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1766B1 -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 Google Patents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66B1
KR101641766B1 KR1020140047834A KR20140047834A KR101641766B1 KR 101641766 B1 KR101641766 B1 KR 101641766B1 KR 1020140047834 A KR1020140047834 A KR 1020140047834A KR 20140047834 A KR20140047834 A KR 20140047834A KR 101641766 B1 KR101641766 B1 KR 10164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unit
reforming
methanol
methan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283A (ko
Inventor
김기혁
박정주
전유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7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버너부; 상기 버너부 외측에 형성되며, 메탄올과 H2O(l)을 포함하는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부; 상기 공급된 원료를 기화시키는 예열부;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기화된 원료에 포함된 메탄올을 개질하는 개질부; 및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개질부 배출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를 메탄가스로 변환시키는 메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개질부 및 메탄화부 중 하나 이상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COMPACT METHANOL REFOMER}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개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메탄올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석탄, 석유 등 화석 연료가 점차 고갈됨에 따라,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연료전지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연료전지 구동을 위해서는 수소(H2)가 필요하며, 이러한 수소를 얻기 위해서 개질기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개질기는 천연가스를 수소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공장용, 가정용 등 대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등에 설치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우,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소형 대형 연료전지 시스템이 적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9702(2007.10.09.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메탄올 증기 개질 촉매를 포함하는 증기 개질 연료 처리 장치, 및 메탄올을 증기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버너부; 상기 버너부 외측에 형성되며, 메탄올과 H2O(l)을 포함하는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부; 상기 공급된 원료를 기화시키는 예열부;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기화된 원료에 포함된 메탄올을 개질하는 개질부; 및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개질부 배출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를 메탄가스로 변환시키는 메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개질부 및 메탄화부 중 하나 이상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는 상기 개질부와 메탄화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화된 원료를 혼합하여 상기 개질부에 공급하는 원료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는 상기 메탄화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질부에서 수증기에 의한 메탄올 개질 반응 및 수성가스전이반응(water-gas-shift reaction)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질부에는 Cu계 촉매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개질기는 개질부와 메탄화부의 온도차이가 작아, 반응 가스 및 개질 가스의 유로 및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예열부를 개질부나 메탄화부 내부를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개질기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개질기는 외부의 원료 혼합부를 적용함으로써, 원료 혼합 효율 향상 및 단열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개질기는 개질부에서 수증기에 의한 메탄올 개질과 함께 수성가스전이 반응이 동시에 가능하여, 개질 공정 간소화 및 개질기 사이즈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탄올 개질기에서의 개질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에서의 개질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는 대략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중앙으로부터 버너부(110), 연료 공급부(120), 예열부(130), 개질부(150), 메탄화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는 별도의 연료 혼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너부(110)는 연료의 기화, 개질 반응, 메탄화 반응에 필요한 열을 제공한다. 버너부(110)는 액상 혹은 기상의 메탄올 연료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너부(110)는 개질기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버너(111)와 버너 연소가스 이동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부(110)는 하측에서 연통되는 2중관의 형태를 가지며, 버너(111)는 내부관 상측에 위치하고, 버너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버너 연소가스는 내측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외측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료 공급부(120)는 개질 대상이 되는 메탄올과, 메탄올을 개질하기 위한 반응물(H2O(l))을 포함하는 원료가 공급된다.
연료 공급부(120)는 버너부(110) 외측에 형성되어, 버너 연소가스와 열교환하면서 개질기 내부로 공급된다.
예열부(130)는 공급된 원료를 예열하여 기화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 예열부(130)는 개질부(150) 및 메탄화부(160) 중 하나 이상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메탄화부(16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열부(140)가 개질부(150)나 메탄화부(16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상기와 같이, 개질부(150) 및 메탄화부(160) 중 하나 이상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개질기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개질부(140)는 원료 공급부(120)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기화된 원료에 포함된 메탄올을 개질한다.
개질 반응은 200~300℃ 정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아래 식 1과 같이 수소(H2) 및 불가피한 CO를 생성한다.
식 1 : CH3OH(g) + H2O(g) → H2 + CO + CO2 + CH4 + H2O
식 1의 경우, 충분히 많은 양의 메탄올과 물을 투입하였을 때의 반응식으로 각 성분의 몰 수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때, 상기의 식 1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질 반응 결과, 원하는 수소 이외에도 불가피하게 일산화탄소(CO)도 생성된다. 또한, 개질 반응 결과, 잔류 H2O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개질부 배출가스는 H2, CO 및 잔류 H2O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개질부에서 상기의 수증기에 의한 메탄올 개질 반응 개질반응 이외에, 아래 식 2와 같이 수성가스전이반응(water-gas-shift reaction)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수성가스전이반응에 의하여 개질 반응에 의해 불가피하게 생성된 일산화탄소(CO)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식 2 : CO + H2O → CO2 + H2
개질부에서 개질반응과 함께 상기와 같은 수성가스전이반응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2가지 반응 모두에 적합한 촉매가 요구되고, 이러한 촉매로 Cu계 촉매를 제시할 수 있다. Cu계 촉매는 예를 들어 Al2O3 담체에 Cu가 혼합된 촉매가 이용될 수 있다.
메탄화부(160)은 원료 공급부(120) 외측 상부, 즉 개질부(150) 상부에 형성된다. 메탄화부(160)에서는 아래 식 3과 같이, 개질부 배출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를 메탄가스로 변환시켜 최종 개질 가스 내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 함량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메탄화부(160)는 니켈계 촉매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 3 : CO + 3H2 → CH4 + H2O
메탄화 반응은 대략 200~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온도는 전술한 개질 반응 온도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개질부(150)와 메탄화부(160) 사이의 유로 및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탄화 반응은 CO 제거를 위하여 별도의 물이나 산소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질기의 컴팩트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컴팩트 개질기는 원료로서 액상의 메탄올과 물을 포함한다. 개질 효율은 메탄올과 물이 최대한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개질부에 공급될 때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화된 연료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 혼합부(140)는 개질부(150) 및 메탄화부(160) 외측에 형성된다. 특히, 원료 혼합부(140)는 개질부(150)와 메탄화부(160)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질부와 원료혼합부 사이에 별도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에서 메탄올 개질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버너부(110)에서 연료 연소를 통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개질부(150) 및 메탄화부(160)를 승온시켜, 개질부(150) 및 메탄화부(160)에 포함된 촉매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원료 공급부(120)를 통하여 메탄올과 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원료의 온도는 점차 승온된다.
이후, 예열부(130)에서 공급된 원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원료가 개질부(150)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기화된 원료가 원료 혼합부(140)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원료가 개질부(150)로 공급되어 개질 반응이 수행되거나 혹은 개질 반응과 함께 수성가스전이반응이 수행된다. 이후 개질부(150) 배출가스가 메탄화부(160)로 공급되어 메탄화 반응이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수소(H2)를 포함하는 개질가스가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온도 차이가 작은 개질 반응 및 메탄화 반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질부와 메탄화부 사이의 유로 및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리계 촉매를 사용할 경우, 개질부에서 개질 반응 뿐만 아니라, 수성가스전이반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개질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메탄화 반응을 통하여 CO를 제거함으로써, CO 제거를 위한 추가의 물이나 공기의 공급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의 원료 혼합부를 통하여 원료의 혼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열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변환 장치는 하나의 원통 내에 연료변환에 요구되는 각 요소들을 모두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개질부와 CO 제거부 간의 온도 차이가 적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건설기계나 농기계 등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되기 적합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버너부 120 : 원료 공급부
130 : 예열부 140 : 원료 혼합부
150 : 개질부 160 : 메탄화부

Claims (5)

  1. 삭제
  2. 중앙부에 위치하는 버너부;
    상기 버너부 외측에 형성되며, 메탄올과 H2O(l)을 포함하는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부;
    상기 공급된 원료를 기화시키는 예열부;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기화된 원료에 포함된 메탄올을 개질하는 개질부; 및
    상기 원료 공급부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개질부 배출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를 메탄가스로 변환시키는 메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메탄화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질부와 메탄화부 외측에 형성되되 개질부와 메탄화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화된 원료를 혼합하여 상기 개질부에 공급하는 원료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에서 수증기에 의한 메탄올 개질 반응 및 수성가스전이반응(water-gas-shift reaction)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에는 Cu계 촉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KR1020140047834A 2014-04-22 2014-04-22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Active KR10164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34A KR101641766B1 (ko) 2014-04-22 2014-04-22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34A KR101641766B1 (ko) 2014-04-22 2014-04-22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83A KR20150122283A (ko) 2015-11-02
KR101641766B1 true KR101641766B1 (ko) 2016-07-22

Family

ID=5459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834A Active KR101641766B1 (ko) 2014-04-22 2014-04-22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97A1 (ko) * 2016-08-23 2018-03-0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효율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588B1 (ko) 2019-09-26 2020-1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증발기 일체형 개질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605A (ja) 2001-07-31 2003-02-13 Daikin Ind Ltd 改質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4145785B2 (ja) * 2001-06-04 2008-09-03 東京瓦斯株式会社 円筒式水蒸気改質器
JP2012240893A (ja) 2011-05-20 2012-12-10 Panasonic Corp 水素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651A (ja) * 1982-11-30 1984-06-09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ル−プバスによるハンドシエイク伝送方式
KR101127688B1 (ko) * 2004-12-07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원통형 소형 개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5785B2 (ja) * 2001-06-04 2008-09-03 東京瓦斯株式会社 円筒式水蒸気改質器
JP2003040605A (ja) 2001-07-31 2003-02-13 Daikin Ind Ltd 改質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2240893A (ja) 2011-05-20 2012-12-10 Panasonic Corp 水素生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97A1 (ko) * 2016-08-23 2018-03-0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효율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588B1 (ko) 2019-09-26 2020-1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증발기 일체형 개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83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6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ing of a gas rich in hydrogen by thermal pyrolysis of hydrocarbons
CN111344249B (zh) 氢产生装置
JP2012530352A5 (ko)
JP2007254180A (ja) 自立型低級炭化水素直接分解プロセスおよび該プロセスシステム
CA3127155A1 (en) Parallel reforming in chemical plant
JP2019108238A (ja) 水素製造装置、燃料製造システム、水素製造方法、および燃料製造方法
TW201518495A (zh) 氫與合成天然氣之製造裝置及製造方法
KR101641766B1 (ko) 컴팩트 메탄올 개질기
CA2856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gasoline or dimethyl ether
JPWO2004071951A1 (ja) 水素生成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632633B1 (ko) 이중관 구조의 플라즈마/촉매 일체형 가스 개질 장치 및 가스 개질 방법
KR101832136B1 (ko) 축열식 연소 방식의 고효율 컴팩트 수증기 개질 장치
KR101571982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질기
KR101616199B1 (ko) 소형 메탄올 연료변환기
US9994447B2 (en) Integrated micro-channel reformer and purifier in a heat pipe enclosure for extracting ultra-pure hydrogen gas from a hydrocarbon fuel
JP6436693B2 (ja) 水素ステーション用水素製造システム
JP4363969B2 (ja) 水素製造装置
US8889098B1 (en) Integrated micro-channel reformer and purifier for extracting ultra-pure hydrogen gas from a hydrocarbon fuel
JP2016184550A (ja) ガス製造装置
KR102449006B1 (ko) 스팀 발생 개질기
JP2011020863A (ja) 炭素循環型水素製造システム及びその利用方法
KR102323731B1 (ko) 수소 생산용 다연료 개질 시스템
KR20190067544A (ko) 이산화탄소 방출 방지 및 천연가스 절약 가능한 하이브리드 수소 제작 장치
KR20140141757A (ko) 건설기계/농기계용 연료변환 장치
JP2016184549A (ja) ガス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