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07B1 - 승강식 비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비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1107B1 KR101641107B1 KR1020100048462A KR20100048462A KR101641107B1 KR 101641107 B1 KR101641107 B1 KR 101641107B1 KR 1020100048462 A KR1020100048462 A KR 1020100048462A KR 20100048462 A KR20100048462 A KR 20100048462A KR 101641107 B1 KR101641107 B1 KR 101641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levating
- opening
- portions
- ladde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 폭이 대략 일정하게 승강이동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사다리체에 의한 승강부의 내하중성도 향상시키는 승강식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승강부(4)의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12)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 사이를 걸기용 간극부(13)로 하고, 이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에 걸기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걸기부(11)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되어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훅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걸기부(11)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걸면, 상하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승강식 비계장치이다.
Description
도2는 본 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5는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6은 본 실시예의 비계 프레임 및 개폐부의 개방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7은 본 실시예의 개폐부를 난간부에 포개어 합친 상태로 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실시예의 입설지지기구 및 난간회전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9는 본 실시예의 난간회전기구에 대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2 : 승강 프레임
3 : 승강기구
4 : 승강부
5 : 작업 바닥부
6 : 난간부
7 : 비계 프레임
8 : 대향변부
9 : 사다리체
10 : 세로 테두리부
11 : 걸기부
12 : 베어링부
13 : 걸기용 간극부
14 : 훅체
15 : 개구부
16 : 폐쇄체
17 : 개폐부
18 : 난간회전기구
19 : 입설지지기구
20 : 부착부
21 : 피삽입부
22 : 축부
23 : 베어링 구멍부
24 : 록 수단
Claims (13)
- 접지대(接地臺)의 상부에, 복수의 승강 프레임(昇降 frame)을 승강기구(昇降機構)를 통하여 상하 다단(多段)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승강부(昇降部)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승강부의 상부에, 작업 바닥부와 이 작업 바닥부의 둘레에 세워서 설치되는 난간부(欄干部)를 구비하는 비계 프레임(飛階 frame)을 설치한 승강식 비계장치(昇降式 飛階裝置)로서,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對向邊部)에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이 사다리체를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기복회전(起伏回轉)하도록 설치하고, 이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사다리체를 기동(起動)시켜서 입설상태(立設狀態)로 하였을 때에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걸기부를 형성하고, 이 걸기부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사다리체를 상하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架設)하면, 입설상태의 사다리체에 의하여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을 상승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걸기부를 대향변부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를 승강 프레임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을 상기 승강기구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승강식 비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bearing部)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상기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부의 기단부(基端部) 사이를 걸기용 간극부로 하고, 상기 걸기부는, 이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되어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의 상면에 걸 수 있는 훅(hook)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걸기부를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하여 대향변부에 걸면, 상하의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가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기부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의 가로폭 치수보다 작은 가로폭 치수를 구비하고 이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훅체(hook體)와, 이 훅체의 개구부(開口部)를 폐쇄하여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를 빠짐 방지 상태로 하는 폐쇄체(閉鎖體)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에, 상기 사다리체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로의 출입용 개폐부(開閉部)를 개폐회전(開閉回轉)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는, 개방회전(開放回轉)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를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欄干回轉機構)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는, 난간부를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立設支持機構)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에, 상기 사다리체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로의 출입용 개폐부를 개폐회전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는,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를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는, 난간부를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이 개폐부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lock)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lock 手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이 개폐부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被揷入部)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 또는 상기 난간부에 축부(軸部)를 형성하고, 이 축부를 회전하도록 축을 수용하는 장공(長孔) 형상의 베어링 구멍부를 난간부 또는 비계 프레임에 형성하고, 이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구멍부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베어링 구멍부에서의 상기 축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난간부를 상기 피삽입부에 대하여 빼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상기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가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상기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가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31228 | 2009-05-29 | ||
JP2009131228A JP5355230B2 (ja) | 2009-05-29 | 2009-05-29 | 昇降式足場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182A KR20100129182A (ko) | 2010-12-08 |
KR101641107B1 true KR101641107B1 (ko) | 2016-07-20 |
Family
ID=434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84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107B1 (ko) | 2009-05-29 | 2010-05-25 | 승강식 비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355230B2 (ko) |
KR (1) | KR1016411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8316B1 (ko) | 2022-05-26 | 2023-05-31 | 박희석 | 비계용 승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9670B1 (ko) * | 2011-02-01 | 2013-02-04 | 주식회사백상 |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
CN103321397B (zh) * | 2013-05-03 | 2016-08-17 | 武济群 | 折叠脚手架 |
CN103883111B (zh) * | 2014-03-04 | 2016-03-30 | 袁士风 | 折叠脚手架 |
JP6247594B2 (ja) * | 2014-05-15 | 2017-12-13 |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 作業台の手摺枠 |
JP2017014744A (ja) * | 2015-06-29 | 2017-01-19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吊下げ式作業床 |
CN105438037B (zh) * | 2015-12-18 | 2017-08-15 | 阿特拉斯科普柯(南京)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 折叠式防护栏装置 |
JP6717620B2 (ja) * | 2016-03-08 | 2020-07-01 | 日鉄建材株式会社 | 手摺枠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
KR101912178B1 (ko) * | 2017-09-28 | 2018-10-26 | 유남호 |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
CN109610807B (zh) * | 2017-09-28 | 2021-05-25 | 俞男镐 | 一种折叠护栏以及包含其的高架作业台 |
JP7191607B2 (ja) * | 2018-09-18 | 2022-12-19 | 日鉄建材株式会社 | 手摺枠の保持部材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
KR102229567B1 (ko) * | 2019-04-03 | 2021-03-18 | 양태호 |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
KR102352368B1 (ko) * | 2021-08-23 | 2022-01-18 | 주식회사 금창산업 |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작업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2285A (ja) * | 2002-11-11 | 2004-06-10 | East Japan Railway Co | 昇降式移動足場 |
WO2007132148A2 (en) * | 2006-05-04 | 2007-11-22 | Access Products Limited | Scaffold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17830U (ko) * | 1985-01-05 | 1986-07-25 | ||
JPH0636167Y2 (ja) * | 1989-05-16 | 1994-09-21 | 栄二 藤本 | 折り畳み式足場台 |
JPH0636167A (ja) | 1992-07-21 | 1994-02-10 | Fujitsu Ltd | アラーム検出保護回路 |
JP3374181B2 (ja) * | 1994-07-11 | 2003-02-04 | 東急建設株式会社 | ベランダ足場 |
-
2009
- 2009-05-29 JP JP2009131228A patent/JP5355230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5-25 KR KR1020100048462A patent/KR10164110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2285A (ja) * | 2002-11-11 | 2004-06-10 | East Japan Railway Co | 昇降式移動足場 |
WO2007132148A2 (en) * | 2006-05-04 | 2007-11-22 | Access Products Limited | Scaffold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8316B1 (ko) | 2022-05-26 | 2023-05-31 | 박희석 | 비계용 승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275816A (ja) | 2010-12-09 |
JP5355230B2 (ja) | 2013-11-27 |
KR20100129182A (ko) | 2010-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1107B1 (ko) | 승강식 비계장치 | |
KR101040033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US9217254B2 (en) | Suspension platform system | |
JP6975455B2 (ja) |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 |
CA2910381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 |
WO2017073979A2 (ko) |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 |
EP2383405A2 (en) | Sliding loading platform for construction | |
JP6182497B2 (ja) | エレベータ用救出支援装置 | |
CA2206721A1 (en) | Guardrail assembly | |
KR102202449B1 (ko) |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 |
EP0728884B1 (en) | A scaffolding system | |
US20050039984A1 (en) | Scaffold lift system | |
CN109468963A (zh) | 桥梁高空作业吊篮及桥梁高空施工方法 | |
JP3181902U (ja) | 梯子 | |
CN112849785A (zh) | 罐式集装箱 | |
CN206942108U (zh) | 检修平台 | |
KR200424319Y1 (ko) |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 |
CN214778080U (zh) | 罐式集装箱 | |
KR102446293B1 (ko) | 사다리차 탑승장치 | |
JP2007131332A (ja) | タンクコンテナ | |
ITRM20110002A1 (it) | Dispositivo di protezione collettiva, in particolare per ponteggi. | |
CN209468698U (zh) | 桥梁高空作业吊篮 | |
KR20120000780U (ko) | 접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비용 사다리 | |
KR102077135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 |
JP2007117246A (ja) |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