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2218B1 -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218B1
KR101642218B1 KR1020150020365A KR20150020365A KR101642218B1 KR 101642218 B1 KR101642218 B1 KR 101642218B1 KR 1020150020365 A KR1020150020365 A KR 1020150020365A KR 20150020365 A KR20150020365 A KR 20150020365A KR 101642218 B1 KR101642218 B1 KR 10164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ucture
fastening
support
solar cell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기해
허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15002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2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2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H01L31/04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는 제1 단위 구조체, 제2 단위 구조체, 체결 부재 및 경사 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 단위 구조체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육각면부들,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 육각면부들의 하부에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결합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 및 육각면부들 사이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기들을 포함한다. 제2 단위 구조체는 제1 단위 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체결 부재는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 각각의 수직 평탄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각각의 체결 돌기들을 서로 체결한다. 경사 지지체는 제1 단위 구조체의 지지부 상부에 조립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경사지게 지지한다.The photovoltaic module module support assembly includes a first unit structure, a second unit structure, a fastening member, and an inclined support. The first unit structure may include hexagonal surface portions having vertical flat surfac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upport portions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protrusions or grooves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A first engaging portion,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in an opposite shap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hexagonal face portion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spective edges betwee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fastening protrusions. The second unit structur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unit structure. The fastening member fastens the fastening protrusions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clined support body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of the first unit structure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in an inclined manner.

Description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단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단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단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structure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unit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olar light in an inclined state,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unit structure.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과 그 이용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그로 인한 기후변화 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 중 가장 유망한 것이 바로 태양과 지구가 존재하는 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대기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태양광 에너지이다.Recently,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due to their use, and the climate change caused by them have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and new energy sources to replace fossil fuels are being developed worldwide. The most promising of these alternative energies is solar energy, which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does not cause air pollution as long as the sun and the earth are present.

상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광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인 GaAs,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으로 제조된 태양광 전지 모듈(solar cell)을 이용하여 진행되고 있다.Power generation using the solar energy is performed using a solar cell module made of GaAs, monocrystalline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or the like, which is a compound semiconductor that can expect a photoelectric effect.

하지만, 이러한 태양광 전지 모듈을 이용한 발전은 에너지 생산단가가 화력, 수력, 원자력 발전에 비해 훨씬 고가일 뿐만 아니라, 태양광 에너지 중 약 60%의 비중을 차지하는 250~1100nm 대의 스펙트럼 영역을 갖는 자외선(ultraviolet rays, UV)과 가시광선(visible light) 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전력생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ower generation using such a photovoltaic module is not only higher in energy production cost than thermal power, hydroelectric power, and nuclear power, but also has a spectrum range of 250 to 1100 nm, which accounts for about 60% ultraviolet rays (UV) and visible light are use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

이에, 대한민국과 같이 위도 38도 부근에 위치하는 국가에서는 상기의 전력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을 태양광에 거의 수직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다.Accordingly, in a country located at a latitude of 38 degrees, such as South Korea, in order to maximize the power production efficiency, the solar cell module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by us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so as to be exposed almost perpendicularly to the sunlight .

이때,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이 어떤 장소에서도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위체들이 서로 조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체는 일반적으로 조립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사각 블록 형태로 제작되어 왔다. At this time, the support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odies are assembled together so that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any place. Here, the unit body has been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block so as to be rigid and easy to assemble, without a gap therebetween.

이럴 경우, 상기 사각 블록 형태의 단위체들이 조립된 지지 구조물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이 발생될 경우, 이로부터 발생된 응력이 상기 단위체들 사이에 그대로 집중됨에 따라 상기 단위체들이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In this cas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upporting structure in which the rectangular unit-shaped unit bodies are assembled, or when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 due to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the stress generated therefrom is concentrated in the unit bodie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t bodies may be damaged.

(특허 문헌1)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3883호(공개일; 2012.06.04, 태양전지판 고정 프레임 지주 고정 구조)(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03883 (Published Date: 2012.06.04, Solar panel fixed frame support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발생된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할 수 있는 단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t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while dispersing stress generated by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unit structure.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단위 구조체는 육각면부들, 지지부,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복수의 체결 돌기들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exagonal face portions, a support portion, a first engagement portion, a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상기 육각면부들은 수직 방향으로 여섯개의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한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육각면부들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들은 상기 육각면부들 사이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The hexagonal face portions have six vertically connected flat f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otrusion or a groove shape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below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he fastening protrusions proj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spective edges betwee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육각면부들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xagonal face por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through holes penetrating vertically at the cent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 구조체는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류 현상을 위한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for conv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 구조체는 하부에 미생물 발생을 위하여 섬유사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ttachment portion to which a fiber yarn is attached for generating microorganism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육각면부들은 물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자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xagonal surfa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jacket to allow floating in 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는 제1 단위 구조체, 제2 단위 구조체, 체결 부재 및 경사 지지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ssembly for supporting a photovoltaic cell module, including a first unit structure, a second unit structure, a fastening member, and an inclined support.

상기 제1 단위 구조체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육각면부들,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 및 상기 육각면부들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위 구조체는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 각각의 수직 평탄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각각의 체결 돌기들을 서로 체결한다. 상기 경사 지지체는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의 지지부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을 경사지게 지지한다.The first unit structure includes hexagonal surface portions having vertical flat surfac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upport portions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protrusions or grooves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hexagonal face portion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exagonal fac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second unit structur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unit structure. The fastening members fasten the fastening projections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clined support body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of the first unit structure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in an inclined mann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단위 구조체는 상부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이 상기 경사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solar cell modul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clined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의 지지부는 상기 경사 지지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홈일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first uni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suppo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may be the guide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사 지지체는 상부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의 단부에 체결된 클립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to which a clip fastened to an end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coupl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사이각을 두고 돌출된 후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홈의 안쪽에 상기 후크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hook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include hook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hooks inside the fastening groove.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조립체의 단위 구조체가 수직 방향으로 2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육각면부들을 포함하여, 이들이 서로 어느 하나의 수직 평탄면에서 면접하면서 결합될 경우 그 좌우측에 일부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력을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력의 집중으로 인해서 상기 단위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unit structure of the assembly supporting the photovoltaic module includes hexagonal face portions having vertical flat faces connected to 2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 certain space is secur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when being combined while being interviewed on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the stress generated by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can be dispersed into the secured sp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it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tr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체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체의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이 서로 체결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ssembly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f a portion of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of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in FIG.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being provided so as to enable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ully completed.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placed on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layer, the element may be directly dispos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and other elements or layers may be plac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Alternatively, if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placed directly on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re can be no other element between them.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items such as various elements, composition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but the item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s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nventional dictionaries, shall be constru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ideally or externally grossly intuitive It will not be interpre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illustrations that are schematic illustrations of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changes from the shapes of the illustrations, such as changes in manufacturing methods and / or tolerances, are those that can be expected.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areas illustrated by way of illustration, but rather to include deviations in shapes, the areas described in the drawings being entirely schematic, It is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exact shape of the area nor is i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체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체의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ssembly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1, 1 is a top view of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of the illustrated assembl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100)는 제1 단위 구조체(200), 제2 단위 구조체(300), 체결 부재(400) 및 경사 지지체(500)를 포함한다.1 to 3, an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nit structure 200, a second unit structure 300, a fastening member 400, and an inclined support 500 .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은 육각면부들(210), 지지부(220), 제1 결합부(230), 제2 결합부(240) 및 체결 돌기(250)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each hav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a support portion 220, a first coupling portion 230, a second coupling portion 240, And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250.

상기 육각면부들(210)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중공(211)이 형성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여섯개의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212. 213. 214, 215, 216, 217)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각면부들(210)은 6각 기둥을 이룬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은 상기 수직 평탄면들(212. 213. 214, 215, 216, 217)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hexagonal face portions 210 have six vertically connected vertical flat faces 212, 213, 214, 215, 216, 217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orm a hollow 211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Specifically,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form a hexagonal colum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have a structure in which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212, 213, 214, 215, 216, and 217 is assembled while being interposed.

또한, 상기 육각면부들(210)은 물에 부유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기와 같이 물에 부유 가능한 물질에 채워진 자켓부(218)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0)는 상기 자켓부(218)를 통해서 수륙 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210 may have a jacket portion 218 filled with a water-floatable material such as air inside to float on the water. Accordingly, th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landing surveillance through the jacket portion 218.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경사 지지체(500)를 지지한다. 이에,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경사 지지체(500)의 위치가 가이드되면서 인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222)은 일 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220 is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arts 210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10. 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220 supports the inclined support body 5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10 in an inclined manner. The support part 220 may include a guide groove 222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support body 500 to be guided and supported. Here, the guide groove 222 may be circula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결합부(230)는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230)는 실질적인 구조 상 상기 지지부(220)의 가이드 홈(222)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결합부(230)는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23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In this case, the first engaging part 230 may be a guide groove 222 of the support part 220 in terms of structure. Alternative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exagonal face portions 210.

상기 제2 결합부(240)는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230)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230)와 반대 형상,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230)가 홈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반대로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러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230, 240)들의 결합을 통해서 복수의 상기 제1 단위 구조체(200)들을 안정하게 적층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조립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보관 및 운반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so as to b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230 in an opposite shap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230,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230 and 240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or groove shape in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30 and 240 are formed in a groove or a protrusion shape. 200 can be stably stacked, the height of the assembly 100 can be adjusted, and storage and transportation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and easily.

상기 체결 돌기(250)들은 상기 육각면부들(210)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이 각각의 수직 평탄면들(212. 213. 214, 215, 216, 217)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면접하면서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체결 돌기(250)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면접하는 수직 평탄면(212)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모서리들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모서리들에는 상기 체결 돌기(250)들의 사이즈로 인하여 간섭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해 안쪽으로 소정 함몰된 리세스 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돌기(250)들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면접하는 수직 평탄면(212)의 양쪽 모서리에서 각각의 체결 돌기(250)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서로 결합되는 체결 돌기(250)들은 상기 조립된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의 임의의 높이에 어느 하나는 상면이 일치하고, 다른 하나는 하면이 일치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돌기(250)들 각각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체결홈(252)이 형성된다.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project from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sinc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212, 213, 214, 215, 216, and 217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may protrude from the edges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ertical flat surface 212 that is substantially in contact therewith. At this time, the edges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may be formed with recessed recesses 219 which are recessed inwardly to prevent interference due to the size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when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are assembled,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vertical flat surface 21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rbitrar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so that the height of the assembled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is kept constant. One at the height and one at the top, and the other at the bottom. In each of these fastening protrusions 250, a fastening groove 25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상기 체결 부재(400)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을 어느 하나의 수직 평탄면(212)이 면접한 상태에서 이들이 조립되도록 상기 면접한 수직 평탄면(212)의 양쪽 모서리들에서 결합된 체결 돌기(250)들을 체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부재(400)는 상기 결합된 체결 돌기(250)들에 형성된 체결홈(252)을 관통하여 이들을 체결시킨다. 이하,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체결 부재(400)가 상기 결합된 체결 돌기(250)들의 체결홈(252)에 삽입되어 체결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flat surface 21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are assembled in a state where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212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Thereby fastening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astening member 40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recesses 252 form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to fasten them. 4,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52 of the coupled fastening protrusions 250 and fasten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3에서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이 서로 체결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in FIG.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400)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사이각을 두고 돌출된 후크(410)들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체결 돌기(250)는 상기 체결홈(252)의 안쪽에 상기 후크(410)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홈(254)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체결 부재(400)는 상기 후크(410)들이 상기 후크홈(254)들을 관통하도록 상기 체결홈(252)이 삽입시킨 다음, 상기 체결 부재(400)를 상기 후크(410)들이 상기 후크홈(254)들과 평면적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소정 회전시켜 상기 체결 돌기(250)들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 부재(400)는 상기 후크(410)들과의 사이에서 상기 체결 돌기(250)들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후크(410)들의 상부에 고정 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4, the fastening member 400 includes hooks 410 protrud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astening protrusion 250 includes hook grooves 254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hooks 410 inside the fastening groove 252.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aste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52 so that the hooks 410 penetrate the hook grooves 254 and then the fastening member 400 is fastened to the hooks 410 May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be shifted from the hook grooves 254 in a planar manner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include fixing protrusions (not shown) on the hooks 410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250 are firmly fixed to the hooks 410. [ Can b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 각각은 상기 중공(211)에 형성된 바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6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이 조립된 조립체(100)가 일반 토양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262)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통풍됨에 따라 친환경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조립체(100)가 상기 육각면부들(210)의 자켓부(218)를 통해서 상기 조립체(100)가 바다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바다로부터 발생되는 파도에 따른 저항을 상기 관통공(262)에서 일부 흡수하여 이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100)가 습지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262)을 통해 상기 습지로부터 영양분을 공급 받아 친환경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습지층(미도시)이 조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ortion 260 formed in the hollow 211. The bottom portion 26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262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assembly 1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are assembled is installed in the general soil, the outside air is naturally ventil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62, Environment can be cre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a floating state in the sea through the jacket portion 218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210, It is possible to absorb a part of it in the through hole 262 and to prevent breakage thereof. In addition, when the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a wetland, a wetland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hat receives nutrients from the wetland through the through holes 262 to provide environmentally friendly elements.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 각각은 상기 바닥부(260)의 하부에 대류 현상을 위하여 설치된 교반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관통공(262)을 통한 외부 공기의 흐름, 파도의 저항 및 습지로부터의 영양분 공급에 따른 기능을 상기 교반부(270)를 통해서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may further include an agitating part 27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260 for convective development.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external air flow through the through-hole 262, the resistance of the wave, and the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wetland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agitating unit 270.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270)는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교반부(270)는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gitator 27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agitator 270 may be installed in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 각각은 상기 바닥부(260)의 하부에 미생물을 발생을 위하여 섬유사가 부착되는 부착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이 조립된 조립체(100)를 습지와 같이 오염 가능이 다분한 물가에 설치할 경우, 상기 부착부(280)에 부착된 섬유사(20)로부터 발생되는 미생물을 통해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may further include an attachment unit 280 to which a fiber yarn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unit 260 to generate microorganisms. In this case, when the assembly 1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are assembled is installed on a water surface which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such as a wet paper, the fiber yarn 20 attached to the attachment unit 280 The microorganisms that are generated can naturally purify the water quality.

상기 경사 지지체(500)는 상기 제1 단위 구조체(200)의 지지부(220)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에 조립된다. 이러한 경사 지지체(500)는 대한민국과 같이 위도가 약 38도 부근에서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을 태양광에 거의 수직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지지한다.The inclined support body 500 is assembled into a guide groove 222 formed on the support part 220 of the first unit structure 200. The inclined support body 500 obliquely supports the photovoltaic module 10 such that the photovoltaic module 10 is exposed to the sunlight almost perpendicularly at a latitude of about 38 degrees, as in the Republic of Korea.

이에, 상기 제2 단위 구조체(300)는 상기 경사 지지체(500)에 지지된 태양광 전지 모듈(10)이 중력에 의해서 상기 경사 지지체(5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스토퍼(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위 구조체(3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단위 구조체(200)와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스토퍼(310)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단위 구조체(2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310)는 'C'자 형상으로 이뤄져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의 일측부를 클립 형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The second unit structure 300 may include a stopper 310 formed to prevent the photovoltaic module 10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5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clined support 500 due to gravity have. Since the second unit structure 30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unit structure 200 so that the second unit structure 300 is compatible with the first unit structure 200, (Not shown). For example, the stopper 310 may have a "C"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10 may be fastened in a clip shape.

또한, 상기 경사 지지체(500)는 상부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의 단부에 체결된 클립(12)이 결합 고정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을 경사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10)는 상기 클립(12)이 매달리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체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너트와 볼트의 체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clined supporting body 5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solar cell module 10 in an inclined state by fastening a clip 12 fastened to the end of the solar cell module 10 on the upper part, 510). Here, the fixing part 510 may have a protrusion shape in which the clip 12 hangs, and may have a fastening structure of a nut and a bolt to facilitate disassembly and installation, if necessary.

또한, 상기 고정부(510)는 'C'자 형상으로 이뤄져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의 일측부를 클립 형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a C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10 may be fastened in a clip shape.

이와 같이,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을 지지하는 조립체(100)의 단위 구조체가 수직 방향으로 2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212. 213. 214, 215, 216, 217)을 갖는 육각면부들(210)을 포함하여, 이들이 서로 어느 하나의 수직 평탄면(212)에서 면접하면서 결합될 경우 그 좌우측에 일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력을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응력의 집중으로 인해서 상기 단위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nit structure of the assembly 100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10 is divided into vertical planar surfaces 212, 213, 214, 215, 216 and 217, when they are combin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212, some space can be sec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stress genera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can be dispersed into the secured sp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it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tress.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과 상기 경사 지지체(500)가 조립된 조립체(100)를 이와 동일한 구조의 다른 제2 조립체(600)와 연속적으로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립체(100)와 상기 제2 조립체(600) 사이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10)의 효율성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200, 300)들과 동일한 구조의 제3 단위 구조체(700)를 상기 조립체(100)와 상기 제2 조립체(600)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assembly 1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and the inclined support 500 are assembled is continuously assembled with another second assembly 600 having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200 and 300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assembly 600 for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10. [ The third unit structure 700 may be assembled with th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assembly 600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는 태양광 전지 모듈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위치 확인기 및 상기 위치 확인기에 의하여 확인된 위치를 조절하기 하도록 구비된 추력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의 위치가 바람 또는 조수에 의하여 변경되었을 때 이의 위치를 확인하여 추력기가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module support assembly further includes a GPS position checke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a thrust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confirmed by the positioner can do. Thus, when the posi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changed by wind or fresh water, the posi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restored by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본 발명에 따른 단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상부에 태양광 전지 모듈을 경사진 형태로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외부 충격이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음에 따라, 내구성이 강화된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의 지지 구조물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Since the unit structure and th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in an inclined form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can disperse the stress generated by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external impact or external temperature chang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s a support structure of the solar cell module with enhanced durability.

10 : 태양광 전지 모듈 12 : 클립
20 : 섬유사 100 : 조립체
200 : 제1 단위 구조체 210 : 육각면부들
211 : 중공
212, 213, 214, 215, 216, 217 : 수직 평탄면들
218 : 자켓부 219 : 리세스 홈
220 : 지지부 222 : 가이드 홈
230 : 제1 결합부 240 : 제2 결합부
250 : 체결 돌기 252 : 체결홈
254 : 후크홈 260 : 바닥부
262 : 관통공 270 : 교반부
280 : 부착부 300 : 제2 단위 구조체
310 : 스토퍼 400 : 체결 부재
410 : 후크 500 : 경사 지지체
510 : 고정부 600 : 제2 조립체
700 : 제3 단위 구조체
10: photovoltaic module module 12: clip
20: fiber yarn 100: assembly
200: first unit structure 210: hexagonal parts
211: hollow
212, 213, 214, 215, 216, 217: vertical planes
218: jacket portion 219: recessed groove
220: support part 222: guide groove
230: first engaging portion 240: second engaging portion
250: fastening protrusion 252: fastening groove
254: hook groove 260: bottom portion
262: through hole 270: stirring part
280: attachment part 300: second unit structure
310: stopper 400: fastening member
410: hook 500: inclined support
510: fixing part 600: second assembly
700: Third unit structure

Claims (11)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육각면부들;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 및
상기 육각면부들 사이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은 상기 모서리의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리세스 홈들 각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구조체.
Hexagonal surfaces having vertical planar surfac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ing portion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xagonal face portions to have a projection or a groove shape;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and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respective corners betwee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And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is located in each of the recessed recesse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ly of the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면부들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구조체.[2] 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include through-holes penetrating up and dow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류 현상을 위한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구조체.[3] 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tirr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for convection.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미생물 발생을 위하여 섬유사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구조체.[2] 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ttachment part to which a fiber yarn is attached for generating microorganisms in the low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면부들은 물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자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구조체.The uni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xagonal face portions include a jacket portion so as to be floating in water.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수직 평탄면들을 갖는 육각면부들,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 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상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육각면부들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 및 상기 육각면부들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은 모서리의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리세스 홈들 각각에 위치하는 제1 단위 구조체;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단위 구조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구조체들 각각의 수직 평탄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각각의 체결 돌기들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의 지지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 지지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to have a projection or a groove shape,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xagonal surface portions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includes a first unit structure positioned in each of the recessed recesse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inwardly of the edge;
A second unit structur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unit structure;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rotrusions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ny one of the vertical fla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ucture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d a tilting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of the first unit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in an inclined man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구조체는 상부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이 상기 경사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The assembly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unit structure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solar cell modu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clined sup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구조체의 지지부는 상기 경사 지지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of the first unit structure include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support,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the guide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체는 상부에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의 단부에 체결된 클립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7] The assembly for support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clined support body includes a fixing part to which a clip fastened to an end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coupl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사이각을 두고 돌출된 후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홈의 안쪽에 상기 후크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stening protrusion includes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hook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astening protrusion includes hook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hooks inside the fastening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위치를 확인하는 GPS 위치 확인기; 및
상기 위치 확인기에 의하여 확인된 위치를 조절하기 하도록 구비된 추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지지용 조립체.
7. The apparatus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GPS locator identifying the loca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thruster configured to adjust a position identified by the positioner. ≪ RTI ID = 0.0 > 11. < / RTI >
KR1020150020365A 2015-02-10 2015-02-10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tive KR101642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65A KR101642218B1 (en) 2015-02-10 2015-02-10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65A KR101642218B1 (en) 2015-02-10 2015-02-10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218B1 true KR101642218B1 (en) 2016-07-29

Family

ID=5661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365A Active KR101642218B1 (en) 2015-02-10 2015-02-10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21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41B1 (en) * 2016-12-02 2018-06-04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Solar Panel Support
KR20190040609A (en) * 2017-10-11 2019-04-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quatic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KR20190111599A (en)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unit structure
KR20200118927A (en) 2019-04-08 2020-10-19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mooring device and bird exterminating device
KR102234136B1 (en) 2020-08-18 2021-03-31 주식회사 이플로트 Assembly of floating body for solar energy generating system
KR20230148471A (en) * 2022-04-15 2023-10-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So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phosphorous insolubiliz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883A (en) 2009-03-12 2012-01-11 레이스팬 코포레이션 Multiband Crh Slot Antenna
WO2013091906A2 (en) * 2011-12-20 2013-06-27 Dometic S.A.R.L. Mobile generator device and cooling system
KR200475943Y1 (en) * 2014-02-28 2015-01-16 (주) 그린솔루션 Economic fixing unit of solar cell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883A (en) 2009-03-12 2012-01-11 레이스팬 코포레이션 Multiband Crh Slot Antenna
WO2013091906A2 (en) * 2011-12-20 2013-06-27 Dometic S.A.R.L. Mobile generator device and cooling system
KR200475943Y1 (en) * 2014-02-28 2015-01-16 (주) 그린솔루션 Economic fixing unit of solar cell installati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41B1 (en) * 2016-12-02 2018-06-04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Solar Panel Support
KR20190040609A (en) * 2017-10-11 2019-04-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quatic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KR102007655B1 (en) * 2017-10-11 2019-08-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quatic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KR20190111599A (en)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unit structure
KR102160784B1 (en) * 2018-03-23 2020-09-29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unit structure
KR20200118927A (en) 2019-04-08 2020-10-19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mooring device and bird exterminating device
KR102234136B1 (en) 2020-08-18 2021-03-31 주식회사 이플로트 Assembly of floating body for solar energy generating system
KR20230148471A (en) * 2022-04-15 2023-10-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So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phosphorous insolubilizing
KR102755223B1 (en) * 2022-04-15 2025-01-22 (주)세기종합환경 Solar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phosphorous insolubiliz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218B1 (en) Uni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olar cell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481093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642387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541698B1 (en) Float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101134289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561846B1 (en) Float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102160784B1 (en)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unit structure
JP2016019395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WO2019160048A1 (en) Frame for photovoltaic solar panel installation on water
KR101632004B1 (en) Sunlight structure for water surface
KR101501466B1 (en) Float for installing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installed using buoyant force on the surface of water
KR101892606B1 (en) Solar energy generation system
US20150083198A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533773B1 (en) Beam-fixing structure for solar cell array of assemble roof
KR20150117513A (en) Fixing structure for solar cell array of assemble roof
JP2011108855A (en) Arrangement structur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101531942B1 (en) Solar power plant on the water using shaking preventing member
KR20160120868A (en) a float for solar power plant constructed on the water
KR20190123389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Pipes
KR101561845B1 (en) Float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20180018046A (en) Floating type sunlight structure on water surface
KR101561847B1 (en) Float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O2018030965A1 (en) A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anel installation
KR102458519B1 (en) Floating Solar Module with Floating Body
KR101221324B1 (en) Tracking apparatus for float type photovoltatic power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