 | 2016-05-11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Rotating electronic components |
WO2014196086A1 (en) | 2013-06-07 | 2014-12-11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Electronic component operated by rotation |
ES2545304B2 (en) * | 2015-02-27 | 2016-03-11 | Aragonesa De Componentes Pasivos, S.A. | External pause control knob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1843Y2 (en) * | 1973-11-22 | 1981-07-29 | ||
JPS622730Y2 (en) * | 1979-03-14 | 1987-01-22 | ||
JPH027442Y2 (en) * | 1980-07-16 | 1990-02-22 | ||
JPH0724849B2 (en) | 1986-01-20 | 1995-03-22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Shape control method in strip rolling |
JPS62168607U (en) * | 1986-04-14 | 1987-10-26 | ||
JPH0579940U (en) * | 1992-03-31 | 1993-10-29 | 京セラ株式会社 | Plasma CVD equipment |
JP4667986B2 (en) * | 2005-07-07 | 2011-04-1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Motor driven slide type variable resistor |
-
2009
- 2009-02-10 JP JP2009028408A patent/JP5256070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02-03 TW TW99103173A patent/TWI399760B/en active
- 2010-02-05 CN CN201080007162.8A patent/CN102318018B/en active Active
- 2010-02-05 WO PCT/JP2010/051715 patent/WO201009291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05 KR KR1020117004146A patent/KR101653352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398A (en) * | 2017-03-02 | 2019-08-28 |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 Rotary operation parts |
KR102229310B1 (en) | 2017-03-02 | 2021-03-17 |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 Rotating operation par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256070B2 (en) | 2013-08-07 |
CN102318018B (en) | 2013-09-04 |
WO2010092910A1 (en) | 2010-08-19 |
HK1162738A1 (en) | 2012-08-31 |
TWI399760B (en) | 2013-06-21 |
JP2010186792A (en) | 2010-08-26 |
TW201042669A (en) | 2010-12-01 |
CN102318018A (en) | 2012-01-11 |
KR20110113605A (en) | 2011-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2373B2 (en) | Multifunctional switch | |
KR101653352B1 (en) | Electronic parts click mechanism and rheostat | |
US8772663B2 (en) | Rotary electric component | |
JP4511479B2 (en) | Combined operation switch | |
JP4891654B2 (en) | Rotating electrical parts with push switch | |
WO2014155920A1 (en) | Push-button switch | |
US20080099321A1 (en) | Switch | |
JP2012059369A (en) | Breaker | |
US7307506B2 (en) | Safety switches | |
JP4414412B2 (en) | Push button switch | |
JP2002278695A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JP4170023B2 (en) | Rotation type sensor | |
JP2006004914A (en) | Rotating electrical parts | |
US6797904B1 (en) | Microswitch | |
EP1918957A1 (en) | A surface-mounted switch | |
HK1162738B (en) | Electronic parts click mechanism and rheostat | |
US7230516B2 (en) | Circuit breaker | |
CN102468079B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JP6376837B2 (en) | Rotating electronic components | |
US9685279B2 (en) | Switch | |
JP2016201379A (en) | Push button switch | |
JP2548307Y2 (en) | Push button switch | |
JP3973343B2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JP2022042411A (en) | Rotary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 |
JP2013089300A (en) | Push-butt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