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9499B1 -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499B1
KR101639499B1 KR1020147023584A KR20147023584A KR101639499B1 KR 101639499 B1 KR101639499 B1 KR 101639499B1 KR 1020147023584 A KR1020147023584 A KR 1020147023584A KR 20147023584 A KR20147023584 A KR 20147023584A KR 101639499 B1 KR101639499 B1 KR 10163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atching
connector
ring
d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221A (ko
Inventor
하르트무스 슈미트
마틴 뤼크마이어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1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투피스 플러그인 접속(1)을 위한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은 플러그인 커넥터(2) 및 대응 커넥터(5)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래칭 유닛 상에 제공된 래칭 고리(43)를 가진 래칭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래칭 유닛(4)은 상기 대응 커넥터(5) 상에 그루브 영역(52)에 관여한다.
따라서, 복수의 그루브 영역(52)은 슬리브-타입 방향에서 실행된 대응 커넥터(5) 상에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대응 커넥터(5)는 대응 커넥터의 플러그인 가장자리(54)와 관련된 임의의 거리(ds)에 의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1)의 상기 외부 측면 상에 다수의 쌍으로 정렬된 그루브 영역(52)에 대하여는, 오직 하나의 래칭 고리 쌍(43, 43)이 상기 그루브 영역(52)내에서 래칭 그루브(53')로의 플러그인 작동 중에 임의의 시간에 관여한다.
반면, 상기 다른 래칭 고리(43)는 각각 상기 하나가 래칭 그루브(53')를 차지하기 전 또는 후에 톱니파 프랭크(54)상에 남겨진다(remain).
그러므로, 임의의 원하는 접촉의 상호간 정지(stop)에 대해서 바로 감지한 슬라이드-온 래칭 업(latching up)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의 복잡한 수신은 더이상 필요없을 수 있다.
언래칭은 개구형 고리(33)에 의한 상기 래칭 그루브(53) 밖으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의 외부 슬리브(3)를 후진하는 중에, 래칭 그루브(53)에 관여한 상기 래칭 고리(43)를 들어올림으로써 수행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PLUG CONNECTION SYSTEM FOR PLUG CONNECTORS}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용 플러그인 커넥터, 구체적으로 광전자 컨버터용 플러그인 커넥터는 DE 10 2009 011 388 B3로부터 알려져 있고, 분리식 스프링-장착 페룰이 각각 하나의 페룰 하우징 각각에 제공되고, 차례로 추가적인 압축 스프링이 적용된 쪽으로 슬라이딩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바, 이는 페룰 하우징과 광전자 컨버터 사이에 다른 삽입 깊이에 있어서 제조방법과 관련된 치수 공차(tolerance)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DE 20 2006 005 177 U1로부터, 플러그인 커넥터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전체적으로 성형된 리세스(recess)안으로 래치된 잠긴 고리를 포함함이 알려져 있다. 상기 래칭 고리 상에 제공된, 래칭 플레이트는 슬리브를 후진함으로써 들어올려질 수 있고, 그 결과로 상기 잠긴 고리가 상기 리세스로터 해제된다.
DE 203 00 326 U1로부터, 커넥터는 대응 커넥터 스레드들(threads)의 스레드형(threaded) 영역 안으로, 비즈(beads)에 의해, 맞물릴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비즈는 상기 스레드들의 형상과 대응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DE 10 2007 009 947 A1로부터, 커넥터 구성(element)은 대응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레드 안으로, 스레드 맞물림 부분에 의해 맞물릴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스레드 맞물림 부분의 맞물림은 구동 슬리브에 의해 가능하거나 막힐 수 있고, 상기 구동 슬리브는 상기 스레드 맞물림 부분 쪽으로 전체적으로 성형된 스레드 맞물림 돌출을 가능하게 하거나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불리한 것은 복잡한 설계의 시스템이 설계를 위해 요구된다는 것이고, 의도대로, 광섬유 케이블용 플러그인 접속은, 적어도 환경에 맞서 밀폐되고, 광섬유 케이블 구성의 다른 기계적인 치수가 동시에 연결되어야 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상기 전도체의 단축 또는 연장이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 1의 전문에 따른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은 플러그인 접속을 플러그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광섬유 케이블의 경우에, 의도된 방식과 동시에, 복잡한 스프링 설계의 필요 없이 광학 신호 전송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서로 다른 치수를 가진 광섬유 케이블 플러그인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으로 접촉이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접속을 형성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상기 접촉 시스템의 다른 구조적 설계 조건은 브릿지되야(bridged) 하고, 상기 동시에 소형 크기(compact size)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발명의 유리한 구현예는 상기 종속항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두 플러그인 커넥터의 플러그인 접속, 구체적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장착되기 위해 제공되고, 그러므로 스크류-온 플랜지를 지닌 특별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내에 함유된 컨택(contacts), 즉 광섬유 케이블 페룰은 공차 제조방법 및 다른 제조사로부터 유래된 페룰의 약간 다른 치수가 보상되는 방식에 의존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컨택 종류는 광섬유 케이블 페룰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바, 이러한 이유로 인해 후자는 원칙적으로 대부분 임의의 다른 컨택 종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이점은 상기 플러그인 접속이, 상기 두 플러그인 커넥터의 기계적 상호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기적이고 광학적인 접속의 연속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 플러그인 매커니즘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구성한다.
다른 이점은 상기 두 플러그인 커넥터의 최초의 대응 면에 따라오는 상기 플러그인 작동에 의하여, 플러그인 접속의 즉각적인 래칭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래칭 매커니즘에 의하여 유리하게 달성되고, 하나의 플러그인 컨택터 상에 래칭 고리는 상기 다른 플러그인 컨택터의 래칭 그루브 영역에 대응하여 안으로 래치한다.
상기 래칭 접속을 위한 가장 좋은 해결에 달성하게 위하여, 래칭 고리에 부착된 다수의 핑거가 래칭 링 상의 첫번째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에 제공되고, 반면, 다수의 래칭 그루브 영역은 두번째 플러그인 커넥터 상에 제공되고, 상기 래칭 고리 안으로 상기 플러그인 작동 중에 래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칭 그루브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상에 상기 래칭 고리가 쌍별방식으로 그들에게 접근하는 방식으로 서로 반대측에 있을 때 제공되고, 다수의 래칭 그루브가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상에 둘레를 따라 제공되므로, 상기 래칭 그루브 쌍의 각각은 상기 래칭 그루브 쌍(들) 중 다른 하나(들)에 대하여 규정된(defined) 오프셋을 가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래칭 고리 쌍은 언제든지 래칭 그루브 쌍에 완전하게 관여할 것을 보증하고, 반면, 다른 래칭 고리 쌍은 상기 대응되는 래칭 그루브의 이뿌리면(tooth flank) 상에 오직 부분적으로 받쳐질 수 있다.
둘레에 따라 교대하는 래칭의 결과로, 서로에 대한 상기 두 플러그인 커넥터의 축방향의 슬라이딩 움직임 중 가장 유리하고, 좋은 해결이 가능하다.
이는 구체적으로, 광학적 플러그인 접속에 접촉된 플러그인 커넥터의 경우에 유리한바, 이는 구체적으로 다른 치수를 가진 다른 제품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광학적 커플링 표면의 최적의 상호간 접촉이 달성되는 것이 보증되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의 새로운 래칭 매커니즘의 결과로써, 컨택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종래분야로부터 이미 알려진 복잡한 설계의 스프링-장착 시스템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인 접속은 방사형 형상으로 시행되는바, 다른 플러그인 시스템은 그 안에 삽입된 컨택 슬리브에 의한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동시간에 뒤틀림 안전성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계없이, 다각형을 거쳐 각진 형상으로부터 원형의 횡단면 형상까지의 임의의 다른 신중한 형상화는 박리가능한 래칭 조건 종류를 위해 가능하다.
게다가, 그레이드된(graded) 길이를 지닌 쌍별 방식으로 래칭 링의 상기 래칭 고리를 가진 핑거를 생산할 가능성이 있고, 그 후에 플러그인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 상에 균등하게 제공된 래칭 그루브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커넥터 가장자리로부터 그레이드된 거리를 지닌 쌍별 방식으로 상기 래칭 링의 상기 래칭 고리를 가진 상기 핑거를 생산할 가능성이 있고, 그 후 상기 플러그인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 상에 균등하게 제공된 래칭 그루브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이점은 전기적이고 광학적인 접속의 연속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 플러그인 매커니즘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상기 두 플러그인 커넥터의 최초의 대응 면에 따라오는 상기 플러그인 작동에 의하여, 플러그인 접속의 즉각적인 래칭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도 1은 플러그인 접속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플러그인 커넥터 래칭 작동모드의 구체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플러그인 접속 래칭 영역의 구체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세부적, 공간적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도면에서 나타나고, 하기에 더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도 1에서, 플러그인 접속 1은 분해 단면도를 나타내고, 상기 플러그인 접속 1은 플러그인 커넥터 2 및 대응 커넥터 5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2는 커넥터 본체 20, 래칭 링 40 및 슬라이딩 링 30 뿐 아니라 케이블 스크류 기구 2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스크류 접속은 상기 환경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한 밀봉 삽입물 23을 가진 압력 조절 스크류 22에 의해 완료된다.
게다가, 슬리브 인서트 60가 제공되고, 접촉 부재들이 사용되며, 하기에 더이상 세부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래칭 링 40은 잠금 방식에 따라 몇몇의 래칭 고리 24에 의한 분리부(separate part)로써 커넥터 본체 20위로 나아가거나, 상기 커넥터 본체와 완전하게 연결된다.
상기 래칭 링 40은 링 41으로부터 형성되고, 형성된 쪽 위로 복수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핑거들 42이 성형되고, 상기 핑거들의 자유단부는 차례로 그들의 중앙쪽으로 작동하는 래칭 고리 43를 가진다.
상기 래칭 링 40 상부에, 외부 슬리브 3는 상기 커넥터 본체 20 상에 포착 방식(captive manner)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 3는 슬라이딩 링 30으로써 조리식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플러그인 측상에, 상기 슬라이딩 링 30은 내측으로 동작하는 개구형 고리 33를 가지고, 상기 개구형 고리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접속의 래칭이 풀릴 수 있다.
이 동안에, 상기 슬라이딩 링 30 은 물러나고, 상기 개구형 고리 33는 래칭 링 40 핑거 42의 래칭 고리 아래에 플러그 인 측 체결을 본떠 일체로 성형되고, 그들을 래칭 그루브 53 밖으로 움직이고, 플러그인 커넥터 2는 플러그인 슬리브 51로부터 물러날 수 있다.
게다가, 오링 25은 플러그인 커넥터 본체 20의 플러그인 측에 제공되고, 커넥터 슬리브 51 및 커넥터 본체 20의 내부에 플러그인 콘텍트들을 실링하기 위해, 그루브에서 리세스된다.
게다가, 상기 단면도는 대응 커넥터 5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 커넥터는 여기에 플랜지 하우징으로써 형성되고, 더큰 하우징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을 스크류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대응 커넥터로 또한 고려된 것은 플러그의 형태이고, 케이블 접속은 플러그인 커넥터 1에 나타난 것과 유사하다.
도 2a, 2b, 2c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매커니즘의 기능적 모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동일한 핑거 42의 세 쌍은 래칭 링 40에 제공되고, 상기 래칭 링은 플러그인 슬리브 51의 육방구조로 퍼지고, 래칭 그루브 영역 52은 플랜지 하우징 50으로써 여기에 형성된 대응 커넥터의 각각의 측면에 제공된다.
도 2b의 상면도에서, 상기 표면 쌍 A-A, B-B 및 C-C가 나타나고, 상기 표면 쌍은 조립상태로 방사형 플러그인 슬리브 51을 형성한다.
도 2c에서, A, B, C와 관련된 플러그인 슬리브 51의 몇몇의 래칭 그루브 영역의 부분이 나타나고, 단지 상기 그루브 영역의 반쪽 쌍(pair half)을 나타낸다.
여기 흥미로운 것은 서로에 대한 래칭 그루브의 그라데이션(gradation )이 있다는 것이고, 이는 D1, D2, D3와 관련된 부분으로,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 51의 상기 플러그-인-가장자리로부터, 래칭 그루브 영역, 여기 B, A, C의 첫번째 래칭 그루브의 각각의 거리이다.
d1 및 d2 사이와 d2 및 d3 사이의 거리는 ds와 관련되고 있고, 상기 대응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 상에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가 슬라이딩 할때 유효하고, 결과적으로 가장 짧은 래칭 거리를 최종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그라데이션의 효과는 도 3a, 3b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우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2의 래칭 링 40 부분이 나타나고, 동시에 플랜지 하우징 또는 대응 커넥터 50의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A-A 예시에서 상기 래칭 고리 쌍은 래칭 고리 43으로 나타나고, 래칭 고리는 래칭 그루브 53 아래에 톱니파 측면 55의 약 세번째 위쪽으로 지지된다. 반면, B-B 예시에서, 상기 래칭 고리 43는 정확하고 또는 명확하게 상기 래칭 그루브 53를 걸고(hook), C-C 예시에서, 상기 래칭 고리 43는, 상기 래칭 그루브 53 위에 톱니파 측면 55의 약 세번째 위쪽으로 받친다(rest).
상기 래칭 링 40, 각각의 상기 플로그인 커넥터 2 상에, 상기 대응 커넥터 5 위쪽으로 각각 더 전진함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다음 래칭 고리 쌍이 따라오는 래칭 그루브 53와 완전하게 잠기고, 상기 다음 래칭 그루브 53가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에 더 끼어듬으로써 전진될 때까지 머무른다.
결과적으로, 동시에 래칭한 축방향 전위의 플러그인 접속은 매우 좋은 그라데이션에 효과적일 수 있고, 이는 약 0.5mm의 크기이고, 상기 유효 래칭 거리 ds를 구성한다.
이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2 또는 상기 대응 커넥터 5의 래칭 작동 중에, 상기 래칭 그루브의 구체적인 거리가 더 작은 래칭 거리 ds로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거리 ds는 다수의 다른 래칭 그루브 쌍에 의해 구분된 래칭 그루브 거리 ds로부터 기인한다.
이렇게 하여, 시각적인 플러그인 접속에 관한 것은, 예를 들어 성분-관련된 차이으로부터 기인한 임의의 가능한 추가적인 축방향의 이송은 보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차이는 추가적인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만 풀어지게 될 수 있다.
도 4a에서, 공간적 부분-영역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2가 나타나고, 반면, 도 4b 및 도 4c는 각각 잠긴 슬라이드 링 30 또는 상기 잠긴 래칭 링 40의 세부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에서 보여질 수 있는 것은 공간적 시각에서, 대략 반으로 절단된 상기 래칭 링 40, 상기 슬라이딩 링 30이 있는 부분적-영역이다.
상기 커넥터 본체 40 및 O-링 25은 미절단되어 나타난다.
상기 래칭 링 40위에 상기 슬라이딩 링 30의 상기 잠김(latching)은 도 4b에 세부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도면에, 상기 슬라이딩 링 30의 래칭 돌출부 32가 보여질 수 있고, 상기 래칭 링 40에 상기 링 래칭 고리 44 뒤에서 잠긴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링 30은 포착 방식에서 상기 래칭 링 40 상에 유지되고, 상기 플러그-인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인 커넥션에 잠김 해제용으로 여전히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링 래칭 고리 44 및 상기 래칭 돌출부 32는 모두 상기 래칭 링 40의 둘레를 지나 다양하게 분배된다.
도 4c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 20 상에 상기 래칭 링 40의 잠김(latching)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에도, 복수의 래칭 수단이 상기 커넥터 본체 20의 둘레로 퍼진다. 상기 수단은 래칭 고리 2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단 뒤에서, 상기 래칭 링 40의 링 21은 잠기고, 고정된다.
1: 플러그인 접속
2: 플러그인 커넥터
3: 외부 슬리브(External sleeve)
4: 래칭 유닛
5: 대응 커넥터
20: 플러그인 커넥터 2 내 커넥터 본체
21: 케이블 스크류 접속
22: 압력 스크류(Pressure screw)
23: 밀봉 삽입물
24: 40용 래칭 고리
25: O-링
26: 래칭 리세스
30: 슬라이딩 링 = 외부 슬리브 3
31: 커넥터 본체 위 링 래칭
32: 40 유지용 래칭 돌출부
33: 개구형 고리
40: 래칭 링 = 래칭 유닛 4
41: 링
42: 핑거
43: 래칭 고리
44: 30용 링 래칭 고리
45: 링 래칭 쌍 A-A, B-B, C-C
50: 플랜지 하우징 = 대응 커넥터 5
51: 경사진 플러그인 슬리브
52: 래칭 그루브 영역, 쌍별 방식 내 서로에 대한 오프셋
53: 래칭 그루브
54: 플러그인 슬리브 상 플러그인 가장자리
55: 톱니파 측면
d1,d2,d3: 가장자리 54로부터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 52의 거리
s: 래칭 그루브 거리
ds: 유효 래칭 거리

Claims (7)

  1. 플러그인 커넥터(2) 및 대응 커넥터(5)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상기 커넥터 사이에(therebetween) 제공된 래칭 유닛(4)을 지닌 외부 슬리브(3)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유닛(4)은 커넥터 본체 (20)상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인 측 상에 상기 대응 커넥터(5)를 가지는 래칭 및 언래칭용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가지고,
    상기 래칭 유닛(4)은 래칭 링(40)으로써 상기 래칭 유닛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한 복수의 핑거(42)를 가진 링(41)을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상기 핑거의 끝단 위쪽에 성형된 래칭 고리(43)를 가지고,
    슬라이딩 링(30)으로써 상기 외부 슬리브(3)는 상기 래칭 링(40)으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크기의 간격을 지나 커넥터 본체(20)상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대응 커넥터(5)는 하우징(5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인 측은 플러그인 가장자리(54)를 가지는 플러그인 슬리브(51)로써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의 둘레상에 복수의 래칭 그루브 영역(52)이 공간상 이격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52)은 거리(s)만큼 공간상 이격된 복수의 래칭 그루브(5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52)들의 첫번째 래칭 그루브(53) 각각은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1)의 상기 플러그인 가장자리(54)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d1,d2,d3)를 가지고, 동시에 상기 거리(d1,d2) 및 상기 거리(d2, d3) 사이의 차이가 상기 거리(s)보다 더 작고, 상기 차이에 의해 유효 래칭 거리(ds)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피스 플러그인 접속(1)을 위한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접속(1)이 상기 슬라이딩 링(30)에 의해 다시 언래칭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가 후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링(30) 내에 제공된 개구형 고리(33)가 상기 대응 커넥터(5)의 상기 래칭 그루브(53) 밖으로 상기 래칭 고리(43)를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52)은 상기 대응 커넥터(5)의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4) 상에 대칭방향, 원주방향, 쌍방향(A-A, B-B, C-C) 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5) 상에서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52)이 반대 표면상에 쌍방향 방식으로 각각 배열되고, 쌍방향 방식에서 상기 플러그인 가장자리(54)로부터 상기 플러그인 가장자리의 거리에 대하여 동일하게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 및 상기 대응 커넥터(5)는 육각형이고, 동일한 타입의 세개의 래칭 고리 쌍이 상기 대응 커넥터(5) 상의 상기 그루브 영역(52)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6. 플러그인 커넥터(2) 및 대응 커넥터(5)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상기 커넥터 사이에(therebetween) 제공된 래칭 유닛(4)을 지닌 외부 슬리브(3)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유닛(4)은 커넥터 본체 (20)상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인 측 상에 상기 대응 커넥터(5)를 가지는 래칭 및 언래칭용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가지고,
    상기 래칭 유닛(4)은 래칭 링(40)으로써 상기 래칭 유닛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한 복수의 핑거(42)를 가진 링(41)을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상기 핑거의 끝단 위쪽에 성형된 래칭 고리(43)를 가지고,
    슬라이딩 링(30)으로써 상기 외부 슬리브(3)는 상기 래칭 링(40)으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크기의 간격을 지나 커넥터 본체(20)상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대응 커넥터(5)는 하우징(5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인 측은 플러그인 가장자리(54)를 가지는 플러그인 슬리브(51)로써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의 둘레상에 복수의 래칭 그루브 영역(52)이 공간상 이격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래칭 그루브 영역(52)은 거리(s)만큼 공간상 이격된 복수의 래칭 그루브(5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 영역(52) 각각은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1)의 플러그인 가장가리(54)로부터 동일한 거리(d1)를 가지는
    투피스 플러그인 접속(1)을 위한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52) 각각이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1)의 상기 플러그인 가장자리(54)로부터 동일한 거리(d1)를 가지는 반면, 상기 래칭 링(40)의 상기 래칭 고리(43)를 가진 상기 핑거(42)는 다른 길이를 가지고, 동시에 상기 길이의 차이가 상기 거리(s)보다 더 작고, 상기 차이에 의해 유효 래칭 거리(ds)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접속 시스템.
KR1020147023584A 2012-01-25 2012-11-23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Active KR10163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0615.6A DE102012100615B4 (de) 2012-01-25 2012-01-25 Steckverbind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DE102012100615.6 2012-01-25
PCT/DE2012/100358 WO2013110251A1 (de) 2012-01-25 2012-11-23 Steckverbind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21A KR20140116221A (ko) 2014-10-01
KR101639499B1 true KR101639499B1 (ko) 2016-07-13

Family

ID=4743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84A Active KR101639499B1 (ko) 2012-01-25 2012-11-23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97965B2 (ko)
EP (1) EP2807706B1 (ko)
JP (1) JP5826412B2 (ko)
KR (1) KR101639499B1 (ko)
CN (1) CN104067456B (ko)
DE (1) DE102012100615B4 (ko)
WO (1) WO2013110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4888B1 (de) * 2013-10-10 2015-09-15 Zizala Lichtsysteme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Federelement sowie Beleuchtungseinrichtung mit Steckverbindung
DE102013113631B3 (de) 2013-12-06 2015-04-2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teckkraftbegrenzung
JP6234243B2 (ja) * 2014-01-24 2017-11-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内視鏡装置
DE102014113324A1 (de) 2014-09-16 2016-03-17 HARTING Electronics GmbH Schutzkappe für Steckverbinder
DE102015103135B3 (de) * 2015-03-04 2016-06-02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teckpositionierungsmittel
WO2016157453A1 (ja) * 2015-03-31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および入出力ユニット
CN105390893A (zh) * 2015-10-23 2016-03-09 莫西元 一种两芯连接器
EP3203591B1 (de) * 2016-02-05 2020-10-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106252988B (zh) * 2016-07-29 2019-08-2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及连接器组件
TWI648922B (zh) * 2016-10-18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axial connector
CN106887769B (zh) * 2017-03-06 2019-05-14 杭州伯坦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JP6852894B2 (ja) * 2017-06-14 2021-03-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7218876B4 (de) * 2017-10-23 2021-04-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en zum Verbinden und Trenn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DE102017127991B4 (de) * 2017-11-27 2021-06-10 HARTING Electronics GmbH Ver- und entriegelbarer Steckverbinder
CN108598764B (zh) * 2018-05-21 2020-03-27 昆山康耐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快接功能的汽车线束
DE102018131720A1 (de) * 2018-12-11 2020-06-18 HARTING Electronics GmbH Rund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
DE102019103853A1 (de) * 2019-02-15 2020-08-2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Ver- und Entriegelungsfunktion
CN113453413A (zh) * 2020-03-26 2021-09-28 阿罗仕(无锡)电控系统有限公司 一种交流电压电路板用电磁干扰防护装置
CN111293514B (zh) * 2020-03-27 2025-01-03 顺科智连技术股份有限公司 拆卸式连接器
CN113437586B (zh) * 2021-07-07 2022-08-23 杭州永谐科技有限公司 一种盲插自锁式结构的无源器件
DE102022104736A1 (de) 2022-02-28 2023-08-31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
CN114843818A (zh) * 2022-03-27 2022-08-0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锁紧结构连接器及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0887A1 (en) 2007-11-21 2009-05-21 Souriau locking device for a rapid uncoupling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ors equipped with such a device
JP2012508948A (ja) 2008-11-12 2012-04-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リーブ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4843A (en) * 1971-06-15 1973-02-06 R Bracey Adjustable latching mechanism
GB1581476A (en) * 1977-05-09 1980-12-17 Bunker Ramo Quick-release electrical connectors
JP2546752Y2 (ja) * 1990-12-28 1997-09-03 宇呂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接栓
US6267612B1 (en) * 1999-12-08 2001-07-31 Amphenol Corporation Adaptive coupling mechanism
EP1334394B1 (en) * 2000-10-31 2004-10-13 Viasystems Group, Inc. Fibre optic circuit board connector
DE20300326U1 (de) 2003-01-10 2004-05-13 Escha Bauelemente Gmbh Stecker mit Schnappkragenverrastung
JP2004319374A (ja) * 2003-04-18 2004-11-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7189097B2 (en) * 2005-02-11 2007-03-13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Snap lock connector
DE202006005177U1 (de) * 2006-03-31 2006-06-08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Metallischer Steckverbinder
DE102007009947B4 (de) * 2007-03-01 2016-11-24 Techpointe S.A. Steckerelement
DE102007031504B4 (de) * 2007-07-06 2010-04-08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JP4767923B2 (ja) * 2007-07-27 2011-09-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DE102009011388B3 (de) 2009-03-03 2010-08-05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Lichtwellenleiter
DE102010010018B4 (de) * 2010-03-03 2013-04-25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für Lichtwellenlei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0887A1 (en) 2007-11-21 2009-05-21 Souriau locking device for a rapid uncoupling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ors equipped with such a device
JP2012508948A (ja) 2008-11-12 2012-04-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リーブ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00615B4 (de) 2014-08-14
CN104067456A (zh) 2014-09-24
EP2807706A1 (de) 2014-12-03
CN104067456B (zh) 2016-06-08
US20150016779A1 (en) 2015-01-15
WO2013110251A1 (de) 2013-08-01
EP2807706B1 (de) 2019-10-16
US9297965B2 (en) 2016-03-29
JP5826412B2 (ja) 2015-12-02
KR20140116221A (ko) 2014-10-01
JP2015506500A (ja) 2015-03-02
DE102012100615A1 (de)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499B1 (ko)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US10670175B2 (en) Plug connector for fluid lines, comprising an inner adapter sleeve
EP211089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ing mechanism
US8192218B2 (en) Springless screw type and bayonet type connector
US7892004B2 (e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EP2975700B1 (en) Enclosure assembly
US11011871B2 (en) Connector for different connection types
US10615539B1 (en) Connection system with a bayonet-type locking device adapted to allow a quick disconnecting operation
CN102074843A (zh) 具有弯曲的应力消除元件的插接式连接器壳体
EP3637163A1 (en) Easy-to-insert waterproof optical fiber connector
US20090163072A1 (en) Plug connector
US20190089092A1 (en) Overmolded adapter
CN104124556A (zh) 具有弹性锁闩的电连接器
US20150129723A1 (en) Wire holder
US8986035B2 (en) Securing member for a connector
EP3304654B1 (en) Seal for a housing of a plug-type connector and housing for a plug-type connector
US9407073B2 (en) Guiding support and kit for terminating a transmission cable
KR101891042B1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CN208596243U (zh) 一种防水型光纤连接器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KR20130133013A (ko) 장착 레일에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EP3396427B1 (en) Connector, receptacle, and plug
JP2013168229A (ja) 圧着コンタクトとコネクタ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