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0911B1 -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11B1
KR101640911B1 KR1020150042420A KR20150042420A KR101640911B1 KR 101640911 B1 KR101640911 B1 KR 101640911B1 KR 1020150042420 A KR1020150042420 A KR 1020150042420A KR 20150042420 A KR20150042420 A KR 20150042420A KR 101640911 B1 KR101640911 B1 KR 10164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ain body
wire
length
str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규
배인선
박경미
Original Assignee
네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파(주) filed Critical 네파(주)
Priority to KR102015004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45C2013/3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특히, 조절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정돈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주머니 형태의 본체와, 상시 본체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등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끈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 단에는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 작용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조절수단이 구비된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방{A bag}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서 휴대 및 운반하도록 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특히, 조절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정돈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각종 내용물을 담아서 저장한 후, 사용자의 신체에 걸거나 매다는 등의 고정을 통해 휴대하고 운반 및 보관하는 것에 사용되는 물품이다.
이러한, 가방은 사용용도 및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그 형태나 크기가 적용되는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기본 구성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주머니 형태의 본체와, 상시 본체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등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상기 가방끈을 이용하여 휴대하여 운반 및 보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는 내부의 공간 부에 내용물을 출납하도록 된 개 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 구에는, 벨크로 지퍼 등과 같은 개폐요소가 마련되어 개방 및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방끈은, 상기 본체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가방끈이 서로 체결되어 신체에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단일의 가방끈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가방끈에는, 그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길이 조절을 통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적합한 길이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수단의 하나로, 버클구조체가 있으며,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89053호(명칭: 벨트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방에 적용되어 가방끈들을 체결함과 동시에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버클구조체가 적용된 가방이 게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2-0005148호(명칭: 끈 조임 구가 구비된 가방)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등판과, 옆 판 및 가방끈이 구비되어 내용물이 수납되는 끈 조임 구가 구비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끈은 상기 등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등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허리끈으로 나뉘되, 상기 어깨끈과 상기 허리끈의 사이를 연결해주며, 길이가 신축되는 끈 조임 구가 포함되어, 끈 조임 구를 조작하여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방은 가방끈을 조절하는 장치 및 구조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며, 이동시 노출된 부위들이 외부환경(예를 들면, 나무 가지, 난간 등)에 걸리어 안전을 침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특히, 조절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정돈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가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방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주머니 형태의 본체와, 상시 본체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등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끈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 단에는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 작용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방끈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방끈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와 대칭되는 위치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수단에 연결 고정되도록 되어 와이어의 길이조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중앙에 축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권취 링과,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 링의 회전을 중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방은, 상기 조절수단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에 의해 전체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전체 가방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와이어가 본체의 내부에서 위치하면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항상 정돈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가 나무 가지 또는 난간의 돌출부 등과 같은 안전 침해요소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방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의 측 단면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에 적용되는 조절수단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에 적용되는 조절수단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에 적용되는 조절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가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방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주머니 형태의 본체(2)와, 상시 본체(2)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등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3)을 가진다.
즉,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상기 가방끈(3)을 이용하여 들거나 매어 휴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2)는 등산용 배낭, 학생용 가방, 허리에 들러 매는 백 형태 등과 같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에서, 상기 가방끈(3)의 일단은 상기 본체(2)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 단에는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3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와이어(31)의 종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 작용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조절수단(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4)을 통해 가방끈에 대한 상기 와이어(31_의 연결 길이를 조정하여 가방끈(3)의 노출된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가방끈(3)의 길이가 조정된다.
상기에서, 가방끈(3)은 상기 본체(2)에 일단이 확고히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버클, 스냅단추구조 등이 채용된 체결요소(32)를 통해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방끈(3)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31)를 통해 본체(2)에 연결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체결요소(32)를 통해 본체(2)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 착용할 때 더욱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에서, 상기 조절수단(4)은, 상기 본체(2)에서 상기 가방끈(3)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가방끈(3)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와 대칭되는 위치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본체(2)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수단(4)에 연결 고정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4)에 대한 와이어(31)의 노출된 길이의 조절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31)가 본체(2)의 내부에서 위치하면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정돈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나무 가지 또는 난간의 돌출부 등과 같은 안전 침해요소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체(2)에는, 상기 와이어(31) 및 상기 가방끈(3)의 일 단 부위가 수용되어 안내되도록 안내 공(21)을 가지는 직물 또는 탄성 고무재질의 안내 튜브(2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방끈(3)의 노출된 길이가 조절될 때, 상기 안내 튜브(22)의 내부에서 안내되면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방끈(3)이 틀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에서, 상기 조절수단(4)은, 상기 본체(2)에 고정되며 중앙에 축(411)이 구비된 몸체(41)와, 상기 와이어(31)의 종단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42)의 축(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권취 링(42)과, 상기 몸체(41)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 링(42)의 회전을 중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잠금 부재(43)를 가진다.
즉, 상기 잠금부재(43)의 구동을 통해 그 회전이 제동되는 상기 권취 링(42)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31)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31)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방 끈(3)의 노출된 전체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서, 잠금부재(43)는 상기 축(411)에 대한 상기 권취 링(42)의 고정 및 해제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BOA technology를 구성하는 다이얼과 스풀(spool)의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휴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본체(2)의 개 구를 통해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가방끈(3)을 상기 체결요소(32)를 이용하여 허리에 매거나 등에 매달아 착용을 한다.
이와 같이 가방(1)의 착용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수단(4)의 권취 링(42)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31)를 감거나 풀어 그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가방끈(3)의 노출된 전체를 길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착용하면 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방(1)에서는, 상기 와이어(31)가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노출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가방 2 : 본체
21 : 안내 공 22 : 안내 튜브
3 : 가방끈 31 : 와이어
32 : 체결요소 4 : 조절수단
41 : 몸체 411 : 축
42 : 권취 링 43 : 잠금부재

Claims (4)

  1.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본체와; 상시 본체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등에 고정하도록 된 가방끈을 포함하되, 상기 가방끈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가방끈의 타단에는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및 풀림 작용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방끈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방끈의 일단이 결합 된 부위와 대칭되는 위치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수단에 연결 고정되도록 되어 와이어의 길이조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및 상기 가방끈의 일 단 부위가 수용되어 안내되도록 안내 공을 가지는 안내 튜브가 배치되어 상기 가방끈의 노출된 길이가 조절될 때, 상기 안내 튜브의 내부에서 안내되면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중앙에 축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권취 링과;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 링의 회전을 중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축에 대한 상기 권취 링의 고정 및 해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수단은,
    BOA technology를 구성하는 다이얼과 스풀(spool)의 구조가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1020150042420A 2015-03-26 2015-03-26 가방 Expired - Fee Related KR10164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20A KR101640911B1 (ko) 2015-03-26 2015-03-26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20A KR101640911B1 (ko) 2015-03-26 2015-03-26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911B1 true KR101640911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0911B1 (ko) 2015-03-26 2015-03-26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706A (ko) * 2016-11-26 2018-06-05 김동하 가방 바깥쪽에서 안쪽 주머니를 묶는 다이얼식 조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72Y1 (ko) * 1992-12-29 1995-01-28 박달훈 가방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조절가방
KR200289293Y1 (ko) * 2002-04-25 2002-09-16 김진철 끈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가방
KR200334051Y1 (ko) * 2003-08-19 2003-11-19 한휘주식회사 가방용 견착벨트 자동수납장치
US20050279797A1 (en) * 2004-03-11 2005-12-22 Martin John D Harness tight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72Y1 (ko) * 1992-12-29 1995-01-28 박달훈 가방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조절가방
KR200289293Y1 (ko) * 2002-04-25 2002-09-16 김진철 끈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가방
KR200334051Y1 (ko) * 2003-08-19 2003-11-19 한휘주식회사 가방용 견착벨트 자동수납장치
US20050279797A1 (en) * 2004-03-11 2005-12-22 Martin John D Harness tighte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706A (ko) * 2016-11-26 2018-06-05 김동하 가방 바깥쪽에서 안쪽 주머니를 묶는 다이얼식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202A (en) Fishing device.
US2776644A (en) Animal tethering device
US8348970B2 (en) Military emergency tourniquet
US8079329B1 (en) Hands free leash apparatus
US8418897B1 (en) Body worn child carrier
US4155636A (en) Hold steady strap
US20170001090A1 (en) Tethered training harness
US20140158726A1 (en) Equipment sling
CN106132490B (zh) 锻炼装置
US20070125315A1 (en) Child safety device
US20110083617A1 (en) Device for restraining animals to fixtures
KR20150127176A (ko) 백팩
US10210852B2 (en) Ukulele strap
US2469978A (en) Wieldable implement self-restoring to carried position
KR101640911B1 (ko) 가방
US4266867A (en) Hold steady straps
JP6541842B1 (ja) 背負い鞄用肩ベルト及び背負い鞄
CN102056516A (zh) 漫步约束装置
JP6452649B2 (ja) かばん
US8490255B1 (en) Article securing apparatus
KR20140109371A (ko) 스키 및 스키 폴의 숄더링 장치
US5052059A (en) Wedding gown train hoop with integral wrist strap
US10143293B2 (en) Bag
JP2014205520A (ja) レインウェア収納具
KR20130018030A (ko) 길이 조절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