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536B1 - Portable toddler potty - Google Patents
Portable toddler pot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0536B1 KR101650536B1 KR1020150029040A KR20150029040A KR101650536B1 KR 101650536 B1 KR101650536 B1 KR 101650536B1 KR 1020150029040 A KR1020150029040 A KR 1020150029040A KR 20150029040 A KR20150029040 A KR 20150029040A KR 101650536 B1 KR101650536 B1 KR 101650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ortion
- support
- present
- portable
- hinge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 휴대형 유아 변기에 따르면, 일측면에 제1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제1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 일측면에 제2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제2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돌출부가 끝단부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오목홈과 제2오목홈이 마주보고 상기 제1지지부의 삽입부에 제2지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양단부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지면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필요시 변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와 받침부를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내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필요시 간편하게 지지부와 받침부를 펼쳐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편한 휴대형 유아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ant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form a first concave groove on one side thereof;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econd radiu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form a second recessed groove on one side thereof, and a protrud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hing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wherein a protrus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when the first concave groove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face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rotated about the protruding portion to be stacked or unfolded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spaced from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can be used as a toilet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infant toilet with a small volume and a simple structure by folding the support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to reduce the volume to facilitate storage or grasping and to easily unfold the support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when necessary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유아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와 받침부를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내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필요시 간편하게 지지부와 받침부를 펼쳐 사용이 용이한 휴대형 유아 변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ants toilet which is foldable to support the infant and the supporting unit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fant,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and holding, and easily supporting the supporting unit and the supporting unit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외출중이거나 야외나 차량으로 이동중일 경우에 대,소변과 같은 생리현상에 의한 용변이 갑자기 발생되지만 주위에서 쉽게 공중화장실을 찾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으로 이동중이거나 정체현상일 경우에는 더욱 도로에서 화장실을 쉽게 찾거나 이용하기가 어려워 급한 생리현상을 해결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것이었다.Generally, when going out or moving outdoors or in a vehicle, the toilet is suddenly generated by a physiological phenomenon such as a large or urine,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public toilet in the vicinity, and in particular, It was difficult to find or use the toilet easily,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solve the urgent physiological phenomenon.
따라서 인적이 없는 건물이나 숲이 우거진 곳이나 차량으로 이동중일 경우에는 도로에서 차량을 세운 상태에서 도로 위에서 용변을 해결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노상방뇨로 인해서 거리와 자연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moving to a building or a forested area or a vehicle without a human being, the toilet is solved on the road while the vehicle is standing on the road. However, this has the problem that the street and the nature are damaged due to the street urination.
따라서 최근에 휴대가 가능하면서 이동중에 급한 생리현상이 발생될 때 바로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가 제안되었다.Accordingly, a portable toilet which can be easily carried and can be solved immediately when a sudden physiological phenomenon occurs on the mov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휴대용 변기는 박스 형태로 되어 조립을 하거나 상단에 절첩에 의한 받침이 있는 봉투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사용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가 까다로우며 이에 의하여 제조단가가 비싸지게 되는 것이었다.Such a portable toilet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or in an envelope form having a support by folding at the upper part or in various other forms, but the structure for us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e is difficult, .
또한 대부분의 휴대용 변기가 사용한 후에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것이지만 깨끗하게 세척하여도 위생적이지 못해 다시 사용하기에 상당히 불결하게 느끼게 되는 것이었다.Also, most portable toilets are washed and reused after use, but even if cleaned clean, they are not hygienic and feel very dirty to use again.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변기는 구조상 용변을 볼 경우 정확한 착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용변이 새는 문제와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기에는 사용이 제한적이어서 사용의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었다.
Such a portable toilet can not be used for correct wearing when it is used in a structure, so there is a problem of leakage of the toilet and an inconvenience to use because it is limited in use for everyon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와 받침부를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내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필요시 간편하게 지지부와 받침부를 펼쳐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편한 휴대형 유아 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method of folding a support and a support to reduce the volume thereof to facilitate storage or grasping, So as to provide a portable infant toilet seat which is small and simple in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휴대형 유아 변기에 따르면, 일측면에 제1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제1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 일측면에 제2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제2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돌출부가 끝단부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오목홈과 제2오목홈이 마주보고 상기 제1지지부의 삽입부에 제2지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양단부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지면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필요시 변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ant to be described in the first to four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first concav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 support;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econd radiu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form a second recessed groove on one side thereof, and a protrud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hing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wherein a protrus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when the first concave groove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face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rotated about the protruding portion to be folded or unfolded. When the cover is unfolde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spaced from the ground surface, .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반경은, 상기 제2지지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양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지지부 내측면과 제2지지부 외측면이 포개지고, 상기 제1지지부 내측면과 제2지지부의 외측면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는, 하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pivo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both the end portions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face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in a state where the side surface is overlapp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overlapped.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제2지지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힌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바의 끝단에 힌지바의 직경보다 더 크게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portion may have a hinge bar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releas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hinge ba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bar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면에 일정길이 내입되되 힌지바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고, 내입홈의 끝단에 상기 힌지바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힌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ion portion may include an inner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end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so as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bar and a hinge hole having the same diameter at the end of the inner groove, .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볼록하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convex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cave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는, 일측에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목홈이 마주본 상태에서 양단이 경첩으로 결합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경첩으로 결합되되, 펼쳐지면 상기 받침부의 하측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접혀지면 일측면이 상기 받침부의 하측면과 접하게 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받침부가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펼쳐지면 필요시 변기로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를 접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의 일측면이 마주되도록 접으면 반원형상으로 접혀져 파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leg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form a concave groove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pair of hinged ends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concave groove facing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herein a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extended from the ground when the support portion is unfolded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low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when folded The pair of support parts are folded in a semicircular shape when the support part is folded so as to be horizontal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folded so as to face the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하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외측 테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받침부와 지지부가 반원형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파지가능한 손잡이로 사용가능하며, 상기 받침부의 양단을 기준으로 정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rough-hole may be used as a handle capable of being grippe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fold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through- And is form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와 받침부를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내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필요시 간편하게 지지부와 받침부를 펼쳐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편한 휴대형 유아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folded to reduce the volume to facilitate storage or grasping. When necessary,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easily unfolded for easy us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히는 중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히는 중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의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ortion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들에 의하여 휴대형 유아 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fir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히는 중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는, 제1지지부(11), 제2지지부(13), 받침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portable childcare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ing
먼저, 제1지지부(11)는, 일측면에 제1오목홈(12)이 형성되도록 제1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지지부(11)의 타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11)의 양단부에 삽입부(17)가 형성된다.First, the
즉, 제1지지부(1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고 타측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That is, the
제2지지부(13)는, 일측면에 제2오목홈(14)이 형성되도록 제2반경을 갖으며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2지지부(13)의 타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13)는 삽입부(17)에 각각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돌출부(16)가 끝단부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다.The
즉, 제2지지부(13)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고 타측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That is, the
여기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각각 다른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가 겹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즉, 제1지지부(11)의 반경은, 제2지지부(13)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That is, the radius of the
또한, 제1지지부(11)의 일측면과 제2지지부(13)의 일측면이 마주보는 상태, 즉, 제1오목홈(12)과 제2오목홈(14)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중앙이 관통된 배출공(15)이 형성된다. 배출공(15)을 통해서 대소변이 배출된다.The first supporting
받침부(30)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The
즉, 제1오목홈(12)과 제2오목홈(14)이 마주보고 제1지지부(11)의 삽입부(17)에 제2지지부(13)의 돌출부(16)가 삽입되어 양단부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는, 돌출부(1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지면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받침부(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필요시 변기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otruding
좀더 설명하면, 제1오목홈(12)과 제2오목홈(14)이 마주보고 제1지지부(11)의 삽입부(17)에 양단부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상술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는, 양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지지부(11) 내측면과 제2지지부(13) 외측면이 포개진다.The first supporting
이때, 제1지지부(11) 내측면과 제2지지부(13) 외측면이 포개진 상태에서 받침부(30)는, 하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고,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의 하단이 받침부(30) 하측면에 지지되어 더이상 회동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즉, 제2지지부(13)는, 돌출부(16)의 상부에 볼록하게 돌기(22)가 형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제1지지부(11)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삽입부(17)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기(22)가 결합되는 오목홈(21)이 형성된다.The
이에 따라,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지부(13)가 겹쳐지거나 펼쳐졌을 때, 서로 고정되어 자유회전이 되지 않는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받침부(30)는 배출공(15)과 연통될 수 있도록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의 상단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받침부(30)의 상측면이 수평이될 때, 중앙이 관통형성된다.The receiving
따라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3)는, 지면에 지지되어 받침부(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받침부(3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 엉덩이를 받칠수 있어 휴대형 유아 변기는 필요시 변기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The
한편, 돌출부(16)는, 제2지지부(13)의 외측면에 돌출된 힌지바가 형성되고, 힌지바의 끝단에 힌지바의 직경보다 더 크게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삽입부(17)는, 제1지지부(11)의 양단면에 일정길이 내입되되 힌지바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고, 내입홈의 끝단에 상기 힌지바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힌지공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힌지바는 내입홈에 억지끼움되어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And the hinge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hole by interference with the inner groove.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히는 중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의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ortion of a portable infants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는, 받침부(30) 및 지지부(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to 8, the portable childcare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받침부(30)는, 일측에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오목홈이 마주본 상태에서 양단이 경첩으로 결합된다.The receiving
이에 따라, 받침부(30)가 펼져지면 중앙에 배출공(15)이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receiving
지지부(10)는, 받침부(30)의 하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경첩으로 결합되되, 펼쳐지면 받침부(30)의 하측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접혀지면 일측면이 받침부(30)의 하측면과 접하게 된다.One end of the
또한, 지지부(10)는 일단이 받침부(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되, 펼쳐졌을 때 일정각도까지만 펼쳐지도록 경첩으로 결합된다.The
이에 따라, 지지부(10)는 접혀지면 결합홈(31)의 내부에 삽입되고, 펼쳐지면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받침부(30)에 앉더라도 안적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더불어, 지지부(10)는 다수개로 이루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유아 변기는, 한 쌍의 받침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고 지지부(10)의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펼쳐지면 필요시 변기로 사용이 가능하고, 지지부(10)를 접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30)의 일측면이 마주되도록 접으면 반원형상으로 접혀져 파지 가능하다.Therefore, the portable childcare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oilet when needed, if the pair of
한편, 받침부(30)는, 상하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외측 테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이러한 관통공은, 받침부(30)와 지지부(10)가 반원형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파지가능한 손잡이로 사용가능하며, 받침부(30)의 양단을 기준으로 정중앙에 형성된다.
The through-hole can be used a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in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지지부 11: 제1지지부
12: 제1오목홈 13: 제2지지부
14: 제2오목홈 15: 배출공
16: 돌출부 17: 삽입부
21: 오목홈 22: 돌기
30: 받침부 31: 결합홈10: Support part 11: First support part
12: first concave groove 13: second supporting portion
14: second concave groove 15: exhaust hole
16: protrusion 17:
21: concave groove 22: projection
30: receiving portion 31: engaging groove
Claims (7)
끝단부 외측면에 상기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반경은 상기 제2지지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지되, 양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지지부 내측면과 상기 제2지지부 외측면이 포개지면 상기 받침부는 하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힌지바와, 상기 힌지바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바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내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한 내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내입홈은 상기 힌지바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끝단에는 상기 힌지바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입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힌지공으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볼록하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부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와 상기 오목홈의 결합에 의해 자유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유아 변기.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ortion at both ends thereof;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and having a protrusion hinged to the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And
A pedestal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respectively; , ≪ / RTI &
Wherein a radiu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larger than a radiu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re pivoted or unfolded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so that both ends are pivoted downward about the protruding portion, Wh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superposed, the support portion is disposed so that the lower side faces to each other,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hinge bar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inge bar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hinge bar, Wherein the inner groove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bar and a hinge hole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hinge bar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ner groove,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drawn into and engaged with the hinge ho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inner groo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re formed with convex protrusi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ncave grooves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s, And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freely by engagement of the projection and the concave groove in a state where they ar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projection and the projection,
Wherein the portable toilet seat is a portable infant toi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40A KR101650536B1 (en) | 2015-03-02 | 2015-03-02 | Portable toddler pot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40A KR101650536B1 (en) | 2015-03-02 | 2015-03-02 | Portable toddler pot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0536B1 true KR101650536B1 (en) | 2016-08-24 |
Family
ID=5688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0536B1 (en) | 2015-03-02 | 2015-03-02 | Portable toddler pot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05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8569A1 (en) * | 2017-10-18 | 2019-04-25 | 곽정은 | Portable toilet |
EP3536208A1 (en) * | 2018-03-09 | 2019-09-11 | Buubla Oy | Foldable potty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19829A (en) * | 1988-10-28 | 1990-05-07 | Bridgestone Corp | Built-up paper-made simplified stool |
EP0779054A1 (en) * | 1995-12-15 | 1997-06-18 | STAMP S.r.l. | Reduction seat for chamber pots or toilet bowls |
KR100274560B1 (en) | 1997-12-03 | 2000-12-15 | 가네꼬 히사시 |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 |
US20040060105A1 (en) * | 2002-09-30 | 2004-04-01 | Hickey Thomas D. | Portable folding toilet seat and cover for backpacking and camping |
JP2010504788A (en) * | 2006-09-29 | 2010-02-18 | サンディ、アラン フレデリック、トレーディング アズ サンク ヘブンズ (ウィズ ジリアン ポーラ ライト) | Toilet equipment |
KR20110005859A (en) | 2008-05-15 | 2011-01-19 | 마이 캐리 포티 엘티디 | forties |
-
2015
- 2015-03-02 KR KR1020150029040A patent/KR1016505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19829A (en) * | 1988-10-28 | 1990-05-07 | Bridgestone Corp | Built-up paper-made simplified stool |
EP0779054A1 (en) * | 1995-12-15 | 1997-06-18 | STAMP S.r.l. | Reduction seat for chamber pots or toilet bowls |
KR100274560B1 (en) | 1997-12-03 | 2000-12-15 | 가네꼬 히사시 |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 |
US20040060105A1 (en) * | 2002-09-30 | 2004-04-01 | Hickey Thomas D. | Portable folding toilet seat and cover for backpacking and camping |
JP2010504788A (en) * | 2006-09-29 | 2010-02-18 | サンディ、アラン フレデリック、トレーディング アズ サンク ヘブンズ (ウィズ ジリアン ポーラ ライト) | Toilet equipment |
KR20110005859A (en) | 2008-05-15 | 2011-01-19 | 마이 캐리 포티 엘티디 | fortie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8569A1 (en) * | 2017-10-18 | 2019-04-25 | 곽정은 | Portable toilet |
KR20190000984U (en) * | 2017-10-18 | 2019-04-26 | 곽정은 | Portable toilet bowl |
KR200489245Y1 (en) * | 2017-10-18 | 2019-05-21 | 곽정은 | Portable toilet bowl |
JP2020536714A (en) * | 2017-10-18 | 2020-12-17 | クァック,ジョンウン | Portable toilet bowl |
EP3698692A4 (en) * | 2017-10-18 | 2021-07-07 | Jeoung Eun Kwak | Portable toilet |
US11058265B2 (en) | 2017-10-18 | 2021-07-13 | Jeoung Eun Kwak | Portable toilet |
EP3536208A1 (en) * | 2018-03-09 | 2019-09-11 | Buubla Oy | Foldable potty |
US10524623B2 (en) | 2018-03-09 | 2020-01-07 | Buubla Oy | Foldable pot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47560B1 (en) | Collapsible portable potty trainer | |
KR200489245Y1 (en) | Portable toilet bowl | |
CN101516244B (en) | Toilet device | |
US10334962B2 (en) |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 |
USD882970S1 (en) | Shopping cart child seat cover | |
CN104042067B (en) | Foldable baby applier with textile seat | |
KR101030052B1 (en) | Portable toilet seat | |
KR101650536B1 (en) | Portable toddler potty | |
US7334273B2 (en) | Portable popup potty and disposable bag | |
US20160058252A1 (en) | Portable toilet training seat | |
FR2981829A1 (en) | MULTIFUNCTION CASE | |
KR200476257Y1 (en) | folding bath | |
JP3221396U (en) | Telescopic tub structure | |
KR20110113993A (en) | Portable toilet seat for infant | |
FI127829B (en) | Foldable potty | |
JP2014239872A (en) | Toilet bowl and toilet bowl system | |
CN202714524U (en) | Retractable bench | |
KR20120034959A (en) | Toilet stool seat | |
WO2017000090A1 (en) | Multi-functional portable potty | |
CN203914760U (en) | A kind of portable folding Closet stool | |
JP3155979U (en) | Assembled simple toilet | |
US20150272408A1 (en) | Portable toilet seat for children | |
CN204909242U (en) | A collapsible washbasin | |
KR20230060221A (en) | Portable diaper changing table | |
CN215914389U (en) | Portable children's closes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