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8417B1 -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 Google Patents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17B1
KR101648417B1 KR1020100045419A KR20100045419A KR101648417B1 KR 101648417 B1 KR101648417 B1 KR 101648417B1 KR 1020100045419 A KR1020100045419 A KR 1020100045419A KR 20100045419 A KR20100045419 A KR 20100045419A KR 101648417 B1 KR101648417 B1 KR 10164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nanopore
particle detector
nanofiber
d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833A (ko
Inventor
천홍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17B1/ko
Priority to PCT/KR2011/003527 priority patent/WO2011142614A2/ko
Publication of KR2011012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33A/ko
Priority to US13/674,344 priority patent/US92502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01N33/48721Investigating individual macromolecules, e.g. by translocation through nanop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가 제공된다. 본 입자 검출기는,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절연된전도성나노막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또는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하는 시료입자의 전하와 크기에 따른 전기신호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되어, 높은 신호대잡음비 및 고분해능 입자 검출이 가능해지고, 나노포어를 통해 시료입자를 전도성나노막에 도입시킴으로써, 전도성나노막의 기계적 움직임 없이 시료의 스캐닝이 가능해진다. 상기 입자 검출기는, DNA를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상기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순차적으로 측정한 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Nanopore single molecul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sulated conductive thin layer potential measurement}
본 발명은 입자 검출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나노막과 나노포어를 결합하여 높은 신호대잡음비 및 고분해능 입자검출이 가능하고, 기계적 움직임 없이 시료의 스캐닝이 가능한, 나노포어 기반의 입자 검출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NA sequencing 방법의 가장 중요한 성능 지표는 DNA read length와 throughput이다. 최근 나노포어 또는 나노채널에서의 전류측정을 이용한 direct DNA sequencing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이 방법이 가진 높은 공간 분해능, 높은 throughput, 그리고 이론상 read length가 무제한인 장점 때문이다. 전류측정은 종축(axial)과 횡축(transverse) 측정방법이 있다. 종축 전류측정은 나노포어 또는 나노채널을 통한 이온전류(ionic current)를 측정하는 것으로,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나, 나노포어 또는 나노채널의 길이가 DNA 각 염기 사이의 거리 0.33 nm에 비해 훨씬 길기 때문에, 여러 염기에 의한 신호를 한꺼번에 측정하게 되어, 측정신호의 deconvolution이 어렵다. 횡축 전류 측정은 나노포어 또는 나노채널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된 전극을 이용해 DNA가 전극 사이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터널링전류(tunneling current)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가질 수 있으나, 공정이 어렵다. 따라서, 고성능의 단분자 DNA sequencing을 위해서는 수월한 공정법과 고감도 측정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나노막과 나노포어를 결합하여 높은 신호대잡음비 및 고분해능 입자검출이 가능하고, 기계적 움직임 없이 시료의 스캐닝이 가능한, 나노포어 기반의 입자 검출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포어 기반의 입자 검출기는,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절연된전도성나노막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또는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나노막은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은 둘 이상의 독립된 패턴으로 나뉘고, 상기 독립된 패턴마다 하나씩의 나노포어가 뚫린 나노포어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나노포어 어레이의 각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하는 시료입자를 상기 독립된 패턴마다 연결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통해 병렬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자 검출기는 싱글스트랜드DNA(ssDNA)를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상기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순차적으로 측정한 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입자 검출기는 표지물질을 부착한 DNA를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상기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순차적으로 측정한 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입자 검출기가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절연된전도성나노막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또는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입자 검출기가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절연된전도성나노막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또는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나노막과 나노포어를 결합하여 높은 신호대잡음비 및 고분해능 입자검출이 가능하고, 기계적 움직임 없이 시료의 스캐닝이 가능한, 나노포어 기반의 입자 검출기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DNA를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시키면서 읽은 전기신호측정장치의 신호분석을 통해 DNA 염기서열분석에 응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의 블록도 및 신호측정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나노포어 어레이 구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를 사용한 DNA 염기서열분석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의 블록도 및 신호측정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 표시된 입자 검출기는,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절연된전도성나노막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또는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하여, 높은 신호대잡음비 및 고분해능 입자검출이 가능하고, 기계적 움직임 없이 시료의 스캐닝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검출기는 도 1의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 전원장치(12), 전기신호측정장치(13), 절연나노막(14), 전도성나노막(15), 및 나노포어(18)로 이루어진다.
전극(11)은 전원장치(12)에 의한 전기장을 나노포어(18) 양단에 걸어주기 위한 것이다.
전원장치(12)는 나노포어(18)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기 위한 장치이다.
전기신호측정장치(13)는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를 통해 이동할 때, 시료입자(16)의 전하량에 따라 전도성나노막(15)에 유도된 전하 또는 시료입자(16)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나노포어(18)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전도성나노막(15)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절연나노막(14a, 14b)은 전도성나노막(15)를 절연하기 위한 박막이다.
전도성나노막(15)은 시료입자(16)의 전하량에 따른 전하 유도 또는 시료입자(16)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나노포어(18)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전위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박막이다.
나노포어(18)는 시료입자(16)를 도입하기 위한 이동통로이다.
도 1의 10a는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에 도입되기 전 단계를 보여준다. 이 때, 전기신호측정장치(13)는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도 1의 10b는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에 도입된 초기 단계를 보여준다. 이 때,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 윗부분을 막게 되어 아랫부분과 저항이 달라져, 전도성나노막(15)에 전위변화가 생기고, 이 값이 전기신호측정장치(13)로 검출된다. 도 1의 10c는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를 통해 아래쪽(17)으로 이동하여 전도성나노막(15)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 단계를 보여준다. 이 때, 나노포어(18)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저항은 다시 비슷해진다. 한편, 시료입자(16)의 전하량에 따라 전도성나노막(15)에 전하유도가 발생하여 전기신호측정장치(13)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도 1의 10d는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를 통해 더 이동하여 아랫부분에 위치한 단계를 보여준다. 이 때, 시료입자(16)가 나노포어(18) 아랫부분을 막게 되어 윗부분과 저항이 달라져, 전도성나노막(15)에 전위변화가 생기고, 이 값이 전기신호측정장치(13)로 검출된다. 그 뒤, 시료입자(16)는 나노포어(18)를 빠져나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포어 어레이 구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표시된 나노포어 어레이는, 전도성나노막(15)이 둘 이상의 독립된 패턴으로 나뉘고, 독립된 패턴마다 하나씩의 나노포어(18)가 뚫려, 각 나노포어(18)를 통해 이동하는 시료입자(16)를 독립된 패턴마다 연결된 전기신호측정장치(13)를 통해 병렬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구조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포어 어레이는 도 2의 side view(20a, 20c, 20e, 20g)와 top view(20b, 20d, 20f, 2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나노막(14), 전도성나노막(15), 및 나노포어(18)로 이루어진다.
도 2의 side view(20a)와 top view(20b)는 아랫면 절연나노막(14b)를 보여준다.
도 2의 side view(20c)와 top view(20d)는 전도성나노막(15)이 64개의 독립된 패턴으로 나뉜 것을 보여준다.
도 2의 side view(20e)와 top view(20f)는 전도성나노막(15)의 윗면에 절연나노막(14a)이 덮이고, 전도성나노막(15)의 각 독립된 패턴마나 하나씩의 나노포어(18)가 뚫린 모습을 보여준다.
도 2의 side view(20g)와 top view(20h)는 나노포어 어레이 중 한부분(19)을 확대한 모습이다. 패턴된 도전성나노막(15)에 나노포어(18)가 뚫려있다. 나노포어(18)의 크기는 패턴된 도전성나노막(15a)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포어 어레이를 통한 입자 검출기의 장점은, 각 나노포어(18)가 독립적인 신호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렬신호획득에 의한 높은 속도의 입자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를 사용한 DNA 염기서열분석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표시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를 사용한 DNA 염기서열분석 방법은,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연결된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린 나노포어를 통해 DNA를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발생한 전기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를 사용한 DNA 염기서열분석 방법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 전원장치(12), 전기신호측정장치(13), 절연나노막(14), 전도성나노막(15), 나노포어(18), 및 DNA(31)가 필요하다.
전극(11)은 전원장치(12)의 출력 전압 또는 전류를 나노포어(18) 양단에 걸어 DNA(31)을 전기영동에 의해 나노포어(18)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장치(12)는 DNA(31)의 전기영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압 또는 전류를 걸어주는 시스템이다.
전기신호측정장치(13)은 DNA(31)가 나노포어(18)를 통해 선형화하여 순차적으로 지나가면서 전도성나노막(15)에 야기시킨 전하분포 또는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한가지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DNA(31)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DNA로부터 얻은 싱글스트랜드DNA(ssDNA)일 수도 있고, 표지물질(32)이 붙은 것일 수도 있다.
표지물질(32a, 32g, 32t, 32c)은 각각 A, G, T, C에 해당하는 전기신호출력을 내기 위해 DNA(31)에 부착된 물질로써, 각기 다른 전하량 또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NA(31)의 각염기 간격은 0.33nm로 모든 염기에 표지물질을 부착하는 것은 어려운 공정이다. 따라서, 각 표지물질은 특정 간격을 갖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Designed DNA polymer 기술을 사용해 target DNA를 augmentation시킨 다음 각 염기에 해당하는 코드에 표지물질(32)을 부착하여, 각 염기에 해당하는 표지물질(32a, 32g, 32t, 32c)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전극 12: 전원장치
13: 전기신호측정장치 14: 절연나노막
15: 전도성나노막 18: 나노포어
31: DNA 32: 표지물질

Claims (7)

  1. 나노포어 기반의 입자 검출기로서,
    전기신호 측정을 위한 전도성나노막; 절연을 위해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양면에 결합된 절연나노막; 상기 전도성나노막과 상기 절연나노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된전도성나노막에 뚫려 시료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나노포어; 상기 나노포어 양단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전원장치; 상기 전원장치에 의한 출력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나노포어 양단에 걸어주는 전극; 및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연결되어, 상기 시료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시료입자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전도성나노막에 유도된 전하 및 상기 시료입자의 크기에 따라 야기된 상기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나노막의 전위 변화는 상기 시료 입자가 상기 나노포어를 통과하는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나노포어 내부의 부분적 저항변화에 의한 전위 변화를 포함하는 입자 검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나노막이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된 입자 검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나노막이 둘 이상의 독립된 패턴으로 나뉘고, 상기 독립된 패턴마다 하나씩의 나노포어가 뚫린 나노포어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나노포어 어레이의 각 나노포어를 통해 이동하는 시료입자를 상기 독립된 패턴마다 연결된 전기신호측정장치를 통해 병렬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입자 검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싱글스트랜드DNA(ssDNA)를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상기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순차적으로 측정한 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입자 검출기.
  5. 제 1항에 있어서, 표지물질을 부착한 DNA를 상기 나노포어를 통해 선형화하여 통과 시키면서, 상기 전기신호측정장치가 순차적으로 측정한 신호를 읽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입자 검출기.
  6.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자 검출기가 제1항에 따른 입자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검출 방법.
  7.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자 검출기가 제 1항에 따른 입자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염기서열 분석 방법.


KR1020100045419A 2010-05-14 2010-05-14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Active KR10164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19A KR101648417B1 (ko) 2010-05-14 2010-05-14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PCT/KR2011/003527 WO2011142614A2 (ko) 2010-05-14 2011-05-12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US13/674,344 US9250202B2 (en) 2010-05-14 2012-11-12 Nanopore molecule detection system and molecule detection method based on potential measurement of insulated conductive thin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19A KR101648417B1 (ko) 2010-05-14 2010-05-14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33A KR20110125833A (ko) 2011-11-22
KR101648417B1 true KR101648417B1 (ko) 2016-08-16

Family

ID=4491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19A Active KR101648417B1 (ko) 2010-05-14 2010-05-14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50202B2 (ko)
KR (1) KR101648417B1 (ko)
WO (1) WO20111426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8668B2 (en) 2012-02-16 2017-08-01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Method of fabricating a nanochannel system for DNA sequencing and nanoparticle characterization
KR20130114435A (ko) 2012-04-09 201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극을 갖는 생분자 검출 장치
DE102013214341A1 (de) * 2013-07-23 2015-0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Nanopore zum Sequenzieren eines Biopolymers
KR102144995B1 (ko) 2013-09-12 2020-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나노포어를 포함하는 나노포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976233B2 (en) * 2018-08-15 2021-04-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rticle detector
CN109455662B (zh) * 2018-11-26 2020-07-03 广东工业大学 一种固态纳米孔结构
US12012329B2 (en) 2020-02-13 2024-06-18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Carbyne-based sensing device for high spatial resolution in DNA sequencing and biomolecule characteriza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3489A1 (en) 2004-10-05 2006-04-06 Gangqiang Li Nanopore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70178507A1 (en) * 2006-01-31 2007-08-02 Wei Wu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molecules using nanopor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895B2 (en) * 2000-03-23 2003-09-09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Solid state membrane channel device for the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tomic and molecular sized samples
US7005264B2 (en) * 2002-05-20 2006-02-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ucleic acid sequencing and identification
US20060086626A1 (en) * 2004-10-22 2006-04-27 Joyce Timothy H Nanostructure resonant tunneling with a gate voltage source
AU2006336262B2 (en) * 2005-04-06 2011-10-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olecular characterization with carbon nanotube control
US20060231419A1 (en) * 2005-04-15 2006-10-19 Barth Philip W Molecular resonant tunneling sensor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using the same
WO2008124706A2 (en) * 2007-04-06 2008-10-16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evices and methods for target molecule characterization
US8262879B2 (en) * 2008-09-03 2012-09-11 Nabsy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biopolymers and distances between probes bound thereto
KR101118461B1 (ko) 2008-10-10 2012-03-06 나노칩스 (주) 초고속 고감도 dna 염기서열 분석 시스템
ATE535800T1 (de) * 2009-04-03 2011-12-15 Nxp Bv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3489A1 (en) 2004-10-05 2006-04-06 Gangqiang Li Nanopore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6113057A (ja) 2004-10-05 2006-04-27 Agilent Technol Inc ナノポア分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70178507A1 (en) * 2006-01-31 2007-08-02 Wei Wu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molecules using nanop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33A (ko) 2011-11-22
WO2011142614A3 (ko) 2012-04-19
WO2011142614A2 (ko) 2011-11-17
US9250202B2 (en) 2016-02-02
US20130063168A1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417B1 (ko) 절연된 박막 전극의 전위 측정을 통한 나노포어 입자 검출기
US11105791B2 (en) Electronic detectors inside nanofluidic channels for detection, analysis, and manipulation of molecules, small particles, and small samples of material
CN102899243B (zh) 基于石墨烯纳米孔-微腔-固态纳米孔结构的dna测序装置及方法
US9921181B2 (en) Detection of translocation events using graphene-based nanopore assemblies
CN200953020Y (zh) 一种自动测定水泥凝结时间的设备
JP2008536124A5 (ko)
EP2694671A1 (en) Nanopore sensing by local electrical potential measurement
CN104713932B (zh) 一种交流模式的多参数纳米孔单分子分析仪
Lu et al. Polystyrene/graphene composite electrode fabricated by in situ polymerization for capillary electrophoretic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nstituents in Herba Houttuyniae
RU2017109736A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обнаружения аналитов
CN102169105A (zh) 一种基于石墨烯的纳米孔单分子传感器及其介质辨识方法
KR20100054357A (ko)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KR101646182B1 (ko) 바이오 센서
CN105820947B (zh) Dna测序装置及使用方法
Mao et al. Fabrication of carbon nanotube-polylactic acid composite electrode by melt compounding for capillary electrophoretic determination of tectoridin and irigenin in Belamcandae Rhizoma
BRPI0308239B1 (pt) detector de permeabilidade magnética com variação compensada
Mi et al. High-precision high-speed nanopore ping-pong control system based on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N201034974Y (zh) 磁导检测器
Zwolak et al. DNA sequencing via electron tunneling
CN201993331U (zh) 一种基于石墨烯的纳米孔单分子传感器
Sha et al. Immunoglobulin Molecules Detection with Nanopore Sensors Fabricated from Glass Tubes
Liu et al. Gold nanorod translocation through a solid-state nanopore
Manjunath et al. Our health in our hands: Surface decorated metasurfaces for sensing exhaled breath markers & solid-state nanopores towards complex sample sensing
Crescentini et al. A nanosensor interface based on delta-sigma Arrays
KR20090044390A (ko)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5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