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6119B1 -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119B1
KR101646119B1 KR1020140167640A KR20140167640A KR101646119B1 KR 101646119 B1 KR101646119 B1 KR 101646119B1 KR 1020140167640 A KR1020140167640 A KR 1020140167640A KR 20140167640 A KR20140167640 A KR 20140167640A KR 101646119 B1 KR101646119 B1 KR 10164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ss
vehicle
failure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849A (ko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119B1/ko
Priority to US14/719,800 priority patent/US9522632B2/en
Publication of KR2016006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1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의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VESS 유닛(unit)의 고장 메시지를 클러스터(cluster)로 전달하는 단계와, 클러스터가 상기 전달된 고장 메시지(failure message)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전장품을 이용하여 VESS 유닛의 고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ailure of virtual engine sound system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시스템(또는 내비게이션 유닛(unit)) 또는 전장품(전기/전자 부품, Electric/Electronic Subassembly)을 이용하여 VESS 유닛(unit)의 고장(failure)에 관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인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차량)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새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새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및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및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자동차는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두 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자동차를 구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친환경 차량의 EV주행 모드 즉, 모터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모드에서는 주행 소음이 매우 낮은 저소음 상태가 됨에 따라, 차량 주변의 보행자(특히, 시각 장애인)가 차량 접근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가상의 소음을 스피커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보행자가 차량 접근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이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엔진사운드 시스템용 스피커는 차량의 앞쪽 범퍼나 엔진룸 안에 설치하여 가상의 엔진 유사음이나 모터음 등을 주로 발생시킨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목적)는,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전장품(Electric/Electronic Subassembly)을 이용하여 VESS 유닛의 고장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인지성(perception)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VESS 유닛의 고장 메시지를 클러스터(cluster)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가 상기 전달된 고장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VESS 유닛의 고장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로 전달되기 전에, 진단기에 상기 고장 메시지에 대응하고 차량의 정비소에서 인식되는 고장 코드(DTC)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VESS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 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에 진입할 때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buzzer)가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VESS 유닛이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엔진음의 음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전방 센서 또는 후방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는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VESS 유닛 고장 고장 방법은,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차량을 차량 정비소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VESS 유닛의 고장은 상기 VESS 유닛과 스피커를 연결하는 전선(wire)의 단선(disconn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가상의 엔진 사운드(virtual engine sound)를 출력하는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유닛(unit); 및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상기 VESS 유닛에 관한 고장 메시지를 중앙 게이트웨이(GCW)를 통해 수신하여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VESS 유닛의 고장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로 전달되기 전에,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장 메시지에 대응하고 차량의 정비소에서 인식되는 고장 코드(DTC)를 수신하는 진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 상기 VESS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을 차량 정비소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에 진입할 때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엔진 사운드의 음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는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차량에 포함된 전장품을 이용하여 VESS 유닛의 고장에 관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인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는, VESS 유닛과 스피커(speaker) 사이의 전선의 단선(disconnection)과 같은 VESS 유닛의 오류(고장) 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고장을 인지하고 저속에서 운전자에게 주위를 살펴서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최종적으로 차량을 차량 서비스 센터(차량 정비소)로 차량이 입고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 및 운전자의 주의 운전을 증대시켜 차량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사고에 따른 제조물책임(PL, product liability)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클러스터에 의해 표시되는 고장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내비게이션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VESS 유닛에 관한 고장 경고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7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차량의 전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방 센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와 같은 전기차량은, 외부로 차량 엔진음을 출력하는 유닛(unit)(또는 장치(device))인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VESS시스템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장착된다. 최근에 북미에서 전기 차에 반드시 VESS시스템이 장착되어야 한다는 법규 초안이 발행되었다. VESS가 강제 의무 조항이나, VESS와 스피커 사이의 전선의 단선(disconnection)과 같은 VESS의 고장 시 차량 내부로 소리(sound)가 전달될 수 없으므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VESS의 고장을 인지(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포함된VESS 유닛 고장 제공장치(100)는, 클러스터(cluster)(105), 중앙 게이트웨이(CGW; Central GateWay)(115), 내비게이션 유닛(navigation unit)(또는 내비게이션 장치)(120), VESS 유닛(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유닛)(130), 및 차량 네트워크(network)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110, 117, 및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N 통신 네트워크는, B-CAN(Body CAN), M-CAN(Multimedia CAN), C-CAN(Chassis CAN), P-CAN 등 각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해 게이트웨이(115)를 사용할 수 있다.
VESS 유닛(130)은 P-CAN 라인(line)(125)을 통해 CGW(115)에 연결되고, 클러스터 장치(105)는 C-CAN 라인(line)(110)을 통해 CGW(115)에 연결되고, 내비게이션 유닛(120)는 M-CAN 라인(line)(117)을 통해 CGW(115)에 연결될 수 있다. P-CAN 라인(line)(125)에는 차량 내의 다른 전장품들(예, 제어기)이 연결될 수 있다.
클러스터 장치(105)는, 차량의 상태 정보, 알람(alarm) 정보, 또는 차량 계기판(dashboard)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표시)할 수 있다. 중앙 게이트웨이(115)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 간의 CAN 통신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VESS 유닛(130)는 차속(차량의 속도)이 예를 들어 시속 0~30Km이내일 경우(0(km/h)를 초과하고 30(km/h)이하일 경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가상의 차량 엔진음(engine sound)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고장이 발생되어 소리가 나지 않을 경우 시각 장애인과 같은 보행자에게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조물책임법(PL, product liability law)에 의해 완성차 회사가 보행자에게 배상해야 할 수도 있다.
VESS 유닛(130)의 고장 발생시VESS 유닛(130)은 P-CAN 라인(125)을 통해 CGW(115)에 고장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CGW(115)는 내비게이션 유닛(120)으로 고장 메시지(message)를 전달하고 클러스터(105)로 고장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VESS 유닛(130)은 CGW(115)에 고장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에, 차량(또는 차량의 VESS유닛고장 정보 제공장치)에 포함된 진단기(diagnostor)(205)에 고장 메시지에 대응하는 고장 코드(DTC(Diagnostic Trouble Code))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코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정비소에서 인지(인식)될 수 있는 번호(number) 타입의 코드일 수 있다.
CGW(115)가 클러스터(105)로 고장 메시지를 전달할 때 클러스터(105)는 도 3에 도시된 VESS유닛에 관한 고장 메시지(message)를 표시(display)할 수 있다.
VESS 유닛의 고장(오류)은 통신오류(communication error), 스피커 오류(speaker error), 또는 VESS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오류는, P-CAN 오류, C-CAN 오류, 또는 타임아웃 오류(timeout error)를 포함할 수 있다. VESS 유닛(130)(또는 VESS에 포함된 제어기(controller))은 CAN 안정화 조건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초기 5초 동안 CAN 신호를 점검할 수 있다. VESS 유닛(130) 은 5(초) 동안 네트워크의 무응답이 지속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에러(error)를 팝업(pop-up)(또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processor의 기능을 수행하고, 클러스터(105), VESS 유닛(130), CGW(115), 내비게이션 유닛(120), 및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210, 215))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는 본 발명의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VESS 유닛(13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스피커 오류는 VESS 유닛(130)과 스피커(210 또는 215)를 연결하는 전선(wire)의 단선(disconnection) 또는 VESS 유닛과 스피커(210 또는 215)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의 이탈에 관한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VESS 유닛(130) 내의 power IC(integrated circuit)가 5초간 (250ms/20회) 스피커 오류를 모니터링(monitoring)할 때 연속적으로 오류 문제 발생 시 에러 메시지(고장 메시지)를 전송(전달)할 수 있다. power IC는 VESS 유닛(130)의 제어기에 포함될 수 있다. 1개의 스피커(210 또는 215)에서만 단선 또는 커넥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앰프(amplifier) 드라이버(driver) IC(power IC)는 단선 또는 커넥터의 이탈을 판단할 수 없다. 하나의 채널(channel)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피커들(210, 215)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VESS 오류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VESS 자체 고장으로 판단되는 오류(failure)로서, VESS 유닛(130)의 내부 메모리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이상, 또는 VESS 유닛 내부 통신 이상 시에 발생되는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VESS 유닛이 자체 모니터링한 5초 내에 시스템이 정상 복귀될 때 VESS 오류는 없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300)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300)은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장 발생 단계(305)에서 전술한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VESS 유닛(130)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차속 확인 단계(310)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가 VESS 유닛(130)이 동작(activation)하는 속도(예, 시속 0를 초과하고 30이하의 Km)의 범위 내인 지 여부가VESS 유닛(130)(또는 VESS 유닛(130)의 제어기)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시속 0을 초과하고 30이하의 Km의 범위 내일 때 차량의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300)인 프로세스(process)는 화면(screen) 표출(표시) 단계(315)로 진행되고, 차량의 속도가 시속 0를 초과하고 30이하의 Km의 범위 내가 아닐 때 프로세스는 화면 미(未)표출 단계(320)로 진행될 수 있다.
화면 표출(표시) 단계(315)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유닛(120)은 VESS 유닛(130)에 의해 CGW(115)을 통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 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display)할 수 있다.
화면 미표출(미표시) 단계(320)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유닛(120)은 VESS 유닛(130)에 의해 CGW(115)을 통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 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VESS 동작 조건인 시속0~30Km의 차속으로 차량이 주행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내비게이션 유닛(120)에 도 5에 도시된 " 현재 가상엔진사운드시스템이 고장이므로 주위를 살펴 운전하십시오" 와 같은 경고 화면이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유닛(120)은 VESS 유닛(130)의 수리를 위해 차량 정비소 또는 차량 AS(after service) 센터로 안내되는 경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VESS 유닛(130)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120)은 상기 차량을 차량 정비소로 안내하는 경로(route) 정보를 표시(display)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400)를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400)은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진입 단계(405)에서 차량이 VESS 유닛(130)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예, 스큘 존(school zone))에 진입될 수 있다. 차량의 스큘 존 진입에 관한 정보는 도1에 도시된 내비게이션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내비게이션 유닛(120)은,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에 스큘 존 진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헤드 램프 점등 단계(410)에 따르면, 차량이 스큘 존에 진입하면 오프(off)된 차량의 헤드 램프(head lamp)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램프는 상기 제어기(또는 VESS 유닛(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VESS 고장 판단 단계(415)에 따르면, 도 1 또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된 VESS 유닛(130)의 고장 여부가 판단(확인)될 수 있다.
VESS 유닛(130)이 고장인 것으로 상기 제어기(VESS 유닛(130))에 의해 판단될 때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400)인 프로세스(process)는 경고음 출력 단계(420)로 진행되고, VESS 유닛(130)이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때 프로세스는 음압 증대 단계(425)로 진행될 수 있다.
경고음 출력 단계(420)에 따르면,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차량의 리모트 키(remote key)(또는 차량의 리모트 컨트롤 키(remote control key))에 의해 동작하는 차량의 버저(buzzer)를 통한 지속 경고음과 같은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버저는 상기 제어기(VESS 유닛(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 포함될 수있다.
음압 증대 단계(425)에 따르면, VESS 유닛(130)(또는 VESS 유닛(130)에 연결된 스피커(210, 215))의 음압(sound pressure)이 증대(증가)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어기(VESS 유닛(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차량이 스쿨존과 같은 저속(30km/h 이하)으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유닛(120)으로부터 스쿨존 정보를 받아 현재 발생되고 있는 VESS의 음압을 증대시키고 헤드램프(head lamp)를 점등시켜 보행자의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만약 VESS 고장의 경우 버저(예, 차량의 리모트 키(remote key)에 의해 동작하는 차량에 포함된 스피커)를 동작시켜 차량 사고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차량의 전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방 센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이 VESS 유닛(130)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 동안 도 7에 도시된 차량의 전방 센서(front sensor), 또는 후방 센서(rear sensor)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검출)할 때, 상기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키에 의해 동작하는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 또는 후방 센서는 상기 제어기(VESS 유닛(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전단(front)에 배치되는 다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들(motion sensors)(605, 610, 615, 620, 625, 630)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는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차량이 VESS 동작 조건인 예를 들어 시속 0~30Km 차속으로 주행 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차량의 전방 센서, 또는 차량의 후방 센서로 보행자와 같은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그 즉시 버저(예, 차량의 리모트 키에 배치된(포함된) 도어 언락 스위치(door unlock switch)가 눌러질 때 동작하는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보행자에게 차량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버저의 음압 크기는 보행자가 놀라지 않도록 차량의 horn(경음기)의 음압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방 센서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자(635)와 같은 외부 물체가 움직이는 물체로 판단되는 동작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제1 센서(605)가 보행자(635)와 같은 외부 물체를 인지한 후 제2 센서(610)가 외부 물체를 인지 시 상기 외부 물체는 움직이는(이동하는) 물체로 판단(판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센서의 동작도 전술한 전방 센서의 동작과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클러스터
115: CGW
120: 내비게이션 유닛
130: VESS

Claims (17)

  1. 차량의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유닛 고장 제공 방법에 있어서,
    VESS 유닛(unit)의 고장 메시지를 클러스터(cluster)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cluster)가 상기 전달된 고장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인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만 상기 고장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VESS 유닛의 고장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로 전달되기 전에, 진단기에 상기 고장 메시지에 대응하고 차량의 정비소에서 인식되는 고장 코드(DTC)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VESS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 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에 진입할 때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VESS 유닛이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엔진음의 음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전방 센서 또는 후방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는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은,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차량을 차량 정비소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ESS 유닛의 고장은 상기 VESS 유닛과 스피커를 연결하는 전선(wire)의 단선(disconn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11.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가상의 엔진 사운드(virtual engine sound)를 출력하는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 유닛(unit); 및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상기 VESS 유닛에 관한 고장 메시지를 중앙 게이트웨이(GCW)를 통해 수신하여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인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만 상기 고장 메시지를 상기 클러스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VESS 유닛의 고장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로 전달되기 전에, 상기 VESS 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장 메시지에 대응하고 차량의 정비소에서 인식되는 고장 코드(DTC)를 수신하는 진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일 때, 상기 VESS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고장 메시지에 포함된 VESS 유닛 고장에 관한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는,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을 차량 정비소로 안내하는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이 상기 VESS 유닛이 동작하는 속도 범위 내로 운행되어야 할 지역에 진입할 때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할 때, 상기 차량의 버저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VESS 유닛은,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된 후 상기 VESS 유닛이 고장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엔진 사운드의 음압을 증가시키는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장치.
KR1020140167640A 2014-11-27 2014-11-27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Active KR10164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40A KR101646119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US14/719,800 US9522632B2 (en) 2014-11-27 2015-05-22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ailure in virtual engine sound system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40A KR101646119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49A KR20160063849A (ko) 2016-06-07
KR101646119B1 true KR101646119B1 (ko) 2016-08-05

Family

ID=5607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40A Active KR101646119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2632B2 (ko)
KR (1) KR101646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84A (ko) * 2017-06-30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용 보행자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54B1 (ko) * 2015-10-19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울림통 확장형 엔진 음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차량
US10861331B2 (en) * 2016-10-25 2020-12-08 Pioneer Corpor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0489994B2 (en) 2016-11-16 2019-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ound activation
US10482687B2 (en) * 2017-04-11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agnosis of an 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AVAS) based on existing sensors
US10406976B2 (en) * 2018-01-31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urpose automotive sound device
KR20220039182A (ko) *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가상 후연소 효과 연출 장치 및 방법
US11813982B1 (en) 2022-07-13 2023-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ound emulation
KR20250000198A (ko) 2023-06-26 2025-01-0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Vess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알림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9561B2 (ja) * 2009-07-22 2014-01-29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車両用の歩行者警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23U (ko)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JP3848601B2 (ja) 2002-07-05 2006-1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メータ装置
JP4316397B2 (ja) * 2004-02-09 2009-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擬似音発生装置、車両、擬似音発生方法および擬似音発生プログラム
KR100993373B1 (ko) * 2004-11-25 2010-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기학습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위험지역 및사고정보 알림방법
US7979147B1 (en) * 2008-10-06 2011-07-12 James Francis Dunn Engine sound replication device
KR20100068803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8138897B2 (en) * 2009-03-06 2012-03-20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generating vehicle noise
JP2011042348A (ja) * 2009-08-21 2011-03-03 Tofit Corp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US8537030B2 (en) * 2010-02-15 2013-09-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edestrian alert system and method
KR20110122343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스피커 일체형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JP5298169B2 (ja) * 2011-07-27 2013-09-25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接近通報装置
JP5423748B2 (ja) * 2011-09-17 2014-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運行通知音発生用スピーカ回路の異常検出装置
JP5500147B2 (ja) * 2011-09-17 2014-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運行通知音発生用スピーカ回路の異常検出装置
KR20130058995A (ko) 2011-11-28 2013-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스터
DE102011121284A1 (de) * 2011-12-15 2013-06-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künstlichen Fahrgeräuschen eines Kraftfahrzeugs, Computerprogramm
JP5772721B2 (ja) * 2012-05-24 2015-09-02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接近通報装置
KR20140080317A (ko) 2012-12-20 2014-06-3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9561B2 (ja) * 2009-07-22 2014-01-29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車両用の歩行者警告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84A (ko) * 2017-06-30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용 보행자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KR102422137B1 (ko) * 2017-06-30 202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용 보행자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2632B2 (en) 2016-12-20
US20160152183A1 (en) 2016-06-02
KR20160063849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119B1 (ko) 차량의 vess 유닛 고장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장치
US10482687B2 (en) Diagnosis of an 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AVAS) based on existing sensors
CN203854604U (zh) 一种汽车智能监测盲点装置
CN103295421B (zh) 一种高速公路汽车防碰撞预警系统
CN106023345A (zh) 一种汽车维修提示方法及系统
WO2015076280A1 (ja) 車両状態の監視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70015855A (ko) 차량 검측 방법,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탑재 단말기
CN101477336A (zh) 一种汽车远程自主式故障诊断方法及其装置
KR20170012301A (ko) 운전 행위 안내 정보의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00211B1 (ko)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안전성능향상을 위한 주행제어장치 및 방법
CN104956413A (zh) 用于电动、混合动力车辆或类似车辆的声音信号发出系统
CN203179101U (zh) 一种具有车载诊断功能的obu,汽车及etc系统
CN101879865A (zh) 一种车辆故障处理系统
CN104730714A (zh) 基于移动智能终端的车载多媒体hud装置
CN103723105B (zh) 全能全自动总线车辆保安器
CN202186331U (zh) 汽车后视镜及车载检测系统
CN203623584U (zh) 全能全自动总线车辆保安器
JP2014213759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6985827A (zh) 车联网环境下的汽车座位震动警示装置及其震动警示方法
CN202987115U (zh) 一种汽车制动防误自动控制装置
CN106143286B (zh) Asic封装型电子制动灯开关及应用其的电子制动系统
CN204978499U (zh) 一种用于监控驾驶辅助系统的电子记录仪
KR20130113743A (ko) 차량 고장 알림 방법 및 장치
CN108482296A (zh) 一种汽车安全气囊故障分级预警系统及预警方法
JPH0478741A (ja) 自動車の自己診断結果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