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0946B1 - 리시버 장치 - Google Patents

리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46B1
KR101640946B1 KR1020100016637A KR20100016637A KR101640946B1 KR 101640946 B1 KR101640946 B1 KR 101640946B1 KR 1020100016637 A KR1020100016637 A KR 1020100016637A KR 20100016637 A KR20100016637 A KR 20100016637A KR 101640946 B1 KR101640946 B1 KR 10164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ensor
wire
outputting
rece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028A (ko
Inventor
오정택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9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리시버와 휴대용 리시버에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시버 시스템은, 제1심선과 제2심선을 포함하는 와이어와, 센서와, 스피커 유닛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리시버와,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제2심선 간에 DC 전압을 부가하는 DC 전원부와, 프로세서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센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2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시버 장치{RECEIVER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리시버와 휴대용 리시버에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가 장착된 휴대용 리시버를 포함하는 리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 중 리시버(receiver)는 전기 진동을 음향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직접 귀에 대고 들을 수 있는 기기들을 의미한다. 리시버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이어폰, 헤드폰, 헤드셋 등이 있다. 이러한 리시버들은 다양한 휴대용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휴대폰, MP 3 플레이어, PMP 등이 일반화되면서 그 사용이 가중되고 있다.
현재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특정한 하나의 기능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복수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기본적인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도, 무선 데이터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음악 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수신, 디지털 카메라 등 여러 부가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시버의 하우징이나 이어 패드와 같은 스피커 유닛에 체온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신체의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리시버와 디바이스를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스피커 유닛에 신체 접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귀에 대한 스피커의 탈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 및 리시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리시버에 다양한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센서를 통해 수집된 주변 정보를 이용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센서를 장착한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어 리시버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리시버 시스템이라 한다.
일반적인 리시버는 오디오 신호만을 전달하기 때문에, 리시버의 스피커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2 심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리시버가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센서 구동 전원 인가 및 그라운드(ground)를 위한 연결선과, 센서 신호선 또는 센서와의 통신선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도1, 도2a, 도2b는 이와 같은 필요를 반영한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각종 이어폰과 핸드셋으로 구성되는 리시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은 아날로그 센서를 구비한 이어폰(11)과 핸드셋(13)이 포함된 리시버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1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센서가 삽입됨에 따라, 이어폰 와이어(12)의 심선 수는 오디오 신호 전달과 센서 전압 인가를 위한 최소 4심선(sound+, sound -, Vcc, GND)과, 아날로그 센서의 출력 수에 대응하는 통신선의 합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이어폰와이어(12)는 최소 5심선을 포함한다.
도2a와 도2b와 같이 디지털 센서를 구비한 이어폰(21,31)의 경우, 통신 방법에 따라 이어폰 와이어(22,32)에 포함되는 심선 수가 달라진다. 도2a와 같이,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 방식을 사용하면 이어폰 와이어(22)는 최소 7심선 이상을 포함하게 되며, 도2b와 같이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방식을 사용하면, 이어폰 와이어(32)는 최소 8심선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 센서를 구비하는 유선 리시버를 구현 할 경우, 심선수의 증가로 인해 스피커 유닛과 각종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시각적으로 좋지 않으며, 와이어의 무게로 인한 사용자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시버가 센서를 장착한 경우에도 스피커 유닛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2 심선으로 구성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리시버 시스템을 제공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센서를 구비한 리시버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심선을 2개로 제한하면서 스피커 유닛으로의 음악 신호 전달, 센서로의 전원 공급, 센서 신호의 디바이스 전달이 가능한 리시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시버가 센서를 구비한 경우에도, 일반 리시버와 유사하게 와이어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리시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시스템은, 제1심선과 제2심선을 포함하는 와이어와, 센서와, 스피커 유닛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리시버와,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제2심선 간에 DC 전압을 부가하는 DC 전원부와, 프로세서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센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2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를 구비한 리시버에 있어서, 이어 스피커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심선을 2개로 제한하면서 이어 스피커로의 음악 신호 전달, 센서로의 전원 공급, 센서 신호의 디바이스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도2a, 도2b는 일반적인 리시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리시버는 센서를 장착하여,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운동량 또는 각종 주변 환경을 측정하여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이때, 리시버의 스피커 유닛과 해당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심선을 두 개로 제한하며, 스피커 유닛으로의 오디오 신호 전달, 센서로의 전원 공급, 센서 신호의 디바이스 전달을 두 개의 심선을 통해 가능하게 한다. 리시버 는 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폰, 헤드셋 등이 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MP 3플레이어, PMP, PDP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각종 리시버와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리시버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2개의 심선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전원 공급과, 오디오 신호 및 센서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양방향 신호 전달을 위한 DC 전압을 2개의 심선 사이에 부가한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리시버 쪽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에 비례하는 오디오 신호 전류를 전송 루프(loop)내에 입력한다.
반대로 리시버에서는 센서 신호에 비례하는 센서 신호 전류를 전송 루프 내에 입력한다. 그리고 리시버는 스피커 유닛 전단에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구비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신호 전류가 스피커 유닛에 전달되게 한다.
디바이스도 센서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센서 신호에 대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전단에 구비함으로써,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센서 신호 전류가 전달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센서 신호가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및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시버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3 내지 도7에 도시하였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된 리시버의 일예로 이어폰을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3은 이어폰이 아날로그 센서를 구비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이어폰 와이어(120)는 제1심선(121)과 제2심선(122)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30)는 노이즈 필터부(200)와, DC 전원부(240)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20)와,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와,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DC 전원부(240)는 이어폰 와이어(120)와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지점에 바로 후단에 위치하여, 이어폰 와이어(120)의 2개의 심선(121,122) 간에 DC 전압을 인가한다. 이어폰(110)과 디바이스(130)의 대칭으로 구성된 회로와 대칭점에 부가된 DC전원에 의해 센서 신호 전류 Iacc와 오디오 신호 전류 Iss 각각이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센서 신호 전류 Iss 또는 센서 신호 전류 Iacc가 발생하면, DC 전원부(240)에 의해 유지되던 이어폰(110)과 디바이스(130) 양단의 전압 균형이 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전압이 낮은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DC 전원부(240)는 센서(270)에 대해 전원을 공급한다.
두개의 인덕터(201,202)로 구성된 노이즈 필터부(200)는 DC전원부(240)의 전원 노이즈를 제거한다.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는 ADC(220) 전단에 위치하여, 이어폰 와이어(120)를 통해 전달되는 센서 신호 전류Iacc를 ADC(220)로 전달한다. 이때,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 코일의 양단은 이어폰 와이어(110)의 제1심선(121) 및 제2심선(122)에 연결되고, 2차 코일의 양단은 ADC(220)에 연결된다.
ADC(220)는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센서 신호 전류 Iacc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는 ADC(220)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해당 기능이 실행되게 하고, 오디오 신호에 비례하는 오디오 신호 전류 Iss를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전류Iss는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코일을 지나 이어폰 와이어(120)로 입력되어, 이어폰(110)으로 전달된다.
이어폰(110)은 스피커 유닛(290), 이어폰 트랜스포머(250), 센서(270), 변환부(260), DC 변압기(280)를 포함한다.
이어폰 트랜스포머(250)는 스피커 유닛(290) 전단에 위치하여, 이어폰 와이어(120)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 전류 Iss를 스피커 유닛(290)으로 전달한다. 이때,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1차 코일의 일단은 이어폰 와이어(110)의 제1심선(121) 에 연결되고 1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변환부(260)의 출력과 연결되고, 2차 코일의 양단은 스피커 유닛(290)에 연결된다.
DC 변압기(280)는 DC 전원부(240)에서 인가되는 DC 전압을 센서(270)에 적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DC 전압을 센서(270)로 인가한다.
센서(270)는 센싱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가지는 센서 신호 전압을 생성하여 변환부(260)로 출력한다.
변환부(260)는 입력되는 센서 신호의 전압에 비례하는 센서 신호 전류 Iacc를 출력한다. 센서 신호 전류 Iacc는 이어폰 트랜스포머(250)를 거쳐 이어폰 와이어(120)로 인가됨으로써, 디바이스(130)로 전달된다.
도3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오디오 신호 전류 Iss, 센서 신호 전류 Iacc, 전압 인가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오디오 신호 전류Iss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출력되어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 코일로 입력된다.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 코일을 지난 오디오 신호 전류Iss는 이어폰 와이어(120)의 제1심선(121)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전류 Iss는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1차 코일로 입력되어 2차 코일로 유도됨에 따라, 스피커 유닛(290)으로 전달된다.
센서(270)의 구동 전압은 DC 전원부(240)에 의해 제1심선(121)을 통해 DC 변압기(280)로 인가된다. DC 변압기(280)는 인가된 전압을 적정하게 조정하여 센서(270)로 인가한다.
센서 신호는 센서(270)에 의해 생성되어 변환부(260)에 의해 센싱값에 비례하는 전류 형태로 변경되어 출력되고, 이에 따라, 센서 신호 전류 Iacc는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1차 코일을 거쳐 제1심선(121)으로 전달된다. 센서 신호 전류 Iacc는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 코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2차 코일에 센서 신호 전류 Iacc가 유도되어 ADC(220)로 전달되고, ADC(220)는 센서 신호 전류 Iacc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심선으로 이어폰 와이어(120)를 구성해도, 센서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양방향 전달이 가능하다.
도4는 센서(270)가 복수의 출력 채널(271, 272, 273)을 가질 경우, 변환부(260)의 입력단에 멀티플렉서(310)와 클록 생성기(300)를 구비함으로써, 시간 분할방식을 통해 복수의 센서 신호를 순차적으로 디바이스(1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멀티채널을 구현한 방식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복수의 출력 채널(271, 272, 273)이 각각의 멀티플렉서(310)의 입력으로 연결되고, 멀티플렉서(310)는 클록 생성기(300)로부터 인가되는 클록에 따라 시간 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센서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변환부260)로 출력한다.
도5는 도3과 같이 시스템을 구성한 경우, 이어폰(110)내 센서 신호 전류 Iacc가 스피커 유닛(290) 전단의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에 의해 스피커 유닛(290)에 전달될 수 있지만, 센서 신호 전류 Iacc의 주파수가 가청주파수와 다를 경우, 스피커의 전달함수 자체에 의해 차단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디바이스(130)의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에 의해 ADC(220)로 전달되는 신호와 관련하여, 오디오 신호 전류 Iss가 ADC(220)단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역필터(3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와 센서 신호는 주파수 범위가 다르므로 필터에 의해 센서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도5에서 설명한 누화(crosstalk) 또는 측음(sidetone) 제거를 위해 높은 임피던스(impedance) 소자를 루프 상에 추가하고, 소자간 연결을 변경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1임피던스 소자(350)의 일단은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1차 코일 및 제1심선(121)에 연결하고, 제1임피던스 소자(350)의 다른 일단은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2차 코일에 연결한다. 그리고 제2임피던스 소자(340)의 일단은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1차 코일 및 제1심선(121)에 연결하고, 제2임피던스 소자(340)의 다른 일단은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2차 코일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2임피던스 소자(340)에 의해, 센서(270)에서 발생한 센서 신호 전류 Iacc가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2차 코일로 전달되지 않아 원천적으로 누화 또는 축음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전류 Iss의 경우 제2임피던스 소자(340)에 의해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2차 코일로 유입되지 않고 1차 코일의 유도에 의해서만 스피커 유닛(290)의 출력이 결정된다. 제1임피던스 소자(350) 역시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에 대해 유사한 역할을 한다. 즉, 제1임피던스 소자(350)에 의해, 프로세서(21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 전류 Iss가 이어폰 트랜스포머(250)의 2차 코일로 전달되지 않아 원천적으로 누화 또는 축음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신호 전류 Iacc의 경우 제1임피던스 소자(350)에 의해 디바이스 트랜스포머(230)의 2차 코일로 유입되지 않고 1차 코일의 유도에 의해서만 ADC(220)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누화 또는 축음이 제거될 수 있다.
도7은 디바이스(130)가 일반적인 핸드셋인 경우, 센서 부착 이어폰(110)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한 도3, 도4, 도5, 도6에서 디바이스(130)에 구비된 회로를 동글(dongle)(140) 구조로 구비한 것으로, 일반적인 핸드셋으로도 센서 부착 이어폰(110)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어폰(100)과 이어폰 와이어(120)를 분리해서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이어폰 와이어(120)는 이어폰(100)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어폰 및 이어폰 와이어는 각종 리시버와 리시버 와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10)

  1. 리시버 장치에 있어서,
    제1심선과 제2심선을 포함하는 와이어와, 센서와, 스피커 유닛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리시버와,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제2심선 간에 DC 전압을 부가하는 DC 전원부와, 프로세서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센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2트랜스포머와, 상기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와이어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리시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스포머에서 전달되는 상기 센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1심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변환부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양단은 상기 스피커 유닛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1심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양단은 ADC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일단과 상기 ADC 사이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DC 전원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DC 전원을 상기 센서의 구동 전원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DC 변압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출력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 채널이 각각의 입력으로 연결되고, 클록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클록에 따라 시간 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센서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신호가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오디오 신호가 ADC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임피던스 소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의 일단은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일단 및 상기 제1심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의 다른 일단은 제1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스피커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의 일단은 제2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일단 및 제1심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의 다른 일단은 제2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ADC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10. 제2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원부와, 상기 제2트랜스포머와, ADC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글(dongle)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장치.
KR1020100016637A 2010-02-24 2010-02-24 리시버 장치 Active KR101640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37A KR101640946B1 (ko) 2010-02-24 2010-02-24 리시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37A KR101640946B1 (ko) 2010-02-24 2010-02-24 리시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028A KR20110097028A (ko) 2011-08-31
KR101640946B1 true KR101640946B1 (ko) 2016-07-19

Family

ID=4493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637A Active KR101640946B1 (ko) 2010-02-24 2010-02-24 리시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9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841A1 (en) 2007-03-05 2008-09-12 Rosemount Inc. Mode selectable field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58B1 (ko) * 2002-12-16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이어잭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60062126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크라또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841A1 (en) 2007-03-05 2008-09-12 Rosemount Inc. Mode selectable field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028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899B1 (ko) 감소된 크로스토크 잡음을 가진 집적 헤드셋 스위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611459B (zh) 一种开关和检测电路以及相应的操作方法
KR102011550B1 (ko)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CN115804112A (zh) 具有集成放大器的静电头戴式耳机
CN102843630A (zh) 头戴式听筒和头戴式听筒组件
CN101790125A (zh) 使用话筒和相关动作探测耳机的位置改变
KR20120083926A (ko) 디지털 노이즈 제거 및 디지털 오디오 경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장비
DK1926344T3 (da) Stikforbindelsesindretning omfattende en første del og en anden del
US20200029149A1 (en) In ear stereo headphones with integrated charging means
TW200901806A (en) System and method for engaging in conversation while using an earphone
CN108028978A (zh) 音频连接器及电路
KR20110125650A (ko) 헤드폰
EP2533504A1 (en) Audio apparatus capable of noise reduction and mobile telephone capable of noise reduction
ES2687383T3 (es) Método, aparato y sistema para suministrar energía a un auricular de cancelación activa del ruido
CN105323682B (zh) 一种数模混合麦克风及耳机
GB2497605A (en) Audio interface circuitry
US20170374447A1 (en) Earbuds for use both wirelessly and with a wired connection
US20170111724A1 (en) Dual Purpose Power and Headset Interface System
CN103813228A (zh) 一种耳机及其激活方法
KR20080072324A (ko) 이어마이크폰
TW202019191A (zh) 耳機
US20140153738A1 (en) Wireless induction system for producing audio
KR101640946B1 (ko) 리시버 장치
RU2572049C2 (ru)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GB2487088A (en) Peripheral devices for use with cellular tele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