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82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5182B1 KR101645182B1 KR1020120048751A KR20120048751A KR101645182B1 KR 101645182 B1 KR101645182 B1 KR 101645182B1 KR 1020120048751 A KR1020120048751 A KR 1020120048751A KR 20120048751 A KR20120048751 A KR 20120048751A KR 101645182 B1 KR101645182 B1 KR 101645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erilizing unit
- pump
- flow
- outflow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hypochlorous acid i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와;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와; 물이 살균되는 살균유닛과; 정수부와 살균유닛을 연결하는 살균유닛 입수유로와; 살균유닛과 출수부를 연결하는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물탱크와 살균유닛 입수유로를 연결하는 물탱크 출수유로와;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물탱크를 연결하는 물탱크 입수유로와; 살균유닛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출수부로 유동시키거나 물탱크 입수유로로 유동시키는 출수유로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정수기로 급수된 물과 물탱크의 물과 출수부로 출수되는 물 모두가 살균유닛에서 살균될 수 있고, 살균유닛에 의한 살균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g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lter for purifying water; An outflow section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 sterilizing unit in which water is sterilized; A sterilizing unit inlet channel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section and the sterilizing unit; A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water outlet; A water tank outlet channel connecting the water tank and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channel; A water tank inlet flow path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outlet flow path and the water tank; And an outlet flow regulating valve which is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and flow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terilizing unit to the outflow section or flows into the water tank receiving channel, All can be sterilized in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sterilizing performance by the sterilizing unit is high.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having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를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water by filtering it wit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to remove impurities.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수 있다.The water purifier can be classified into natural filtration type, direct filtration type, ion exchange water type, distillation type, reverse osmosis type, and the like, if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분류되면 상수가 공급되는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 등에 저장하는 저장형이 있다.The water purifier has a direct typ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a faucet to which a constant is supplied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 storage type that stores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a filter in a water tank.
정수기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에 자외선 램프 등의 살균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수조 내의 물을 살균시킬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can be provided with a sterilizing unit such as an ultraviolet lamp on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nd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can sterilize water in the water tank.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는 살균유닛이 수조 내에 설치되어, 정수부에서 정수된 물이 수조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출수될 경우 살균유닛에 의한 살균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수조 외부에서 물을 살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sterilizing unit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purified in the purified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water tank and goes out to the outside, sterilization by the sterilizing unit can not b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one.
본 발명은 물을 정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와;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와; 물이 살균되는 살균유닛과;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유닛을 연결하는 살균유닛 입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과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상기 물탱크와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를 연결하는 물탱크 출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상기 물탱크를 연결하는 물탱크 입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부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물탱크 입수유로로 유동시키는 출수유로 조절밸브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integ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lter for purifying water; An outflow section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 sterilizing unit in which water is sterilized; A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th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portion and the sterilizing unit; A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water outlet; A water tank outlet channel connecting the water tank and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channel; A water tank inlet line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and the water tank; And an outflow channel regulating valve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to flow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rilizing unit to the outflow unit or to flow into the water tank receiving channel.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출수유로의 물 또는 상기 정수부에서 출수된 물을 상기 살균유닛으로 입수시키는 입수유로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let flow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ssage to receive water in the water tank outlet flow passage or water discharged from the purified water portion into the sterilizing unit.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 중 상기 입수유로 조절밸브와 상기 살균유닛의 사이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pump installed between the inlet flow control valve and the sterilizing unit among the sterilization unit inlet flow channels.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물탱크 입수유로로 입수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출수모드시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flow control valve may be controlled in a circulation mode in which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is taken in the water tank inlet flow channel in the sterilization mode, Mode.
상기 정수기는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와 반대방향으로 물을 펌핑시키는 역회전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reverse rotation pump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th and pump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mp.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에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The outflow channel control valve may be connected to a drain channel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는 배수모드시 상기 출수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출수시키는 배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And the outflow channel control valve may be controlled to a drain mode in which the water in the outflow section is allowed to flow out to the drainage channel in the drain mod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는 벤츄리가 형성된 필터 배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벤츄리는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의 물이 상기 벤츄리로 안내되는 벤츄리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filter may include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n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ay be connected to a filter drainage flow path formed with a venturi. And can be connected to a venturi connection channel guided to the venturi.
상기 역회전 펌프는 유속 가변 펌프이고, 상기 역회전 펌프는 구동시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reverse rotation pump is a flow rate variable pump, and the reverse rotation pump is capable of varying a flow rate upon driving.
상기 펌프는 유속 가변 펌프이고, 상기 펌프는 구동시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pump is a flow rate variable pump, and the pump can vary the flow rate at the time of driving.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The pump can vary the flow rate step by step.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정지될 수 있다.The pump can be stopped after increasing the flow rate step by step.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잇다.The pump can increase the flow rate step by step and then gradually decrease it.
상기 펌프는 유속을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ump can increase and decrease the flow rate.
상기 펌프는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 pump can linearly increase the flow rate and decrease it linearly.
상기 펌프는 상기 살균유닛이 온인 동안 복수회 주기적으로 구동,정지될 수 있다.The pump may be driven and stopped a plurality of times periodically while the sterilizing unit is on.
본 발명은 정수기로 급수된 물과 물탱크의 물과 출수부로 출수되는 물 모두가 살균유닛에서 살균될 수 있고, 살균유닛에 의한 살균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both of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purifier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exiting to the water outlet can be sterilized in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sterilizing performance by the sterilizing unit is high.
또한, 살균유닛 출수유로의 물과 출수부의 물이 간단한 구조로 물탱크로 회수되고 살균될 수 있어,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in the outflow channel of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water in the outflow portion can be recovered and sterilized in a water tank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lean water can be supplied.
또한, 살균유닛 출수유로의 물과 출수부의 물이 간단한 구조로 배수될 수 있어, 오염된 물의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and the water in the outflow portion can be drain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he supply of contaminated water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펌프가 유속을 가변시킬 때의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펌프 유속 가변에 따른 물탱크의 세균 농도를 살균 이전일 때의 세균 농도와 저유량 유속일 때의 세균 농도 및 고유량 유속일 때의 세균 농도와 비교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2 실시예의 잔수 회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3 실시예의 물 배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4 실시예의 물 배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comparing the bacterial concentration of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ump flow r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acterial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t the low flow rate and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t the high flow rate limit,
4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at the time of recover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uring the water drainag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uring the water drainag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와,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10)와;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20)와; 물이 살균되는 살균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ying
정수부(1)는 물을 정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2)(3)(4)를 갖을 수 있다.The
정수부(1)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2)(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필터(2)(3)(4)는 적어도 2개의 필터가 물을 단계적으로 정수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복수개의 필터(2)(3)(4)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와 선 카본 필터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smosis membrame filter)와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Ultra Filtration membrame filter)와 후 카본 필터가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개의 필터(2)(3)(4)는 어느 하나의 필터(2)가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또는 선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로 구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필터(2)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른 하나의 필터(3)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smosis membrame filter) 또는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Ultra Filtration membrame fi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필터(3)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또 다른 하나의 필터(4)가 후카본 필터(Post carbon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Any one of the
정수부(1)는 복수개의 필터(2)(3)(4) 중 어느 하나의 필터(2)와 다른 하나의 필터(3)가 필터 연결유로(5)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필터(2)(3)(4) 중 다른 하나의 필터(3)와 또 다른 하나의 필터(4)가 다른 필터 연결유로(6)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정수부(1)에는 정수부(1)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유로(7)가 연결될 수 있다. The purified
원수 급수유로(7)는 수돗물과 같이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정수부(1)에서 정수되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필터(2)(3)(4) 중 어느 하나의 필터(2)에 연결될 수 있다.The raw water
출수부(10)는 정수기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코크 또는 출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출수부(10)는 코크를 포함할 경우, 코크에는 사용자가 물의 출수를 위해 조작하는 출수 레버가 설치될 수 있고, 출수 밸브를 포함할 경우 출수 밸브는 물을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물탱크(20)는 정수부(1)에서 정수된 물 또는 정수부(1)에서 정수되지 않은 물이 담겨질 수 있는 저수조이다.The
물탱크(20)는 일측에는 물이 물탱크(20)로 입수되는 입수부(22)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물탱크(20)의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24)가 형성될 수 있다.The
물탱크(20)는 정수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정수부(1)를 통해 급수되는 물과 별도로 물을 담아둘 수 있고 입수부(22)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담아둘 수 있다.When the
물탱크(20)는 정수기에 고정되게 설치될 경우, 입수부(22)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담아둘 수 있다,When the
물탱크(20)는 입수부(22)와 출수부(24)가 물탱크(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살균유닛(30)은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엘이디가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물을 살균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ing
살균유닛(30)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물 속의 염소 이온을 살균 성분인 차아 염소산 이온으로 변화시키는 전해살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살균유닛(30)은 물이 입수되는 입수부(32)와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34)가 형성되는 하우징(36)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36)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기나 전해살균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정수기는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40)와, 물을 펌핑시키는 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a water passage 40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a
물 유로(40)는 정수부(1)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되거나 물탱크(20)로 입수될 수 있고 물탱크(20)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되거나 물탱크(20)로 입수될 수 있다.The water channel 40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of the purified
물 유로(40)는 정수부(1)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되는 정수 출수유로와, 정수부(1)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입수되는 정수 저수유로와, 물탱크(20)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되는 정수 출수유로와, 물탱크(20)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입수되는 정수 순환유로를 갖을 수 있다.The water flow path 40 is formed by a water outflow channel in which the water of the purified
물 유로(40)는 정수부(1)와 살균유닛(30)을 연결하는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와, 살균유닛(30)과 출수부(10)를 연결하는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와, 물탱크(20)와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를 연결하는 물탱크 출수유로(46)와,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와 물탱크(20)를 연결하는 물탱크 입수유로(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assage 40 is provided with a sterilizing unit
정수기는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에 설치되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출수부(10)로 유동시키거나 물탱크 입수유로(47)로 유동시키는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물탱크 입수유로로 입수시키는 순환모드와,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출수부(10)로 출수시키는 출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The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살균모드시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물탱크 입수유로로 입수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저수모드시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물탱크 입수유로로 입수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출수모드시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을 출수부(10)로 출수시키는 출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outflow
정수기는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에 설치되어 물탱크 출수유로(46)의 물 또는 정수부(1)에서 출수된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입수시키는 입수유로 조절밸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물탱크(2)의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순환모드와, 정수부(1)를 통과한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비순환모드를 갖을 수 있다.The inlet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살균모드시 물탱크(2)의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저수모드시 정수부(1)를 통과한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비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출수모드시 물탱크(2)의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순환모드나 정수부(1)를 통과한 물을 살균유닛(30)으로 유동시키는 비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inlet
펌프(50)는 살균모드시 구동될 수 있고, 저수모드시 구동될 수 있으며, 출수모드시 구동될 수 있다.The
펌프(50)는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 중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살균유닛(3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 중 살균유닛(30)과 출수유로 조절밸브(6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는 정수부(1)와 입수유로 조절밸브(70)를 연결하는 정수부 출수유로(41)와,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를 연결하는 펌프 입수유로(42)와, 펌프(50)와 살균유닛(30)의 입수부(32)를 연결하는 펌프 출수유로(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는 살균유닛(30)의 출수부(34)와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연결하는 출수유로 조절밸브 입수유로(44)와,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출수부(10)를 연결하는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물탱크 출수유로(46)는 물탱크(20)의 출수부(24)와 입수유로 조절밸브(70)를 연결할 수 있다.The water
물탱크 입수유로(47)는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물탱크(20)의 입수부(2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펌프가 유속을 가변시킬 때의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펌프 유속 가변에 따른 물탱크의 세균 농도를 살균 이전일 때의 세균 농도와 저유량 유속일 때의 세균 농도 및 고유량 유속일 때의 세균 농도와 비교한 도이다.FIG. 2 is a view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ow rate of the water is varied;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rate ,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t low flow rate and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t high flow rate.
펌프(50)는 물의 유속이 일정하게 물을 펌핑시키는 정속 펌프로 구성되거나 물의 유속이 가변되게 물을 펌핑시키는 유속 가변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The
펌프(50)는 유속 가변 펌프일 경우, 그 구동시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다. 펌프(50)는 저수모드일 때와 살균모드일 때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고, 출수모드일 때 유속을 가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물탱크(20)로 물을 급수할 때와 물탱크(20)의 물을 순환 살균시킬 때 펌프(50)의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고, 물을 출수부(10)로 출수시킬 때 펌프(50)의 유속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저수모드시와 살균모드시, 정수부(1)의 물 또는 물탱크(20)의 물은 펌프(50)와 살균유닛(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입수될 수 있는데, 유속이 느릴 때의 물탱크(20) 내 유동 패턴(X)와 유속이 빠를 때 물탱크(20) 내 유동 패턴(Y)이 상이할 수 있고,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은 물탱크(20)에 넓게 퍼지면서 물탱크(20)의 전체를 고루 살균시킬 수 있고, 물탱크(20)의 전체를 살균시키는 총 살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펌프(50)는 유속을 증가시켰다가 정지될 수 있고, 유속을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킨 후 정지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증가되는 동안 그 내부 전체로 물이 고루 퍼지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감소되는 동안 그 내부 전체로 물이 고루 퍼지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 The
펌프(50)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펌프(50)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정지될 수 있다. 펌프(50)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후 정지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동안 그 내부 전체에 물이 고루 퍼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도중에 그 내부 전체에 물이 고루 퍼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The
펌프(50)는 유속을 선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펌프(50)는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정지될 수 있다. 펌프(50)는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킨 후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선형적으로 감소시킨 후 정지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동안 그 내부 전체에 물이 고루 퍼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 물탱크(20)는 유속이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도중에 그 내부 전체에 물이 고루 퍼지면서 살균될 수 있다.The
펌프(50)는 살균유닛(30)이 온인 동안 계속하여 구동되다가 살균유닛(20)의 오프시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고, 살균유닛(30)이 온인 동안 복수회 주기적으로 구동,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살균모드시, 살균유닛(30)은 계속하여 온될 수 있고, 펌프(50)는 살균유닛(30)이 온인 동안 주기적으로 구동,정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유닛(30)이 10분 동안 온인 동안 펌프(50)는 4분 동안 구동된 후 1분 동안 정지일 수 있고, 다시 4분 동안 구동된 후 1분 동안 정지일 수 있다. 펌프(50)가 구동,정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물탱크(20) 내의 물 유동 패턴은 고속 패턴과 저속 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고, 펌프(50)의 구동,정지가 반복되는 횟수만큼 물탱크(20) 내의 물 유동 패턴은 고속 패턴과 저속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펌프(50)는 구동인 도중에 상기와 같이 유속을 단계적 또는 선형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도 3의 (a)는 살균 전 물탱크의 내부 세균 농도가 도시된 도이고, 도 3의 (b)는 저유량 살균시 물탱크의 내부 세균 농도가 도시된 도이며, 도 3의 (c)는 고유량 살균시 물탱크의 내부 세균 농도가 도시된 도이고, 도 3의 (d)는 유량 가변 살균시 내부 세균 농도가 도시된 도이다.FIG. 3 (a)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bacterial concentration of the water tank before sterilization, FIG. 3 (b)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bacterial concentration of the water tank at the time of low flow sterilization, FIG. 3 (d) is a view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internal bacteria at the time of variable flow sterilization in the water tank.
물탱크(20)는 물탱크(20)의 살균 전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세균 농도가 높을 수 있다. The
한편, 펌프(50)의 유속이 느릴 경우, 즉 펌프(50)의 구동에 따른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 물탱크(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영역(A)(B)에서 세균 농도가 높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rate of the
그리고, 펌프(50)의 유속이 빠를 경우, 즉 펌프(50)의 구동에 따른 유량이 고유량인 경우, 물탱크(2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0)의 내측 하부 영역(C)에서 세균 농도가 높을 수 있다.3 (c), when the flow rate of the
한편, 펌프(50)의 유속이 가변될 경우, 즉 펌프(50)의 구동에 따른 유량이 가변될 경우, 물탱크(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의 유속이 느릴 경우의 저유량 순환 패턴(X)과 펌프(40)의 유속이 빠를 경우의 고유량 순환 패턴(Y)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유속이 단계적 또는 선형적으로 가변됨에 따라 다양한 순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0)의 전체 영역에 걸쳐 세균 농도가 낮을 수 있고, 물탱크(20)는 특정 영역의 세균 농도가 높지 않게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 When the flow rate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저수모드시, 살균유닛(30)과 펌프(50)는 구동될 수 있고,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비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First, in the water storage mode, the sterilizing
원수 급수유로(7)의 물은 복수개의 필터(2)(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고, 이후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를 통과하며 살균유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살균되고, 이후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담겨질 수 있다. 즉, 물탱크(20)에는 복수개의 필터(2)(3)(4)에서 정수되고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담겨질 수 있다.The water in the raw
정수기는 저수모드시, 펌프(50)를 가변 제어하여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고, 물탱크(20)는 그 내부 전체가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In the water storage mode, the water purifier can vary the flow rate by variable control of the
살균모드시, 살균유닛(30)과 펌프(50)는 구동될 수 있고,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물탱크(20)의 물은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살균유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살균되고, 이후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담겨질 수 있다. 즉, 물탱크(20)의 물은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와 살균유닛(30)과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물탱크(20)를 순환하고, 물탱크(20)에는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지속적으로 담겨지게 된다.The water in the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펌프(50)를 가변 제어하여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고, 물탱크(20)는 그 내부 전체가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In the sterilizing mode, the water purifier can vary the flow rate by variable control of the
출수모드시, 살균유닛(30)과 펌프(50)는 구동될 수 있고,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출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순환모드 또는 비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In the heading mode, the sterilizing
정수기는 출수모드시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비순환모드로 제어되면, 원수 급수유로(7)의 물이 복수개의 필터(2)(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고, 이후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를 통과하며 살균유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살균되고, 이후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출수부(10)를 통해 복수개의 필터(2)(3)(4)에서 정수되고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을 출수할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정수기는 출수모드시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순환모드로 제어되면,물탱크(20)의 물이 입수유로 조절밸브(70)와 펌프(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살균유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살균되고, 이후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출수부(10)로 출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출수부(10)를 통해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을 출수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is operated in the
즉, 정수기는 출수모드시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순환모드로 제어되면, 물탱크(20)의 물이 살균된 후 출수부(10)를 통해 출수될 수 있고,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비순환모드로 제어되면, 원수 급수유로(7)의 물이 정수 및 살균된 후 출수부(10)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ater supply
한편, 정수기는 물탱크(20)의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미도시)가 물탱크에 설치되어, 출수모드시 물탱크(20)의 수위가 높으면,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순환모드로 제어하고 출수모드시 물탱크(20)의 수위가 낮으면,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비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한편, 정수기는 물탱크(20)를 자동으로 살균하는 자동 살균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정수기는 출수부(10)가 물을 출수하지 않는 미출수 시간이 설정시간이 되거나 정수기 미사용시간이 설정시간이 되는 등의 자동 살균조건이 될 경우 자동 살균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정수기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살균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er can perform automatic sterilization control for sterilizing the
자동 살균 제어시, 정수기는 살균유닛(30)이 온되고, 펌프(50)의 유속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정수기는 물탱크(20)의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30)의 온시, 물탱크(20)와 살균유닛(30) 사이에 설치된 펌프(50)의 유속을 가변 제어하는 유량 가변 살균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sterilization control, the water purifier is turned on at the sterilizing
자동 살균 제어시, 정수기는 유량 가변 살균 단계가 개시된 후 살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살균유닛(30)이 오프되고 펌프(50)가 정지되는 살균 정지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In the automatic sterilization control, the water purifier can be subjected to a sterilization stop step in which the
정수기는 살균유닛(30)이 오프되고 펌프(50)가 정지된 후 살균 정지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살균유닛(30)이 온되고, 펌프(50)가 가변 제어되는 유량 가변 살균 단계가 실시될 수 있고, 정수기는 살균유닛(30)이 온인 동안 펌프(50)의 유속이 가변되는 유량 가변 살균 단계와, 살균유닛(30)이 오프인 동안 펌프(50)가 정지되는 살균 정지 단계가 교대로 반복 실시될 수 있다. When the sterilization stop set time elapses after the sterilizing
한편, 유량 가변 살균 단계는 살균유닛(30)이 온시 펌프(50)의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정지시키거나 펌프(50)의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펌프(50)의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유량 가변 살균 단계는 살균설정시간 동안 펌프(50)의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정지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펌프(50)의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펌프(50)의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펌프(50)는 살균유닛(30)이 온인 동안 펌프(50)는 복수회 구동,정지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구동인 도중에 유속이 가변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variable flow rate sterilizing step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steriliz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2 실시예의 잔수 회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at the time of recover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에 설치되고 펌프(50)와 반대방향으로 물을 펌핑시키는 역회전 펌프(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역회전 펌프(8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d a reverse rotation pump 80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정수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펌프(50)가 물을 양방향으로 펌핑시키는 양방향 펌프로 구성될 경우, 출수부(10)를 통한 물의 출수 후 출수부(10)의 물과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을 물탱크(20)로 회수할 수 있다. When the
정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0)의 펌핑 방향과 역방향으로 물을 펌핑할 수 있는 역회전 펌프(80)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출수부(10)를 통한 물의 출수 후 출수부(10)의 물과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을 물탱크(20)로 회수할 수 있다. 4, when a reverse rotation pump 80 capable of pump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mping direction of the
역회전 펌프(80)는 출수부(10)의 물과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이 살균유닛(30)을 통과한 후 물탱크(20)로 회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역회전 펌프(80)는 펌프 출수유로(43)에 펌프(5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The
역회전 펌프(80)는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에 물이 펌프(50)를 바이패스할 수 있게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미도시)에 설치되고, 살균유닛 입수유로(41)(42)(43)에 역회전 펌프(80)의 구동시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이 펌프(50)로 유동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역회전 펌프(80)는 펌프(50)와 같이 유속 가변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구동시 펌프(50)와 같이 유속이 가변될 수 있다.
The
이하, 역회전 펌프(80)는 펌프 출수유로(43)에 펌프(50)와 함께 설치되는 예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펌프 출수유로(43)는 펌프(50)와 역회전 펌프(80)를 연결하는 펌프 연결유로(43a)와, 역회전 펌프(80)와 살균유닛(30)을 연결하는 역회전 펌프-살균유닛 연결유로(43b)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50)의 구동시, 물은 펌프(50)와펌프 연결유로(43a)와 역회전 펌프(80)와 역회전 펌프-살균유닛 연결유로(43b)의 순서로 유동된 후 살균유닛(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역회전 펌프(80)의 구동시 살균유닛(30)의 물은 펌프-살균유닛 연결유로(43b)와 역회전 펌프(80)와 펌프 연결유로(43a)와 펌프(50)의 순서로 유동될 수 있다.The
펌프(50)와 역회전 펌프(80)는 펌프(50)의 구동시 역회전펌프(80)가 구동되지 않고, 역회전펌프(80)의 구동시 펌프(50)가 구동되지 않는다.The
정수기는 출수모드시, 살균유닛(30)과 펌프(50)와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어될 수 있고, 정수기는 출수부(10)를 통한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이후 잔수를 회수하는 잔수회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terilizing
출수모드의 완료시,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출수부(10)를 통해 출수되지 못하고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와 출수부(10)에 남게 되는데, 이러한 물이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와 출수부(10)에 장시간 남게 되면, 물 속의 박테리아 증대로 물이 오염되게 되고, 이후에 오염된 물이 외부로 그대로 출수되면, 사용자는 오염된 물을 음용하게 된다.The water in the sterilizing
한편, 정수기는 출수모드 완료 후 잔수회수모드가 실시되면,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물탱크(20)로 회수되어 담겨지고, 잔수회수모드가 실시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출수모드를 실시하면, 사용자는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purifier is in the residual water recovery mod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outgoing mode, the water in the sterilizing
잔수회수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잔수회수모드시 살균유닛(30)은 구동될 수 있고, 펌프(50)는 정지될 수 있으며,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출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입수유로 조절밸브(70)는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역회전 펌프(80)는 펌프(50)의 펌핑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물을 펌핑시키게 구동될 수 있다.In detail, in the remainder recovery mode, the
잔수회수모드시,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출수모드와 반대방향으로 유동되고, 이후 입수유로 조절밸브(70)를 통과하여 물탱크(20)로 담겨진다.The water in the sterilizing
잔후회수모드시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살균유닛(30)을 통과하면서 살균된후 물탱크(20)에 담겨지고, 물탱크(20)에는 살균된 물이 담겨지게 된다.The water in the sterilizing
상기와 같이 출수모드와 잔수회수모드가 순차적으로 실시된 후 사용자가 다시 출수모드를 실시하면, 출수부(10)로는 정수부(10)에서 정수된 후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출수되거나, 물탱크(20)에서 출수된 후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출수되고, 사용자는 오염된 물을 음용하지 않게 된다.After the outgoing mode and the residual water recovery mode are sequential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gain performs the outgoing mode, sterilized water is sent to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3 실시예의 물 배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uring water draining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유로 조절밸브(60)에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62)가 연결될 수 있고,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잔수 배수모드시 출수부(10)의 물을 배수유로(62)로 출수시키는 배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출수유로 조절밸브(6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5,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drainage
배수유로(62)는 출수부(10) 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되어, 출수부(10)의 물이 배수유로(62)를 통해 자연 배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이 출수부(10)로 유동되게 하는 출수모드와, 살균유닛(30)을 통과한 물이 물탱크(20)로 유동되게 하는 순환모드와, 출수부(10)의 물이 배수유로(62)로 배수되는 배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The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하나의 사방밸브가 출수모드와 순환모드와 배수모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복수개의 밸브가 온/오프되면서 출수모드와 순환모드와 배수모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에 설치되어 출수부(10)로 유동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 1 출수유로 조절밸브와, 물탱크 입수유로(47)에 설치되어 물탱크(20)로 유동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 2 출수유로 조절밸브와, 배수유로(62)에 설치되어 배수유로(62)로 유동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 3 출수유로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flow
정수기는 출수모드시, 살균유닛(30)과 펌프(50)와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입수유로 조절밸브(70)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어될 수 있고, 정수기는 출수부(10)를 통한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이후 잔수를 배수하는 배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terilizing
정수기는 출수모드 완료 후 배수모드가 실시되면,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배수유로(62)를 통해 배수될 수 있고, 배수모드가 실시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출수모드를 실시하면, 사용자는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The water in the outflow channel control
배수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배수모드시 살균유닛(30)은 정지될 수 있고, 펌프(50)는 정지될 수 있으며,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배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o describe the drainage mode in detail, the
배수모드시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은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한 후 배수유로(62)로 배수된다.In the drain mode, the water in the outflow channel regulating
상기와 같이 출수모드와 배수모드가 순차적으로 실시된 후 사용자가 다시 출수모드를 실시하면, 출수부(10)로는 정수부(10)에서 정수된 후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출수되거나, 물탱크(20)에서 출수된 후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물이 출수되고, 사용자는 오염된 물을 음용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user performs the outgoing mode again after the outgoing mode and the drain mode are sequential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sterilized water is sent to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4 실시예의 물 배수시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during the water drainag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2)(3)(4)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를 포함할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에 벤츄리(90)가 형성된 필터 배수유로(92)가 연결될 수 있다.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와 벤츄리(90)는 살균유닛 출수유로(44)(45)의 물이 벤츄리(90)로 안내되는 벤츄리 연결유로(100)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와 필터 배수유로(92)와 벤츄리 연결유로(10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정수부(1)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로 물을 안내하는 필터 연결유로(5)에 급수밸브(8)가 설치될 수 있고, 필터 연결유로(5)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 이전에 물을 정수하는 필터(2)와 급수밸브(8)를 연결하는 급수밸브 입수유로(5a)와, 급수밸브(8)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 이후에 물을 정수하는 필터(4)를 연결하는 급수밸브 출수유로(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필터 배수유로(92)는 일단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3)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정수기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lter
벤츄리 연결유로(100)는 출수유로 조절밸브 입수유로(44)와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와 출수유로 조절밸브(60)와 출수부(10)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The
벤츄리 연결유로(100)가 출수유로 조절밸브 입수유로(44)에 연결될 경우,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배수모드시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이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배수되게 출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벤츄리 연결유로(100)가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 또는 출수부(10)에 연결될 경우,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배수모드시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이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배수되게 순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벤츄리 연결유로(100)가 출수유로 조절밸브(60)에 연결될 경우 출수유로 조절밸브(60)는 배수모드시 출수유로 조절밸브 출수유로(45)의 물과 출수부(10)의 물이 출수유로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배수되게 본 발명 제 3 실시예와 같이 배수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1: 정수부 2,3,4: 필터
10: 출수부 20: 물탱크
30: 살균유닛 41,42,43: 살균유닛 입수유로
44,45: 살균유닛 출수유로 46: 물탱크 출수유로
47: 물탱크 입수유로 50: 펌프
60: 출수유로 조절밸브 62: 배수유로
70: 입수유로 조절밸브 80: 역회전 펌프
90: 벤츄리 92: 필터 배수유로1:
10: water outlet 20: water tank
30:
44, 45: Sterilization unit outflow channel 46: Water tank outflow channel
47: Water tank intake 50: Pump
60: an outflow channel control valve 62: a drainage channel
70: inlet flow control valve 80: reverse rotation pump
90: Venturi 92: Filter drainage channel
Claims (16)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와;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와;
물이 살균되는 살균유닛과;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유닛을 연결하는 살균유닛 입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과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상기 물탱크 하부의 일측과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를 연결하는 물탱크 출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상기 물탱크 하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물탱크 입수유로와;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부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물탱크 입수유로로 유동시키는 출수유로 조절밸브와;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출수유로의 물 또는 상기 정수부에서 출수된 물을 상기 살균유닛으로 입수시키는 입수유로 조절밸브와;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 중 상기 입수유로 조절밸브와 상기 살균유닛의 사이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물탱크 입수유로로 입수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되고,
상기 입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살균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순환모드로 제어되며,
상기 펌프는 유속 가변 펌프로 살균모드시 유속을 가변시키는 정수기.An integer part having at least one filter for purifying water;
An outflow section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 sterilizing unit in which water is sterilized;
A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th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portion and the sterilizing unit;
A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water outlet;
A water tank outlet channel connecting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inlet channel of the sterilizing unit;
A water tank inlet channel connecting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 outflow channel regulating valve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to flow water passing through the sterilizing unit to the outflow unit or to flow into the water tank receiving channel;
An inlet flow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ssage for receiving water in the water tank outlet flow passage or water discharged from the purified water portion into the sterilizing unit;
And a pump installed between the inlet flow control valve and the sterilizing unit among the sterilization unit inlet flow channels,
Wherein the water flow control valve is controlled to a circulation mode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is received by the water tank inlet flow channel in the sterilization mode,
Wherein the inlet flow control valve is controlled in a circulation mode to flow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sterilization unit in sterilization mode,
Wherein the pump varies the flow rate in the sterilization mode with a variable flow rate pump.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는 출수모드시 상기 살균유닛을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모드로 제어되고
상기 입수유로 조절밸브는 저수모드시 상기 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살균유닛으로 유동시키는 비순환모드로 제어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flow channel control valve is controlled to an outflow mode in which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rilizing unit is allowed to flow out to the outflow section in the outbound mode
Wherein the inlet flow control valve is controlled in a non-circulating mode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portion flows to the sterilizing unit in a water saving mode.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에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가 연결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flow path control valve is connected to a drain water path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출수유로 조절밸브는 잔수 배수모드시 상기 출수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출수시키는 배수모드로 제어되는 정수기.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outflow channel control valve is controlled to a drain mode in which water in the outflow section is allowed to flow out to the drainage channel in the residual water drain mod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는 벤츄리가 형성된 필터 배수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와 벤츄리는 상기 살균유닛 출수유로의 물이 상기 벤츄리로 안내되는 벤츄리 연결유로로 연결된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filter comprises an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connected to a filter drainage flow path formed with a venturi,
Where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and the venturi are connected to a venturi connection channel through which water in the sterilizing unit outflow channel is guided to the venturi.
상기 정수기는 상기 살균유닛 입수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와 반대방향으로 물을 펌핑시키는 역회전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reverse rotation pump installed in the sterilizing unit inlet flow path and pump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mp.
상기 역회전 펌프는 유속 가변 펌프이고,
상기 역회전 펌프는 구동시 유속을 가변시키는 정수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verse rotation pump is a flow rate variable pump,
Wherein the reverse rotation pump varies the flow rate when driven.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키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is a water purifier that changes the flow rate step by step.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정지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is stopped after increasing the flow rate step by step.
상기 펌프는 유속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increases the flow rate step by step and then decreases stepwise.
상기 펌프는 유속을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increases and decreases the flow rate.
상기 펌프는 유속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linearly increases the flow rate and then linearly decreases the flow rate.
상기 펌프는 상기 살균유닛이 온인 동안 복수회 주기적으로 구동,정지되는 정수기.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pump is driven and stopped a plurality of times periodically while the sterilizing unit is 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8059 | 2011-08-31 | ||
KR20110088059 | 2011-08-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5801A KR20130025801A (en) | 2013-03-12 |
KR101645182B1 true KR101645182B1 (en) | 2016-08-03 |
Family
ID=4817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8751A KR101645182B1 (en) | 2011-08-31 | 2012-05-08 |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51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860B1 (en) * | 2013-05-06 | 2015-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
KR20210034919A (en) * | 2019-09-23 | 2021-03-31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20240155574A (en) * | 2023-04-20 | 2024-10-29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210B1 (en) * | 2007-06-14 | 2011-04-27 | (주)비바젠 | Pure and Ultrapure Water Manufactur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8275A (en) * | 1993-10-12 | 1995-04-25 | Yoshimi Sano | Water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
KR100541036B1 (en) * | 2003-06-26 | 2006-01-10 | 방태만 | Humidifier with moisture filter |
KR20100062596A (en) * | 2008-12-02 | 2010-06-1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Water purifier being able to sterilize with electrolyzer and recirculate water |
-
2012
- 2012-05-08 KR KR1020120048751A patent/KR1016451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210B1 (en) * | 2007-06-14 | 2011-04-27 | (주)비바젠 | Pure and Ultrapure Water Manufactur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5801A (en) | 201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25240A (en) |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dosing control | |
WO2013057893A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 |
KR20090043496A (en) |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partial flow bypass path | |
KR10149287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439948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645182B1 (en) | Water purifier | |
KR10144612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130131964A (en) | Water sterilization system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96779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459001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WO2009057854A1 (en) | Water purifier | |
JP7256804B2 (en) | Water purification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system | |
KR101982804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2037982B1 (en) | Intelligent filtering apparatus for rainwater | |
KR101447963B1 (en) |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476323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649741B1 (en) | an apparatus for concentrating sap | |
KR102079173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446128B1 (en) |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447519B1 (en) | 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77338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49630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 |
KR101558942B1 (en) | an apparatus for concentrating sap | |
KR20140022936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220166543A (en) | Water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