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9611B1 -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 Google Patents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11B1
KR101639611B1 KR1020140106118A KR20140106118A KR101639611B1 KR 101639611 B1 KR101639611 B1 KR 101639611B1 KR 1020140106118 A KR1020140106118 A KR 1020140106118A KR 20140106118 A KR20140106118 A KR 20140106118A KR 101639611 B1 KR101639611 B1 KR 10163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gasket
synthetic resin
fluorine
gaske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851A (ko
Inventor
장문수
Original Assignee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ket Seal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스켓 부재; 및 상기 가스켓 부재의 일면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패턴을 가지는 리크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연결관의 이음매를 효과적으로 기밀하는 동시에 리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Gasket with leak detect function}
본 발명은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의 이음매를 효과적으로 기밀하는 동시에 리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켓은 관의 플랜지(flange) 이음매 등의 연결 면의 기밀 유지, 절연, 전기적 보호 및 서로 다른 재질의 사용으로 접촉 부식이 우려되는 곳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저온 저압에는 종이, 합성수지, 마, 고무, 석면, 피혁등, 고온, 고압에는 동, 아연, 납 등으로 제조되며, 얇은 판의 고리모양으로 된 것이 많다.
가스켓이 사용되는 관의 종류는 다양하나, 예를 들면 실린더(기통) 안으로부터 배기 밸브를 통하여 배기된 가스, 예를 들면, 연소 가스 또는 미연소의 혼합 기분 등을 배기하기 위한 유로를 규정하는 배기관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의 내연기관에 있어서 엔진 헤드가 배기 밸브에 의해 실린더와의 연통상 태가 제어되는 연통구와 배기가스 매니폴드(즉, 배기관의 일례)를 잇는 유로를 내포하는 경우에 관계되는 유로를 규정하는 엔진 헤드의 일부도 배기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기관과 같이 가스켓이 사용되는 관은 공정 중에 사용되는 가스, 물 및 오일 등의 액체 등을 관의 외부에 누출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하여 리크 센서(Leak Sensor)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리크 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타입 리크 센서, 모듈형 리크센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909241호에서는 홀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리크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13-0105961호는 리크 센서를 사용하기 보다 가스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일탱크에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공개특허 제2006-322827호는 리크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플랜지와 가스켓으로 누출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연결관의 이음매를 효과적으로 기밀하는 동시에 리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스켓 부재; 및 상기 가스켓 부재의 일면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패턴을 가지는 리크 감지부;를 포함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제공한다.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가스켓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은 한 쌍의 제1 및 제2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부재는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부재와 도전패턴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리크 검출부에는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도전 패턴 사이의 가스켓 부재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보호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부재에는 도전패턴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패턴용 홈에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배기관 및 각종 연결관의 이음매를 효과적으로 기밀하는 동시에 누수 및 누액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가스켓상에 리크 감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리크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 부재뿐만 아니라 리크 감지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이 높아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어 리크 감지부의 감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리크 발생 후 가스켓의 교체 없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가스켓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리크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이하, ‘가스켓’이라고도 함)은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가스켓 부재(110); 상기 가스켓 부재의 일면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패턴을 가지는 리크 감지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켓 부재(110)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는 비전도성 및 비점착성을 가지며, 물, 기름 등 오염에 강한 성질을 가진다.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가스켓 부재(110)의 두께는 100 내지 5000㎛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 부재(110)의 형상은 원판형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가스켓 부재의 형상은 사각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 부재에는 가스, 액체 등의 흐름을 위하여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에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나사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 부재(110)는 불소계 합성수지를 열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지기판상에 불소계 합성수지액을 코팅하거나 분말상태의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가스켓 부재를 형성시킬 수 있다. 가스켓 부재(110)를 형성하고, 공정을 완성한 후에 지지기판에서 가스켓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지지기판은 합성수지로 된 기판이나 금속으로 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는 2 내지 5mm일 수 있다. 지지기판을 선택한 후 그 표면에 샌딩 작업을 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 다음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가스켓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가스켓의 사용 온도가 100℃ 전후인 경우에는 ETFE를 재질로 가스켓 부재를 형성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온인 250℃에서 작동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PTFE 재질로 가스켓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부재(110)의 일면에는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패턴을 가지는 리크 감지부(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패턴은 서로 다른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도전성 패턴은 한 쌍 이상의 제1 및 제2 도전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은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 사이에 누출된 액체가 떨어지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은 감지기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통전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누수 및 누액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 부재(110) 중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이 형성된 영역이 리크 감지부(D)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패턴은 가스켓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리크(leak) 발생 가능 위치, 빈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의 간격이 좁을수록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가스켓 부재(110)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을 미세한 너비로 형성할수록 리크 감지부(D)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은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본 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 등의 도전성 물질과 혼합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의 입자크기 및 함유량에 따라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도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의 입자 크기는 0.3 내지 3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의 경우에는 5 내지 15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경우에는 5 내지 30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물질과 함께 비수용성 용제, 바인더 및 용매 등을 혼합하여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제1 및 제2 도전패턴을 인쇄한 후 소결하여 가스켓 부재(110) 상에 리크 감지부(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탈 마스킹 등의 방법으로 패턴인쇄를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소결 온도는 360 내지 3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성형성이 우수하여 가스켓 부재(110)에 미세한 너비 및 미세한 간격을 가지는 도전라인(121, 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의 간격은 0.5 내지 3mm일 수 있고, 도전라인의 자체의 너비는 0.1 내지 5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량의 도전성이 아닌 약 600㏀의 도체에 가까운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켓 부재(110)와 도전 라인(121, 122)은 모두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소결과정에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 라인(121, 122)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형태 및 위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스켓 부재(110)와 도전라인(121, 122)을 동종의 PTFE 또는 ETFE을 사용함으로써 그 결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켓 부재(110)상에 도전라인(121, 122)을 형성하기 전에 도전라인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점착성 및 이형성을 가지는 PTFE로 된 가스켓 부재의 경우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가스켓 부재의 표면을 에칭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에칭 용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수지의 에칭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크 감지부(D)에 보호층(13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60)은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가스켓 부재(110)와 같이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60)은 리크 감지부의 도전라인(121, 122)은 덮되, 제1 및 제2 도전라인(121, 122) 사이의 가스켓 부재(110)는 노출시키는 개방부(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은 가스켓 부재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 즉 도전라인(121, 122)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전라인과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전라인 상에 불소계 합성 수지를 증착시키거나 별로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개방부(S)를 가지는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적층 시킬 수 있다.
리크 감지부(D)의 도전라인(121, 122)이 표면에 노출되는 경우 가스켓의 사용 및 설치시 도전라인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130)을 적층 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30)이 적층되더라도 보호층의 개방부(S)를 통하여 누출된 물이나 액체가 리크 감지부(D)의 도전라인(121, 122) 사이에 침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 부재(110)에는 도전패턴용 홈(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용 홈(P)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 수지를 주입하여 제1 및 제2 도전라인(221, 2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용 홈(P)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NC 등 기계적 절삭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전라인용 홈(P)은 도전라인(221, 222)의 형성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결과정 중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도전성 물질인 카본 블랙이 수지를 흡수하여 소결 후 고체상태로 전이된 도전라인(221, 222)의 표면이 약간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배기관 및 각종 연결관의 이음매를 효과적으로 기밀하는 동시에 누수 및 누액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가스켓상에 리크 감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리크 발생 여부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 부재뿐만 아니라 리크 감지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이 높아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어 리크 감지부의 감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은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리크 발생 후 가스켓의 교체 없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가스켓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리크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20: 가스켓 부재 D: 리크 감지부
121, 122, 221, 222: 도전라인 P: 도전라인용 홈
130: 보호층 H: 관통홀
S: 개방부

Claims (9)

  1.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표면처리가 된 가스켓 부재;
    상기 가스켓 부재의 일면에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패턴을 가지는 리크 감지부; 및
    상기 리크 감지부에는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도전 패턴 사이의 가스켓 부재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도전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보호층;
    을 포함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가스켓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한 쌍의 제1 및 제2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부재는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부재와 도전패턴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부재에는 도전패턴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패턴용 홈에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KR1020140106118A 2014-08-14 2014-08-14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Active KR10163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18A KR101639611B1 (ko) 2014-08-14 2014-08-14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18A KR101639611B1 (ko) 2014-08-14 2014-08-14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51A KR20160020851A (ko) 2016-02-24
KR101639611B1 true KR101639611B1 (ko) 2016-07-14

Family

ID=5544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18A Active KR101639611B1 (ko) 2014-08-14 2014-08-14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8298B1 (en) 2019-01-28 2023-09-20 PTFE Engineering A/S Method and wearing parts for predictive maintenance
KR102805771B1 (ko) * 2022-03-24 2025-05-13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에 사용되는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917A (en) 1994-04-28 1995-08-15 Glenn Smith Leak detector
JP2005146081A (ja) * 2003-11-13 2005-06-09 Junkosha Co Ltd フッ素樹脂組成物
US7316154B1 (en) * 2004-03-25 2008-01-08 Odyssian Technology, Llc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917A (en) 1994-04-28 1995-08-15 Glenn Smith Leak detector
JP2005146081A (ja) * 2003-11-13 2005-06-09 Junkosha Co Ltd フッ素樹脂組成物
US7316154B1 (en) * 2004-03-25 2008-01-08 Odyssian Technology, Llc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51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931B1 (ko) 개스킷
KR101639611B1 (ko) 리크 감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켓
US9964462B2 (en) Flexible sheet-type physical property detecting leak sensor device
JP6480941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ないシリンダーヘッドガスケット
KR101571398B1 (ko) 누액 감지 센서
US20100230283A1 (en)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sensor, especially conductivity sensor, with such an assembly
WO2010062890A1 (en) Gaskets and seals with integrated leak detection capability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KR101518838B1 (ko) 배관용 통전형 개스킷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점검방법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92051A (zh) 密封元件
US9807895B2 (en) Seal for a housing of an electronic circuit arrangement
KR20000005697A (ko) 에지코팅연성가스켓
KR20070057971A (ko) 고 유전성 유체 조인트 개스킷
CN107278168B (zh) 通风口装置
US20150048022A1 (en) O-ring filter seal, assembly and method
KR101742160B1 (ko) 누수감지 센서
EP4179303A1 (en) Fluid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presence or a condition of a fluid using its permittivity and method therefore
JP5592515B2 (ja) フッ素樹脂コーティング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3477B2 (ja) ガスケット
WO2018212392A1 (ko) 가스켓
KR102072701B1 (ko) 정전용량형 리니어 센서
US11362459B2 (en) Moisture-sealed connector
US20240093799A1 (en) Apparatus for Sealingly Connecting to an Opening of a Carrier Component
KR20200041009A (ko) 노즐용 누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