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4054B1 -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054B1
KR101644054B1 KR1020140127860A KR20140127860A KR101644054B1 KR 101644054 B1 KR101644054 B1 KR 101644054B1 KR 1020140127860 A KR1020140127860 A KR 1020140127860A KR 20140127860 A KR20140127860 A KR 20140127860A KR 101644054 B1 KR101644054 B1 KR 10164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rotation
support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914A (ko
Inventor
백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12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0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0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rotatably mou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샘플을 용기에 비드와 함께 담아서 분쇄와 원심 분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복수의 상기 용기가 삽입 지지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분리 지지부, 상기 분리 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에 따라 링크 형태로 회절되어 경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분리 지지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분쇄 시에 경사상태를 유지하고, 원심 분리 시에 지면과 평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설치된 각도 조절부, 상기 분리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로 각도 조절 시에 한쪽 방향이 상부로 이동되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 지지부, 상기 조절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상기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상하 이동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상하 이동부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지지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NUCLEIC ACIDS AND PROTEINS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 진단, 및 유전자 재조합 식품 검사를 위해서 샘플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 조건에 따라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한 분쇄 및 원심분리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 시간을 단축하고, 분리 과정에서 샘플 이동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자 진단은 유전 질환에 풀기 어려운 분자적 결함들을 밝혀내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다루는 것으로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혈액, 머리카락, 타액, 정액, 혈흔 등의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에서 핵산(DNA/RNA)을 분리한 후에 핵산을 추출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이는 종의 감별, 특정 질병의 원인 진단 및 예후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보인 핵산(DNA)이 발견되면서 한 생물이 지닌 유용한 유전자를 다른 생물에 삽입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 수 있게 되었는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한 생물(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유용한 유전자를 추출해 다른 생물에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제조하는 기술이다.
이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적용해 새롭게 만들어진 품종으로 재배한 GMO 작물을 원료로 만든 식품이 GMO 식품이다. GMO 작물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병해충에 강하고, 수확량이 증대되는 우수한 품종의 개발한다는 긍정적인 이점도 있으나, GMO 식품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못한 점이 있고, 알러지, 면역체계약화 등의 인류 건강에 대한 우려가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GMO 작물의 장기 재배로 인한 생태계 교란 및 생물다양성 파괴의 위험성이 존재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GMO 작물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GMO 작물은 정상적으로 재배된 작물과 외형과 맛이 동일하고, 분말의 형태로 다른 식품에 포함된 상태에서는 식별이 불가능함에 따라 핵산 또는 단백질을 시료로 분석을 실시하여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GMO 검사를 실시한다.
상술된 분자 진단이나 GMO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동물 세포, 식물 조직, 혈액, 자궁경관 입구, 구강, 쌀 알갱이, 옥수수 알갱이 등을 통해서 샘플을 채취하고, 채취된 샘플에서 핵산(DNA/RNA) 또는 단백질을 분리한 후에 추출하여 전기 영동 등의 분석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여 분자를 진단하거나 GMO를 식별하는 검사를 실시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채취된 샘플을 막자사발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막자를 통해서 수작업으로 분쇄를 실시하고, 분쇄된 샘플을 원심 분리기로 이동하여 원심 분리 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수작업을 통해서 분쇄를 실시함에 따라 분쇄 효율이 저하되고, 분쇄 시에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샘플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시료를 분쇄하는 균질기(homogenizer, 均質器)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쇄를 실시하고 있다. 이런 균질기는 용기 내에 시료와 함께 작은 구슬 형태의 비드를 넣어 고속으로 흔들어서 세포와 비드와의 상호 충돌에 의해 분쇄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균질기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샘플에서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균질기를 통해서 용기내 샘플이 비드와 상호 충돌하도록 흔들어서 분쇄를 실시한 후에 분쇄된 샘플을 원심분리기로 이동하고, 원심 분리기의 원심 분리에 의해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분리하는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균질기에서 파쇄된 용기를 원심분리기로 이동 시에 외부 온도 변화와 시간의 지체로 인해 분쇄된 샘플이 변질이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샘플에서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한 분쇄와 원심 분리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변질이나 오염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분리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자 진단 또는 유전자 재조합 식품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채취된 샘플을 하나의 장치에서 분쇄와 원심분리를 동시에 실시함에 따라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샘플의 이동 없이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함에 따라 변질과 오염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복수의 용기가 삽입 지지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분리 지지부, 상기 분리 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에 따라 링크 형태로 회절되어 경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분리 지지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분쇄 시에 경사상태를 유지하고, 원심 분리 시에 지면과 평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설치된 각도 조절부, 상기 분리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로 각도 조절 시에 한쪽 방향이 상부로 이동되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조절 지지부, 상기 조절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상기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상하 이동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상하 이동부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지지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 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용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의 통공 형태로 상기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 삽입공을 가지는 분리 브라켓, 상기 분리 브라켓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가 삽입에 의해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면서 함께 회전되도록 분리 공간을 가지는 분리 몸체, 및 상기 분리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으로 관통된 커버공에 상기 각도 조절부가 삽입되어 상부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 브라켓에 지지된 상기 용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분리 지지부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부의 작동으로 상하로 이동 시에 경사진 각도로 상기 분리 지지부와 함께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통공 형태의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의 작동으로 상부 이동 시에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상기 분리 지지부가 경사지게 이동되고, 하부 이동 시에 상기 분리 지지부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동되는 링크 형태로 구비된 조절 링크체, 상기 조절 링크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조절 링크체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어 상기 분리 지지부의 상부가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 조절 고정체, 상기 조절 링크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조절 링크체와 힌지 결합되도록 축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위치에 결합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된 축 형태의 조절 회전축, 상기 조절 링크체와 상기 조절 회전축을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공과 상기 축 힌지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조절 링크체가 회전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조절 힌지, 상기 조절 회전축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와 키 결합되도록 설치된 결합 키, 및 상기 조절 회전축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절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하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절 지지부는, 상기 분리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조절 브라켓, 상기 조절 브라켓의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의 하부가 방사상 위치에서 각각 접촉되어 상기 분리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에서 아래쪽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분리 지지부가 평행 상태에서 복수 위치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바, 상기 조절 브라켓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의 경사지도록 상부로 이동되는 일측 하부 위치에 설치된 베어링 지지체, 상기 베어링 지지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분리 지지부의 하부 일측에 접촉되어 회전 지지가 가능한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 조절 베어링, 및 상기 조절 브라켓과 상기 조절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베어링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하 이동부의 작동으로 상부 이동 시 상기 각도 조절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조절 베어링에 접촉된 상기 분리 지지부의 일측이 상승되면서 경사지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하부 이동 시에는 상기 분리 지지부가 지면과 평행된 상태로 상기 조절 베어링으로 회전 지지되도록 밀착시키는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베어링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조절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회전 지지체, 상기 회전 지지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면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장공 형태로 상기 각도 조절부의 회전되는 부분과 키 결합되는 키 삽입 장홈이 형성되고, 키 결합된 상기 각도 조절부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클러치 베어링,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바깥 둘레에 구비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고정된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기어로 회전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회전 지지하도록 내부에 조절 베어링이 구비된 지지 몸체,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 회전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치차 결합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구동축, 상기 구동 기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된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 기어와 치차 결합된 상기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 모터, 및 상기 회전 기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몸체, 상기 구동축, 상기 구동 모터, 및 상기 상하 이동부가 지지되도록 판 형태로 구비된 회전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 부분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삽입공 위치에서 일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캠 돌출부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하부면에 상기 회전부의 상하 이동되는 부분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캠 돌출부 통과 시에 상기 회전부가 하강되고, 상기 캠 돌출부를 벗어나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조절 지지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승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상하 이동캠, 상기 상하 이동캠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캠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형태로 구비된 캠 구동축, 상기 캠 구동축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캠 구동 모터, 및 상기 캠 구동 모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에 상기 캠 구동 모터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모터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가 지지된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공간인 프레임 공간을 가지는 진동 흡수 프레임,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회전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진동 흡수체, 및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의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과 프레임 연결체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따르면, 분자 진단 또는 유전자 재조합 식품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샘플에서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 시 하나의 장치에서 분쇄와 원심분리를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분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변질이나 오염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샘플의 분쇄 시에는 용기에 샘플과 비드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호 충돌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을 실시하고, 분쇄 후 원심분리 시에는 지면과 평행된 상태에서 회전을 실시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경사진 상태에 회전과 지면과 평행된 상태에 회전의 서로 작동 방식이 다른 분쇄와 원심분리를 조작에 의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함에 따라 두개의 장치를 하나로 통합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샘플과 작은 구슬이 수납된 용기가 복수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전 부분의 상하 이동으로 복수의 용기가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경사 각도의 조절에 의해 분쇄 속도와 분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분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샘플 분쇄를 위해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 시에 역회전 방향으로 작용되는 작용력을 억제하도록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 베어링이 설치되어 헛돌거나, 회전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는 분쇄와 원심 분리 시에 각도가 조절되는 구성과 회전되는 구성을 지지한 프레임과 지면에 지지하는 프레임 사이에 진동 흡수체를 설치하여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에 따라 고속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유동을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의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외형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원심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외형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원심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의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외형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외형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원심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외형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분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에 원심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100)는 샘플에서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해서 분쇄와 원심분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이다. 샘플은 상호 충돌로 분쇄가 실시되는 작은 구슬 형태의 비드와 함께 용기(10)에 수납된 상태로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100)에 삽입 지지되어 분쇄 후에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핵산 및 단백질을 분리한다.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100)는 용기(10)가 삽입된 상태로 분쇄 및 원심 분리가 실시되는 분리 지지부(110), 각도 조절부(120), 조절 지지부(130), 회전부(140), 상하 이동부(150), 및 베이스부(160)를 포함한다.
분리 지지부(110)는 복수의 용기(10)가 삽입 지지되는 분리 브라켓(111), 분리 몸체(113), 및 상부 커버(115)를 포함한다.
분리 브라켓(111)은 복수의 용기(10)가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의 통공 형태로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 삽입공(112)을 가진다. 분리 브라켓(111)은 원통형 판 형태로 구비되어 방사상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용기 삽입공(112)에 샘플과 비드가 함께 수납된 용기(10)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분리 브라켓(111)은 용기(10)가 지지된 상태에서 경사진 위치로 이동한 후에 회전되면 용기(10) 내에 샘플과 비드가 상호 충돌하면서 분쇄된다. 분쇄 후에 분리 브라켓(111)을 지면과 평행된 위치로 이동한 후에 회전되면 용기(10) 내에 분쇄된 샘플이 원심 분리된다.
분리 몸체(113)는 분리 브라켓(11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리 몸체(113)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각도 조절부(120)가 삽입되는 분리 공간(114)이 형성된다. 분리 공간(114)에는 분리 몸체(113)와 함께 각도가 조절되고, 각도 조절부(120)가 함께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분리 몸체(113)는 각도 조절부(120)의 작동에 의해 분쇄 시에는 경사진 각도로 이동되면 분리 브라켓(111)이 함께 경사진 위치로 이동한 후에 회전부(140)의 작동에 의해 각도 조절부(12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원심 분리 시에는 지면과 평행한 위치로 분리 브라켓(111)과 함께 이동된 후에 각도 조절부(1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분리 몸체(113)는 분리 브라켓(111)의 중앙에 구비되어 각도 조절부(120)가 내부에 분리 공간(114)에 삽입 설치되어 분리 브라켓(111)과 함께 각도를 조절하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부 커버(115)는 분리 몸체(1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중앙에는 각도 조절부(120)가 삽입되는 관통된 커버공(116)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115)는 용기(10)의 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커버공(116)에 삽입된 각도 조절부(120)로 상부가 고정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부 커버(115)는 분리 몸체(113)의 상부에서 분리 브라켓(111)에 삽입 지지된 복수의 용기(10)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부 커버(115)는 중앙에 관통된 커버공(116)에 각도 조절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를 고정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용기(1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각도 조절과 회전 시에 용기(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20)는 분리 브라켓(111)을 경사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 링크체(121), 조절 고정체(123), 조절 회전축(124), 조절 힌지(126), 결합 키(128), 및 상하 지지체(129)를 포함한다.
조절 링크체(121)는 분리 몸체(113)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상하로 이동 시에 경사진 각도로 분리 몸체(113)와 함께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통공 형태의 힌지공(122)이 형성된다. 조절 링크체(121)는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상부 이동 시에 힌지공(122)을 중심으로 분리 몸체(113)를 경사지게 이동시키고, 하부 이동 시에 분리 지지부(11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링크 형태로 구비된다. 즉, 조절 링크체(121)는 하부에 형성된 힌지공(122)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 시에 회전되면서 경사진 위치와 지면과 평행된 위치로 분리 몸체(113)를 이동시킨다. 이때, 분리 몸체(113)와 함께 이동되는 분리 브라켓(111)이 경사진 분쇄 위치에서 지면과 평행한 원심 분리 위치로 이동하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고정체(123)는 조절 링크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고정체(123)는 커버공(116)에 삽입된 조절 링크체(121)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어 상부 커버(115)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조절 고정체(123)는 용기(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커버(115)의 상부가 조절 링크체(121)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조절 고정체(123)는 상부 커버(115)의 상부를 고정시켜 각도 조절 후 회전 시나 지면과 평행된 상태에서 회전 시에 용기(10)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분리 브라켓(111)과 분리 몸체(113)의 회전 시에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절 회전축(124)은 조절 링크체(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회전축(124)의 상부에는 조절 링크체(121)와 힌지 결합되는 축 힌지공(125)이 형성된다. 조절 회전축(124)의 회전부(140) 구동 위치에는 회전부(140)와 키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결합 키홈(127)이 형성된다. 조절 회전축(125)은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된 축 형태로 구비된다.
조절 회전축(124)은 하부에 지지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 힌지 결합된 조절 링크체(121)가 회절되면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키 결합된 회전부(14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로 구비된다.
즉, 조절 회전축(124)은 상하 이동부(150)가 작동되면 상하로 이동되면서 힌지 결합된 조절 링크체(121)가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작동된다. 조절 회전축(124)이 상부로 이동되면 조절 링크체(121)가 회전되면서 일측으로 분리 브라켓(111)을 경사지게 이동되고, 하부로 이동되면 일자 형태의 원위치로 복귀하여 분리 브라켓(111)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조절 회전축(124)은 회전부(140)와 키 결합되어 있어 회전부(140)의 작동에 따라 조절 회전축(124)이 회전되면 힌지 결합된 조절 링크체(121)를 회전시키고, 조절 링크체(121)가 회전되면 함께 분리 몸체(113)와 분리 브라켓(111)을 회전시킨다. 즉, 분쇄 시에는 분리 브라켓(111)이 경사진 위치에서 회전부(140)의 회전력을 조절 회전축(124)에서 전달하여 회전시키고, 원심 분리 시에는 분리 브라켓(111)이 지면과 평행된 상태에서 회전부(140)의 회전력을 조절 회전축(124)에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40)의 회전력을 조절 회전축(124)으로 전달하여 조절 링크체(121)와 함께 분리 몸체(113)와 분리 브라켓(111)을 회전시켜 용기(10) 내에 샘플을 분쇄 또는 원심 분리할 수 있다.
조절 힌지(126)는 조절 링크체(121)와 조절 회전축(124)을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힌지공(122)과 축 힌지공(125)에 각각 삽입되어 조절 링크체(121)가 회전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결합 키(128)는 조절 회전축(124)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회전축(124)과 회전부(140)를 키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결합 키(128)는 조절 회전축(124)의 결합 키홈(127)과 회전부(140)에 삽입되어 키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결합 키(128)는 조절 회전축(124)과 회전부(140)를 키 결합시켜 회전부(140)의 회전력을 조절 회전축(124)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상하 지지체(129)는 조절 회전축(1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회전축(124)의 하부에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구비되어 상하 이동부(150)에 걸림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하 지지체(129)는 걸림 지지된 상하 이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면 고정된 조절 회전축(124)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하 지지체(129)는 조절 회전축(124)의 하부에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구비되어 상하 이동부(150)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따라 조절 회전축(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조절 지지부(130)는 조절 회전축(12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조절 브라켓(131), 지지바(132), 베어링 지지체(133), 조절 베어링(134), 및 베어링 탄성체(135)를 포함한다.
조절 브라켓(131)은 분리 몸체(11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회전축(124)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바(132)는 조절 브라켓(131)의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분리 몸체(113)의 하부가 방사상 위치에서 각각 접촉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바(132)는 조절 브라켓(131)의 상부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부에 위치한 분리 몸체(113)의 하부에 접촉하면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지지바(132)는 조절 링크체(121)의 작동에 의해 분리 몸체(113)가 경사진 상태에서는 경사진 아래쪽 일측을 지지하고, 분리 몸체(113)가 지면과 평행된 상태를 유지하면 복수 위치를 접촉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 지지체(133)는 조절 브라켓(131)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분리 몸체(113)가 경사지도록 상부로 이동되는 일측 하부 위치에 설치된다.
조절 베어링(134)은 베어링 지지체(1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어링 지지체(133)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분리 몸체(113)의 경사 이동 시 상승되는 하부 일측에 접촉되어 회전 지지가 가능한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다. 조절 베어링(134)은 회전되는 분리 몸체(113)가 경사진 위치로 이동 시에 상승되는 일측 하부에 회전 지지되는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다. 조절 베어링(134)은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부 이동 시에 분리 몸체(113)가 회전 지지된 상태로 일측 하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조절 링크체(121)가 이동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리 몸체(113)가 경사지는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 탄성체(135)는 조절 브라켓(131)과 조절 베어링(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 베어링(134)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베어링 탄성체(135)는 조절 베어링(135)의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분리 몸체(113)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은 분리 몸체(113)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용력으로 작용된다.
이때, 분리 몸체(113)의 일측이 상부로 이동되는 작용력이 작용하면 조절 링크체(121)가 조절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리 몸체(113)를 일측이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경사지게 이동된다.
또한, 베어링 탄성체(135)는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하부 이동 시에는 분리 몸체(113)가 지면과 평행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조절 베어링(134)을 탄성력에 의해 분리 몸체(113)의 일측 하부에 밀착시켜 회전 지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베어링 탄성체(135)는 조절 베어링(134)을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분리 몸체(113)의 하부 일측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이 제공함에 따라 조절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조절 회전축(124)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베어링 탄성체(135)는 조절 회전축(124)과 함께 이동되는 분리 몸체(113)를 경사진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어, 상하 이동부(150)에서 상승을 위해서 하강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한 경사진 위치로 상승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분리 몸체(113)의 하부 일측에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조절 링크체(121)와 함께 상부로 이동시키면 탄성력에 의해 일측이 상승하게 되면 조절 링크체(121)가 조절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분리 몸체(113)의 일측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 시에 분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조절 링크체(121)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조절 링크체(121)와 조절 회전축(124)이 일직선이 되어 분리 몸체(113)가 지면과 평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분리 몸체(113)의 일측에서 조절 베어링(134)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시켜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 시 베어링 탄성체(1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베어링(134)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조절 링크체(121)가 조절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진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하부로 이동 시 분리 몸체(113)의 일측 하부를 가압하면서 탄성체(1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베어링(134)이 분리 몸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 몸체(113)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회전부(140)는 조절 브라켓(131)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체(141), 클러치 베어링(142), 회전 기어(143), 지지 몸체(144), 구동 기어(146), 구동축(147), 구동 모터(148), 및 회전 지지 프레임(149)을 포함한다.
회전 지지체(141)는 조절 브라켓(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조절 회전축(124)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클러치 베어링(142)은 회전 지지체(1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베어링(142)의안쪽 면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장공 형태로 조절 회전축(124)과 결합 키(128)로 키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키 삽입 장홈(142a)이 형성되고, 키 결합된 조절 회전축(124)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클러치 베어링(142)은 회전되는 방향을 한쪽 방향으로 제한하여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결합 키(128)로 키 결합된 조절 회전축(124)이 회전부(140)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분쇄를 위해서 경사진 위치로 이동된 분리 지지부(110)를 회전 시키는 조절 회전축(124)은 상부가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회전 중심이 회전 시 마다 달라지면서 한쪽으로 편심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회전 중심이 한쪽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회전이 진행되면 원심력이 정상적인 회전 방향을 벗어나 회전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용력이 발생된다. 즉, 분쇄를 위해서 분리 지지부(110)가 경사진 상태에서 조절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면 순방향으로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역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공회전되거나, 회전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분쇄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조절 회전축(124)을 한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클러치 베어링(142)이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의 작용을 억제함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쇄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분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베어링(142)의 안쪽 면에 결합 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 장홈(142a)은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결합 키(128)가 삽입된 조절 회전축(124)이 상하로 이동 시에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키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절 회전축(124)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기어(143)는 클러치 베어링(142)의 바깥 둘레에 구비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클러치 베어링(142)을 회전시키도록 고정된다. 회전 기어(143)는 클러치 베어링(142)의 내부에 키 결합된 조절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도록 고정 설치된다.
지지 몸체(144)는 회전 기어(14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기어(143)로 회전되는 조절 회전축(124)을 회전 지지하도록 내부에 조절 베어링(134)이 구비된다. 지지 몸체(144)는 회전 기어로 회전되는 조절 회전축(124)의 회전을 하부에서 내부에서 지지하는 조절 베어링(134)이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구동 기어(146)는 회전 기어(14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기어(143)의 일측에 회전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치차 결합된다. 구동 기어(146)는 회전 기어(143)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치차 결합되는 기어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 모터(148)의 회전력을 회전 기어(143)로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축(147)은 구동 기어(146)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기어(146)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축(147)은 축 형태로 구동 모터(148)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구동 기어(146)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구동 모터(148)는 구동 기어(14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기어(146)와 연결된 구동축(147)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동 기어(146)와 치차 결합된 회전 기어(143)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구동 모터(148)는 작동에 의해 구동 기어(146)를 회전시키면 치차 결합된 회전 기어(143)가 회전되면서 클러치 베어링(142)이 회전되어 회전 방향을 한쪽 방향으로 제한하면서 키 결합되어 있는 조절 회전축(124)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회전 지지 프레임(149)은 회전 기어(14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몸체(144), 구동축(147), 구동 모터(148), 및 상하 이동부(150)가 지지되도록 판 형태로 구비된다. 회전 지지 프레임(149)은 분리 지지부(110)가 지지되어 조절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는 구성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150)가 각각 지지되어 상하 이동과 회전되는 구성을 모두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상하 이동부(150)는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하부에서 회전에 의해 조절 회전축(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캠(151), 캠 구동축(154), 캠 구동 모터(155), 및 모터 고정체(156)를 포함한다.
상하 이동캠(151)은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캠(151)의 내부에 조절 회전축(124)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152)이 형성된다. 상하 이동 캠(151)의 하부에는 축 삽입공(152)의 위치에서 일부가 돌출된 캠 돌출부(153)가 형성된다. 상하 이동캠(151)은 축 삽입공(152)에 조절 회전축(124)이 삽입되어 하부에 고정된 상하 지지체(129)가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캠 돌출부(153) 통과 시에 조절 회전축(124)이 하강된다. 상하 지지체(129)가 캠 돌출부(153)를 벗어나면 베어링 탄성체(1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회전축(124)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하 이동캠(151)은 회전에 의해 상하 지지체(129)가 캠 돌출부(153)를 통과하면서 조절 회전축(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하 이동캠(151)은 베어링 탄성체(135)로 경사진 상승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는 조절 회전축(124)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하 지지체(129)가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축 삽입공(152)에 조절 회전축(124)이 삽입되어 있다. 이런, 상하 이동캠(151)이 회전되면 상하 지지체(129)가 하부로 돌출된 캠 돌출부(153)에 도달하면서 하부로 이동하여 분리 브라켓(111)을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강된다. 상하 이동캠(151)의 회전에 의해 상하 지지체(129)가 캠 돌출부(153)를 벗어나면 베어링 탄성체(135)의 경사진 상승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조절 회전축(124)이 상승하면서 용기(10)가 수납되어 있는 분리 브라켓(111)을 경사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캠 구동축(154)은 상하 이동캠(151)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캠(151)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형태로 구비된다.
캠 구동 모터(155)는 캠 구동축(15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캠 구동축(15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캠 구동 모터(155)는 작동에 의해 캠 구동축(154)을 통해서 조절 회전축(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캠(15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모터 고정체(156)는 캠 구동 모터(15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지지 프레임(149)에 캠 구동 모터(155)를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모터 고정체(156)는 조절 회전축(124)이 지지되어 있는 회전 지지 프레임(149)에 캠 구동 모터(155)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베이스부(160)는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하부에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진동 흡수 프레임(161), 진동 흡수체(163), 및 베이스 프레임(164)을 포함한다.
진동 흡수 프레임(161)은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 흡수 프레임(161)은 회전 지지 프레임(149)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공간인 프레임 공간(162)이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진동 흡수 프레임(161)은 조절 회전축(124)과 모터 고정체(156)가 지지된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하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공간인 프레임 공간(162)을 가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진동 흡수체(163)는 회전 지지 프레임(149)과 진동 흡수 프레임(16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공간(162)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회전 지지 프레임(149)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다. 진동 흡수체(163)는 진동이 발생되는 회전되는 구성과 상하 이송되는 구성이 각각 지지된 회전 지지 프레임(149)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진동 흡수 프레임(161) 사이에 진동이 흡수되는 소재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각도 조절, 회전, 및 상하 이동 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흡수체(163)는 진동을 흡수하는 우레탄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모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베이스 프레임(164)은 진동 흡수 프레임(16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 흡수 프레임(161)의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진동 흡수 프레임(161)과 프레임 연결체(165)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00 : 분리 장치
110 : 분리 지지부 111 : 분리 브라켓
112 : 용기 삽입공 113 : 분리 몸체
114 : 분리 공간 115 : 상부 커버
116 : 커버공 120 : 각도 조절부
121 : 조절 링크체 122 : 힌지공
123 : 조절 고정체 124 : 조절 회전축
125 : 축 힌지공 126 : 조절 힌지
127 : 결합 키홈 128 : 결합 키
129 : 상하 지지체 130 : 조절 지지부
131 : 조절 브라켓 132 : 지지바
133 : 베어링 지지체 134 : 조절 베어링
135 : 베어링 탄성체 140 : 회전부
141 : 회전 지지체 142 : 클러치 베어링
142a : 키 삽입 장홈 143 : 회전 기어
144 : 지지 몸체 145 : 조절 베어링
146 : 구동 기어 147 : 구동축
148 : 구동 모터 149 : 회전 지지 프레임
150 : 상하 이동부 151 : 상하 이동캠
152 : 축 삽입공 153 : 캠 돌출부
154 : 캠 구동축 155 : 캠 구동 모터
156 : 모터 고정체 160 : 베이스부
161 : 진동 흡수 프레임 162 : 프레임 공간
163 : 진동 흡수체 164 : 베이스 프레임
165 : 프레임 연결체

Claims (7)

  1. 복수의 용기(10)가 삽입 지지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분리 지지부(110);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에 따라 링크 형태로 회절되어 경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분리 지지부(11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분쇄 시에 경사상태를 유지하고, 원심 분리 시에 지면과 평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설치된 각도 조절부(120);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120)로 각도 조절 시에 한쪽 방향이 상부로 이동되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조절 지지부(130);
    상기 조절 지지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12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부(140);
    상기 회전부(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1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상하 이동부(150); 및
    상기 각도 조절부(120), 상기 회전부(140), 및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지지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 지지부(130)는,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조절 브라켓(131);
    상기 조절 브라켓(131)의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하부가 방사상 위치에서 각각 접촉되어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경사진 상태에서 아래쪽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평행 상태에서 복수 위치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바(132);
    상기 조절 브라켓(131)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경사지도록 상부로 이동되는 일측 하부 위치에 설치된 베어링 지지체(133);
    상기 베어링 지지체(1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지지체(133)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하부 일측에 접촉되어 회전 지지가 가능한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 조절 베어링(134); 및
    상기 조절 브라켓(131)과 상기 조절 베어링(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베어링(134)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상부 이동 시 상기 각도 조절부(120)가 구동되도록 상기 조절 베어링(134)에 접촉된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일측이 상승되면서 경사지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하부 이동 시에는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지면과 평행된 상태로 상기 조절 베어링(134)으로 회전 지지되도록 밀착시키는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베어링 탄성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 이동부(150)는, 상기 회전부(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 부분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축 삽입공(152) 위치에서 일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캠 돌출부(153)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하부면에 상기 회전부(140)의 상하 이동되는 부분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캠 돌출부(153) 통과 시에 상기 회전부(140)가 하강되고, 상기 캠 돌출부(153)를 벗어나면 상기 회전부(140)가 상기 조절 지지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140)가 상승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상하 이동캠(151);
    상기 상하 이동캠(151)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캠(151)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형태로 구비된 캠 구동축(147);
    상기 캠 구동축(147)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 구동축(147)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캠 구동 모터(148); 및
    상기 캠 구동 모터(14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140)에 상기 캠 구동 모터(148)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모터 고정체(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지지부(110)는,
    복수의 상기 용기(10)가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의 통공 형태로 상기 용기(10)가 삽입되는 용기 삽입공(112)을 가지는 분리 브라켓(111);
    상기 분리 브라켓(11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120)가 삽입에 의해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면서 함께 회전되도록 분리 공간(114)을 가지는 분리 몸체(113); 및
    상기 분리 몸체(1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으로 관통된 커버공(116)에 상기 각도 조절부(120)가 삽입되어 상부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 브라켓(111)에 지지된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부 커버(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120)는,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상하로 이동 시에 경사진 각도로 상기 분리 지지부(110)와 함께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통공 형태의 힌지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으로 상부 이동 시에 상기 힌지공(122)을 중심으로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경사지게 이동되고, 하부 이동 시에 상기 분리 지지부(11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동되는 링크 형태로 구비된 조절 링크체(121);
    상기 조절 링크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지지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조절 링크체(121)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어 상기 분리 지지부(110)의 상부가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 조절 고정체(123);
    상기 조절 링크체(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조절 링크체(121)와 힌지 결합되도록 축 힌지공(12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위치에 결합 키홈(127)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된 축 형태의 조절 회전축(124);
    상기 조절 링크체(121)와 상기 조절 회전축(124)을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공(122)과 상기 축 힌지공(125)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조절 링크체(121)가 회전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조절 힌지(126);
    상기 조절 회전축(124)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키홈(127)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140)와 키 결합되도록 설치된 결합 키(128); 및
    상기 조절 회전축(1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부(15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절 회전축(124)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하 지지체(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40)는,
    상기 조절 지지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1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회전 지지체(141);
    상기 회전 지지체(1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면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장공 형태로 상기 각도 조절부(120)의 회전되는 부분과 키 결합되는 키 삽입 장홈(142a)이 형성되고, 키 결합된 상기 각도 조절부(12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클러치 베어링(142);
    상기 클러치 베어링(142)의 바깥 둘레에 구비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142)을 회전시키도록 고정된 회전 기어(143);
    상기 회전 기어(14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기어(143)로 회전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120)의 회전되는 부분을 회전 지지하도록 내부에 조절 베어링(134)이 구비된 지지 몸체(144);
    상기 회전 기어(14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기어(143)의 일측에 회전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치차 결합된 구동 기어(146);
    상기 구동 기어(146)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146)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구동축(147);
    상기 구동 기어(14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146)와 연결된 상기 구동축(147)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 기어(146)와 치차 결합된 상기 회전 기어(143)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 모터(148); 및
    상기 회전 기어(14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몸체(144), 상기 구동축(147), 상기 구동 모터(148), 및 상기 상하 이동부(150)가 지지되도록 판 형태로 구비된 회전 지지 프레임(1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60)는,
    상기 회전부(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부(120)와 상기 상하 이동부(150)가 지지된 상기 회전부(140)의 하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공간인 프레임 공간을 가지는 진동 흡수 프레임(161);
    상기 회전부(140)와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16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161)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회전부(1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진동 흡수체(163); 및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16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161)의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흡수 프레임(161)과 프레임 연결체(165)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127860A 2014-09-24 2014-09-24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Active KR10164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60A KR101644054B1 (ko) 2014-09-24 2014-09-24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60A KR101644054B1 (ko) 2014-09-24 2014-09-24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14A KR20160035914A (ko) 2016-04-01
KR101644054B1 true KR101644054B1 (ko) 2016-07-29

Family

ID=5579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860A Active KR101644054B1 (ko) 2014-09-24 2014-09-24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3532B (zh) * 2018-07-16 2021-10-29 东北大学 面向工业恶臭污泥的生物降解细菌分离培养仪及使用方法
CN111978432A (zh) * 2019-05-23 2020-11-24 北京中源合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蛋白核酸去除装置及去除方法
CN113337381B (zh) * 2021-06-30 2022-09-30 成都导胜生物技术有限公司 自动研磨装置及在获取单细胞中的应用
CN117160852A (zh) * 2023-11-02 2023-12-05 好棣(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蛋白肽的分离提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1987B2 (ja) 2004-08-03 2011-03-16 安井器械株式会社 細胞破砕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2014020779A (ja) 2012-07-12 2014-02-0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核酸抽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987B2 (ja) * 1990-07-05 1994-07-06 光 小島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水質浄化方法
JPH074220B2 (ja) * 1991-01-16 1995-01-25 倉敷紡績株式会社 プラスミド自動分離装置
JP4017369B2 (ja) * 2001-09-28 2007-12-05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核酸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1987B2 (ja) 2004-08-03 2011-03-16 安井器械株式会社 細胞破砕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2014020779A (ja) 2012-07-12 2014-02-0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核酸抽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14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054B1 (ko) 핵산 및 단백질 분리 장치
EP2700706B1 (en) Homogenizer
EP3404398B1 (en) Automatic cell isolation and collection system
AU2002341470B8 (en) Sorting grain during harvesting
US402819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isolated cells from tissue
CN113227347A (zh) 改进型样品研磨器
CN106457246A (zh) 微孔板
AU2002229615B2 (en) Device for disintegrating biological samples
CN107427158B (zh) 食物加工装置
CN209446363U (zh) 一种医学检测用血液离心分离装置
AU2002229615A1 (en) Device for disintegrating biological samples
Qiao et al. Nonenzymatic browning and protein aggregation in royal jelly during room-temperature storage
CN105572125B (zh) 一种果蔬食品及功能保健品抗氧化活性的评价方法
Williams et al. Plasma complement factor H in Alzheimer's disease
KR101722223B1 (ko) 원심분리기
CN114433319B (zh) 一种肿瘤器官分离处理方法
ES1148733U (es) Dispositivo automático para obtener aceite de oliva virgen
CN109310138A (zh) 生豆烘焙装置
CN210124758U (zh) 一种幼儿园反应训练教具
CN109645805A (zh) 一种蓝莓果汁机
CN205333508U (zh) 一种水果糖度快速检测装置
CN114471836B (zh) 一种生物产品技术研发用无菌式样本材料研磨离心筛分装置
KR101484075B1 (ko) 지방세포 분리기
JP2022012434A (ja) 口腔がん発症可能性の評価方法
CN220357067U (zh) 一种有机碳取样分析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