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921B1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0921B1 KR101640921B1 KR1020160027752A KR20160027752A KR101640921B1 KR 101640921 B1 KR101640921 B1 KR 101640921B1 KR 1020160027752 A KR1020160027752 A KR 1020160027752A KR 20160027752 A KR20160027752 A KR 20160027752A KR 101640921 B1 KR101640921 B1 KR 101640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transverse
- precast
- box structure
- segm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상부슬래브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과정에 의해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일체화됨으로써 상부슬래브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조립하여 상부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횡거더부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슬래브단면부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의해 상부슬래브를 구축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상부슬래브
10: 바닥슬래브
11: 외측벽체
12: 중간벽체
13: 연속화 철근
14: 채움재
21: 외측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22: 내측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23: 횡거더부
24: 슬래브단면부
25: 연결결합철근
26: 횡방향 긴장재
27: 종방향 긴장재
28: 단턱부
31: 중앙분리대
100: 지하박스구조물
110: 수평면
111: 연직벽면
210: 횡거더부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220: 슬래브단면부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Claims (7)
- 바닥슬래브(10)와, 상기 바닥슬래브(10)의 횡방향 양측에서 연직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체(11)로 구성되며, 외측벽체(11)에 매립되어 있는 연속화 철근(13)의 단부가, 횡방향 양측의 외측벽체(11)가 서로 마주보게 되는 방향의 면에 해당하는 외측벽체(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를 구축하는 단계;
복수개의 횡거더부(23) 사이에 슬래브단면부(24)가 존재하는 횡방향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접하는 측면에는 단턱부(28)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 단부면으로 연결결합철근(25)이 돌출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횡방향 긴장재(26)가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는 단계;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가 외측벽체(1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함과 동시에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턱부(28)가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서로의 종방향 측면이 접한 상태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의 외측벽체(11) 위에 배치하고, 연속배치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종방향 긴장재(27)를 관통시켜 종방향의 긴장력을 도입하여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상부슬래브(2)를 구축하는 단계;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와 외측벽체(11)의 내면 사이의 간격에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단부면에 돌출되어 있던 연결결합철근(25)과 외측벽체(11)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연속화 철근(13)을 서로 결속한 후,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와 외측벽체(11)의 내면 사이의 간격에 채움재(14)를 채워서 경화시킴으로써 상부슬래브(2)와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를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바닥슬래브(10)와 외측벽체(11)와 상부슬래브(2)로 이루어진 지하박스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외측벽체(11)의 상단부는 수평면(110)과 연직벽면(111)으로 이루어지고;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외측벽체(11) 위에 배치될 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단부는 수평면(110) 위에 놓이고;
횡방향 긴장재(26)를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외측벽체(11)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횡방향 긴장재(26)를 연직벽면(111)에 관통시킨 후 연직벽면(111)의 외면에서 긴장 정착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횡방향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슬래브(2)와 외측벽체(11)가 접합되는 부분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채움재(14)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를 일체화시킨 후, 채움재(14)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단부면 사이의 틈 및 채움재(14)와 연직벽면(111) 사이의 틈을 방수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블록을 분절제작한 후, 횡방향 긴장재(26)에 의해 횡방향의 긴장력을 부여하여 블록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바닥슬래브(10)와, 상기 바닥슬래브(10)의 횡방향 양측에서 연직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체(11)로 구성되며, 외측벽체(11)에 매립되어 있는 연속화 철근(13)의 단부가, 횡방향 양측의 외측벽체(11)가 서로 마주보게 되는 방향의 면에 해당하는 외측벽체(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 및
횡방향 양단부가 외측벽체(11)에 걸쳐지도록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서로의 종방향 측면이 접한 상태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에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일체화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슬래브(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는, 복수개의 횡거더부(23) 사이에 슬래브단면부(24)가 존재하는 횡방향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접하는 측면에는 단턱부(28)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 단부면으로 연결결합철근(25)이 돌출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횡방향 긴장재(26)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 위에 배치될 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는 외측벽체(1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는 단턱부(28)가 서로 맞물리게 되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가 외측벽체(11)에 걸쳐진 상태에서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양단부와 외측벽체(11)의 내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간격에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단부면에 돌출되어 있던 연결결합철근(25)과 외측벽체(11)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연속화 철근(13)이 서로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간격에 채움재(14)가 채워서 경화됨으로써 상부슬래브(2)와 상부개방 박스 구조체(1)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
- 제5항에 있어서,
외측벽체(11)의 상단부는 수평면(110)과 연직벽면(111)으로 이루어지고;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외측벽체(11) 위에 배치될 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횡방향 단부는 수평면(110) 위에 놓이고;
횡방향 긴장재(26)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외측벽체(11)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횡방향 긴장재(26)는 연직벽면(111)에 관통하여 연직벽면(111)의 외면에서 긴장 정착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횡방향 긴장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상부슬래브(2)와 외측벽체(11)가 접합되는 부분의 강성이 증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블록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방향 긴장재(26)가 복수개의 블록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긴장 정착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박스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419 | 2016-02-23 | ||
KR20160021419 | 2016-0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0921B1 true KR101640921B1 (ko) | 2016-07-19 |
Family
ID=5661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752A Active KR101640921B1 (ko) | 2016-02-23 | 2016-03-08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092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40045A (zh) * | 2016-12-27 | 2018-07-03 | 宁波二十冶建设有限公司 | 一种外墙预制板复合后浇带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1119240A (zh) * | 2020-01-09 | 2020-05-08 |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超高性能混凝土预制拼装综合管廊 |
CN112267337A (zh) * | 2020-10-15 | 2021-01-26 |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 一种装配化通道式无土路基 |
KR20230144367A (ko) | 2022-04-07 | 2023-10-16 | 김준영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40095838A (ko) * | 2022-12-19 | 2024-06-26 | 주식회사 기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20240095840A (ko) * | 2022-12-19 | 2024-06-26 | 주식회사 청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779537B1 (ko) | 2023-09-21 | 2025-03-12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지하차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시공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712A (ko) | 2007-10-22 | 2009-04-27 | 보림기계공업 주식회사 | 지하 박스 구조물 형성용 강재 거푸집 |
KR100993777B1 (ko) *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301079B1 (ko) * | 2012-09-10 | 2013-09-03 | 안창일 | 박스구조물 시공방법 |
KR101314081B1 (ko) *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
KR101469150B1 (ko) * | 2014-07-14 | 2014-12-04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2016
- 2016-03-08 KR KR1020160027752A patent/KR1016409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712A (ko) | 2007-10-22 | 2009-04-27 | 보림기계공업 주식회사 | 지하 박스 구조물 형성용 강재 거푸집 |
KR100993777B1 (ko) *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301079B1 (ko) * | 2012-09-10 | 2013-09-03 | 안창일 | 박스구조물 시공방법 |
KR101314081B1 (ko) *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
KR101469150B1 (ko) * | 2014-07-14 | 2014-12-04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40045A (zh) * | 2016-12-27 | 2018-07-03 | 宁波二十冶建设有限公司 | 一种外墙预制板复合后浇带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1119240A (zh) * | 2020-01-09 | 2020-05-08 |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超高性能混凝土预制拼装综合管廊 |
CN112267337A (zh) * | 2020-10-15 | 2021-01-26 |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 一种装配化通道式无土路基 |
KR20230144367A (ko) | 2022-04-07 | 2023-10-16 | 김준영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40095838A (ko) * | 2022-12-19 | 2024-06-26 | 주식회사 기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20240095840A (ko) * | 2022-12-19 | 2024-06-26 | 주식회사 청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771544B1 (ko) * | 2022-12-19 | 2025-02-25 | 주식회사 청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771543B1 (ko) * | 2022-12-19 | 2025-02-25 | 주식회사 기산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779537B1 (ko) | 2023-09-21 | 2025-03-12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지하차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0921B1 (ko)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94193B1 (ko) |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 |
KR102009134B1 (ko) | 장경간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101177342B1 (ko) |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83535B1 (ko) | 완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93256B1 (ko) |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886345B1 (ko) | 충전강관 관입 긴장재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충전강관 하이브리드 철도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CN105019350B (zh) | 一种预制t型梁及用其建造连续梁桥的方法 | |
CN110747903A (zh) | 多孔框架桥及其拼装施工方法 | |
KR10078563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 |
KR20150037786A (ko) | Psc거더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CN108425317A (zh) | 节段预制拼装桥墩及其施工方法 | |
KR101653803B1 (ko) | 소하천 조립식 교량 | |
KR100727114B1 (ko) | 하로교 제작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하로교제작방법 | |
KR101034973B1 (ko) | 프리캐스트 블록 연결에 의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89140B1 (ko) |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 |
KR100847726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80111686A (ko) | Phc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슬래브 일체형phc합성거더 | |
KR101476411B1 (ko) |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 |
JP6166454B1 (ja) | 半地下型道路上の人工地盤の構築方法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650411B1 (ko) |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 |
KR102386348B1 (ko) |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 |
KR101008555B1 (ko) |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