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1452B1 -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452B1
KR101651452B1 KR1020140121121A KR20140121121A KR101651452B1 KR 101651452 B1 KR101651452 B1 KR 101651452B1 KR 1020140121121 A KR1020140121121 A KR 1020140121121A KR 20140121121 A KR20140121121 A KR 20140121121A KR 101651452 B1 KR101651452 B1 KR 10165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otrusion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275A (ko
Inventor
이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민
(주)한국존슨앤드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민, (주)한국존슨앤드존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민
Priority to KR102014012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4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4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의 하강 깊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압식 펌핑장치를 가진 화장품용기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힘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토출하기 때문에 정확한 용량의 토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튼이 가이드캡에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버튼(10)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1)는 버튼(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1안내부(31) 또는 제2안내부(33)에 삽입되어 승강함으로써 내용물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10)의 내주면에는 제2돌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12)는 버튼(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격벽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3개의 안착홈(35: 35a, 35b, 35c)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돌기부(11)의 저면은 버튼(10)의 저면보다 약간 높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1)가 제1안내부(31)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12)는 중앙의 안착홈(35b)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돌기부(11)가 제2안내부(33)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12)가 세 번째 안착홈(35c)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10)을 상승시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돌기부(11)의 저면은 상기 가이드캡(30)의 상측 면에 밀착되어 버튼(10)의 하강이 방지되며, 상기 제2돌기부(12)는 첫 번째 안착홈(35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1안내부 및 제2안내부가 가이드캡에 형성됨으로써 버튼을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단턱 및 제2단턱에 의해 항상 일정한 하강 깊이를 유지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Adjust pump discharge amount of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의 입구 측에 장착되어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의 하강 깊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 크게 분말형태와 액체형태로 나뉘며, 액체 형태에서도 점성을 갖는 액체와 점성을 갖지 않는 액체로 구분되어 수용용기가 구분된다.
여기서, 분말형태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하드케이스에 저장되는데, 이와 같은 하드케이스는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체형태의 화장품은 그 점성이 0.01~6푸아즈(poise)로 낮은 겔 상태의 화장품일 경우에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압펌프식 화장품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압식 펌핑장치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903호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의 주입구를 개폐토록 하는 노즐캡상에 설치되어 손가락으로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용기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 진공압력에 의해 용기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압식 펌핑장치를 가진 화장품용기는 작동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 되어 진공압력을 발생하기 위한 행정거리가 픽싱되어 행정거리 전체를 이동하면서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행정거리에 따라 정해져 있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 내용물을 적게 토출하고 싶을 때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을 조절하여 가압식 펌핑장치의 행정거리를 사용자 스스로가 직감적으로 조절하여야 함에 따라 전체 행정거리에 따른 정량토출 이외에 소량의 정량을 토출하거나 중간 정도의 요구되는 량 내지는 정확한 용량의 토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토출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간단한 조작에 의해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는 버튼이 가이드캡에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버튼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는 버튼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의 외주면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1안내부 또는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승강함으로써 내용물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내주면에는 제2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는 버튼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의 외주면에 격벽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3개의 안착홈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돌기부의 저면은 버튼의 저면보다 약간 높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가 제1안내부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는 중앙의 안착홈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돌기부가 제2안내부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가 세 번째 안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을 상승시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돌기부의 저면은 상기 가이드캡의 상측 면에 밀착되어 버튼의 하강이 방지되며, 상기 제2돌기부는 첫 번째 안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1안내부 및 제2안내부가 가이드캡에 형성됨으로써 버튼을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단턱 및 제2단턱에 의해 항상 일정한 하강 깊이를 유지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출량 조절펌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을 분해하여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을 분해하여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는 버튼이 제1단턱까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버튼이 제2단턱까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버튼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토출량 조절펌프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의 입구 측에 결합되는 커버(6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노즐이 형성된 버튼(10)을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버튼(10)은 제1안내부(31) 및 제2안내부(33)가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가이드캡(30)에서 승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10)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내측으로 샤프트(20)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20)는 가이드캡(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버튼(10)과 함께 승강하고, 상기 샤프트(2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21)이 결합되어 가이드캡(30)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버튼(10)은 항상 상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10)의 내주면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제1돌기부(11) 및 제2돌기부(12)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기부(11)는 버튼(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안내부(31) 또는 제2안내부(33)에 삽입되어 승강하며, 상기 제2돌기부(12)는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대응하게 형성된 세 개의 안착홈(35: 35a, 35b, 35c)에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내부(31)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제1단턱(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안내부(31)의 우측에는 제2안내부(33)가 수직으로 더욱 깊게 형성됨으로써 단차를 이루고 하측에는 제2단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기부(11)는 제1안내부(31) 또는 제2안내부(33)에 삽입되어 승강할 때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캡(30)의 두께와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기부(11)의 저면은 버튼(10)의 저면보다 약간 높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35)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네 개의 격벽에 의해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스템(40)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스템(4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홀(41)의 외측에는 피스톤(50)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캡(3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캡(30)의 하단부는 화장품용기의 입구를 밀폐하는 커버(60)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커버(60)의 하측에는 하우징(70)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캡(3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따라서 스템(40)의 하단부 및 피스톤(50)은 하우징(70)의 내측에 위치하여 버튼(1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70)의 입구 측에는 버튼(10)의 동작에 따라 체크밸브(80)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70)의 하측 외주면에는 흡입관(도면 미표시)이 결합되어 화장품용기의 내측에 채워진 내용물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을 임의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즉, 소량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10)을 하강함에 따라 제1돌기부(11)가 제1안내부(31)를 따라 제1단턱(32)까지 하강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2)는 버튼(10)을 회전(정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함에 따라 격벽을 타고 넘어 세 개의 안착홈(35) 중 가운데 안착홈(35b)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템(40)이 제1안내부(31)의 깊이만큼 하강함에 따라 하우징(70)의 내측에 채워진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80)가 하우징(70)의 입구를 밀폐하게 되고, 이로써 하우징(70) 내측에는 더욱 큰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50)이 상승하여 유입홀(41)을 개방하게 되고, 이 유입홀(41)로 하우징(70) 내측의 내용물이 흡입되어 버튼(10)의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또한, 대량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돌기부(11)가 제2안내부(33)를 따라 제2단턱(34)까지 하강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2)는 버튼(10)을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함에 따라 세 번째 안착홈(35c)에 위치하게 되고, 스템(40)이 하강한 체적만큼의 내용물이 압력에 의해 토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하고 있던 버튼(10)을 해제하게 되면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10)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70)의 내측은 진공상태가 되어 체크밸브(8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80)가 상승하면서 발생한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하우징(70)의 내측으로 다시 유입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피스톤(50)은 가이드캡(30)의 하측에 밀착됨으로써 하강하여 유입홀(41)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
또한, 화장품용기를 보관할 때에는 버튼(1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돌기부(12)가 첫 번째 안착홈(35a)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제1돌기부(11)의 저면이 가이드캡(30)의 상측 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가압에 의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31)(3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나타낸 두 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차를 이루며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용량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때는 안착홈(35)의 개수도 복수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1안내부(31) 및 제2안내부(33)가 가이드캡(30)에 형성됨으로써 버튼(10)을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단턱(32) 및 제2단턱(34)에 의해 항상 일정한 하강 깊이를 유지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버튼 11 : 제1돌기부
12 : 제2돌기부 20 : 샤프트
21 : 스프링 30 : 가이드캡
31 : 제1안내부 32 : 제1단턱
33 : 제2안내부 34 : 제2단턱
35 : 안착홈 40 : 스템
41 : 유입홀 50 : 피스톤
60 : 커버 70 : 하우징
80 : 체크밸브

Claims (3)

  1. 버튼이 가이드캡에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버튼(10)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1)는 버튼(1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1안내부(31) 또는 제2안내부(33)에 삽입되어 승강함으로써 내용물을 소량 또는 대량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10)의 내주면에는 제2돌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12)는 버튼(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30)의 외주면에 격벽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3개의 안착홈(35: 35a, 35b, 35c)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돌기부(11)의 저면은 버튼(10)의 저면보다 약간 높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11)가 제1안내부(31)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12)는 중앙의 안착홈(35b)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돌기부(11)가 제2안내부(33)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2돌기부(12)가 세 번째 안착홈(35c)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10)을 상승시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돌기부(11)의 저면은 상기 가이드캡(30)의 상측 면에 밀착되어 버튼(10)의 하강이 방지되며, 상기 제2돌기부(12)는 첫 번째 안착홈(35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31) 및 제2안내부(33)의 하측에는 버튼(10)이 일정한 깊이로 하강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제1돌기부(11)의 하강을 차단하는 제1단턱(32) 및 제2단턱(3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3. 삭제
KR1020140121121A 2014-09-12 2014-09-12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Active KR10165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21A KR101651452B1 (ko) 2014-09-12 2014-09-12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21A KR101651452B1 (ko) 2014-09-12 2014-09-12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275A KR20160031275A (ko) 2016-03-22
KR101651452B1 true KR101651452B1 (ko) 2016-09-05

Family

ID=5564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21A Active KR101651452B1 (ko) 2014-09-12 2014-09-12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31B1 (ko) * 2017-12-13 2018-07-06 임방빈 화장품 용기
KR102297218B1 (ko) * 2018-06-04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45650B1 (ko) * 2018-06-04 2021-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44543B1 (ko) * 2019-03-21 2019-11-13 임종수 조절 가능한 구조의 정량분출 기구
KR102714509B1 (ko) * 2019-05-02 2024-10-08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럽 내용물이 균일하게 토출되는 펌프 용기
KR20210100907A (ko) 2020-02-07 2021-08-18 (주)우리아이들플러스 피부 도포량 산출 방법
KR102349294B1 (ko) * 2021-04-14 2022-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8002A1 (en) * 2001-11-30 2003-06-12 Sachiko Kitamura Pump with function of measuring fixed amount
KR101242201B1 (ko) 2012-11-29 2013-03-11 (주)민진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식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451A (ko) *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8002A1 (en) * 2001-11-30 2003-06-12 Sachiko Kitamura Pump with function of measuring fixed amount
KR101242201B1 (ko) 2012-11-29 2013-03-11 (주)민진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식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275A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452B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KR101452982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28274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CN110694152B (zh) 具有防止细菌渗入功能的药剂分配器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10233099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2459Y1 (ko)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
KR20130117027A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385944B1 (ko)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JP2021504254A (ja) パウダー吐出容器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KR101975504B1 (ko) 펌프 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