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1461B1 -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461B1
KR101641461B1 KR1020150047721A KR20150047721A KR101641461B1 KR 101641461 B1 KR101641461 B1 KR 101641461B1 KR 1020150047721 A KR1020150047721 A KR 1020150047721A KR 20150047721 A KR20150047721 A KR 20150047721A KR 101641461 B1 KR101641461 B1 KR 10164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rbon heating
grill
carbon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준
Original Assignee
김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준 filed Critical 김봉준
Priority to KR102015004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47J37/0736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면에 카본 발열체(110a)를 구비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전원연결선(134)을 삽입하여 전원연결선(134)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카본 발열체(110a)에 의한 가열에 사용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포함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과 연결된 지주에 해당하는 상하 조절부(130); 및 상하 조절부(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카본 발열체(110a)로부터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부면이 가열 구이판(121)으로 형성되며, 전기 장치에 해당하는 카본 발열체(110a) 및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각각 포함하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및 상하 조절부(130)로부터 분리시, 내부에 숯불을 넣기 위해 내피에 해당하는 화덕이 형성되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기를 이용해서 상부에 이격된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전원을 통한 가열 조리기를 가열 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가열 구이 본체에 숯불을 넣고 카본 발열체를 제거하고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가열 구이판에서 전기와 숯불을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웃 도어용으로도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와, 가열 구이판을 상하의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카본 발열체의 높이에 따른 위치 조절을 통해 가열 구이판으로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의 최적의 위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카본 발열체의 온도를 강, 중, 약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열 대상에 대한 최적의 레시피(recipe)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플레이트 커버, 카본 발열체에 의한 가열 대상이 되는 가열 구이판, 그 밖의 양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상하 조절부의 용이한 분리 구조를 통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열 대상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Hybrid heating cooker with electric and charcoal fire plate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및 숯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가열을 위한 발열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최적의 가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01045호의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는 열원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이판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이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해당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는 받침대와 구이판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열이 시작된 이후에는 열원체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9762호의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는 구이기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에 직접 화염을 가해 구이를 수행하되, 구이대의 승강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구이물과 화염과의 거리 조절에 따라 구이 상태의 조절이 용이하게 하며, 특히 화염기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해당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는 구이대의 하부에 형성된 승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구이대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승강수단의 외부에 위치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 작동한다는 면에 있어서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와 달리 가열이 시작된 후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선 차이가 있으며 대량의 대상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적합하나,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 자체가 다수의 구성인 이동부재와 회전부재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설계가 복잡하여 범용으로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Roasting device with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roast pan)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01045호)
2.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Direct fired roaster combined with heater having up-and-down roasting chamber)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976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전기를 이용해서 상부에 이격된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전원을 통한 가열 조리기를 가열 대상을 올려놓기 위한 가열 구이 본체에 숯이 가열된 숯불을 넣어 카본 발열체를 제거하고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가열 구이판에서 전기와 숯불을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플레이트 커버와, 카본 발열체에 의해 열원을 제공받는 가열 구이판을 상하의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카본 발열체의 높이에 따른 위치 조절을 통해 가열 구이판으로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의 최적의 위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카본 발열체의 온도를 강, 중, 약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열 대상에 대한 최적의 레시피(recipe)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플레이트 커버, 카본 발열체에 의한 가열 대상이 되는 가열 구이판, 그 밖의 양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상하 조절부의 용이한 분리 구조를 통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열 대상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적 설계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는, 하부면에 카본 발열체(110a)를 구비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전원연결선(134)을 삽입하여 전원연결선(134)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카본 발열체(110a)에 의한 가열에 사용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포함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과 연결된 지주에 해당하는 상하 조절부(130); 및 상하 조절부(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카본 발열체(110a)로부터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부면이 가열 구이판(121)으로 형성되며, 전기 장치에 해당하는 카본 발열체(110a) 및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각각 포함하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및 상하 조절부(130)로부터 분리시, 내부에 숯불을 넣기 위해 내피에 해당하는 화덕이 형성되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 를 포함한다.
이때,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온도조절버튼(111)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를 가변시키는 카본 발열체(110a)를 이용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상으로 가열을 수행하며, 보관시 덮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조절버튼(111)은, 조그-다이얼(jog dial)로 형성되며, 제어부(미도시)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온도 업/다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에 의해 카본 발열체(110a)의 온도의 높낮이를 단계적(강, 중, 약)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상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을 타고 전면, 상부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측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1
"의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수단(112);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양 측면에 돌출되어 이동을 위해 실리콘으로 형성된 본체 손잡이(122);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구이판(121)은, 육면체 형상의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상부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개구된 상부면 상에서 앞뒤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구이판(12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기름 배출홀(121b)로 향하여 모서리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기름 배출홀(121b)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유도라인이 양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폭 방향의 중앙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다른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면을 통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배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기름받이(123);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 조절부(130)는, 하부에 형성된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뒷면 하단부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주 역할을 수행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를 상하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 조절부(130)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조절수단(132)의 기둥 내주면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여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높이를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상부 조절수단(131);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조절수단(131)의 끝단에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가 형성되며,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부 조절수단(132)으로의 삽입시, 단면이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2
" 형상인 기둥 형태에 해당하는 하부 조절수단(132)의 뒷면의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3
"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4
"의 음각 형상에 해당하는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는, 전기를 이용해서 상부에 이격된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전원을 통한 가열 조리기를 가열 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가열 구이 본체에 숯불을 넣고 카본 발열체를 제거하고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가열 구이판에서 전기와 숯불을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웃 도어용으로도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는,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와, 가열 구이판을 상하의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카본 발열체의 높이에 따른 위치 조절을 통해 가열 구이판으로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의 최적의 위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카본 발열체의 온도를 강, 중, 약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열 대상에 대한 최적의 레시피(recipe)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는, 카본 발열체를 포함한 플레이트 커버, 카본 발열체에 의한 가열 대상이 되는 가열 구이판, 그 밖의 양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상하 조절부의 용이한 분리 구조를 통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열 대상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배면도(도 2a) 및 정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측면도(도 3a) 및 사시도(도 3b)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 중 기름차단막(120a)이 형성된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에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0)의 상하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 중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활용한 야외에서 사용시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보관시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배면도(도 2a) 및 정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측면도(도 3a) 및 사시도(도 3b)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 중 기름차단막(120a)이 형성된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에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하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가열 구이 본체부(120) 및 상하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온도조절버튼(111) 및 연결수단(112)을 포함함으로써, 온도조절버튼(111)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를 가변시키는 카본 발열체(110a, 도 5 참조)를 이용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상으로 가열을 수행하며, 보관시 덮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하부에 위치한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가열 구이판(121) 상에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전기히터의 종류인 카본 발열체(110a)를 통해 가열대상의 대표적인 예로 고기, 생선 등을 구울 수 있다.
그리고, 온도조절버튼(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jog dial)로 형성되거나, 터치스크린, 버튼 형식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온도조절버튼(111)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에 따라 생성된 온도 업/다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카본 발열체(110a)의 온도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와 온도조절버튼(111)에 의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에 놓인 고기,생선 등의 특성에 맞도록 카본 발열체(110a)를 강, 중, 약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는 온도조절버튼(111)의 내측에 해당하는 연결수단(112)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수단(112)은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을 타고 전면, 상부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측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5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양 측면에 돌출되어 이동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실리콘으로 형성된 본체 손잡이(122)를 포함하며, 그 외에 가열 구이판(121), 기름받이(123), 기름배출 유도관(124) 및 구이용 그릴(125)을 포함함으로써, 가열 구이판(121) 상부에 올려진 가열대상을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중 카본 발열체(110a)로부터 열원을 제공받아 조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가열 구이판(121)은 육면체 형상의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상부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개구된 상부면 상에서 앞뒤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가열 구이판(121)은 중앙에 형성된 기름 배출홀(121b)로 향하여 모서리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기름 배출홀(121b)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유도라인이 양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가열 구이판(121)은 도 3b와 같이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슬라이딩 손잡이(121a)를 이용해 앞뒤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며,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중심으로 가열 구이판(121)의 직하 가열 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 상부의 카본 발열체(110a)의 열을 이용한 구이 요리 시 손이나 기타 피부에 열에 의한 상처를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기름받이(123)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측면 중 한 측 중 상술한 본체 손잡이(122)의 하부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름받이(123)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 상에 형성된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폭 방향의 중앙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다른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면을 통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기름배출 유도관(1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가열 구이판(121)이 가열 구이 본체부(120)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로 밀착되어 삽입시, 파이프 형태 중 상부 끝단의 개구면이 가열 구이판(121)의 중앙에 형성된 기름 배출홀(121b)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열 구이판(121)의 기름 배출홀(121b)을 통해 흘러들어온 기름을 하부의 기름받이(123)로 유도하도록 한다.
구이용 그릴(125)은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내부에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미리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가열 대상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기름차단막(120a)이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상부면을 이루는 가열 구이판(121)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의 가열 구이판(121)의 전면을 제외한 양 측면 및 배면을 둘러싸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에 해당하는 ‘ㄷ’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기름차단막(120a)은 가열 구이판(121)과 가열 구이 본체부(120) 간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측면 및 배면의 상단이 높은 점을 이용하여,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돌출된 측면 및 배면 상에 내측으로 삽입하여 사용됨으로써, 가열 구이판(121)에서 고기를 구우는 경우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하 조절부(130)는 상부 조절수단(131), 하부 조절수단(132), 상하조절버튼(133) 및 전원연결선(134)을 포함함으로써, 하부에 형성된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뒷면 하단부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주 역할을 수행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를 상하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조절수단(131)은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부 조절수단(132)의 기둥 내주면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높이를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기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부 조절수단(131)의 끝단에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가 형성되며, 상부 조절수단(131)은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부 조절수단(132)으로의 삽입시, 단면이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6
" 형상인 기둥 형태에 해당하는 하부 조절수단(132)의 뒷면의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7
"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8
"의 음각 형상에 해당하는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상하조절버튼(133)은 하부 조절수단(132)의 뒷면의 상단 끝에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상부 조절수단(131)의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하조절버튼(133)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술한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으로 삽입되기 위해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의 음각 형상으로 삽입시 매칭되는 돌출된 양각 형상이 전면에 형성되며, 뒷면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절수단(13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부 조절수단(131)으로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손가락용 돌출단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조절수단(132)은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조절수단(131) 뿐만 아니라, 상부 조절수단(131)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이 상하조절버튼(133)의 양각 형상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전원연결선(134)은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뒷면에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이 형성되지 않는 삽입영역(131b)의 최상단 영역에 형성된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도 6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 중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활용한 야외에서 사용시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가열 구이 본체부(120) 및 상하 조절부(130)를 포함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를 야외에서 사용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및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제외하고, 아웃 도어 구이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야외에서 사용시 전기장치에 해당하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그리고 상하 조절부(130)의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로 삽입되어 형성된 전원연결선(134)을 제거하고 야외나 실내에서 숯불을 사용하여 구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멀티 구이기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숯불은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내부에 넣은 뒤, 숯불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 구이판(121)을 상부판으로 활용하며, 이를 위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내부에는 화덕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위해 본체를 내피와 외피를 구분하여 설계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조립성이 용이한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하나의 가열 구이판(121)을 전기와 숯불을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야외에서 사용시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하부면에 형성가능한 탈착형의 본체 다리(128)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보관시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관을 위해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100)의 상하 조절부(130)로부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및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분리한다. 이후, 상하 조절부(130)로부터 상부 조절수단(131), 하부 조절수단(132), 상하조절버튼(133) 및 전원연결선(134)을 분리한 뒤, 분리된 하부 조절수단(132), 상하조절버튼(133) 및 전원연결선(134)을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케이스로 하여 내부에 보관한 뒤, 상부 조절수단(131)의 상단 끝을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연결수단(112)으로 연결하고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단 끝을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배면에 형성된 기존의 하부 조절수단(132)의 하부 끝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26)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
111: 온도조절버튼
112: 연결수단
120: 가열 구이 본체부
120a: 기름차단막
121: 가열 구이판
122: 본체 손잡이
123: 기름받이
124: 기름배출 유도관
125: 구이용 그릴
126: 체결홈
127: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
128: 본체 다리
130: 상하 조절부
131: 상부 조절수단
132: 하부 조절수단
133: 상하조절버튼
134: 전원연결선

Claims (11)

  1. 하부면에 카본 발열체(110a)를 구비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전원연결선(134)을 삽입하여 전원연결선(134)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카본 발열체(110a)에 의한 가열에 사용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포함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과 연결된 지주에 해당하는 상하 조절부(130); 및
    상하 조절부(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카본 발열체(110a)로부터 직하(直下) 가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열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부면이 가열 구이판(121)으로 형성되며, 전기 장치에 해당하는 카본 발열체(110a) 및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를 각각 포함하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및 상하 조절부(130)로부터 분리시, 내부에 숯불을 넣기 위해 내피에 해당하는 화덕이 형성되는 가열 구이 본체부(120); 를 포함하되,
    상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온도조절버튼(111)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를 가변시키는 카본 발열체(110a)를 이용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상으로 가열을 수행하며, 보관 시 덮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버튼(111)은,
    조그-다이얼(jog dial)로 형성되며, 제어부(미도시)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온도 업/다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에 의해 카본 발열체(110a)의 온도의 높낮이를 단계적(강, 중, 약)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 상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을 타고 전면, 상부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측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09
    "의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수단(11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양 측면에 돌출되어 이동을 위해 실리콘으로 형성된 본체 손잡이(1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 구이판(121)은,
    육면체 형상의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상부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개구된 상부면 상에서 앞뒤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 구이판(12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에 형성된 기름 배출홀(121b)로 향하여 모서리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기름 배출홀(121b)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유도라인이 양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 구이 본체부(120)는,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폭 방향의 중앙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구이 본체부(120)의 다른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면을 통해 가열 구이 본체부(12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배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기름받이(1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조절부(130)는,
    하부에 형성된 가열 구이 본체부(120) 중 뒷면 하단부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된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주 역할을 수행하며,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를 상하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조절부(130)는,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뒷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조절수단(132)의 기둥 내주면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여 카본발열 플레이트 커버(110)의 높이를 가열 구이 본체부(120)를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상부 조절수단(1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부 조절수단(131)의 끝단에는 전원연결선 인터페이스(127)가 형성되며, 상부 조절수단(131)의 하부 조절수단(132)으로의 삽입시, 단면이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10
    " 형상인 기둥 형태에 해당하는 하부 조절수단(132)의 뒷면의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11
    "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
    Figure 112015033099082-pat00012
    "의 음각 형상에 해당하는 음각 타입 높이 조절단(131a)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KR1020150047721A 2015-04-03 2015-04-03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21A KR101641461B1 (ko) 2015-04-03 2015-04-03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21A KR101641461B1 (ko) 2015-04-03 2015-04-03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461B1 true KR101641461B1 (ko) 2016-07-20

Family

ID=5668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2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461B1 (ko) 2015-04-03 2015-04-03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4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1902175B1 (ko) 2016-11-14 2018-10-01 주식회사 모닝아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USD830096S1 (en) 2017-02-03 2018-10-09 Columbia Insurance Company Portable grill
KR101998519B1 (ko) * 2018-05-15 2019-07-09 김명기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US10687666B2 (en) 2017-02-03 2020-06-23 Columbia Insurance Company Indoor outdoor portable gri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807A (ko) * 2011-07-11 2013-01-21 고인홍 개량형 불판장치
KR20130022579A (ko) * 2011-08-25 2013-03-07 정기호 구이용 불판
KR200473900Y1 (ko) * 2012-06-11 2014-09-19 이진희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807A (ko) * 2011-07-11 2013-01-21 고인홍 개량형 불판장치
KR20130022579A (ko) * 2011-08-25 2013-03-07 정기호 구이용 불판
KR200473900Y1 (ko) * 2012-06-11 2014-09-19 이진희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75B1 (ko) 2016-11-14 2018-10-01 주식회사 모닝아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USD830096S1 (en) 2017-02-03 2018-10-09 Columbia Insurance Company Portable grill
US10687666B2 (en) 2017-02-03 2020-06-23 Columbia Insurance Company Indoor outdoor portable grill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1998519B1 (ko) * 2018-05-15 2019-07-09 김명기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461B1 (ko)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US9314134B2 (en) Electrical portable broiler
EP2133013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US8993026B2 (en) Infrared portable broiler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US20140360383A1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EP3141167A1 (en) Multi-purpose heating device
US10010217B1 (en) Grill with sliding rack and carriage
CN105072958B (zh) 烹饪设备
US20140224750A1 (en) Outdoor grill basket
US8960083B2 (en) Multifunction barbecue oven
KR101334076B1 (ko) 유도가열 방식의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WO2020033980A1 (en) Dual baking and cooking mechanism
KR102076911B1 (ko) 구이장치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130000624U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698888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KR101003161B1 (ko) 로스터
CN204617985U (zh) 具有可调加热区域的电陶烤炉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CN203662587U (zh) 多功能烤架
CN213146672U (zh) 一种组合式炉具
KR102005172B1 (ko) 다목적 구이기
CN212089294U (zh) 一种煎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