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1177B1 -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77B1
KR101641177B1 KR1020150182977A KR20150182977A KR101641177B1 KR 101641177 B1 KR101641177 B1 KR 101641177B1 KR 1020150182977 A KR1020150182977 A KR 1020150182977A KR 20150182977 A KR20150182977 A KR 20150182977A KR 101641177 B1 KR101641177 B1 KR 10164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tungsten
weight
ferro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텍코리아
페드라볼 마이닝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텍코리아, 페드라볼 마이닝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8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7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30Obtaining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22B34/36Obtaining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4/00Electrothermal treatment of ores or metallurgical products for obtain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4/00Electrothermal treatment of ores or metallurgical products for obtaining metals or alloys
    • C22B4/06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8Reducing step-by-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순물의 충분한 연소 및 용융을 위한 열량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유도가열로 내에서 테르밋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의 첨가량이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은, 분쇄된 철망간중석((Fe,Mn)WO4)에 테르밋반응을 위한 알루미늄(Al),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 외에 불화칼슘(CaF2) 및 질산나트륨(NaNO3)을 추가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유도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테르밋반응을 일으켜 페로텅스텐을 생성시키는 테르밋반응공정과,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도가열로 내에서 연소 및 용융되도록 하는 유도가열공정과, 상기 유도가열공정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을 상기 유도가열로로부터 분리배출시킨 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는 불순물분리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URITY FERRO-TUNGSTEN}
본 발명은 텅스텐과 철의 합금인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물 상태의 철망간중석이 알루미늄에 의해 탈산(환원)되면서 발생되는 강열한 테르밋반응열을 통해 페로텅스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로텅스텐은 65 내지 75% 텅스텐(W)을 함유한 텅스텐-철 합금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철강에 텅스텐을 첨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간 합금이다.
이러한 페로텅스텐은 종래에 전기로에서 산화물 상태의 텅스텐광석(WO3)을 탄소(C)나 규소(Si)로 환원시킨 후 철(Fe)을 첨가함에 따라 제조하였으나, 최근에는 텅스텐 광석인 철망간중석((Fe,Mn)WO4)을 알루미늄(Al) 분말로 탈산(환원)시킬 때 발생되는 고온의 테르밋반응열을 통해 텅스텐과 철이 합금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테르밋반응을 이용한 종래의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로 알루미늄(Ai),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 규소철이라고도 함)이 필수적으로 첨가된 상태에서 테르밋반응이 진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테르밋 반응시간이 극히 짧은 관계로 페로턴스텐의 용융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이 충분히 연소 및 용융되어 별도로 분리되지 못하고 페로텅스텐 내에 다량 함유되어 페로텅스텐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로 알루미늄(Ai),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을 더 첨가하여 테르밋 반응시간을 연장시켜야 하지만, 알루미늄(Ai),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의 첨가량의 증대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불순물인 알루미늄(Al)의 잔존량이 증대되어 페로텅스텐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불순물의 충분한 연소 및 용융을 위한 열량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유도가열로 내에서 테르밋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의 첨가량이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분쇄된 철망간중석((Fe,Mn)WO4)에 테르밋반응을 위한 알루미늄(Al),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 외에 불화칼슘(CaF2) 및 질산나트륨(NaNO3)을 추가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유도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테르밋반응을 일으켜 페로텅스텐을 생성시키는 테르밋반응공정과,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도가열로 내에서 연소 및 용융되도록 하는 유도가열공정과, 상기 유도가열공정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을 상기 유도가열로로부터 분리배출시킨 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는 불순물분리공정을 포함하는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철망간중석((Fe,Mn)WO4)은 산화텅스텐(WO3) 65 중량%, 산화철(FeO) 16.47 중량%, 산화망간(MnO) 7.8 중량%, 이산화규소(SiO2) 1.6 중량%, 구리(Cu) 0.12 중량%, 주석(Sn) 0.08 중량%, 산화몰리브덴(MoO3) 1.09 중량%, 황(S) 2.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실리콘(Fe-Si)은 규소(Si) 73 중량%와 철(Fe) 23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공정에서는 철망간중석((Fe,Mn)WO4) 100 중량부에 대해 알루미늄(Al) 15.0 내지 15.4 중량부, 산화철(Fe2O3) 1.5 내지 1.9 중량부를 혼합하고 페로실리콘(Fe-Si) 7.5 내지 7.7 중량부, 불화칼슘(CaF2) 2.25 내지 2.31 중량부 및 질산나트륨(NaNO3) 0.45 내지 0.46 중량부를 혼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공정에 투입되는 철망간중석은 0.1 내지 1mm의 직경으로 분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도가열공정에서는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2,000 내지 2500℃의 온도로 5 내지 15분 동안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불순물의 충분한 연소 및 용융을 위한 열량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유도가열로 내에서 테르밋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테르밋반응만으로 페로텅스텐을 제조하는 경우보다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르밋 반응시간의 연장을 위해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를 더 첨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2는 일반적인 테르밋반응을 이용한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불순물분리공정을 거친 후 잔존하는 페로텅스텐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쇄된 철망간중석((Fe,Mn)WO4)에 테르밋반응을 위한 알루미늄(Al),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 외에 불화칼슘(CaF2) 및 질산나트륨(NaNO3)을 추가 혼합하는 혼합공정(S1)과, 혼합공정(S1)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유도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테르밋반응을 일으켜 페로텅스텐을 생성시키는 테르밋반응공정(S2)과,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도가열로 내에서 연소 및 용융되도록 하는 유도가열공정(S3)과, 유도가열공정(S3)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을 상기 유도가열로로부터 분리배출시킨 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는 불순물분리공정(S4)을 포함한다.
여기서, 혼합공정(S1)은 테르밋반응을 통해 철망간중석((Fe,Mn)WO4)으로부터 페로텅스텐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혼합공정(S1)에서는 분쇄된 철망간중석((Fe,Mn)WO4)에 테르밋반응제인 알루미늄(Al) 및 산화철(Fe2O3)과, 탈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페로실리콘(Fe-Si)과, 유도가열 시에 대류작용을 통해 불순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불화칼슘(CaF2)과, 열처리제와 융점강하제 역할을 하는 질산나트륨(NaNO3)을 혼합하여 유도가열로 내로 투입된 혼합물을 형성한다.
혼합공정(S1)에 투입되는 철망간중석((Fe,Mn)WO4)은 산화텅스텐(WO3) 65 중량%, 산화철(FeO) 16.47 중량%, 산화망간(MnO) 7.8 중량%, 이산화규소(SiO2) 1.6 중량%, 산화구리(CuO) 0.12 중량%, 산화주석(SnO2) 0.08 중량%, 산화몰리브덴(MoO3) 1.09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공정(S1)에 투입되는 페로실리콘(Fe-Si)은 규소(Si) 73 중량%와 철(Fe) 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공정(S1)에 투입되는 알루미늄(Al)은 순도 98%로 0.07%의 철(Fe)을 불순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공정(S1)에 투입되는 철망간중석((Fe,Mn)WO4), 알루미늄(Al), 산화철(Fe2O3), 페로실리콘(Fe-Si), 불화칼슘(CaF2) 및 질산나트륨(NaNO3)은 예를 들어 볼밀가공 등을 거쳐 1mm 이하, 특히 0.1 내지 1mm의 직경으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혼합공정(S1) 이후에는 테르밋반응공정(S2)이 행해지는데, 이 테르밋반응공정(S2)은 전술한 혼합공정(S1)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유지된 유도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테르밋반응을 일으켜 페로텅스텐을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테르밋반응은 금속 산화물이 알루미늄(Al)에 의해 탈산되며 강열한 반응열을 발생하는 반응을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금속 용접 등에 이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철망간중석((Fe,Mn)WO4)을 알루미늄(Al) 분말로 탈산(환원)시킬 때 발생되는 고온의 테르밋반응열을 통해 텅스텐과 철을 합금시켜 페로텅스텐을 생성한다.
산화텅스텐(WO3), 산화철(FeO), 산화망간(MnO), 이산화규소(SiO2), 산화구리(CuO), 산화주석(SnO2), 산화몰리브덴(MoO3)을 포함하는 철망간중석((Fe,Mn)WO4) 분말을 알루미늄(Al) 분말로 환원시키게 되면, 아래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WO3 + 2Al = W + Al2O3
3FeO + 2Al = 3Fe + Al2O3
3MnO + 2Al = 3Mn + Al2O3
3SiO2 + 4Al = 3Si + 2Al2O3
3CuO + 2Al = 3Cu + Al2O3
3SnO2 + 4Al = 3Sn + Al2O3
MoO3 + 2Al = Mo + Al2O3
통상적으로 100g의 철망간중석((Fe,Mn)WO4)에는 65g의 산화텅스텐(WO3)이 함유되는데, 이러한 산화텅스텐(WO3)의 분자량(몰중량: molecular weight)은 232이다. 1몰의 산화텅스텐(WO3)을 탈산하기 위해서는 2몰의 알루미늄(Al)이 필요하므로 최소 54g의 알루미늄(Al)이 필요하다. 따라서 65g의 산화텅스텐(WO3)을 탈산하기 위한 필수 알루미늄(Al)의 양은 65g × 54/232 = 15.2g이다.
페로실리콘(Fe-Si)은 탈산 효과를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 알루미늄(Al)의 50%에 해당하는 양으로 산정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화칼슘(CaF2)은 알루미늄(Al)의 15%에 해당하는 양으로 산정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산나트륨(NaNO3)은 불화칼슘(CaF2)의 20%의 양으로 산정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철(Fe2O3)의 첨가량은 산화철(Fe2O3)에 포함된 철(Fe)의 양과 철망간중석((Fe,Mn)WO4) 내의 철(Fe)의 양(100 × 0.1647 × 0.78 = 12.85g)과, 페로실리콘(Fe-Si) 내의 철(Fe)의 양(15.2 × 0.5 × 0.23 = 1.75g)과 알루미늄(Al)에 불순물로 혼입된 철(Fe)의 양(15.2 × 0.0007 = 0.01g)의 합이 페로텅스텐에서 텅스턴(W) 함량과 불순물의 양을 뺀 차(68.72 - 51.54 - 1.37 = 15.81g)와 동일하도록 산정된다.
따라서, 혼합공정에서는 철망간중석((Fe,Mn)WO4) 100 중량부에 대해 알루미늄(Al) 15.0 내지 15.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2 중량부, 산화철(Fe2O3) 1.5 내지 1.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71 중량부를 혼합하고 페로실리콘(Fe-Si) 7.5 내지 7.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6 중량부, 불화칼슘(CaF2) 2.25 내지 2.3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28 중량부 및 질산나트륨(NaNO3) 0.45 내지 0.4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56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테르밋반응공정(S2) 이후에는 유도가열공정(S3)이 행해지는데, 이 유도가열공정(S3)은 테르밋반응공정(S2)이 행해진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페로텅스텐 이외의 불순물이 유도가열로 내에서 연소 및 용융되어 페로텅스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다.
유도가열로는 전자기유도(電磁氣誘導)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가열하는 방법으로, 원리적으로는 변압기의 2차 코일 대신 피가열 재료를 사용하여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된 2차전류가 피가열 재료를 흐르는 경우에 발생하는 줄열(Joule’s heat)을 이용한다. 이러한 유도가열로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를 생략하기로 한다.
유도가열로의 연소온도(Tp)의 산정은 100g의 철망간중석((Fe,Mn)WO4)을 기준으로 전체 반응에 필요한 열량(Q)을 전체 질량(m)으로 나눈 단위질량당 열량(δH)과 열계수 0.32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유도가열공정(S3)에서는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2,000 내지 2500℃, 특히 2050℃의 온도로 5 내지 15분, 특히 10분동안 동안 유지시킨다.
전술한 유도가열공정(S3) 이후에는 불순물분리공정(S4)이 행해지는데, 이 불순물분리공정(S4)은 유도가열공정(S3)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을 상기 유도가열로로부터 분리배출시킨 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는 단계이다.
통상 유도가열공정(S3)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은 페로텅스텐보다 가벼워 페로텅스텐의 상부로 분리되어 위치되므로, 해당 불순물만 외부로 분리배출시키면 자동으로 페로텅스텐만 유도가열로 내에 남게 되고, 유도가열로의 냉각 이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면 된다.
비교예
100g의 철망간중석((Fe,Mn)WO4)을 기준으로 15.2g의 알루미늄(Al), 1.71g의 산화철(Fe2O3) 및 7.6g의 페로실리콘(Fe-Si)만 혼합한 후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르밋반응시켜 페로텅스텐을 생성한 후 ICP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5125251152-pat00001
실시예
100g의 철망간중석((Fe,Mn)WO4)을 기준으로 15.2g의 알루미늄(Al), 1.71g의 산화철(Fe2O3), 7.6g의 페로실리콘(Fe-Si), 2.28g의 불화칼슘(CaF2) 및 0.456의 질산나트륨(NaNO3)을 혼합한 후, 2050℃의 유도가열로 내에서 테르밋반응시킨 후 10분간 유지하고 불순물을 분리배출시켜 페로텅스텐을 수득한 후 ICP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2과 같다.
Figure 112015125251152-pat00002
본 실시예를 비교예와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페로텅스텐에 함유된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이 일반적인 테르밋반응을 통해 수득된 페로텅스텐에 함유된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 보다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불순물의 충분한 연소 및 용융을 위한 열량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유도가열로 내에서 테르밋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테르밋반응만으로 페로텅스텐을 제조하는 경우보다 망간(Mn), 알루미늄(Al),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르밋 반응시간의 연장을 위해 테르밋 반응제 및 탈산제를 더 첨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 : 혼합공정
S2 : 테르밋반응공정
S3 : 유도가열공정
S4 : 불순물분리공정

Claims (5)

  1. 분쇄된 철망간중석((Fe,Mn)WO4)에 테르밋반응을 위한 알루미늄(Al), 산화철(Fe2O3) 및 페로실리콘(Fe-Si) 외에 불화칼슘(CaF2) 및 질산나트륨(NaNO3)을 추가 혼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공정을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유도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테르밋반응을 일으켜 페로텅스텐을 생성시키는 테르밋반응공정;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도가열로 내에서 연소 및 용융되도록 하는 유도가열공정; 및
    상기 유도가열공정을 통해 연소 및 용융된 불순물을 상기 유도가열로로부터 분리배출시킨 후 페로텅스텐만 수거하는 불순물분리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공정에서는 철망간중석((Fe,Mn)WO4) 100 중량부에 대해 알루미늄(Al) 15.0 내지 15.4 중량부, 산화철(Fe2O3) 1.5 내지 1.9 중량부를 혼합하고 페로실리콘(Fe-Si) 7.5 내지 7.7 중량부, 불화칼슘(CaF2) 2.25 내지 2.31 중량부 및 질산나트륨(NaNO3) 0.45 내지 0.46 중량부가 혼합되고,
    상기 혼합공정에 투입되는 철망간중석은 0.5 내지 1mm의 직경으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간중석((Fe,Mn)WO4)은 산화텅스텐(WO3) 65 중량%, 산화철(FeO) 16.47 중량%, 산화망간(MnO) 7.8 중량%, 이산화규소(SiO2) 1.6 중량%, 구리(Cu) 0.12 중량%, 주석(Sn) 0.08 중량%, 산화몰리브덴(MoO3) 1.09 중량%, 황(S) 2.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페로실리콘(Fe-Si)은 규소(Si) 73 중량%와 철(Fe) 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공정에서는 상기 유도가열로의 로내온도를 2,000 내지 2500℃의 온도로 5 내지 15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KR1020150182977A 2015-12-21 2015-12-21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977A KR101641177B1 (ko) 2015-12-21 2015-12-21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977A KR101641177B1 (ko) 2015-12-21 2015-12-21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177B1 true KR101641177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177B1 (ko) 2015-12-21 2015-12-21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1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89B1 (ko) * 2017-10-19 2018-01-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페로텅스텐 제조방법 및 페로텅스텐 제조용 조성물
CN111346741A (zh) * 2020-03-16 2020-06-30 江西理工大学 一种应用超导磁选回收细粒级黑钨矿的方法
KR102518169B1 (ko) * 2022-10-07 2023-04-05 화성금속공업주식회사 텅스텐 스크랩을 이용한 페로텅스텐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952A (ko) * 2009-03-02 2010-09-10 이두찬 연속 테르밋 반응을 이용한 저탄소메탈망간 또는 저탄소페로망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952A (ko) * 2009-03-02 2010-09-10 이두찬 연속 테르밋 반응을 이용한 저탄소메탈망간 또는 저탄소페로망간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Y. Golovchenko, et al., Reception Ferrotungsten from Wolframite Concentrate by Alumimotermic Method, Eurasian ChemTech Journal, 13, 205-212 (2011) *
N.Y. Golovchenko, et al., Reception Ferrotungsten from Wolframite Concentrate by Alumimotermic Method, Eurasian ChemTech Journal, 13, 205-212 (201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89B1 (ko) * 2017-10-19 2018-01-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페로텅스텐 제조방법 및 페로텅스텐 제조용 조성물
CN111346741A (zh) * 2020-03-16 2020-06-30 江西理工大学 一种应用超导磁选回收细粒级黑钨矿的方法
KR102518169B1 (ko) * 2022-10-07 2023-04-05 화성금속공업주식회사 텅스텐 스크랩을 이용한 페로텅스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1951B (zh) 不锈钢焊接用的药芯焊丝
US4671820A (en) Composite calcium clads for deoxidation and desulfurization from molten steels
JP5170975B2 (ja) 鉄系アモルファス素材の製造方法
CN102485409B (zh) 填充焊剂焊丝
KR101148277B1 (ko) 플럭스 내장 와이어
US4035892A (en) Composite calcium clad material for treating molten metals
CN102554519A (zh) 适合大线能量强迫成型的药芯焊丝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641177B1 (ko) 고순도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JP2008119748A (ja) 低合金耐熱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950751B2 (ja) Fe基合金およびNi基合金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用発熱性モールドパウダー
US4698095A (en) Composite calcium clads for treating molten iron
JP6661516B2 (ja) 非消耗ノズル式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及び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6982795B2 (ja) ボロン含有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4470888B2 (ja) スラグフューミング方法
JP2009209389A (ja) スラグフューミング方法
RU2318032C1 (ru) Ферротитан для легирования стали и способ его алюминотермического получения
US4097268A (en) Method of treating molten ferrous material with composite rods containing Ca
WO2022230615A1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継手
JP4581842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溶融型フラックス
US3997332A (en) Steelmaking by the electroslag process using prereduced iron or pellets
KR101765465B1 (ko) 페로텅스텐의 제조방법
KR20100098952A (ko) 연속 테르밋 반응을 이용한 저탄소메탈망간 또는 저탄소페로망간 제조방법
JP5092615B2 (ja) スラグフューミング方法
EP1045040B1 (en) Additive for adding one or more metals into aluminium alloys
JP4525453B2 (ja) スラグフューミ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