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0682B1 -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 Google Patents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82B1
KR101650682B1 KR1020160029433A KR20160029433A KR101650682B1 KR 101650682 B1 KR101650682 B1 KR 101650682B1 KR 1020160029433 A KR1020160029433 A KR 1020160029433A KR 20160029433 A KR20160029433 A KR 20160029433A KR 101650682 B1 KR101650682 B1 KR 10165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lete delete
hollow portion
toile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주
장창대
Original Assignee
장광주
장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주, 장창대 filed Critical 장광주
Priority to KR102016002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물의 사용 없이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해당 내부공간이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뿐만 아니라 대소변 저장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의 적극적인 차단과 함께 이로부터 유발되는 파리 유충 등에 소정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살충 기능 또한 병행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오물을 수용하는 중공부(11)와, 중공부를 지면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12)와, 중공부로부터 지지부 저면까지 연직하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오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13)와, 중공부를 차폐하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커버(15)를 포함하는 몸체(10);와, 오물의 배출 경로를 확보하면서 중공부(11)로부터 배출부(13)에 이르는 해당 내면이 오물과 접촉되지 않게 유도하는 내피부재(20);와, 중공부(11)와 지지부(12) 상간에 개재되고, 상하 회동 움직임에 의하여 내피부재의 관통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수단(3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The hygiene toilet that do not use water}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사용 없이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해당 내부공간이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뿐만 아니라 대소변 저장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의 적극적인 차단과 함께 이로부터 유발되는 파리 유충 등에 소정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살충 기능 또한 병행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양변기라 함은 사용자가 걸터앉아 대소변을 보는 서양식 좌식 변기로써 용변 후 대소변을 배출은 물론 내부에 묻거나 잔존하는 오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세식 변기를 일컫는다.
근래 들어서는 자원 절약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절수형 양변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0476918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가 게재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물탱크의 본체 내부를 격벽에 의해 2개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한 후 용도에 따라 양변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선택하는 관련 기술사상의 도입으로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기존 양변기의 물탱크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보유한다.
다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0464491호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가 게재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소음을 줄이기 위한 사이포닉 방식의 양변기 물통 상부에 외부로 노출된 누름판이 구비되고, 위 누름판은 대·소변을 구별하여 선택적인 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대변용 누름판과 소변용 누름판이 구비되며, 각 누름판은 작동부와 연결되어 배수 시 물의 양을 조절하여 선택적인 배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선행기술들은 대변과 소변을 배출하기 위하여 각 격벽에 저장량이 다른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양변기에 비해 절수를 기대할 수 있으나, 기존의 물탱크를 절반으로 분할 사용하는 운용상의 불가피함에 기인하여 수압이 낮아지는 등 용변 배출 시 요구되는 적정 수준의 수압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의 궁극적인 해결 방안으로는 애초에 물의 사용이 배제된 형태의 양변기가 해답일 것인바, 그럼에도 현재까지 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하고 또 양변기의 위생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되는 기술사상을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관련 기술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918호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491호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본 발명은 위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 실시하되 대변과 소변의 분리 배출이 적극 유도되는 소정의 경로를 종래와 차별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이 도모되는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더불어 대변과 소변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로부터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반 구성을 취할 뿐 아니라 수용된 대변이 저장탱크로부터 보다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관련 구조의 채택으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고, 나아가 파리 유충 등의 퇴치 기능을 비롯하여 대·소변의 퇴비화를 구현할 수 있는 양변기의 제공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양변기(1)는 오물을 수용하는 중공부(11)와, 중공부를 지면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12)와, 중공부로부터 지지부 저면까지 연직 하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오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13)와, 중공부를 차폐하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커버(15)를 포함하는 몸체(10);와, 오물의 배출 경로를 확보하면서 중공부(11)로부터 배출부(13)에 이르는 해당 내면이 오물과 접촉되지 않게 유도하는 내피부재(20);와, 중공부(11)와 지지부(12) 상간에 개재되고, 상하 회동 움직임에 의하여 내피부재의 관통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수단(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 내피부재(20)는 중공부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고정링(21)과, 양단이 관통되고 일측을 고정링에 구속하는 비닐(22)로 구성되고, 비닐의 내부공간으로 고정링을 진입시킨 뒤 비닐의 일측 단부를 고정링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위 내피부재(20)는 중공부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고정링(21)과, 양단이 관통되고 일측을 고정링에 구속하는 비닐(22)과, 비닐의 타측에 구속되는 스프링추(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내피부재(20)는 비닐(22)의 내부공간으로 스프링추(23)를 진입시킨 뒤 비닐의 일측 단부를 스프링추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위치 고정하되, 스프링추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비닐의 일측 단부를 비닐의 타측 단부까지 삽입시켜 2겹으로 구성하고, 2겹이 된 타측 단부를 고정링(2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한 뒤 고정링의 내부공간으로 통과된 두 겹의 비닐을 고정링의 외측으로 뒤집음으로써 비닐의 양단을 고정링과 스프링추로 위치 고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위 몸체(10)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하여 중공부(11)상에 형성되는 출수구(18)와, 출수구와 서로 내통되고 소변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공부 상에 삽입 안착되는 내부커버(16)를 포함한다.
또한, 위 내부커버(16)는 출수구 방향으로 소변의 이동이 유도되도록 단차가 더 형성된 소변분리홈(1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수단(30)은 배출부(13) 내지 내피부재(20)의 경로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하 회동되는 차단판(31)과, 차단판의 일면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축(32)과, 외축 단부에서 하중을 유발하는 무게추(33)와, 차단판과 외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개재되어 외축의 움직임을 차단판에 전달하는 회전축(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수단(30)은 지지부(12)의 양측에서 2개 1조의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무게추(33)와 커버(15)에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고리(35)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36)를 상간 체결함으로써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차단수단의 움직임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수단(30)은 2개 1조의 차단판(31) 중 어느 1개소를 다른 1개소에 비해 면적 내지 길이가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회동시 어느 1개소의 공간상에 다른 1개소가 교차 배치됨에 따라 상호 회동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게 한다.
또한, 위 차단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12)를 지탱하는 바닥면(2)에서 내피부재(20)의 비닐(22)이 통과되도록 관통홀(42)이 일측으로 편심 형성된 2개 1조의 락킹판(41)을 상하 적층하되, 1개소를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락킹판(41)의 각단부와 커버(15)에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고리(35)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36)를 상간 체결함으로써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락킹판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관통홀(42)이 통과된 비닐(2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냄새를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위 락킹판(41)은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된 락킹판(41)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바닥면(2)과 스프링(43)으로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 배출부(13)는 각 세대별로 발생하는 오물이 공유탱크(4)로 집합되게 유도하는 수직공유관(3)까지 연결되고, 양변기(1)가 설치된 바닥면(2)부터 수직공유관에 이르는 구간으로 다수의 천공홀(50)을 더 형성하여 에어 분사에 기인한 오물의 부상상태가 유도됨에 따라 해당 오물이 수직공유관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또한, 위 배출부(13)는 바닥면(2)을 기준으로 수직공유관(3)에 이르기까지 폭이 점차 협소해지는 것을 포함하고, 위 천공홀(50)은 바닥면(2)을 기준으로 수직공유관(3)에 이르기까지 각도가 점차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차별되게 형성하여 배출부(13)로부터 수직으로 자유낙하하는 대변을 점차 수평방향으로 변환하여 수직공유관(3)으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위 몸체(10) 하부에 대변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가 더 포함되고, 위 저장탱크(60)는 대변을 저장하는 저장조(61)와, 저장조상에 고정 삽입되는 내피커버(62)와, 내피커버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대변 배출을 위한 내피커버의 역전 행위시 해당 내피커버의 상하 움직임 제어와 함께 이탈을 방지하는 분리수단(63)과, 저장조 저부에서 4개 1조로 구비되는 캐스터(64)와, 저장조를 차폐하는 탱크커버(65)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위 탱크커버(65)는 사이클론 형상의 유도라인(66) 및 유도라인 단부에 위치되는 제거수단(67)을 더 형성함으로써 유도라인이 제공하는 공간상으로 저장조(61)에서 발생한 파리 유충을 진입 유도하여 제거수단에 의해 살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의 사용 없이도 양변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물 자원의 낭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반 구조가 제공되면서도 기존 담수통 내지 사이클론 구조의 설치 등이 불필요하게 되는바 제작의 간소화로 관련 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로 인해 운반과 설치가 극히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는 대변과 소변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뿐만 아니라 수용된 대변이 저장탱크로부터 보다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관련 구조의 채택으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기에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대소변 저장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의 적극적인 차단과 함께 이로부터 유발되는 파리 유충 등에 소정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살충 기능 또한 병행 실시되므로 고 단백질의 재료 획득과 함께 대·소변의 퇴비화를 적극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물 없이 사용하는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내피부재가 중공부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내피부재의 조립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내피부재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중공부에 내부커버가 결합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
도 7은 커버와 차단수단이 연동되어 차단수단의 회동이 실시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차단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배출부에 천공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배출부가 수직공유관에 연결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저장탱크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13의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물의 사용 없이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해당 내부공간이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뿐만 아니라 대소변 저장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의 적극적인 차단과 함께 이로부터 유발되는 파리 유충 등에 소정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살충 기능 또한 병행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물 없이도 양변기의 내부공간을 위생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으며, 특히 물을 저장하는 담수통과 오물의 배출을 돕는 사이클론 부가 제거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제작이 간단하며 무게가 경량화되어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양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양변기의 구조는 크게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10);와, 오물이 양변기 내부에 닿는 것을 차단하는 내피부재(20);와, 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수단(30);와, 배출된 오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로 구성된다.
위 몸체(10);는 오물을 수용하는 중공부(11)와, 중공부를 지면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12)와, 중공부로부터 지지부 저면까지 연직하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하는 배출부(13)와, 중공부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14)와, 시트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중공부를 차폐하는 커버(15)로 구성된다.
도 2는 고정링과 비닐이 결합된 내피부재가 몸체의 중공부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4는 고정링과 비닐의 다양한 조립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내피부재(20)의 구성으로는 몸체(10)의 중공부(11)에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링(21)과, 배설된 오물이 양변기 내부에 묻지 않고 저장탱크로 이동을 유도하는 비닐(22)과, 비닐의 내부공간을 상시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스프링추(23)로 이루어진다.
위 고정링(21)은 중공부(11)상에 안착될 수 있는 지름을 갖는 원형의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더불어 몸체(10)의 중공부(11)상에 고정링과 대응하는 형상의 위치결정홈(19-1)을 더 구비함으로써 고정링(21)은 해당 위치 내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위 비닐(22)은 오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양단이 관통된 터널 형태를 가지며 고정링(21)의 일 측에 결합되어 몸체(10)의 중공부(11)에 설치되고, 특히 중공부(11)에서부터 배출구(13)의 저부에 이르는 구간까지 설치됨에 따라 배설된 오물이 양변기의 내부에 묻지 않게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위 비닐(22)은 사용 후 교체에 부담이 없는 비닐(viny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 재질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 스프링추(23)는 용수철의 양측 단부를 서로 맞닿아 원형의 고리형상을 갖도록 한 형태로써, 특히 몸체(10)의 중공부(11)에서 배출부(13)의 저부까지 일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배출부(13)의 내부공간에 비해 다소 협소한 크기로 구성된다.
다만, 위 스프링추(23)의 구성에 용수철을 이용한 것은 비닐의 일측 단부가 용수철로부터 탄성력을 얻기 위함이며, 이로부터 유추할 수 있듯이 스프링추를 구성하는 것은 용수철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단순히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인 고무나 젤라틴 등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되는 내피부재(20)는 고정링(21)과 비닐(22) 그리고 스프링추(23)를 일괄적으로 결합한 것으로, 중공부(11)상에서 배출부(13)의 저부에 이르는 구간까지 안착되어 낙하하는 오물이 몸체(10) 내부에 묻거나 튀지 않게 비닐의 내부공간으로 유도하면서 배출부로 자유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아래 후술할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고정링(21)과 비닐(22)을 사용하여 내피부재(20)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3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부재(20)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비닐(22)의 일측을 고정링(21)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오므려 고정링의 내부공간으로 일정 거리만큼 통과시킨 뒤, 통과된 비닐의 일측을 고정링의 바깥방향으로 뒤집어 위치 고정한다.
내피부재(20)를 구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22)의 내부공간으로 일정거리만큼 고정링(21)을 삽입하고, 비닐의 일측 단부를 삽입된 고정링의 내부공간으로 뒤집어 진입시켜 위치 고정한다.
더불어 도 3 내지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링(21)에 비닐(22)을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링의 내부공간 또는 바깥방향으로 뒤집힌 비닐의 일측 단부를 비닐의 타측 단부까지 이동시켜 두 겹으로 구성하고, 스프링추(23)의 내부공간으로 두 겹이 된 비닐의 단부를 진입시킨 다음 스프링추의 바깥방향으로 뒤집어 위치 고정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내피부재(20)는 비닐(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의 고정링(21)과 스프링추(23)가 위치 고정되어 상시 개방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낙하하는 오물을 비닐의 내부공간으로 유도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중공부에 내부커버가 결합되는 단면도로써, 몸체의 중공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내부커버가 중공부상에 안착되되, 중공부와 내부커버 상간에 내피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더불어 중공부상에서 몸체의 외부로 관통형성되는 출수구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커버의 출수구를 포함함으로써 대변과 소변의 분리 배출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중공부(11)상에서 몸체의 외부로 관통형성되는 출수구(18)가 더 구비되고,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출수구에 소변저장탱크로 유도하는 호스가 삽입됨에 따라 대변과 분리된 소변이 출수구를 통해 호스가 제공하는 통로를 타고 소변저장탱크로 배출된다.
한편, 몸체(10)의 중공부(11)상에는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부의 내부공간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으며, 중공부의 내부공간에 안착하는 내부커버(16)를 더 포함하고, 더불어 위 내부커버(16)는 중공부(11)에 구비된 출수구(18)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출수구(18)가 더 구비되되, 내부커버에 형성된 출수구의 외경을 중공부의 출수구의 내경과 대응되게 구비하여 내부커버의 출수구를 중공부의 출수구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하였다.
특히 내부커버(16)는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되는 소변을 일 측에 위치한 출수구(18)로 흐름을 유도하도록 출수구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소변분리홈(17)이 더 포함되며, 위 소변분리홈(17)은 'U'자, 'V'자 등 소변의 흐름을 유도하게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의 방향은 내부커버의 일 측 정면을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단차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소변이 출수구(18)로 모이도록 유도한다.
더불어 위 내부커버(16)는 몸체(10)의 중공부(11)상에서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세척하여 상시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커버(16)의 저부에는 중공부(11)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9-1)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고정홈(19-2)을 더 포함하여 중공부의 위치결정홈에 안착된 고정링(21)의 상부를 위치 고정함으로써 내피부재(20)를 더욱 견고하게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1의 단면도로써, 몸체의 중공부, 지지부, 배출부의 내부구조와 지지부의 양측에 차단수단이 위치 결속된 것을 나타내었고, 도 7은 커버와 차단수단이 와이어로 연동되어 커버의 차폐에 따라 차단수단이 상하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커버의 차폐에 의해 2개 1조의 차단수단이 회동되어 서로 교차 배치됨에 따라 내피부재의 일부를 함축하여 악취가 내피부재의 내부공간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 7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차단수단이 커버에 의해 회동이 실시되어 상호 교차 배치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변기를 물로 세척하지 않기 때문에, 용변 후 내피부재(20)에 묻은 오물과 저장탱크로부터 악취가 발생하여 외부로 역류할 수 있기에 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상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차단수단(30)이 구비된다.
위 차단수단(30)은 배출부(13) 내지 내피부재(20)의 경로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하 회동되는 차단판(31)과, 차단판의 일면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축(32)과, 외축 단부에서 하중을 유발하는 무게추(33)와, 차단판과 외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개재되어 외축의 움직임을 차단판에 전달하는 회전축(34)으로 구성된다.
위 차단수단(30)은 중공부(11)와 지지부(12) 상간에 개재되고, 상하 회동 움직임에 의하여 내피부재(20)의 관통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내피부재에 묻은 오물이나 오물이 저장되는 탱크로부터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 내지 8과 같이 차단수단(30)은 지지부(12)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2개 1조로 구성하면서, 무게추(33)의 상단과 커버(15)의 양측에 연결고리(35)를 각각 형성하여 와이어(36)로 연결한다. 커버와 와이어로 연결된 차단수단은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일정각도만큼 회동이 실시된다.
한편, 차단수단(30)은 2개 1조의 차단판(31) 중 어느 1개소를 다른 1개소에 비해 면적 내지 길이가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회동시 어느 1개소의 공간상에 다른 1개소가 교차 배치됨에 따라 상호 회동에 의한 간섭이 방지한다.
다시 말해 차단판(31)이 동일한 크기로 구비된다면 양측의 차단판이 동시에 회동이 실시되면서 차단판의 단부가 서로 맞닿기 때문에 지정된 위치까지 회동할 수 없고, 더불어 내피부재(20)를 올바르게 차단할 수 없다.
반면, 양측의 면적 내지 길이가 서로 상이한 차단판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면적 내지 길이가 큰 차단판의 상면으로 면적 내지 길이가 작은 차단판의 단부가 위치 교차되어 내피부재를 구속할 수 있는 면적을 극대화한다.
한편, 몸체(10)의 양측 바깥면, 즉 무게추(33)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보조고리가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무게추에 형성된 연결고리(35)로부터 보조고리를 통과하여 커버의 연결고리까지 와이어(36)를 연결함으로써, 커버의 회동시 와이어가 대각선으로 당겨지는 진행방향을 수직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변환시켜 차단수단(30)의 상하 회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9는 차단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도이다.
실시 예에 의한 또 다른 차단수단(30)은 지지부(12)를 지탱하는 바닥면(2)에서 내피부재(20)의 비닐(22)이 통과되도록 관통홀(42)이 일측으로 편심 형성된 2개 1조의 락킹판(41)을 상하 적층하되, 1개소를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락킹판(41)의 각단부와 커버(15)에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고리(35)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36)를 상간 체결함으로써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락킹판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관통홀(42)이 통과된 비닐(2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냄새를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위 락킹판(41)이 바닥면(2)에서 좌우로의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락킹판의 이동경로에 슬라이드 홈이 더 형성된다.
더불어 락킹판(41)은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된 락킹판(41)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바닥면(2)과 스프링(43)으로 상호 체결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세대 주택에서는 각 가구당 배출되는 오물을 공유탱크(4)로 집합을 유도하는 수직 공유관(3)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양변기(1) 배출부(13)는 수직 공유관(3)까지 연결된다. 위 배출부(13)는 도면과 같이 'ㄴ'자 형태로 연장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진 않으며, 바닥면(2)에서 수직 공유관(3)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밴딩된 형상으로 폭이 점차 협소해지는 형태를 갖으나 이 또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위 배출부(13)는 양변기(1)가 설치된 바닥면(2)부터 수직공유관에 이르는 구간으로 다수의 천공홀(50)을 더 형성하되, 위 천공홀(50)은 바닥면(2)을 기준으로 수직공유관(3)에 이르기까지 각도가 점차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차별되게 형성하여, 배출부(13)로부터 수직으로 자유낙하하는 대변을 점차 수평방향으로 변환하여 수직공유관(3)으로 부상한 상태를 유도하여 배출한다.
도 13은 저장탱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몸체(10) 하부에 대변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가 더 구비된다. 위 저장탱크(60)는 중공의 내부공간을 갖는 저장조(61)와, 저장조 내부에 안착되는 내피커버(62)와, 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진입되어 내피커버에 구속되는 분리수단(63)과, 저장조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는 캐스터(64)와, 저장조의 상단을 차폐하는 탱크커버(6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위 저장조(61)는 대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 형태의 파지부를 구비하여 대변이 수용된 저장조를 손쉽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 내피커버(62)는 저장조(61)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으며 대변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수용부상에 안착된다. 특히, 개구부의 양단을 저장조 상단 양측에 고정하여 내피커버가 저장조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성하였다.
위 분리수단(63)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끈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에 기재하였듯이 분리수단(63)은 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진입하여 저장조 내부공간에 삽입 안착된 내피커버(62)의 중심부에 구속된다. 한편, 저장조(61)는 중심부에 관통된 홀을 더 구비함으로써, 분리수단이 외부에서 저장조의 관통된 홀을 통해 저장조 내부공간에 삽입 안착된 내피커버와 구속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분리수단(63)은 저장조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저장조에 쌓인 대변을 제거하기 위해 저장탱크를 뒤집었을 때, 내피커버가 저장조의 내부공간에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수분이 결부된 반건조 상태의 대변은 자체적으로 응집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대변과 내피커버 간의 밀착력이 증대함에 따라 분리가 어려워지므로, 저장조의 외부로 노출된 분리수단(63)을 파지한 후 상하로 반복적인 위치 이동을 실시하여 대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유도한다.
위 캐스터(64)는 대변이 가득 쌓인 저장조(61)를 배출장소로 쉽게 운반하기 위해 저장조의 저부에 4개 1조로 구비된다.
위 탱크커버(65)는 저장조(61)에서 발생한 파리 유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사이클론 형상의 유도라인(66) 및 유도라인 단부에 위치되는 제거수단(67)을 더 형성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라인(66)은 탱크커버(65)의 측면을 중심부 방향으로 약 1.5바퀴 이상 만곡시킨 사이클론형태를 갖음으로써, 저장조(61)와 탱크커버의 측벽을 타고 올라온 파리 유충이 유도라인의 단부에 설치된 제거수단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저장조(61)에서 배양된 파리 유충은 저장조(61)의 측벽을 타고 탱크커버의 측벽을 지나 유도라인으로 진입하고, 유도라인이 만곡된 단부까지 이동한 파리 유충은 단부로부터 낙하되어 유도라인 내부공간으로 착지한다. 유도라인의 내부공간으로 착지된 파리 유충은 유도라인이 제공하는 통로를 따라 제거수단이 설치된 지점까지 이동하여 살충된다.
한편, 제거수단(67)은 시중에 판매하는 다양한 살충제 또는 살충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충격기를 사용하여 살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양변기는 용변의 배출 또는 세척을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의 악화를 예방하며, 배출 또는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용변과 섞이지 않음은 물론,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오물의 부피가 작고 퇴비화에 적당하다. 또한, 양변기의 구조에서 몸체에 물을 저장하는 담수통이 제거됨은 물론, 이로부터 물을 이용해 오물을 배출할 때 낙차력과 흡입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이클론부도 제거됨으로써, 양변기의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감소하면서 무게가 경량화되어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양변기 2. 바닥면
3. 수직공유관 4. 공유탱크
10. 몸체 11. 중공부
12. 지지부 13. 배출부
14. 시트 15. 커버
16. 내부커버 17. 소변분리홈
18. 출수구 19-1. 위치결정홈
19-2. 고정홈 20. 내피부재
21. 고정링 22. 비닐
23. 스프링추 30. 차단수단
31. 차단판 32. 외축
33. 무게추 34. 회전축
35. 연결고리 36. 와이어
37. 보조고리 41. 락킹판
42. 관통홀 43. 스프링
50. 천공홀 60. 저장탱크
61. 저장조 62. 내피커버
63. 분리수단 64. 캐스터
65. 탱크커버 66. 유도라인
67. 제거수단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오물을 수용하는 중공부(11)와, 중공부를 지면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12)와, 중공부로부터 지지부 저면까지 연직하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오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13)와, 중공부를 차폐하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커버(15)를 포함하는 몸체(10); 오물의 배출 경로를 확보하면서 중공부(11)로부터 배출부(13)에 이르는 해당 내면이 오물과 접촉되지 않게 유도하는 내피부재(20); 중공부(11)와 지지부(12) 상간에 개재되고, 상하 회동 움직임에 의하여 내피부재의 관통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수단(30);으로 구성되고, 위 몸체(10) 하부에 대변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가 더 포함되고, 위 저장탱크(60)는 대변을 저장하는 저장조(61)와, 저장조상에 고정 삽입되는 내피커버(62)와, 내피커버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대변 배출을 위한 내피커버의 역전 행위시 해당 내피커버의 상하 움직임 제어와 함께 이탈을 방지하는 분리수단(63)과, 저장조 저부에서 4개 1조로 구비되는 캐스터(64)와, 저장조를 차폐하는 탱크커버(65)로 구성되는 위생 양변기에 있어서,
    위 차단수단(30)은 지지부(12)를 지탱하는 바닥면(2)에서 내피부재(20)의 비닐(22)이 통과되도록 관통홀(42)이 일측으로 편심 형성된 2개 1조의 락킹판(41)을 상하 적층하되, 1개소를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락킹판(41)의 각 단부와 커버(15)에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고리(35)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36)를 상간 체결함으로써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락킹판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관통홀(42)이 통과된 비닐(2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냄새를 차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위 락킹판(41)은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된 락킹판(41)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바닥면(2)과 스프링(43)으로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위 탱크커버(65)는 사이클론 형상의 유도라인(66) 및 유도라인 단부에 위치되는 제거수단(67)을 더 형성함으로써 유도라인이 제공하는 공간상으로 저장조(61)에서 발생한 파리 유충을 진입 유도하여 제거수단에 의해 살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KR1020160029433A 2016-03-11 2016-03-11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5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33A KR101650682B1 (ko) 2016-03-11 2016-03-11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33A KR101650682B1 (ko) 2016-03-11 2016-03-11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682B1 true KR101650682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0682B1 (ko) 2016-03-11 2016-03-11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138A (zh) * 2020-08-24 2022-05-20 梅迪恩维科技 排泄物自动处理装置
US20250051010A1 (en) * 2023-08-07 2025-02-13 Hamilton Sund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Human waste collection system, for zero-gravity conditions, that automatically closes a used waste bag segment and provides an unused waste bag segment from operation of a seat and flush actua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492U (ja) * 1993-03-30 1994-10-11 仁太郎 石井 携帯便器用用便収納袋
JPH07204123A (ja) * 1994-01-14 1995-08-08 Masayuki Nakaya 密封式トイレ
JPH0919386A (ja) * 1995-07-04 1997-01-21 Asahi House Kogyo Kk 便器排出口用蓋材
KR200464491Y1 (ko) 2011-02-28 2013-01-08 (주)가인산업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KR20140001329U (ko) * 2012-08-23 2014-03-06 장광주 물 없는 변기
KR200476918Y1 (ko) 2014-10-06 2015-04-14 권우득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492U (ja) * 1993-03-30 1994-10-11 仁太郎 石井 携帯便器用用便収納袋
JPH07204123A (ja) * 1994-01-14 1995-08-08 Masayuki Nakaya 密封式トイレ
JPH0919386A (ja) * 1995-07-04 1997-01-21 Asahi House Kogyo Kk 便器排出口用蓋材
KR200464491Y1 (ko) 2011-02-28 2013-01-08 (주)가인산업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KR20140001329U (ko) * 2012-08-23 2014-03-06 장광주 물 없는 변기
KR200476918Y1 (ko) 2014-10-06 2015-04-14 권우득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138A (zh) * 2020-08-24 2022-05-20 梅迪恩维科技 排泄物自动处理装置
CN114521138B (zh) * 2020-08-24 2024-04-12 梅迪恩维科技 排泄物自动处理装置
US20250051010A1 (en) * 2023-08-07 2025-02-13 Hamilton Sund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Human waste collection system, for zero-gravity conditions, that automatically closes a used waste bag segment and provides an unused waste bag segment from operation of a seat and flush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612B2 (en) Device introduced in toilet for pets
US7096823B1 (en) Pet waste collection apparatus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US20170009440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KR102372625B1 (ko)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130028819A (ko)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101650682B1 (ko)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US20160029858A1 (en) Adult and child vehicle porter potty seating
CN205597839U (zh) 一种环保喷气马桶
FI100477B (fi) WC- ja saniteettilaitteisto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CN213881300U (zh) 一种防臭猫厕所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190060730A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설물(排泄物) 처리장치
CN108712873A (zh) 带保洁和健康冲洗的免水冲、粪尿分集便器
JP2000188988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20220105836A (ko) 휴대용 보조 소변기
JP3083170U (ja) ペット用便器
KR100989201B1 (ko) 매립형 양변기
KR20200121136A (ko) 반려동물의 변기
RU10511U1 (ru) Туалет для комнатных животных (варианты)
KR102719652B1 (ko)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