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748B1 -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 Google Patents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748B1 KR101652748B1 KR1020150120493A KR20150120493A KR101652748B1 KR 101652748 B1 KR101652748 B1 KR 101652748B1 KR 1020150120493 A KR1020150120493 A KR 1020150120493A KR 20150120493 A KR20150120493 A KR 20150120493A KR 101652748 B1 KR101652748 B1 KR 101652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ixed body
- pressing
- coupling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 A47H1/022—Curtain rods extensib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절첩 부분에 배치되면서 후방 파이프와 결합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수용 및 고정하는 고정 몸체부; 상기 고정 몸체부에 장착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이용하여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파이프 위치 조절부를 가압하여 파이프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동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통해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전·후방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 파이프의 연결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length regul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length regulating device comprising: a fixed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in a folded portion of a pipe and engages with a rear pipe and receives and fixes a pipe passing through the pipe; A pipe position regulating unit mounted on the fixed body and capable of fixing or moving the front pipe using a pipe regulat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peration of an operating knob located outside; And a pressing part mounted inside the fixed body part and pressing the front pipe position adjusting part to provide fixing force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pipes be easily and simply controlled by the pipe adjusting membe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handle, but also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pipes are firmly fix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웃도어용 파이프, 등산용 파이프, 낚싯대 등과 같은 절첩식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의 연결부분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which is mounted on a connecting portion of a folding pipe such as an outdoor pipe, a mountain climbing pipe, a fishing rod, To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일반적으로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등산용 지팡이, 낚싯대, 커튼 및 빨래 건조대 행거, 텐트용 봉, 그밖에 산업용 장치의 지지대 등은 다단으로 직경이 다른 원통형 파이프를 연속하여 결속시킨 다음 내부에 결합된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각각 그 길이를 신장/축소하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0002] Generally, a climbing cane, a fishing rod, a curtain and a laundry hanger, a tent rod, a support for an industrial device,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composed of a pipe member, Each of which is intended to be used while extending / contracting the length thereof.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수단은 통상 고정봉에 길이를 신장할 수 있는 신장봉이 삽입결합되며, 이 신장봉의 선단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소정 길이로 조정 후 조절나사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수단이 고정봉의 내주면에 지지고정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djusting screw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xing means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rod, the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fixing rod, And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by being supported and fix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일 예로써,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7175호(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신장봉과 결합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조절나사를 구비하며 다른 일 측으로 조절나사의 작동에 따른 상호 결합에 의해 일단의 절개편이 확개되며 고정봉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87175 (length adjustment device for a fishing rod), the fixing means includes an adjusting screw having a support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sion rod at one side, and a mutual coupling And the one end of the incision is expanded and tightly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bar.
그러나 종래의 길이조절장치는 고정수단의 고정봉에 지지되는 면이 가압부재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만 편중되어 고정시에 그 지지력이 견고하지 못해 충격이 여러 번 가해지면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ngth adjusting device, the surface supported by the fixing bar of the fixing means is biased only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and when the fixing is not performed, .
또한 종래의 길이조절장치는 고정 후 고정봉 내 지지면적이 아주 작기 때문에 고정봉 및 신장봉의 결합공차 유격에 의한 신장봉의 결합되지 않은 단부가 좌우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ength adjus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unbonded ends of the extension rods a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the engagement clearance clearance between the fixing rods and the extension rods, because the supporting area in the fixing rods is very small.
또한 종래의 길이조절장치는 고정수단의 조임시 가압부재는 외면이 밋밋한 면으로 되어 고정봉과 조립되는 공차에 의해 헛도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시 고정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ength adjusting device, when the fixing means is fastened, the pressing member has a flat outer surface, which causes a problem of looseness due to a tolerance to be assembled with the fixing r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동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통해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전·후방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person to easily and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pipes through a pipe control port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handle.
또한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부를 통해 전·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를 신속하게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quick or stopping of the pipe position adjusting unit which enables the front and rear pipes to be fixed or moved through a press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는 파이프의 절첩 부분에 배치되면서 후방 파이프와 결합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수용 및 고정하는 고정 몸체부; 상기 고정 몸체부에 장착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이용하여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파이프 위치 조절부를 가압하여 파이프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a folded portion of a pipe and engages with a rear pipe and receives and fixes a pipe passing through the pipe; A pipe position regulating unit mounted on the fixed body and capable of fixing or moving the front pipe using a pipe regulat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peration of an operating knob located outside; And a pressing part mounted inside the fixed body part and pressing the front pipe position adjusting part to provide fixing force of the pipe.
여기서 상기 고정 몸체부에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가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pipe body position adjuster may be mounted symmetrically on the fixed body part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부는 내부에 전방 파이프가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작동공과 손잡이 지렛대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부가 절곡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 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ed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ront pipe passes,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r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reof and a handlebar lever formed on the same line. The front portion of the fixed body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 pressing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pressing portion, The pipe coupling portion coupled with the rear pipe may b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후방 파이프와 파이프 결합부는 나선 결합 또는 끼움 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rear pipe and the pip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piral coupling or a fitting coupling structure.
또한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는 중공 형상으로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면은 상기 고정 몸체부를 통과하는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 몸체부를 구성하는 작동공을 관통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조절구; 및 상기 파이프 조절구의 결합돌기 상부에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고정 몸체부를 구성하는 손잡이 지렛대를 기준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절구가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pe position adjus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xed body part in a hollow shape,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be able to fix or move the front pipe passing through the fixed body part, and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 pipe regulat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pipe; And an operation handl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pipe control through a bolt or a screw and rotatably operated based on a handlebar lever constituting a fixed body part so that the pipe control part can fix or move the front pipe. have.
이때 상기 파이프 조절구의 전방에는 가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압부 수용홈이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ressing portion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pipe adjusting hole so as to accommodate the press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동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통해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전·후방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 파이프의 연결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pipes be easily and simply controlled by the pipe control membe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but als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pipes are firmly fix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압부를 통해 전·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를 신속하게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 파이프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quickly operate or stop the pipe position adjusting part for fixing or moving the front and rear pipes through the pres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part, but also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lengths of the front and rear pipes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본원발명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는 고정 몸체부(20), 파이프 위치 조절부(30), 가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ipe
상기 고정 몸체부(20)는 파이프 절첩 부분(PJ)에 배치되고, 후방 파이프(PR)와 결합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전방 파이프(PF)를 수용 및 고정하게 된다. The
즉 상기 고정 몸체(20)는 후방 파이프(PR)와 전방 파이프(PF)의 절첩 부분(PJ)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와 가압부(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fixed
여기서 상기 고정 몸체부(20)의 지름과 길이는 파이프(PF, PJ)의 지름이 변화되는 절첩 부분(PJ)의 위치와 목적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Here,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부(20)는 내부에 전방 파이프(PF)가 관통하는 통로(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작동공(22)과 손잡이 지렛대(23)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압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부(24)가 절곡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 파이프(PR)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25)가 일체로 형성된다. A
이때 상기 고정 몸체부(20)의 형상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전방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즉 상기 고정 몸체부(20)는 내부에 전방 파이프(PF)가 이동할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21)를 형성하고, 상부 동일선상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작동공(22)과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손잡이 지렛대(23)를 각각 형성하며, 전방에는 가압부(24)의 일 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부(24)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후방 파이프(PR)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25)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후방 파이프(PR)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25)는 도시된 도면과 같은 나선 결합구조 이외에도 끼움 결합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는 고정 몸체부(20)에 장착되고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ipe
그리고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는 중공 형상으로 고정 몸체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면(32)은 상기 고정 몸체부(20)를 통과하는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작동공(22)을 관통하는 결합돌기(33)가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조절구(31)와, 상기 파이프 조절구(31)의 결합돌기(33) 상부에 볼트(35)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고정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손잡이 지렛대(23)를 기준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절구(31)가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손잡이(34)로 이루어진다. The
즉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는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손잡이(34)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32)를 이용하여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는 가압부(40)의 작동에 따른 파이프 조절구(32)의 내면(32)이 전방 파이프(PF)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작동손잡이(34)의 작동시 상기 파이프 조절구(32)가 수평을 유지하여 상기 전방 파이프(PF)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The pipe
그리고 상기 파이프 조절구(31)의 전방에는 가압부(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압부 수용홈(31a)이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A pressing
즉 상기 가압부 수용홈(31a)은 고정 몸체부에 일 측이 지지되는 가압부(40)의 반대 측을 고정하여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sing
상기 가압부(40)는 고정 몸체부(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가압하여 전방 파이프(PF)의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The
여기서 상기 가압부(40)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가압하면서도 원상복귀시킬 수 있는 쿠션부재, 스프링, 링, 피스톤 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본원발명에서는 스프링으로 가압부(40)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즉 상기 가압부(40)는 고정 몸체부(20)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이 파이프 조절구(31)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손잡이(34)의 작동전에 파이프 조절구(3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전방 파이프(PF)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다음으로 상기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는 도시된 도 6 및 7과 같이 상기 고정 몸체부(20)에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30)가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즉 상기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는 고정 몸체부(20)의 양측으로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대칭으로 장착한 후 상기 전방 파이프(PF)를 전, 후방에서 각각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방 파이프(PF)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면서도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pipe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는 고정 몸체부(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전, 후방으로 길이조절되는 전방 파이프(PF)를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통해 양측에서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i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내부에 전방 파이프(PF)가 관통하는 통로(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작동공(22)과 손잡이 지렛대(23)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압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부(24)가 절곡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 파이프(PR)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25)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몸체부(20)를 형성한다. An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부(20)의 통로(21)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가압부(40)를 삽입한다. A
다음으로 상기 고정 몸체부(20)의 내부로 중공 형상으로 고정 몸체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면(32)은 상기 고정 몸체부(20)를 통과하는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작동공(22)을 관통하는 결합돌기(33)가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조절구(31)를 삽입장착한 후 상기 파이프 조절구(31)의 결합돌기(33) 상부에 볼트(35)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고정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손잡이 지렛대(23)를 기준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절구(31)가 전방 파이프(PF)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손잡이(34)로 이루어진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장착하면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The
여기서 상기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use state of the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를 구성하는 후방 파이프(PR)의 끝단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분을 고정 몸체부(20)의 파이프 결합부(25)에 결합한 후, 상기 후방 파이프(PR)의 내부로 전방 파이프(PF)를 삽입하여, 상기 전방 파이프(PF)를 후방 파이프(PR)의 내부를 관통시키면서도 고정 몸체(20)의 통로(21)를 관통하도록 한다.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pipe PR constituting the pipe
이때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는 손잡이 지렛대(23)를 기준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 손잡이(34)를 작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절구(31)가 가압구(40)를 압축하면서도 내면(32)이 전방 파이프(PF)와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방 파이프(PF)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pipe
다음으로 상기 전방 파이프(PF)의 위치 조절이 끝나면,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구성하는 작동 손잡이(34)를 놓으면 된다. Next, when the position of the front pipe PF is adjusted, the
이때 상기 파이프 위치 조절부(30)를 구성하는 파이프 조절구(31)는 가압부(40)의 탄성에 의하여 후퇴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내면(3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방 파이프(PF)의 외면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전방 파이프(PF)와 후방 파이프(PR)의 연결 부분에 파이프 길이조절장치(10)를 각각 장착하여 파이프(PF, PR)의 길이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The length of the pipes PF and PR may be adjusted by mounting the pip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20 : 고정 몸체부,
21 : 통로, 22 : 작동공,
23 : 손잡이 지렛대, 24 : 가압 지지부,
25 : 파이프 결합부, 30 : 파이프 위치 조절부
31 : 파이프 조절구, 32 : 내면,
33 : 결합돌기, 34 : 작동 손잡이,
40 : 가압부.10: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20: fixed body part,
21: passage, 22: working ball,
23: handle lever, 24: pressure support,
25: pipe fitting portion, 30: pipe position adjusting portion
31: pipe control port, 32: inner surface,
33: engaging projection, 34: operating handle,
40: Pressurizing portion.
Claims (6)
상기 고정 몸체부에 장착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파이프 조절구를 이용하여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위치 조절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파이프 위치 조절부를 가압하여 파이프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몸체부는 내부에 전방 파이프가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작동공과 손잡이 지렛대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부가 절곡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 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A fixed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pipe and engages with the rear pipe and receives and fixes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A pipe position regulating unit mounted on the fixed body and capable of fixing or moving the front pipe using a pipe regulat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peration of an operating knob located outside;
And a pressing part mounted inside the fixed body part and pressing the front pipe position adjusting part to provide fixing force of the pipe,
The fixed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ront pipe penetrates,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r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reof and the handlebar lever in a line, a press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thereof so as to support the pressing portion, And a pipe coupl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pipe.
상기 후방 파이프와 파이프 결합부는 나선 결합 또는 끼움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pipe and the pipe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by a spiral coupling or a fitting engagement structure.
중공 형상으로 고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면은 상기 고정 몸체부를 통과하는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 몸체부를 구성하는 작동공을 관통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조절구; 및
상기 파이프 조절구의 결합돌기 상부에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고정 몸체부를 구성하는 손잡이 지렛대를 기준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절구가 전방 파이프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be able to fix or move the front pipe passing through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ipe adjusting portion having an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through the operating hole constituting the fixed body portion phrase; And
And an operating handl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pipe control through a bolt or a screw and rotatably operated based on a handlebar lever constituting a fixed body part so that the pipe control part can fix or move the front pipe. Regulating device.
상기 파이프 조절구의 전방에는 가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압부 수용홈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ressurizing portion receiv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pipe control port so as to accommodate the pressuriz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493A KR101652748B1 (en) | 2015-08-26 | 2015-08-26 |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
PCT/KR2016/009220 WO2017034249A1 (en) | 2015-08-26 | 2016-08-22 | Pipe length adjus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493A KR101652748B1 (en) | 2015-08-26 | 2015-08-26 |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2748B1 true KR101652748B1 (en) | 2016-09-01 |
Family
ID=5694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0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2748B1 (en) | 2015-08-26 | 2015-08-26 |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748B1 (en) |
WO (1) | WO2017034249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6568A (en) * | 2018-05-02 | 2019-11-12 | 주식회사 엔티로봇 | Length Adjusting Mechanism for a Walking Exoskeleton and Walking Exoskeleton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49714A (en) * | 1989-11-06 | 1991-06-26 | Ngk Insulators Ltd | Insulator cleaning method and its device |
JPH09296813A (en) * | 1996-05-07 | 1997-11-18 | Kawajiyun Kk | Engaging biaxial stopper |
KR20040108123A (en) * | 2003-06-16 | 2004-12-23 | 정선희 | Stick |
KR100687175B1 (en) | 2005-09-08 | 2007-03-02 | 강원 | Length adjusting device for fishing rod |
JP2013244304A (en) * | 2012-05-29 | 2013-12-09 | Jeh-Kun Lha | Stick with axial lever-operating type locking device |
KR20140040447A (en) | 2012-09-26 | 2014-04-03 |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 All-in-one pipe length adjus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473Y1 (en) * | 2002-01-29 | 2002-05-06 |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 Length adjuster of couple-pipe for multistage stick |
JP3149714U (en) * | 2009-01-28 | 2009-04-09 | エイチ. ワン デニス | Support for fast fixing |
KR101194711B1 (en) * | 2009-12-31 | 2012-10-26 | 김태근 | Support apparatus of parasol |
KR101211200B1 (en) * | 2011-04-25 | 2012-12-11 | 김종길 | The fixing instrument for a pipe |
-
2015
- 2015-08-26 KR KR1020150120493A patent/KR1016527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8-22 WO PCT/KR2016/009220 patent/WO20170342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49714A (en) * | 1989-11-06 | 1991-06-26 | Ngk Insulators Ltd | Insulator cleaning method and its device |
JPH09296813A (en) * | 1996-05-07 | 1997-11-18 | Kawajiyun Kk | Engaging biaxial stopper |
KR20040108123A (en) * | 2003-06-16 | 2004-12-23 | 정선희 | Stick |
KR100687175B1 (en) | 2005-09-08 | 2007-03-02 | 강원 | Length adjusting device for fishing rod |
JP2013244304A (en) * | 2012-05-29 | 2013-12-09 | Jeh-Kun Lha | Stick with axial lever-operating type locking device |
KR20140040447A (en) | 2012-09-26 | 2014-04-03 |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 All-in-one pipe length adjust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6568A (en) * | 2018-05-02 | 2019-11-12 | 주식회사 엔티로봇 | Length Adjusting Mechanism for a Walking Exoskeleton and Walking Exoskeleton comprising the same |
KR102085527B1 (en) * | 2018-05-02 | 2020-03-06 | 주식회사 엔티로봇 | Length Adjusting Mechanism for a Walking Exoskeleton and Walking Exoskeleton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34249A1 (en)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28953B2 (en) | Stabilizer with telescoping rod for tripod etc. | |
US8381748B2 (en) | Walking and pickup stick | |
US20140099155A1 (en) | Connection Unit For Slide Of Rod | |
US9162273B1 (en) | Pipe bender | |
US9066637B2 (en) | Shower rod with macro and micro adjustment | |
US3366406A (en) | Adjustable telescopic bar unit | |
US20150033914A1 (en) | Brake cylinder adjustment assembly | |
KR101514200B1 (en) | Extension/retraction device | |
EP2674629A2 (en) | Lock device for telescopic tubing | |
KR101652748B1 (en) | Pipe length adjust apparatus | |
US11458556B2 (en) | Hand-held heating tool | |
US20160069367A1 (en) | Adjustable rod | |
US10010746B1 (en) | Seat adjustment structure for exercise machine | |
GB2504007A (en) | Brake cylinder adjustment assembly | |
US11608934B2 (en) | Tripod for video-photographic equipment | |
US11065502B2 (en) |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exercising apparatus | |
KR101794830B1 (en) | The fixing struture of a multi-step foldable pipe | |
EP3348716A1 (en) | Support device for a shower head | |
WO2019168073A1 (en) | Metal shaft assembly structure | |
US20150158151A1 (en) | Ratchet adjustable locking pliers | |
EP2372173A1 (en) | An adjustment device for use in adjusting the length of a telescopic arrangement | |
US9890898B2 (en) | Adjustable rod | |
KR200491685Y1 (en) | Fishing rod with adjustable length | |
JPH11193804A (en) | 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mast | |
JP4025782B2 (en) | Telescopic le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