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22B1 -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 Google Patents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8522B1 KR101648522B1 KR1020160028804A KR20160028804A KR101648522B1 KR 101648522 B1 KR101648522 B1 KR 101648522B1 KR 1020160028804 A KR1020160028804 A KR 1020160028804A KR 20160028804 A KR20160028804 A KR 20160028804A KR 101648522 B1 KR101648522 B1 KR 1016485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film
- fabric
- mesh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715 ethylene 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UFRKOOWSQGXVKV-UHFFFAOYSA-N ethene;ethenol Chemical compound C=C.OC=C UFRKOOWSQGXVK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0840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0
- 231100000481 chemical toxic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1 fluor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HSJIZLJUFMIFP-UHFFFAOYSA-N ethene;1,1,2,2-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C=C.FC(F)=C(F)F QHSJIZLJUFMI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ZXDTJIXPSCHCI-UHFFFAOYSA-N hexa-1,5-diene-2,5-diol Chemical compound OC(=C)CCC(O)=C RZXDTJIXPSCHC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0 polyethyl 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ASDNIIDZSQLDMR-UHFFFAOYSA-N 2-[2-(1,3-benzoxazol-2-yl)phenyl]-1,3-benzox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OC(C=3C(C=4OC5=CC=CC=C5N=4)=CC=CC=3)=NC2=C1 ASDNIIDZSQLD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3 Polybenzimidazo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0 art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3 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8 laminat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80 polybenzimidaz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8 vapor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A41D31/002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및 강인성을 갖는 섬유원단으로 구성된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하고,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등방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재질특성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하는 제3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재질로 인하여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functional fabrics for special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sheet made of a fiber fabric having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A second sheet made of a film that shields and prote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in a watertight state; And a third shee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the third sheet being made of a material having isotropic stretchability and being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by material properti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due to the material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수복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과 같은 특수복에 사용되는 특수복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소방복은 내열성과 난연성 및 방수성이 요구되며, 주로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원단으로 겉감이 제조된다. 이러한 소방복은 아라미드 원단의 내측에 누비와 같은 안감이 부착되어 안감을 통해 열기가 단열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소방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라미드 원단으로 구성된 겉감 및 누비로 구성된 안감으로 구성되므로 화학물질 보관소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액상이나 기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화재 진압시 겉감에 뾰족한 물건이 걸릴 경우 겉감이 찢어져서 유독성 물질이 유입될 우려도 있다.Generally, fire-fighting clothing is required to have heat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water resistance, and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ramid fabric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Such firefighter suits are lined with quilted lining on the inside of the aramid fabric, and the heat is insulated through the lining. However, since the general fire fighting suit is composed of the lining made of the outer material and the quilting made of the aramid fabric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fire occurs in the chemical depository, it is vulnerable to toxic chemicals in liquid or meteorological conditions. If it is caught, the outer surface may be torn and poisonous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한편, 화학보호복은 방수성 및 내화학성이 요구되며, 화생방지역이나 유해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학보호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보호층이 코팅된 아라미드나 나일론과 같은 원단으로 제조된다.On the other hand,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is required to be waterproof and chemical resistant, and is used in CBR or industrial sites contaminated with hazardous chemicals. Such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is made of a fabric such as aramid or nylon coated with a protective layer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9207호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화학보호복이 있다.Prior arts therefor ar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s and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929207 registered and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러한 선행기술(이하 '제1 종래기술'이라 함)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 직물(1), 직물(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부틸고무층(14), 불소계 폴리머층(16)과, 직물(1)의 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접착제(10), 불소계 폴리머층(16) 및 화학보호필름(22)으로 구성된다.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of this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prior art") comprises a
하지만,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직물(1)의 양면에 클로로프렌 고무층(12)이 제각기 적층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며, 직물(1)의 양면에 고무층이 구비되므로 화학보호복을 제조할 경우 너무 무겁다.However,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the first prior art has a complicated construction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the
특히,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1)의 내측에 마련된 필름층(22)이 평면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구김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된 경우 필름층(22)의 찢어진 틈을 통해 화학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In particular,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the first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as shown in Fig. 1,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을 개발한 후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등록 제10-1286338호(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로 등록받은 바가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nother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n applied for a patent to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registered with Registration No. 10-1286338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nd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therefrom) There is a bar.
이러한 또 다른 선행특허(이하 '제2 종래기술'이라 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32)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31) 및 전술한 섬유층(32)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33h)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33)으로 구성된다.Another prior art pa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prior art ") comprises a
이와 같은 제2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은, 원단을 구성하는 필름층(33)의 표면에 일직선 형태의 압출문양(33h)이 형성되어 필름층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and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the straight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종래기술은 고무층(31)이 일측면에 부착된 섬유층(32)의 타측면에 필름층(33)이 부착되므로 원단이 너무 뻣뻣하거나 뻐덕뻐덕 해진다. 왜냐하면, 탄력성이 큰 고무층(31)에 탄력성이 작은 필름층(33)이 부착되므로 탄성력의 차이에 의한 고무층(31)의 신장률을 필름층(33)이 억제하기 때문이다. 특히, 제2 종래기술은 원래부터 섬유층(32)이 뻣뻣한 재질이었으나, 이러한 섬유층(32)에 고무층(31) 및 필름층(33)이 결합됨에 따라 더욱더 원단이 뻣뻣해지거나 뻐덕뻐덕 해진다. 따라서, 전술한 제2 종래기술에 의한 원단으로 화학보호복을 제조할 경우 착용감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활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407688호(화학보호복용 원단, 이하 '제3 종래기술'이라 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다만 전술한 섬유층(32) 및 필름층(33) 사이에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고무상 탄성을 갖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신축변형층(41)을 구비한 것이 차이점이다.To improve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7688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prior art"), which i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stretchable strained layer made of a membrane made of a Teflon-based resin, a fluorine-based resin, or a polyurethane-based resin and having a rubber-like elasticity is provided between the
이러한 제3 종래기술은 신축변형층(41)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상의 수지재 멤브레인으로 구성되어 등방성으로 탄성변형하면서 고무층(31) 및 필름층(33)의 탄성력 차이를 완충할 수 있으므로 화학보호복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필름층(33)이 전술한 압출문양(33h)이 형성된 복수의 필름(33a, 33b, 33c)로 구성되므로 찢김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성의 화학물질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어할 수도 있다.Such a third prior art technique can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그러나, 이러한 제3 종래기술은 섬유층(32)의 표면을 이루는 일측면에 연질의 고무층(31)이 형성되고, 섬유층(32)의 속면을 이루는 타측면에 복수로 이루어진 필름층(33)이 구성되며, 섬유층(32) 및 필름층(33) 사이에 수지재 신축변형층(41)이 구비되므로 전체적인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활동성이 저하된다. However, in the third conventional technique, a
특히, 박막의 수지재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신축변형층(41)이 비닐과 같이 면상의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한다.Particularly, since the stretchabl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단의 구조가 상이하여 원단이 제각기 제조된다. 따라서,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용 원단들은 제각기 제조되므로 제조업체의 제조비용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e extinguishers and the chemical protective suits have different fabric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fabrics are manufactured individually. Therefore, the fabrics for fire extinguishers and chemical protective apparel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anufacturers.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용 원단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자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원단을 연구하여 개발함에 따라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both fire extinguishers and chemical protective suits in orde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chemical protective suit fabric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by researching and developing a fabric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층이 내열성 및 강인성을 갖는 섬유재 시트로 구성되고, 내부를 향하는 내부층이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되며, 섬유재 시트 및 필름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가 적층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내열성 및 유독물질에 대한 케미컬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 시트의 신축작용에 의해 적층된 소재 간의 탄성차를 완충시켜서 섬유재 시트 및 필름을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결합시켜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필름에 무늬 또는 요철형태의 문양이 형성되어 내부층의 강도가 강화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a fiber material sheet having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the inner layer facing the inside is made of a film having waterproof property and chemical resistance, As the sheets are provided in a laminated state, not only chemical resistance against heat resistance and toxic substances can be provided, but also elasticity difference between the laminated materials is buffered by the stretching action of the stretchable shee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al fabric which is capable of enhancing flexibility by integrally joining it to the film and further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inner layer by forming a pattern of pattern or unevenness on the film.
즉,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복합되어 필요에 따라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경량화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의 제조를 위한 특수복용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a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cial wearing fabric for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ire extinguisher or chemical protective suit which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by combining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
특히, 신축성 시트에 다공이 구비되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stretchable sheet.
그리고, 필름이 다단계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which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lm to be waterproof and chemically resistant in multiple stages.
또, 필름이 재질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방수작용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서로 상이한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하여 제각기 대응할 수 있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가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which is compose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film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as to be able to cope with toxic chemic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waterproof.
또한, 섬유재 시트의 외부측 표면을 필름과 별개로 액체 및 화학물질로부터 섬유재 시트를 보호할 수 있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which can protect the fibrous sheet from liquids and chemicals separately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brous sheet.
아울러, 필름의 내부측 표면을 탄력적으로 차폐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which can elastically shiel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lm to improve the fit feeling.
본 발명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은, 내열성 및 강인성(强靭性)을 갖는 섬유원단으로 구성된 면상의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내화학성을 갖는 방수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하며, 필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와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와 일체를 이룸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등방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재질특성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하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상이한 신축성을 완충하는 면상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및 상기 제3 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룸에 따라 1장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시트의 내열성 및 강인성과 상기 제2 시트의 방수성 및 내화학성에 의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fabric comprising a first sheet made of a fiber fabric having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The first sheet is made of a waterproof film having chemical resistance so as to provide waterproofness and chemical res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to shiel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in a watertight state to protect the first sheet, A second sheet having a stretchabil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heet as it is made; And a second shee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ing elasticity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being integral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n a st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d a third sheet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f isotropy and which elastically stretches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due to material properties and buffers the different stretchability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the second sheet and the third sheet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sheet, and the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of the first sheet and the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second shee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3 시트에 합포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에 합포됨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와 동일체를 이룬다.The second sheet is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eet as it is mixed with the first sheet while being mixed with the third sheet.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서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PE재 필름, PET재 필름, PTFE재 필름, EVOH재 필름, ETFE재 필름 및 불소 필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hee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PE material film, a PET material film, a PTFE material film, an EVOH material film, an ETFE material film and a fluorine film so as to provide waterproofing and chemical resistanc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서 다단계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을 하도록, 복수의 내화학성 방수층을 갖는 1장의 복합필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heet may be composed of one composite film having a plurality of chemical-resistant waterproof layers so as to perform multi-step waterproofing and chemical resistanc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서 1차적으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을 하는 1차 레이어; 및 상기 1차 레이어에 합지되어 상기 1차 레이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2차적으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을 하는 2차 레이어;를 포함한다.Wherein the second sheet comprises: a primary layer primarily waterproofing and chemically ac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a secondary layer laminated on the primary layer to form an identical body with the primary layer and to secondarily waterproof and chemically react.
상기 제2 레이어는, 상기 1차 레이어 및 상기 2차 레이어가 PE재, PET재, PTFE재, EVOH재, ETFE재 및 불소재 중에서 서로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각각 구성되어 내화학적으로 차별성을 갖는 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ayer is composed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so that the primary layer and the secondary layer are prevented from overlapping lamination among the PE material, the PET material, the PTFE material, the EVOH material, the ETF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 composite layer having chemically differentiability.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2 레이어에 합지되어 상기 제2 레이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3차적으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을 하는 3차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eet may further include a tertiary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and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 water-repellent and chemically-reactive function.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1차 레이어, 상기 2차 레이어 및 상기 제3 레이어가 PE재, PET재, PTFE재, EVOH재, ETFE재 및 불소재 중에서 서로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각각 구성되어 내화학적으로 차별성을 갖는 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heet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 PET, PTFE, EVOH, ETFE, and fireproof materials such that the primary layer, the secondary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composed of composite layers each of which is made of a material and chemically differentiated.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제2 시트와 반대되는 상면이 외부의 물이나 화기 또는 유독물질을 향하고, 내열성 및 강인성을 갖는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또는 플론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강화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heet may be composed of reinforcing fiber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ramid fibers, carbon fibers, and flon fibers having an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sheet facing external water, fire or toxic substances, and having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have.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저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고, 압출성형에 의한 압출 필름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의 표면에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 또는 요철형태의 성형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sheet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heet so as to seal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in a watertight manner and is constituted by an extruded film by extrusion molding, A pattern forming a concave or convex shape can be formed.
상기 제3 시트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공기층을 제공하면서 부분적으로 강성을 약화시키는 다공이 마련된 면상의 신축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sheet may be composed of a planar stretchable material provided with pores for partially weakening the rigidity while providing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상기 제3 시트는 예컨대, 상기 다공이 형성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의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sheet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thin film membrane formed of a soft chemical material having the porous structure and having rubber elasticity and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이와 달리, 상기 제3 시트는, 상기 다공을 제공하는 메쉬가 형성되고, 신축가능한 원사로 제조되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니트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메쉬원단, 중공사로 이루어져서 신축성을 갖는 에어 메쉬원단, 또는 2장의 메쉬원단 및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일사로 이루어져서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상기 파일사가 일체적으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파일사를 통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입체 에어 메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hird sheet may include a mesh fabric formed of a stretchable yarn and formed of a knit or tricot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 mesh fabric having elasticity, or two mesh fabrics, and a pile yarn connecting between the two mesh fabric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ere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ile integrally connecting the pile yarns between the two mesh fabrics. And a third air-air mesh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through the pile yarn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heets.
본 발명은, 상기 제2 시트의 저면에 합포되어 상기 제2 시트의 저면을 차폐하는 제5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fth sheet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o shiel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eet.
상기 제5 시트는 예컨대, 상기 다공을 제공하는 메쉬가 형성되고, 신축가능한 원사로 제조되어 신축변형되는 니트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메쉬원단, 중공사로 이루어져서 신축성을 갖는 에어 메쉬원단, 또는 2장의 메쉬원단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서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상기 파일사가 일체적으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파일사를 통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입체 에어 메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sheet may be formed, for example, of a mesh fabric formed of a knit or tricot formed of a stretchable yarn and formed with stretchable yarns, a stretchable air mesh fabric formed of a hollow fiber, or two mesh fabrics And a plurality of pile yarns, and between the two mesh fabrics, the pile yarn integrally joins togeth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yarn is stretched and deform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본 발명은, 상기 제1 시트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시트의 상면을 차폐하고, 박막의 고무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시트의 상면을 방수하면서 유독물질의 침투를 방어하는 제4 시트;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sheet,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shields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is made of rubber or a film of thin film, 4 sheets. ≪ / RTI >
상기 제4 시트는 예컨대, 상기 제1 시트의 상면에 박막으로 도포되고, 클로로프랜이나 부틸 또는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제1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sheet is, for example, a film coated with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composed of a film made of chloroflan, butyl or fluoropolymer, or a film having waterproof and chemical resistanc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Lt; / RTI >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아라미드섬유나 탄소섬유 또는 플론섬유로 이루어진 강화섬유로 제1 시트가 구성되므로 제1 시트를 통해 내열성 및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고,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필름으로 제2 시트가 구성되어 제2 시트를 통해 유독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시트 및 제2 시트에 의해 화기를 차단하면서 유독물질도 동시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sheet is formed of aramid fiber, reinforcing fiber made of carbon fiber or flon fi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through the first sheet, and to provide a film having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wo sheets can be configured to block the inflow of toxic substances through the second sheet, so that it can be used also as a fire extinguisher or chemical protective suit. That is, since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can shield firearms and simultaneously block toxic substances, they can also be used as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특히,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에 구비된 신축성을 갖는 제3 시트가 사방으로 신축하면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신축성을 완충하므로 유연성 및 이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3 시트에 다공이 형성될 경우 원단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과 같은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3 시트의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2 시트에 성형문양이 형성될 경우 성형문양으로 인하여 제2 시트의 강성이 강화됨에 따라 제2 시트를 통해 제1 시트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third sheet having elasticity provid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stretches and shrinks in four directions while buffering the stretchability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flexibility and thereby the comfort can be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fabric and to provide the same air layer as the heat insulating space, to improve the stretchability of the third sheet, to form a molding pattern on the second sheet made of film The stiffness of the first sheet may be reinforced through the second sheet as the stiffness of the second sheet is strengthened due to the molding pattern.
즉, 제1 내지 제3 시트에 의해 필요에 따라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제3 시트 및 다공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경량화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 third sheets can be applied as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as needed, and the light weighted fire extinguishers or chemical protective suits having excellent wearing feel by the third sheet and the pores can be provided.
그리고, 제2 시트가 제3 시트에 합포된 후 제1 시트에 일체적으로 합포되므로 제2 시트 및 제3 시트를 제1 시트에 부착하여 제1 내지 제3 시트를 용이하게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sheet is laminated on the third sheet and then integrally laminated on the first sheet, the second sheet and the third sheet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sheet so that the first to third sheets can be easily integrated have.
또, 제2 시트가 PE재 필름, PET재 필름, PTFE재 필름, EVOH재 필름, ETFE재 필름 및 불소 필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유독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필름으로 제2 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econd shee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PE material film, a PET material film, a PTFE material film, an EVOH material film, an ETFE material film and a fluorine film, .
또한, 제2 시트가 복수의 내화학성 방수층으로 이루어진 복합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다단계로 다양한 유독물질을 여과하면서 제1 시트의 저면을 거의 완전하게 수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heet is composed of a composite film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emical-resistant waterproof lay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can be almost completely watertight while filtering various toxic substances in a multistage manner.
아울러, 제2 시트가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및/또는 제3 레이어로 구성될 경우 적어도 2단계 내지 3단계로 유독성 화학물질을 여과 내지 방어할 수 있으므로 2차 내지 3차적으로 유독물질의 침투를 방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heet is composed of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and / or the third layer, the toxic chemical can be filtered or defended in at least two or three steps, . ≪ / RTI >
이에 더하여, 제2 시트의 제1 내지 제3 레이어가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PE(Polyethylen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및 기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VOH(Ethylenevinyl alcohol)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강산성 및 알카리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또는 용제나 화학약품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수성 및 내열성을 갖는 불소 필름 중에서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각각 구성될 경우 다양한 유독성 화학물질을 제각기 순차적으로 여과 내지 방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layers of the second sheet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film made of PE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which has particularly strong chemical resistance to liquid toxic chemicals, A resin material film made of EVOH (Ethylenevinyl alcohol) having particularly strong chemical resistance to toxic chemicals, a resin material film made of ETFE (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having particularly strong chemical resistance to strongly acidic and alkaline chemicals, And a fluorine film having chemica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o chemical agents, the various toxic chemicals can be sequentially filtered or defended sequentially.
게다가, 제3 시트가 다공이 형성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경우 제3 시트를 통해 부분적으로 내화학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다공을 통해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3 시트가 신축재 원사로 제조된 니트나 트리코트와 같은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경우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쉬원단의 구멍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단열공간과 같은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또 달리 중공사로 제조된 에어 메쉬원단 또는 입체 에어 메쉬로 구성될 경우 가벼운 소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무게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파일사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메쉬의 다공을 통해 단열공간과 같은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sheet is formed of a membrane of a thin film having porous and rubber-like elasticity, the air layer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orous sheet while partially performing the chemical reaction through the third sheet, When the third sheet is composed of a mesh fabric such as a knitted or tricot fabric made of stretchable yarn, it can provide elasticity and provide an air layer such as a thermal insulation space with minimized overall weight increase due to the holes in the mesh fabric In addition, when the air mesh fabric or the three-dimensional air mesh is made of a hollow fiber, the elasticity can be provided by the pile yarn while suppressing the increase in the overall weigh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material, Not only can the weight of the product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layer such as a thermal insulation space.
더욱이, 2장으로 구성되어 입체 에어 메쉬를 구성하는 메쉬원단들의 구멍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경우 입체 에어 메쉬의 신축성을 조절할 수 있고, 메쉬원단의 단면에 기공이 형성될 경우 기공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les of the mesh fabrics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air mesh ar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tretch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air mesh can be controlled, and when the pores are formed in the end face of the mesh fabric,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lastic force and to provide an air layer for heat insulation.
더 나아가, 제1 시트에 고무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4 시트가 구비될 경우 제2 시트와 별개로 제1 시트의 표면을 유독물질로부터 보호하면서 수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sheet is provided with the fourth sheet made of rubber or film, the surface of the first sheet can be watertightly protected from toxic substances separately from the second sheet.
또, 제2 시트에 제5 시트가 구비될 경우 제2 시트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고, 제5 시트가 신축성을 갖는 메쉬원단이나 에어 메쉬원단 또는 입체 에어메쉬로 구성될 경우 제5 시트의 쿠션에 의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의 착용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땀을 신속하게 흡습하여 건조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fifth sheet is provided on the second sheet, th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can be protected. When the fifth sheet is composed of a stretchable mesh fabric, an air mesh fabric or a three-dimensional air mes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eel at the time of wearing the fire extinguisher or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to quickly absorb moisture and dry the sweat, and to provide the air layer as described above.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3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단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시트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제3 시트에 적용되는 니트의 평면도;
도 9는 도 4의 제3 시트에 적용되는 에어 메쉬원단의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제3 시트에 적용되는 입체 에어 메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입체 에어 메쉬를 개략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원단에 제4 시트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4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4 시트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원단에 제5 시트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에 의해 제조되는 특수복의 정면도.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a first prior art;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abric according to the third prior ar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 cl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bric shown in Figure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heet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al tailoring multifunct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sheet shown in FIG. 5; FIG.
Fig. 8 is a plan view of the knit applied to the third sheet of Fig. 4; Fi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esh fabric as applied to the third sheet of Figure 4;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air mesh applied to the third sheet of Fig. 4; Fig.
FIG. 11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air mesh shown in FIG. 10; FIG.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ourth sheet is applied to the fabric shown in FIG. 4;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urth sheet shown in Fig. 12; Fig.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lm is attached to the fourth sheet shown in FIG. 12; FIG.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fth sheet is applied to the fabric shown in FIG. 4; FIG. And
16 is a front view of a special wear manufactured by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 제2 시트(112) 및 제3 시트(114)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시트(111)는 소방복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열성 및 강인성(强靭性)을 갖는 면상의 섬유원단으로 구성된다. 제1 시트(111)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부직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시트(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112)와 반대되는 상면이 외부의 물이나 화기 또는 유독물질을 향한다. 제1 시트(111)는 예컨대, 내열성 및 강인성을 갖는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또는 플론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강화섬유, 또는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계의 섬유나 나일론계열의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시트(111)는 고강도를 가지면서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PBO(Poly-phenylene benzobisoxazole)나 파라아라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시트(111)는 재질 특성에 의해 화기를 차단할 수 있다.The
제2 시트(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의 상면과 반대되는 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제1 시트(111)와 일체를 이룬다. 제2 시트(112)는 제1 시트(111)의 저면에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내화학성을 갖는 방수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제1 시트(111)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한다. 제2 시트(112)는 필름으로 구성됨에 따라 액상이나 기상 또는 분말형태의 유독물질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2 시트(112)는 필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시트(111)와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 5, the
제2 시트(112)는 예컨대,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PE(Polyethylen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기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VOH(Ethylenevinyl alcohol)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강산성 및 알카리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로 이루어진 수지재 필름, 또는 용제 및 화학약품에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시트(112)는 PE, PET, PTFE, EVOH, ETFE 및 불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된다.The
제2 시트(112)는 압출성형에 의한 압출 필름으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시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 또는 요철 형태의 성형문양(112h)이 표면에 형성된다. 제2 시트(112)는 성형시 일측이 당겨지면서 표면에 아주 미세한 주름이 형성됨에 따라 표면에 줄무늬 형태의 성형문양(112h)을 갖는다. 제2 시트(112)는 미세한 주름에 의해 사실상 미세한 요철형태의 줄무늬로 성형문양(112h)이 형성되므로 성형문양(112h)에 의해 인성이 강화된다. 특히, 제2 시트(112)는 성형문양(112h)을 따라 인성이 강화되므로 자체 강도가 실질적으로 강화되며, 성형문양(112h)이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길이방향에 대한 인성이 강화된다. 이러한 필름층(112)은 통상의 크로스 라미네이트와 제조방법 및 특성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제3 시트(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와 일체를 이룸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 배치된다.제3 시트(114)는 도트 또는 메쉬 형태로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12)에 부착될 수 있다.The
제3 시트(114)는 등방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면상의 부재이다. 제3 시트(114)는 재질특성에 의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신축하면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의 상이한 신축성을 완충한다. 즉, 제3 시트(114)는 재질특성에 의한 탄성차로 인하여 신축성이 서로 상이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의 탄성력 차이, 즉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완충한다. 따라서, 제3 시트(1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단(110)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될 경우 유연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The
제3 시트(114)는 도 4 및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 단열공간과 같은 공기층을 제공하여 내열성을 강화시키면서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다공(1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 시트(114)는 예컨대,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의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 시트(114)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며, 어느 한 방향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박막 또는 랩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제3 시트(114)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신축성이 우수한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축성과 내화학성 및 방수성 등이 우수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시트(114)는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신축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도 제공한다. 이때, 제3 시트(114)는 전술한 다공(114a)에 의해 부분적으로 내화학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3 시트(114)는 다공(114a)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성이 약화되므로 원활하게 신축한다.4 and 5, the
전술한 바와 달리, 제3 시트(114)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가능한 원사로 제조되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통상의 니트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시트(114)는 니트나 트리코트의 메쉬로 인하여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신축된다. 그리고, 제3 시트(1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에 의해 다공(114a)이 자연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공(114a)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메쉬를 통해 단열공간을 제공하는 공기층을 형성한다.8, the
전술한 바와 또 달리, 제3 시트(11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에어 메쉬원단은 중공사(Hollow fiber)로 이루어져서 신축성을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114a)을 이루는 미세한 메쉬에 의해 그물망과 같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시트(114)는 에어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경우 중공사 및 메쉬에 의해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신축변형되며, 메쉬에 의한 구멍 및 중공사의 중공에 의해 공기층을 제공하거나 중공을 통해 제1 시트(111)를 투과한 공기를 순환시킨다.Alternatively, the
전술한 바와 또 달리, 제3 시트(114)는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 에어 메쉬(115)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입체 에어 메쉬(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메쉬원단(115a, 115b) 및 2장의 메쉬원단(115a, 115b)들 사이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일사(115c)로 구성된다. 입체 에어 메쉬(115)는 예컨대,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아라미드섬유나 파라 아라미드섬유 또는 PBI(Polybenzimidazole) 및 파라아라미드(Para-Aramid)를 혼방하여 제조(예: 40% : 60%의 비율)할 수 있으며, 파일사(115c)는 어느 한쪽의 메쉬원단(115a, 115b)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대편 원단을 향해 이동했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입체 에어 메쉬(115)는 파일사(115c)를 통해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원활하게 신축하며, 메쉬에 의한 다공(114a) 및 파일사(115c)에 의한 이격공간을 통해 제1 시트(111)를 투과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전술한 공기층을 제공한다.Alternatively, the
입체 에어 메쉬(115)는 메쉬원단(115a, 115b)들에 형성된 메쉬(다공)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체 에어 메쉬(115)는 메쉬원단(115a, 115b)들의 메쉬들 크기를 통해 탄성력(신축성) 및 통기성이 조절될 수 있다.The three-
입체 에어 메쉬(115)는 도 1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원단(115a, 115b)의 단면에 기공(氣孔)을 제공하는 중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H)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되는 공기를 소통시켜서 더욱 원활하게 공기를 순환시키며, 메쉬원단(115a, 115b)이 가압될 경우 신축되면서 메쉬원단(115a, 115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입체 에어 메쉬(115)는 좀더 우수한 탄성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에 의한 쿠션 작용을 통해 좀더 향상된 착용성을 제공하며, 중공(H)을 통해 공기층을 제공한다.The three-
한편, 전술한 다공(114a)은 제3 시트(114)의 중량감소 및 원활한 신축을 위해 제3 시트(114)를 잡아당기지 않아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다른 한편, 전술한 제1 시트(111)와 제2 시트(112) 및 제3 시트(1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를 이룸에 따라 1장의 원단(110)으로 형성된다. 이때, 원단(110)은 제2 시트(112)가 제3 시트(114)에 우선적으로 합포된 후 제1 시트(111)에 부착되어 제1 시트(111)와 제2 시트(112) 및 제3 시트(114)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원단(110)은 제1 시트(111)에 후술되는 바와 같은 제4 시트(118)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합포시 제1 시트(111) 및 제2 시트(1112)의 무게가 너무 크게 차이 나지 않도록 제2 시트(112)가 제3 시트(114)에 우선적으로 합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단(110)은 제1 시트(111)의 내열성 및 강인성과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2 시트(112)의 방수성 및 내화학성에 의해 화기를 차단하면서 유독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으로 구성된 제2 시트(112)는 오직 하나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되어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내화학 필름이 적층된 1장의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112)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경우 유독성 화학물질의 침투를 다단계로 방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제2 시트(112)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시 서로 합지되어 동일체를 이루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로 구성된 2중의 복합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가 전술한 PEA, PET, PTFE, EVOH, ETFE 및 불소 중에서 서로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각각 구성되어 내화학적으로 차별성을 갖는 복합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가 서로 상이한 내화학재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하여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를 통해 서로 상이한 케미컬 저항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합층에 의해 강도가 강화된다. 예를 들어,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가 PE로 구성되고, 제2 레이어(112b)가 EVOH로 구성될 경우, 제1 레이어(112a)를 통해 1차적으로 기상 및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을 여과 내지 방어하되, 특히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을 여과 내지 방어하고, 제2 레이어(112b)를 통해 제1 레이어(112a)를 통과한 기상 및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 내지 방어하되, 특히 기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을 여과 내지 방어한다.For example, the
이러한 제2 시트(112)는 합지되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의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112a)에만 전술한 성형문양(112h)이 구비되고, 제2 레이어(112b)에는 전술한 성형문양(112h)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이와 달리, 제2 시트(112)는 두께가 미소하게 두꺼워 지더라도 전체적인 인성이 강화되도록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가 모두 전술한 성형문양(112h)이 마련된 상태로 합지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간의 인성이 상호 보완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의 성형문향(112h)이 교차상태로 합지될 수 있다.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가 압출 후 냉각되기 전 압출시의 온도, 반 용융상태에서 서로 밀착됨에 따라 합지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냉각된 상태로 적층된 후 고주파융착이나 초음파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합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가 동일체를 이루면서 1장의 필름으로 구성된다.Alternatively, the first and
제2 시트(112)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레이어(112c)가 추가로 구성된 3중의 복합필름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 제2 레이어(112b) 및 제3 레이어(112c)가 PEA, PET, PTFE, EVOH, ETFE 및 불소 중에서 서로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각각 구성되어 내화학적으로 차별성을 갖는 복합층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시트(112)는 제1 레이어(112a)가 PE로 구성되고, 제2 레이어(112b)가 EVOH로 구성될 경우 제3 레이어(112c)가 제2 레이어(112b)와 중복적인 적층이 방지되도록 다시 PE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시트(112)는 제2 레이어(112b)를 통과한 기상 및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을 제3 레이어(112c)가 3차적으로 여과 내지 방어한다. 따라서, 제2 시트(112)는 다양한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하여 케미컬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3 레이어(112c)에 의해 강도가 좀더 강화된다.The
여기서, 전술한 제3 레이어(112c)는 필름층(112)의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성형문양(112b)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전술한 제1 레이어(112a) 및 제2 레이어(112b)와 같이 성형문양(112h)가 구비되어 제2 레이어(112b)의 성형문양(112h)과 교차되는 형태로 제2 레이어(112b)에 전술한 방법으로 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트(112)는 제3 레이어(112c)에 의해 인성이 더욱 강화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단(110)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시트(112)가 제1 시트(111)의 저면에 연속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원단(110)은 복수의 제2 시트(112)에 의해 내화학성이 및 방수성이 보강된다. 이러한 경우, 원단(110)은 면접촉에 의해 접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제2 시트(112) 중 어느 하나가 성형문양(112h)이 없는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원단(110)은 다양한 유독물질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제2 시트(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술한 복합필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다른 한편, 제1 시트(1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상면)이 고무재의 제4 시트(118)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제4 시트(118)는 예컨대, 제1 시트(111)의 상면에 박막으로 도포되고, 클로로프랜 고무나 부틸고무 또는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로로프렌 고무와 부틸고무 및 불소계 폴리머는 모두 내화학성과 내열성 및 내수성(방수성)이 우수하지만, 특히 클로로프렌 고무는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부틸고무는 절연성과 연신율 및 기체차단성이 우수하며, 불소계 폴리머는 용제나 화학약품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수성, 내열성(열안정성), 내구성, 촉감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따라서, 제4 시트(118)는 피막을 통해 제1 시트(11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달리, 제4 시트(11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시트(112)와 동일한 필름으로 구성되어 제1 시트(111)의 상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 즉, 제4 시트(118)는 전술한 제2 시트(112)와 동일한 또 다른 제2 시트(11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11)는 저면 뿐만 아니라 상면에도 제2 시트(112)가 구비된다. Alternatively, the
이러한 제4 시트(118)는 제2 시트(112)와 동일한 필름을 통해 내화학성 및 방수성을 제공하며, 전술한 성형문양(112h)에 의해 필름의 강성이 강화됨에 따라 제1 시트(111)의 관통이나 훼손을 방지한다. 이때, 제1 시트(111)는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융기형태의 기모(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모(111a)는 제2 시트(112)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4 시트(118)에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제4 시트(118) 및 제1 시트(111) 사이에서 좌우로 유동하면서 제1 시트(111) 및 제4 시트(118)의 탄성차를 보완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The
여기서, 제1 시트(111)는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전술한 제3 시트(11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제3 시트(114)는 제1 시트(111) 및 제4 시트(118) 사이에서 신축하면서 제1 시트(111) 및 제4 시트(118)의 탄성차를 보완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Here, the
한편, 전술한 피막으로 구성된 제4 시트(118)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전술한 제2 시트(112)와 동일하게 구성된 또 다른 제2 시트(112)가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시트(118)는 또 다른 제2 시트(112)에 의해 차폐되어 보호되므로 쉽게 훼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및 방수성이 강화된다. 이때, 제4 시트(118)는 도 1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3 시트(114)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제3 시트(114)는 제4 시트(118) 및 제2 시트(112)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면서 제4 시트(118) 및 제2 시트(112)의 탄성차를 보완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 시트(112)는 하부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원단이나 에어 메쉬원단 또는 입체 에어 메쉬로 이루어진 제3 시트(114)로 차폐될 수 있다. 즉, 제2 시트(112)는 제3 시트(114)와 동일하게 구성된 또 다른 제3 시트(114)에 의해 하부가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시트(114)는 쿠션을 통해 감촉을 향상시키거나 땀을 흡습하여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제5 시트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 제2 시트(112) 및 제3 시트(114)로 구성될 경우 소방복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원단(110)은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제1 시트(111)가 화기를 차단하고, 필름으로 구성된 제2 시트(112)가 유독물질을 차단하므로 유독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소방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원단(110)은 제3 시트(114)가 신축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3 시트(114)의 다공(114a)에 의해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다공(114a)에 의한 공기층에 의해 단열성능이 향상된 소방복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원단(110)은 제2 시트(112)의 성형문양(112h)에 의해 강성이 강화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소방복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multifunctional
그리고, 원단(1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1)의 표면에 고무재 또는 필름재의 제4 시트(118)가 구비될 경우, 제4 시트(118)가 제1 시트(111)의 표면으로 침투하는 유독물질을 방어하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보호복(10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학보호복(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시트(114)의 다공(114a)과 메쉬원단, 에어 메쉬원단 또는 입체 에어 메쉬에 의해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향상되며, 제2 시트(112)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다.12, when the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단(110)은 필요에 따라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제3 시트(114) 및 다공(114a)에 의해 유연성이 확보됨에 따라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경량화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 partial omission, or supplement).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combine some or many of the feature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s or combination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s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화학보호복 110: 원단
111 : 제1 시트 112 : 제2 시트
112h: 성형문양 114 : 제3 시트
114a : 다공 115 : 입체 에어 메쉬
115a, 115b : 메쉬원단 115c : 파일사
118 : 제4 시트 H : 중공100: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110: Fabric
111: first sheet 112: second sheet
112h: molding pattern 114: third sheet
114a: Porous 115: Three-dimensional air mesh
115a, 115b:
118: fourth sheet H: hollow
Claims (9)
상기 제1 시트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내화학성을 갖는 방수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하며, 필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와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와 일체를 이룸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등방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재질특성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하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상이한 신축성을 완충하는 면상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및 상기 제3 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룸에 따라 1장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시트의 내열성 및 강인성과 상기 제2 시트의 방수성 및 내화학성에 의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에 겸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시트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공기층을 제공하면서 부분적으로 강성을 약화시키는 다공이 마련된 면상의 신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A first sheet in the form of a sheet made of a fiber fabric having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The first sheet is made of a waterproof film having chemical resistance so as to provide waterproofness and chemical res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to shiel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in a watertight state to protect the first sheet, A second sheet having a stretchabil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heet as it is made; And
A first sheet and a second shee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the second sheet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ing elasticity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being integral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d a third sheet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f elasticity and which elastically stretches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due to material properties and buffers different stretchability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d the first sheet, the second sheet, and the third sheet are formed in a single piece as on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applied to fire extinguishers and chemical protective suits due to the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of the first sheet and the waterproof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third sheet comprises:
And a stretchable material in the form of a face provided with pores for partially weakening the rigidity while providing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상기 제3 시트에 합포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에 합포됨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와 동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hee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heet when it is mixed with the first sheet in a state of being mixed with the third sheet.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서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PE재 필름, PET재 필름, PTFE재 필름, EVOH재 필름, ETFE재 필름 및 불소 필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a PE material film, a PET material film, a PTFE material film, an EVOH material film, an ETFE material film and a fluorine film so as to provide waterproof and chemical resistanc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에서 다단계로 방수 및 내화학 작용을 하도록, 복수의 내화학성 방수층을 갖는 1장의 복합필름으로 구성되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use comprising a single composite film having a plurality of chemical-resistant waterproofing layers so as to perform multi-step waterproofing and chemical resistanc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상기 제2 시트와 반대되는 상면이 외부의 물이나 화기 또는 유독물질을 향하고, 내열성 및 강인성을 갖는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또는 플론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강화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의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저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시트의 저면을 수밀상태로 차폐하고, 압출성형에 의한 압출 필름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의 표면에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 또는 요철형태의 성형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sheet is made of reinforcing fib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ramid fibers, carbon fibers, and flon fibers having external heat, fire or toxic substances, heat resistance and toughness,
Wherein the second sheet comprises:
Wherein the first sheet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heet so as to seal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et in a watertight state and is made of an extruded film by extrusion molding, Or a molding pattern of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상기 다공이 형성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의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sheet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brane made of a soft chemical material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having rubber elasticity and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상기 다공을 제공하는 메쉬가 형성되고, 신축가능한 원사로 제조되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니트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메쉬원단, 중공사로 이루어져서 신축성을 갖는 에어 메쉬원단, 또는 2장의 메쉬원단 및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일사로 이루어져서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상기 파일사가 일체적으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파일사를 통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입체 에어 메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2. The sheet according to claim 1,
A mesh fabric formed of a stretchable yarn and stretchable and deformab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 mesh fabric formed of a hollow fiber and having elasticity, or an air- A mesh fabric having two mesh fabrics and a pair of mesh fabrics connecting together the two mesh fabric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mesh fabrics integrally connect the two mesh fabrics togeth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1 < / RTI > sheet, and a three-dimensional air mesh stretchably deform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상기 제2 시트의 저면에 합포되어 상기 제2 시트의 저면을 차폐하는 제5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시트는,
상기 다공을 제공하는 메쉬가 형성되고, 신축가능한 원사로 제조되어 신축변형되는 니트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메쉬원단, 중공사로 이루어져서 신축성을 갖는 에어 메쉬원단, 또는 2장의 메쉬원단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서 상기 2장의 메쉬원단들 사이를 상기 파일사가 일체적으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파일사를 통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신축변형되는 입체 에어 메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fifth sheet that is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eet and shield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fifth sheet comprises:
A mesh fabric formed of a knit or a tricot which is formed by stretchable and deformable yarns and formed of a stretchable yarn, an air mesh fabric made of hollow yarn and having elasticity, or two mesh fabrics and a plurality of filaments, A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al fabric for multifunctional use comprising any one of a three-dimensional air mesh stretchable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through the pile yarn as the pile yarn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mesh fabrics together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04A KR101648522B1 (en) | 2016-03-10 | 2016-03-10 |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
PCT/KR2016/014917 WO2017155190A1 (en) | 2016-03-10 | 2016-12-20 | Multifunctional fabric for special suit |
CN201680083373.7A CN108778727A (en) | 2016-03-10 | 2016-12-20 | Togs multifunctional fabr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04A KR101648522B1 (en) | 2016-03-10 | 2016-03-10 |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8522B1 true KR101648522B1 (en) | 2016-08-16 |
Family
ID=5685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804A Active KR101648522B1 (en) | 2016-03-10 | 2016-03-10 |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8522B1 (en) |
CN (1) | CN108778727A (en) |
WO (1) | WO2017155190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967B1 (en) | 2017-07-27 | 2018-06-29 | 한인석 | Multifunctional backing p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5382A (en) * | 2018-10-26 | 2019-03-08 | 苏州衣之道服饰有限公司 | A kind of knitting lock down velvet fabric |
CN110281607A (en) * | 2019-05-10 | 2019-09-27 | 海盐县硕创服装研究所 | The preparation method of features fabric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08027A (en) * | 2004-07-28 | 2008-03-21 |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Protective clothing assembly |
KR100929207B1 (en) | 2009-07-31 | 2009-12-01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and chemical proof clothes thereb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therefor |
KR100964968B1 (en) * | 2009-11-30 | 2010-06-21 | 주식회사 파이로 | A waterproof-heatproof lining having air-cell of fire fighting clothes |
KR101286338B1 (en) | 2012-09-26 | 2013-07-15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tective suits and chemical protective suits made of such textiles |
KR101407688B1 (en) | 2013-12-09 | 2014-06-13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19811A1 (en) * | 2009-11-24 | 2011-05-26 | Mmi-Ipco, Llc | Insulated Composite Fabric |
CN102211426B (en) * | 2010-04-06 | 2015-03-25 | Jnc株式会社 | Composite material using stretchable nonwoven fabric |
KR101047944B1 (en) * | 2010-12-16 | 2011-07-12 |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 Protective Clothing for Chemical Protection |
KR101478638B1 (en) * | 2013-07-25 | 2015-01-02 | 국방과학연구소 | Selectively permeable materials for chemical-biological protective clot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CN105105380B (en) * | 2015-09-07 | 2016-12-07 | 杭州奥坦斯布艺有限公司 | A kind of elastic flame composite material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804A patent/KR101648522B1/en active Active
- 2016-12-20 CN CN201680083373.7A patent/CN108778727A/en active Pending
- 2016-12-20 WO PCT/KR2016/014917 patent/WO201715519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08027A (en) * | 2004-07-28 | 2008-03-21 |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Protective clothing assembly |
KR100929207B1 (en) | 2009-07-31 | 2009-12-01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and chemical proof clothes thereb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therefor |
KR100964968B1 (en) * | 2009-11-30 | 2010-06-21 | 주식회사 파이로 | A waterproof-heatproof lining having air-cell of fire fighting clothes |
KR101286338B1 (en) | 2012-09-26 | 2013-07-15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tective suits and chemical protective suits made of such textiles |
KR101407688B1 (en) | 2013-12-09 | 2014-06-13 | 주식회사 산청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967B1 (en) | 2017-07-27 | 2018-06-29 | 한인석 | Multifunctional backing p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778727A (en) | 2018-11-09 |
WO2017155190A1 (en) | 2017-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7688B1 (en)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 |
JP6709017B2 (en) | Multilayer fibrous material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 |
EP2899017A1 (en) | Multilayered textile material in shoes | |
US9185941B2 (en) | Synthetic insulation with microporous membrane | |
US5082721A (en) | Fabrics for protective garment or cover | |
US20070082189A1 (en) | Waterproof, breathable composite material | |
CA2588222C (en) | Waterproof breathable garment with tape-free seams | |
KR101648522B1 (en) | Multi function textiles for special suit | |
US8741412B2 (en) | Seam and seam tape | |
US2007001239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layered fabric | |
CN101616611A (en) | Windproof, waterproof and breathable seamed products | |
EP2236277A1 (en) | Breathable, chemical resistant, durable, and waterproof coated porous membrane | |
US20150282544A1 (en) | Multilayered textile material in apparel | |
US20110097571A1 (en) | Oleophobic, air permeable, and breathable composite membrane | |
US20050130521A1 (en) | Protective laminates | |
KR20100057503A (en) | Air permeable waterproof bicomponent film | |
KR101614873B1 (en) | Fabric for special clothes | |
CA2556530C (en) | Chemical-resistant breathable textile laminate | |
KR20130116312A (en) | Glove having barrier properties | |
KR20120019398A (en) | Oleophobic membrane including a printed patterned layer of particles and method | |
WO2004065114A2 (en) | Composite fabric material | |
WO2012132033A1 (en) | Stretch inner fabric for down, stretch inner bag for down and down-proof structural body using same | |
US20220400807A1 (en) | Footwear Upper | |
KR101710894B1 (en) | Fabric for industrial pecial clothes and industrial special clothes thereby | |
KR101651973B1 (en) | Textiles for chemical proof suit and chemical proof s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