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4134B1 -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 Google Patents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34B1
KR101644134B1 KR1020150188814A KR20150188814A KR101644134B1 KR 101644134 B1 KR101644134 B1 KR 101644134B1 KR 1020150188814 A KR1020150188814 A KR 1020150188814A KR 20150188814 A KR20150188814 A KR 20150188814A KR 101644134 B1 KR101644134 B1 KR 10164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r
inclined surface
guide
groove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화학
Priority to KR102015018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32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 B60K2015/0435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using a sliding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2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sliding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구의 도어를 푸쉬 방식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에서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임의로 도어가 열리게 되어 개폐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 하여 공간활용을 높여 줄 수 있는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 돌출되어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바와, 상기 슬라이딩 바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푸쉬 방식으로 슬라이딩 바를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바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바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opening / closing a door of a gas port in a pushing manner, stably maintaining an opened state and a clos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filler opening / clos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sliding bar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sli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liding bar upward And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sliding bar is received and a lower case having a second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s received, .

Description

주유구 개폐장치{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구의 도어를 푸쉬 방식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에서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임의로 도어가 열리게 되어 개폐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 하여 공간활용을 높여 줄 수 있는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opening / closing a door of a gas port in a pushing manner, stably maintaining an opened state and a clos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filler opening / clos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후미에는 차량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 주입구가 설치된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료 필러 도어(이하, 연료 도어라고 함)가 장착된다.A fuel filler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el door) is mount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fuel filler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연료 주입구에는 연료 주입구 캡이 씌워져 있어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주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port is covered with a fuel injection port cap, thereby preventing the fuel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fuel injection port.

이와 같이 차량 후방에서 연료 캡을 감출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연료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의 모터가 푸쉬-풀 로드(push-pull rod)(2)를 구동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게 되며, 특히 연료 도어(5)의 오픈시 푸쉬 오프너(push opener)(3)에 의해 연료 도어(5)가 팝업되고 팝업된 연료 도어(5)를 열어서 오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 and 2, the motor of the actuator 1 drives the push-pull rod 2, so that the fuel cap can be driven by the push- The fuel door 5 is popped up by the push opener 3 when the fuel door 5 is opened and the fuel door 5 is opened so as to open and open the pop- .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는 액츄에이터(1)와 푸쉬 오프너(3)가 분리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이들의 연결 작동을 위한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부품수가 증대되어 레이아웃이 불리하고,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fuel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as shown in FIG. 1, since the actuator 1 and the push opener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parts for their connection operations must be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and the cost increas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9080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내주면에 하우징 가이드(12)를 가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모터(20); 상기 모터(20)의 하단에서 모터 마운팅부(24)에 의해 밀려 회전 이동되어서 상기 하우징 가이드(1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는 슬라이딩 블럭(32)을 가지는 팝업 레버(30); 상기 팝업 레버(30)의 하단을 탄성지지하는 팝업 스프링(40); 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20)에 의해 잠금해제한 잠금 레버(22)를 밀어서 모터(20)를 하강시키면 팝업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레버(22)가 팝업되어 연료 도어의 오픈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 가이드(12)에는 가이드 홈(14)과 이너 가이드 홈(16)이 교번 배열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4)은 모터의 마운팅 블럭(26)과 팝업 레버(30)의 슬라이딩 블록(32) 모두 승강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 홈(16)은 마운팅 블럭(32)만 승강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49080 as shown in Figs. 3 and 4 has been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a housing having a housing guide (12) (10); A motor 20 mounted on the housing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pop-up lever (30) having a sliding block (32) which is pivotally moved by the motor mounting portion (24)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20) and is movable along the housing guide (12); A pop-up spring 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op-up lever 30; When the motor 20 is lowered by pushing the lock lever 22 unlocked by the motor 20, the lock lever 22 pops up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op-up spring 40, The housing guide 12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guide grooves 14 and inner guide grooves 16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guide grooves 14 are formed on the mounting block 26 of the motor and the pop- The sliding block 32 of the inner guide groove 16 is movable up and down, and the inner guide groove 16 is movable up and down only by the mounting block 32.

그런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9080호에 기재된 기술은 기존의 액츄에이터와 푸쉬 오프너를 일체형 엑츄에이터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축소하여 중량 및 원가를 절감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팝업 레버와 모터가 별개로 형성되어 팝업 레버가 걸림턱에 의해 고정될 경우, 팝업 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는 임의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을 경우 자동차의 주유구 도어는 임의로 개방될 수 있고, 주유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일 경우 모터가 임으로 돌출될 수 있어 돌출된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908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weight and cost by constructing the conventional actuator and the push-opener with an integrated actuator structure. However, When the pop-up lever is formed separately and fixed by the latching jaw, the moto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op-up lever can be slid back and forth arbitrarily. Therefore, when there is no fixing device,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opened arbitrari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tor can be easily protruded and easily broke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protruded stat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 바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는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자동차의 주유구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바는 푸쉬 방식으로 삽입과 인출이 조절되며,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인출된 상태와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임의로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거나, 주유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바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주유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bar which is slidable inside a main body and one end of a sliding bar protrudes to one side of a main body, The sliding bar is controlled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in a pushing manner. The sliding bar is formed not only in a simple structure but also in a stowed state and a stably inserted state. Thus, the sliding door can be opened arbitrarily,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the sliding bar by preventing the sliding bar from being drawn out.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바와 슬라이딩 바에 구비되는 회전링은 별개로 구비되어 작동시마다 부딛히게 되어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바에 회전링을 직접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링과 함께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부딛히지 않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게 되며, 구조역시 단순하여 최소의 공간으로 설치할 수 있는 주유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to provide a sliding bar and a rotating ring provided on the sliding bar separately to cause a noise in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bar is directly rotatable on the slid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uel filler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a minimum spac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enhancing the durab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 돌출되어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바와, 상기 슬라이딩 바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푸쉬 방식으로 슬라이딩 바를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iding bar protruding from one side end of the main body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liding bar upwardly, wherein the sliding bar is inserted or withdrawn in a pushing manner .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바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바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s received, and a lower case having a second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s received.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1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단에는 제1경사면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pace of the upper case,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 saw-like shape at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s And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제2가이드부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단에는 제2경사면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second guide part is protruded up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of the lower cas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art in a saw shape .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또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는 각각 제1회전방지턱과 제2회전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방지턱과 제2회전방지턱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턱은 가이드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and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are formed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s,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바의 중심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ang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bar, and a first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lange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여기서,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2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회전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rotary ring having a second guide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이때, 상기 슬라이딩 바는 플랜지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도록 회전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liding bar is formed with a rotation gro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and a rotary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ring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groove.

그리고, 상기 회전링의 상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ising portion is formed radially at an upper end of the rotary ring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돌부의 상단에는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3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바가 인출되는 관통공을 커버하는 연질의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ase may further include a soft protective cover cover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iding bar is drawn.

이때, 상기 슬라이딩 바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 상부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는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ar, a protrusion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engaging reces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ing recess is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first engaging recess.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 바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는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자동차의 주유구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바는 푸쉬 방식으로 삽입과 인출이 조절되며,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인출된 상태와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임의로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거나, 주유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바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liding bar is slid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sliding bar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opening the door of the automobile.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are controlled, and not only the structure is formed, but also the drawn state and the insert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so that the sliding d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door is opened or the sliding door is ope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바와 슬라이딩 바에 구비되는 회전링은 별개로 구비되어 작동시마다 부딛히게 되어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바에 회전링을 직접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링과 함께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부딛히지 않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게 되며, 구조역시 단순하여 최소의 공간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bar and the sliding bar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o generate nois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bar is directly rotatable on the sliding b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due to sliding and not to hit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thereof, and the structure is also simpl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minimum spac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작동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자동차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개선된 자동차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바 및 회전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회전링이 슬라이딩 바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el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2 is an enlarged view of an operating portion of a fuel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mproved automotive fuel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ventional improved automotive fuel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n upper case of the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l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bar and a rotating ring of a delivery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rotary ring of a delivery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liding bar.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바 및 회전링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회전링이 슬라이딩 바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the upper case of the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rotary ring of a supply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liding bar, and FIG. 10 is a cross-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바(400)와 상기 슬라이딩 바(400)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30)로 이루어지는데, 푸쉬 방식으로 슬라이딩 바(400)가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게 되어 주유구를 개폐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5 to 9, the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main body 100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sliding bar 400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pring 130 elastically supports the sliding bar 400 upward. So that the fuel supply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슬라이딩 바(400)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슬라이딩 바(400)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10)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용공간(310)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130)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바(40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upper case 200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0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400 is receiv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200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400 is received. The spring 13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10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iding bar 400. [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제1수용공간(21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부(220)의 하단에는 톱날형상으로 제1경사면(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220)에는 제1수용공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홈(230)이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A first guide part 220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pace 210 of the upper case 200. The first guide part 220 has a first guide part 220,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23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0.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300)의 제2수용공간(310)의 상부에는 제2가이드부(320)가 상기 제1가이드부(220)에 대응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부(320)의 상단에는 톱날 형상으로 제2경사면(32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second guide part 320 protrudes up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part 220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10 of the lower case 300,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aw blade.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222)과 제2경사면(322)에는 제1회전방지턱(224)과 제2회전방지턱(324)가 각각 형성되는데, 제1경사면(222)과 제2경사면(32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턱(224)과 제2회전방지턱(324)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restricting tails 224 and 324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222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222 and 322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224 and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324 are form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바(4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플랜지(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410)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가이드돌부(412)가 형성된다.The sliding bar 40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a flange 4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bar 400. A first guide protrusion 4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410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플랜지(4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부(412)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30)에 삽입되게 되어, 슬라이딩 바(400)는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1수용공간(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guide protrusion 412 formed on the flange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3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200 so that the sliding bar 400 can be stably And moves alo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0.

그리고, 상기 플랜지(410)의 하부에는 회전링(5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링(500)의 외주면에는 제2가이드돌부(5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돌부(530)는 상기 가이드홈(230)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고, 전술한 제1경사면(222)을 따라 이동하여 제1회전방지턱(224)에 걸림고정될 수도 있다.A second guide protrusion 53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ring 500 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530 is formed on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30 or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and fixed to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224.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바(400)는 플랜지(410)의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44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50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홈(440)에 대응되도록 회전돌부(522)가 형성되어 회전링(5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바(40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The sliding bar 400 is formed with a rotation groove 44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410 and has a rotation protrusion 522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groove 440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ring 500. So that the rotary ring 500 is rotatably installed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400.

이때, 상기 회전링(500)의 상단에는 관통공(5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부(5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500)의 회전돌부(522)를 회전홈(440)에 삽입할 때 절개부(520)에 의해 회전돌부(522) 부분이 벌어지게 되어 슬라이딩 바(400)를 따라 이동하여 용이하게 회전홈(44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cutout 520 is formed radially around the through hole 510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ring 500 to insert the rotary protrusion 522 of the rotary ring 500 into the rotary groove 440 The portion of the rotation protrusion 522 is opened by the cutout 520 so that it can be moved along the sliding bar 400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groove 440 easily.

또한, 상기 회전돌부(522)의 상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4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프링(13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턱(430) 역시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링(500)에 슬라이딩 바(400)를 삽입할 때, 스프링 지지턱(430)과 회전돌부(522)의 지지턱에 의해 절개부(520)가 용이하게 벌어지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회전링(500)을 슬라이딩 바(40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protrusion 522 is tapered and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43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400 and supporting the spring 130 is tapered, The incision 520 is easily opened by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spring support jaws 430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522 when the sliding bar 40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ring 500. Thus,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sliding bar 400.

한편, 상기 회전링(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부(530)의 상단에는 제1경사면(222)에 대응되도록 제3경사면(532)이 형성되고, 제2가이드돌부(530)의 하단에는 제2경사면(322)에 대응되도록 제4경사면(534)이 형성된다.A third inclined surface 5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ring 5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5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그래서, 상기 슬라이딩 바(400)를 푸쉬하여 하부로 이동시킬 때마다 슬라이딩 바(400)가 본체(100)에 삽입된 상태와 인출된 상태를 번갈아가며 유지하도록 하여, 주유구를 열거나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liding bar 400 is pushed and moved downward, the sliding bar 400 is alternately held between the state where the sliding bar 4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the state where the sliding bar 400 is pulled out, . ≪ / RTI >

즉,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회전링(500)은 슬라이딩 바(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400)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딩 바(400)는 플랜지(410)의 제1가이드돌부(412)에 의해 가이드홈(23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링(500)의 제2가이드돌부(530) 역시 가이드홈(23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딩 바(400)가 완전히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가이드돌부(530)의 제4경사면(534)은 제2경사면(322)와 접하게 되어 제2경사면(3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sliding bar 400 is pushed downward, the rotating bar 5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liding bar 400,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of the rotary ring 500 is also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230 by the first guide protrusion 412 of the flange 410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34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contact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and move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322)은 톱날처럼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제2회전방지턱(3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돌부(530)는 제2경사면(3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제2회전방지턱(324)에 걸려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 바(400)를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바(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is formed like a saw blade and has a second rotation protrusion 324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rotates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The sliding bar 400 moves up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0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for pressing the sliding bar 400. [

여기서, 상기 제1회전방지턱(224)과 제2회전방지턱(324)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턱(224)은 가이드홈(2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회전방지턱(324)의 상부에는 제1경사면(222)이 위치하게 되어 제2가이드돌부(530)의 제3경사면(532)과 제1경사면(222)이 접하게 되어 제2가이드돌부(530)는 제1경사면(2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제1회전방지턱(324)에 걸리게 된다.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224 and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324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224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grooves 230, The third inclined surface 532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And is rotate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2 to be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tuck 324.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바(400)는 회전링(500)의 제2가이드돌부(530)이 제1회전방지턱(324)에 걸리게 되어 상부로 이동할 없어 본체(1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liding bar 400 is no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becaus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of the rotating ring 500 is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324 and does not move upward.

그래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은 본원 발명의 회전링(500)에 대응되는 회전 레버(30)가 모터(20)와 별개로 형성되어 회전 레버(3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더라도 모터(20)는 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외력이 작용하거나 경사도가 달라질 경우 모터(20)는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3 and 4, the rotating lever 30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ring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motor 20 so that the rotating lever 30 is not moved any more The motor 20 can move freel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the inclination is changed, the motor 20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ereby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반면에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바(400)는 본체(100)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서 슬라이딩 바(400)의 손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bar 4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sliding bar 400 from being drawn out arbitrarily, so that damage to the sliding bar 400 can be prevented more stably .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슬라이딩 바(400)를 가압하게 되면 제2가이드돌부(530)는 슬라이딩 바(400)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1가이드돌부(412)의 하부에는 제2경사면(322)이 위치하여, 제2경사면(322) 제2가이드돌부(530)의 제4경사면(534)이 접하게 되어 제2가이드돌부(530)는 제2경사면(324)을 따라 회전하여 제2회전방지턱(324)에 의해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When the user again presses the sliding bar 400,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400. The second guide protrusion 412 is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322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2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534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guide protrusion 530 is rotate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4, (324). ≪ / RTI >

여기서, 사용자가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슬라이딩 바(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제2회전방지턱(324)의 상부에는 제1경사면(222)이 위치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돌부(530)의 제3경사면(532)이 제1경사면(222)를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제1회전방지턱(224) 다음에는 가이드홈(230)이 형성되어 있어 제2가이드돌부(530)는 가이드홈(230)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돌부(412)와 함께 가이드홈(23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user removes the pressing force, the sliding bar 400 moves upward,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324, The third inclined surface 532 of the guide protrusion 530 is rotat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2. The guide groove 230 is formed next to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22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30 and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230 together with the first guide protrusion 412.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바(400)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주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sliding bar 400 maintains the protruded stat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0,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opening state of the injection port.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는 보호커버(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커버(110)는 슬라이딩 바(400)가 인출되는 관통공(212)을 커버하게 되며, 재질은 실리콘, 고무, 합성고무 등 같은 연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rotective cover 110 covers the through hole 212 through which the sliding bar 400 is drawn and is made of silicone rubber or rubber Synthetic rubber or the lik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바(4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1결합홈(4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호커버(110)의 내측 상단에는 슬라이딩 바(40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되고, 삽입부(112)의 하부에는 제1결합홈(420)에 대응되도록 제1결합돌부(114)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바(400)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 first engaging groove 42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400. An insertion portion 112 for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bar 400 is form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110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14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art 112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20 and is fixed firmly to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bar 400.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제1수용공간(210)의 상부에는 제2결합홈(242)이 형성된 돌출부(240)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보호커버(11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제2결합홈(242)에 대응되도록 제2결합돌부(116)이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00)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A protrusion 240 having a second coupling groove 24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space 210 of the upper case 200 so as to protrude upwar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42 and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200.

여기서, 상기 제2결합돌부(116)의 상부에는 밀폐돌부(118)이 더 구비되어 밀폐력을 보다 높여주게 된다.Here, a sealing protrusion 118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6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하부 내주면에는 걸림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250)에 대응되도록 걸림턱(330)이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의 결합부에는 패킹(120)이 더 구비되어 밀폐력을 높여주게 된다.A hooking groove 250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200 and a hooking protrusion 33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300 to correspond to the hooking groove 250, The upper case 200 and the lower case 3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and the packing 120 is further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200 and the lower case 300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따라서, 본체(100)의 외부에서 이물질이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foreign matter and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side, thereby enhancing dur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구의 도어를 푸쉬 방식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에서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임의로 도어가 열리게 되어 개폐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 하여 공간활용을 높여 줄 수 있는 주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opening / closing a door of a gas port in a pushing manner, stably maintaining an opened state and a clos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filler opening / clos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100 : 본체 110 : 보호커버
120 : 패킹 200 : 상부 케이스
210 : 제1수용공간 220 : 제1가이드부
230 : 가이드홈 240 : 돌출부
250 : 걸림홈 300 : 하부 케이스
310 : 제2수용공간 320 : 제2가이드부
330 : 걸림턱 400 : 슬라이딩 바
410 : 플랜지 420 : 제1결합홈
430 : 스프링 지지턱 440 : 회전홈
500 : 회전링 510 : 관통공
520 : 절개부 530 : 제2가이드돌부
100: main body 110: protective cover
120: packing 200: upper case
210: first accommodation space 220: first guide part
230: guide groove 240: protrusion
250: latching groove 300: lower case
310: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0: second guide portion
330: hanging chin 400: sliding bar
410: flange 420: first engagement groove
430: spring support chin 440: rotary groove
500: rotating ring 510: through hole
520: incision part 530: second guide projection part

Claims (13)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 돌출되어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바와,
상기 슬라이딩 바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푸쉬 방식으로 슬라이딩 바를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바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바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1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단에는 제1경사면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제2가이드부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단에는 제2경사면이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sliding bar projecting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liding bar upward,
The sliding bar is inserted or withdrawn in a pushing manner,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s received,
And a lower case formed with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s received,
A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pace of the upper case,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at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of the lower case protrudes up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 saw-like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에는 제1회전방지턱과 제2경사면에는 각각 제1회전방지턱과 제2회전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방지턱과 제2회전방지턱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턱은 가이드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and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respectively,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and the second rotation preventing jaw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otation preventing jaw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groov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의 중심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lang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bar,
Wherein the flange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2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회전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rotary ring having a second guide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플랜지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도록 회전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liding bar is formed with a rotation groov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Wherein a rotary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ry ring to correspond to the rotary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의 상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cising portion is radi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otary ring at regular interva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돌부의 상단에는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3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바가 인출되는 관통공을 커버하는 연질의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ase further includes a soft protective cover cover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liding bar is drawn ou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 상부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는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개폐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ar,
A protruding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Wherein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is form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a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is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thereof.
KR1020150188814A 2015-12-29 2015-12-29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Active KR101644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14A KR101644134B1 (en) 2015-12-29 2015-12-29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14A KR101644134B1 (en) 2015-12-29 2015-12-29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134B1 true KR101644134B1 (en) 2016-08-01

Family

ID=567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14A Active KR101644134B1 (en) 2015-12-29 2015-12-29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707A (en) * 2018-03-12 2018-07-20 宁波华楷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ructure-improved of automobile-used micro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73A (en) * 2006-04-25 2007-11-08 Nifco Inc Pushing device
KR100811223B1 (en) * 2006-08-28 2008-03-07 주식회사 신진화학 Elastic support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1005951A (en) * 2009-06-25 2011-01-13 Nifco Inc Pushing up device
JP2012180041A (en) * 2011-03-02 2012-09-20 Nifco Inc Push-up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73A (en) * 2006-04-25 2007-11-08 Nifco Inc Pushing device
KR100811223B1 (en) * 2006-08-28 2008-03-07 주식회사 신진화학 Elastic support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1005951A (en) * 2009-06-25 2011-01-13 Nifco Inc Pushing up device
JP2012180041A (en) * 2011-03-02 2012-09-20 Nifco Inc Push-up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707A (en) * 2018-03-12 2018-07-20 宁波华楷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ructure-improved of automobile-used micro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68B2 (en) Pushing device
KR101851088B1 (en) Latch device
JP5438133B2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n actuating device having a push-push mechanism
KR101260217B1 (en)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fuel cap
CN109477350B (en) Locking device
JP2013203095A5 (en)
CN113039337B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101644134B1 (en)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JP2011005951A (en) Pushing up device
KR20090094658A (en) Inlet grill fastener of indoor-unit for Air conditioner
JP2010126950A (en) Door handle device
KR102004428B1 (en) Refrigerator
US10752109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US10759273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KR102112685B1 (en) A spring unit for closing door automatically and apparatus for having the same
KR102311406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dish washer
KR20140074522A (en) Refrigerator
CN107444304A (en) A kind of automobile protective box structure
JP5652885B2 (en) Portable machine
JP2018107002A (en) Receptacle
US20170037664A1 (en) Motor vehicle lock comprising integrated servo closing function
KR100921121B1 (en) Automotive Fuel Filler Door Assembly
CN106724867B (en) Cover opening structure and electric rice cooker or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1376303B1 (en) Tailgate switch assembly having Logo for vehicels
KR101482773B1 (en) Door key hole cover assembly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