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0750B1 - 벽체형 조절분배기 - Google Patents

벽체형 조절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50B1
KR101650750B1 KR1020150036072A KR20150036072A KR101650750B1 KR 101650750 B1 KR101650750 B1 KR 101650750B1 KR 1020150036072 A KR1020150036072 A KR 1020150036072A KR 20150036072 A KR20150036072 A KR 20150036072A KR 101650750 B1 KR101650750 B1 KR 10165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fixed
box
wall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박스부재에 입력되는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기가 내장되어 분배기가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외부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습기나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벽체형 조절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이 연결되는 유입부(11) 및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분배하는 복수의 배출관(2)이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부(12)를 포함하는 분배기(10)와, 분배기(10)가 내장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는 박스부재(2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고정된 상태로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내부고정부재(30)와, 내부고정부재(30)에 분배기(10)를 체결시키는 분배기체결부재(4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에 연결된 원수공급관(1)가 관통되고,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로 박스부재(20)에 고정되는 외부마감부재(50)와, 외부마감부재(50) 및 내부고정부재(30)와 함께 박스부재(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형 조절분배기{WALL TYPE DISTRIBUTOR}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박스부재에 입력되는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기가 내장되어 분배기가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외부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습기나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벽체형 조절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증축할 경우, 건물 내부에 냉수 및 온수관을 연결하여, 욕조, 세면기, 양변기,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분배기, 바닥매립박스, 벽체매립박스 등이 사용된다.
이때,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함 내에는, 다양한 배관구조(정확하게는 유로의 형상) 예컨데, 건축물의 내부구조나 넓이 또는 용도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수전함의 내부에 마련되는 분배기를 통해 각종 사용처로 분배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수전함은 건물의 벽체 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사용처의 개수 및 사용처와 수전함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분배기에 형성된 토출구의 방향이나 개수가 결정된다.
그러나,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호스 및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냉수나 온수를 세면기나 양변기로 분배하는 호스들이 연결되는 분배기가 바닥매립박스나 벽체매립박스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지 못하여 분배기의 설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서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6996호(2006.01.17.)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벽체에 설치되는 박스부재에 입력되는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기가 내장되어 분배기가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외부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습기나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벽체형 조절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절분배기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이 연결되는 유입부(11) 및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분배하는 복수의 배출관(2)이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부(12)를 포함하는 분배기(10)와, 분배기(10)가 내장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는 박스부재(2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고정된 상태로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내부고정부재(30)와, 내부고정부재(30)에 분배기(10)를 체결시키는 분배기체결부재(4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에 연결된 원수공급관(1)가 관통되고,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로 박스부재(20)에 고정되는 외부마감부재(50)와, 외부마감부재(50) 및 내부고정부재(30)와 함께 박스부재(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절분배기는, 벽체에 설치되는 박스부재에 입력되는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기가 내장되어 분배기가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외부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습기나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박스부재에 내장되는 내부고정부재를 통해 분배기가 고정되므로 분배기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분배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배기가 내장되는 박스부재가 아우터박스와 이너박스로 구성되어 벽체의 일측과 타측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아우터박스와 이너박스의 결합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박스와 이너박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어서 벽체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벽체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벽체에 고정되는 박스부재에 입력되는 원수를 분배하는 분배기의 설치작업 및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분배기에 연결하는 연결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절분배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고정부재가 박스부재에 내장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배기가 내부고정부재에 고정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마감부재가 박스부재의 외부를 마감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아우터몸체에 이너몸체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박스부재에 적용되는 아우터몸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박스부재에 적용되는 이너몸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우터몸체에 이너몸체가 삽입된 상태의 A-A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아우터몸체에 이너몸체가 삽입된 상태의 B-B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절분배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절분배기는 분배기(10)와, 박스부재(20)와, 내부고정부재(30)와, 외부마감부재(50)와, 체결부재(60)를 포함한다.
분배기(10)는 원수(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이 연결되는 유입부(11) 및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분배하는 복수의 배출관(2)이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부(12)를 포함한다.
유입부(11)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이 나사결합 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2개의 평탄한 결합면(13)이 형성된다. 결합면(13)들이 평탄하게 형성되면서 서로 연이어지면 유입부(11)의 외형이 4각, 6각, 8각형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면(13)에는 분배기체결부재(4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5)에는 분배기체결부재(40)가 관통되는 홀이나 체결부재(6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부(12)는 수도꼭지의 호스에 원수를 분배하기 위한 배출관(2)들이 나사결합 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분배부(12)들을 통해 분배되어서 수도꼭지 및 샤워기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10)는 유입부(11)와 이격되게 추가유입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추가유입부(14)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다른 원수공급관(1)이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유입부(1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수공급관(1)가 나사결합 되어서 연결되거나 마개(16)가 나사결합 되어서 마감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부재(20)는 벽체의 일측을 통해 벽체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아우터박스(21)와, 벽체의 타측을 통해 아우터박스(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분배기(10)가 내장되는 이너박스(22)를 포함한다.
아우터박스(21)는 이너박스(22)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아우터몸체(23)와, 아우터몸체(23)의 일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아우터외측턱(24)과,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내부고정부재(30) 및 외부마감부재(50)가 고정되는 아우터내측턱(25)과, 아우터몸체(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아우터돌기(26)를 포함한다.
아우터몸체(23)는 사각의 함체형태로 형성되어 벽체에 형성되는 사각의 홀에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아우터몸체(23)는 타단의 내부폭(a1)이 일단의 내부폭(a2)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내부폭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아우터외측턱(24)은 아우터몸체(23)의 일단에서 대칭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벽체에 형성된 홀의 일측 테두리게 걸리게 된다.
아우터내측턱(25)은 체결부재(60)에 대응되도록 홀이나 나사탭이 형성되면서 아우터몸체(23)의 내측에서 귀퉁이마다 형성됨에 의해 내부고정부재(30) 및 외부마감부재(50)의 귀퉁이들이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외부마감부재(50)가 아우터내측턱(25)의 전면에 고정되고 내부고정부재(30)가 아우터내측턱(25)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고정부재(30)는 아우터몸체(23)의 내부에서 아우터내측턱(25)에 고정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외부마감부재(50)는 아우터몸체(23)의 외부에서 아우터내측턱(25)에 고정되므로 아우터몸체(2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을 폐쇄한다.
아우터돌기(26)들은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아우터몸체(23)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박스(22)는 분배기(1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너몸체(27)와, 이너몸체(27)의 타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타측에 고정되는 이너외측턱(28)과, 아우터돌기(26)에 대응되도록 이너몸체(2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너돌기(29)를 포함한다.
이너몸체(27)는 사각의 함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아우터몸체(23)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아우터몸체(23)에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이너몸체(27)는 일단의 외부폭(b1)이 타단의 외부폭(b2)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부폭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너외측턱(28)은 이너몸체(27)의 티단에서 대칭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벽체에 형성된 홀의 타측 테두리게 걸리게 된다.
아우터돌기(26)들은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이너몸체(27)의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몸체(23)를 벽체의 홀에 삽입시키고 이너몸체(27)를 벽체에 고정된 아우터몸체(23)에 삽입시키면, 이너몸체(27)의 좁은 쪽이 아우터몸체(23)의 넓은 쪽으로 삽입되므로, 아우터돌기(26)에 이너돌기(29)들이 강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경사지게 형성되는 아우터몸체(23)의 내측면과 아우터몸체(23)의 내측면에 대응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너몸체(27)의 외주면이 점차 밀착되므로, 각각의 경사진 면에 형성되는 아우터돌기(26)와 이너돌기(29)들이 강제적으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아우터몸체(23)의 아우터외측턱(24)이 벽체 홀의 일측에 걸리고 이너몸체(27)의 이너외측턱(28)이 벽체 홀의 타측에 걸리게 되어서 아우터몸체(23)와 이너몸체(27)가 벽체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몸체(23) 및 이너몸체(27)가 벽체의 양측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의해 두껍거나 얇은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면서 벽체의 표면에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12)에 연결된 배출관(2)이 관통된 상태로 이너박스(22)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이너마감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마감부(70)는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이너박스(22)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배출관(2)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마감부(70)에 의해 이너몸체(27)의 내부공간이 마감되고, 외부마감부재(50)에 의해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이 마감되므로, 박스부재(20)의 전면으로 원수공급관(1)이 돌출되고 박스부재(20)의 후면으로 배출관(2)이 돌출되지만 분배기(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고정부재(30)는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관통되어서 고정되고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에 고정된다.
이러한, 내부고정부재(30)는 평판형태의 내부판재(31)와, 내부판재(3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부(32)와, 삽입부(32)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유입부(11)에 형성된 체결돌기(15)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돌기삽입부(33)를 포함한다.
내부판재(31)는 박스부재(2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내부판재(31)는 체결부재(60)에 대응되도록 외측에 홀이나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2)는 내부판재(3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되면서 유입부(11)의 결합면(13)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2개의 평탄한 삽입면(34)이 형성된다. 이러한, 평탄한 삽입면(34)이 내주면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삽입부(32)의 내주면이 4각, 6각, 8각 등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4각, 6각, 8각 등으로 형성되는 유입부(11)가 삽입부(32)에 삽입되어서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삽입부(32)에 삽입되면 결합면(13)이 삽입면(34)에 접촉되므로 유입부(11)가 삽입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돌기삽입부(33)는 체결돌기(15)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므로 삽입부(32)에 삽입된 유입부(11)의 회전이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삽입부(33)에는 체결돌기(15)에 체결되는 분배기체결부재(40)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15)가 돌기삽입부(33)에 삽입되면 유입부(11)가 삽입부(3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삽입부(32)에 삽입됨과 동시에 체결돌기(15)도 돌기삽입부(33)에 삽입되어, 유입부(11)가 회전되거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분배기체결부재(40)가 체결돌기(15)에 체결되면 분배기(10)가 내부고정부재(30)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분배기체결부재(40)는 내부고정부재(30)에 분배기(10)를 체결시키는 것으로,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배기체결부재(40)가 볼트로 구성되면 내부고정부재(30)의 홀을 관통하여서 유입부(11)의 체결돌기(15)에 형성된 나사탭에 나사결합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내부고정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체결부재(40)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면 내부고정부재(30)의 홀과 유입부(11)의 체결돌기(15)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볼트가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내부고정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마감부재(50)는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외부에 노출되게 하면서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로 박스부재(20)에 고정되는 것으로,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마감부재(50)는 판재형태로 형성됨에 의해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할 수 있고, 관통홀을 통해 원수공급관(1)이 관통되어서 분배기(10)의 유입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60)는 외부마감부재(50) 및 내부고정부재(30)를 관통하면서 분배기(10)와 함께 박스부재(20)에 체결되는 것으로,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60)가 외부마감부재(50)를 관통하고 아우터내측턱(25)을 관통하면서 내부고정부재(30)의 나사탭에 나사결합 된다. 즉, 체결부재(60)에 의해 분배기(10)가 고정된 내부고정부재(30)와 외부마감부재(50)가 박스부재(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고정부재(30)가 아우터내측턱(25)의 후면에 밀착되고 외부마감부재(50)가 아우터내측턱(25)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부재(60)에 의해 아우터내측턱(25)에 고정되거나, 내부고정부재(30)와 외부마감부재(50)는 겹쳐진 상태로 체결부재(60)에 의해 아우터내측턱(25)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고정부재(30)에 분배기(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원수공급관(1)과 배출관(2)이 연결된 후에 외부마감부재(50)에 의해 박스부재(20)가 마감될 수 있어서, 분배기(10)의 설치작업 및 원수공급관(1)과 배출관(2)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원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기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몸체(27)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분배기(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부공간에서 양측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부(80)는 이너몸체(27)의 내주면에서 양측에 서로 마주되면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10)의 양단이 가이드부(8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80)는 내부고정부재(30)에 형성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관통되는 부분인 삽입부(32)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이너몸체(27)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10)가 가이드부(80)를 따라 이동하면 유입부(11)가 삽입부(32)에 일치될 수 있다. 즉, 삽입부(32)에 유입부(11)가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유입부(11)의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원수공급관 2 : 배출관
10 : 분배기 11 : 유입부
12 : 분배부 13 : 결합면
14 : 추가유입부 15 : 체결돌기
16 : 마개 20 : 박스부재
21 : 아우터박스 22 : 이너박스
23 : 아우터몸체 24 : 아우터외측턱
25 : 아우터내측턱 26 : 아우터돌기
27 : 이너몸체 28 : 이너외측턱
29 : 이너돌기 30 : 내부고정부재
31 : 내부판재 32 : 삽입부
33 : 돌기삽입부 34 : 삽입면
40 : 분배기체결부재 50 : 외부마감부재
60 : 체결부재 70 : 이너마감부
a1 : 아우터몸체 타단의 내부폭
a2 : 아우터몸체 일단의 내부폭
b1 : 이너몸체 일단의 외부폭
b2 : 이너몸체 타단의 외부폭

Claims (8)

  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이 연결되는 유입부(11) 및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분배하는 복수의 배출관(2)이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부(12)를 포함하는 분배기(10)와,
    분배기(10)가 내장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는 박스부재(2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고정된 상태로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내부고정부재(30)와,
    내부고정부재(30)에 분배기(10)를 체결시키는 분배기체결부재(40)와,
    분배기(10)의 유입부(11)에 연결된 원수공급관(1)가 관통되고, 박스부재(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로 박스부재(20)에 고정되는 외부마감부재(50)와,
    외부마감부재(50) 및 내부고정부재(30)와 함께 박스부재(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며,
    유입부(11)는 외주면에 분배기체결부재(4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15)가 형성되고,
    내부고정부재(30)는
    평판형태의 내부판재(31)와,
    내부판재(3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부(32)와,
    삽입부(32)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유입부(11)에 형성된 체결돌기(15)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돌기삽입부(33)를 포함하고,
    유입부(11)는 외주면에 적어도 2개의 평탄한 결합면(13)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삽입부(32)는 유입부(11)의 결합면(13)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2개의 평탄한 삽입면(34)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박스부재(20)는 벽체의 일측을 통해 벽체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아우터박스(21)와, 벽체의 타측을 통해 아우터박스(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분배기(10)가 내장되는 이너박스(22)를 포함하며,
    아우터박스(21)는
    이너박스(22)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아우터몸체(23)와,
    아우터몸체(23)의 일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아우터외측턱(24)과,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내부고정부재(30) 및 외부마감부재(50)가 고정되는 아우터내측턱(25)과,
    아우터몸체(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아우터돌기(26)를 포함하고,
    이너박스(22)는
    분배기(1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고 아우터몸체(23)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너몸체(27)와,
    이너몸체(27)의 타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타측에 고정되는 이너외측턱(28)과,
    아우터돌기(26)에 대응되도록 이너몸체(2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너돌기(29)를 포함하고,
    내부고정부재(30)가 아우터내측턱(25)의 후면에 고정되며,
    외부마감부재(50)가 아우터내측턱(25)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절분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몸체(23)는 타단의 내부폭(a1)이 일단의 내부폭(a2)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너몸체(27)는 일단의 외부폭(b1)이 타단의 외부폭(b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절분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너몸체(27)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분배기(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부공간에서 양측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절분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80)는 내부고정부재(30)에 형성되어 분배기(10)의 유입부(11)가 관통되는 부분의 양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절분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배부(12)에 연결된 배출관(2)이 관통된 상태로 이너박스(22)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이너마감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절분배기.
KR1020150036072A 2015-03-16 2015-03-16 벽체형 조절분배기 Active KR10165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72A KR101650750B1 (ko) 2015-03-16 2015-03-16 벽체형 조절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72A KR101650750B1 (ko) 2015-03-16 2015-03-16 벽체형 조절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750B1 true KR101650750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072A Active KR101650750B1 (ko) 2015-03-16 2015-03-16 벽체형 조절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9A (ko) *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97Y1 (ko) * 2002-08-28 2002-11-22 임관섭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70065764A (ko) * 2006-03-21 2007-06-25 장승연 다용도 코크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97Y1 (ko) * 2002-08-28 2002-11-22 임관섭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70065764A (ko) * 2006-03-21 2007-06-25 장승연 다용도 코크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9A (ko) *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KR102570031B1 (ko) 2021-09-08 2023-08-23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175B2 (en) Fixing structure of faucet
EP2937476A1 (en) An embedded faucet assembly
US20170059053A1 (en) Valve body rough-in guide
US2005012721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KR101650750B1 (ko) 벽체형 조절분배기
US2832080A (en) Prefabricated valve and drain unit
US20180045344A1 (en) Plumb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 Tail Piece to a Waste Pipe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JP5305188B1 (ja) 水槽付き家具及び水槽付き家具への水栓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1170126B1 (ko) 슬림형 오픈커버
KR20210025770A (ko) 수전박스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1975449B1 (ko) 분배기와 밸브의 체결구조
KR101703241B1 (ko)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930003712Y1 (ko) 냉온수 혼합밸브 체결구
KR102690924B1 (ko) 다분기 수전 유닛
KR102626941B1 (ko) 수전박스용 연장구
KR20120000619U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0863982B1 (ko) 수전 연결구
JP6402955B2 (ja) 水槽付き家具への水栓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20190052574A (ko) 천정매립형 샤워장치를 구비하는 화장실 시공방법
KR20070006185A (ko) 수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