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444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9444B1 KR101639444B1 KR1020090129351A KR20090129351A KR101639444B1 KR 101639444 B1 KR101639444 B1 KR 101639444B1 KR 1020090129351 A KR1020090129351 A KR 1020090129351A KR 20090129351 A KR20090129351 A KR 20090129351A KR 101639444 B1 KR101639444 B1 KR 101639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basket
- door
- ice making
- making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7 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장실; 상기 냉장실 바닥의 제1수납부재; 상기 제1수납부재와 단차지도록 상기 제1수납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2수납부재; 상기 제2수납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얼음을 만드는 단열공간인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제2수납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 및 상기 제빙실를 개폐하는 제빙실 도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제1바스켓은 상기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의 단차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스켓은 상기 선반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 first receiving member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 second receiv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member so as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receiving member; A plurality of shelves provided above the second housing member;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n which an ice making compartment is formed, which is an adiabatic space for making ice; A first basket mounted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And at least one second basket mounted on an ice-making chamb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ce-making chamber, wherein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the first basket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inner side of the first storing member and the second storing member And the second baske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elf.
냉장고, 수납부재, 바스켓, 단차, 제빙실 Refrigerator, storage member, basket, step, ice making room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by storing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상기 냉장고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와 및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Insid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 receiving member such as a shelf, a drawer, and a basket is provide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shielded by a door. The refrigerator is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type of the door.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0003] The refrigerator is becoming increasingly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dietary life and products, and refrigera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for users' convenience have been introduced.
예컨데,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빙된 얼음이 고외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빙장치는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고,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도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rigerator may be equipped with an ice maker for making ice, and a dispenser for allowing ice to be taken out from the ice can be further provided. The icemaker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or may be provid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where a heat insulating space is formed.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실 내부의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 단차진 부분과 선반에 대응하도록 냉장실 도어에 제1바스켓이 구비되고, 냉장실 도어에 구비된 제빙실 도어에 제2바스켓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first basket on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so as to correspond to a shelf in a first compartment and a second compartment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wit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closed, And the second basket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수납부재; 상기 제1수납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면이 상기 제1수납부재의 전면과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제2수납부재; 상기 제2수납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얼음을 만드는 단열공간인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제빙실을 개폐하며, 배면 양측단에 돌출된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빙실 도어; 양측면에 상기 장착부에 걸림 구속되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선반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바스켓;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의 단차진 영역에 위치되는 제1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바스켓의 배면에는, 배면 일부가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스켓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바스켓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안내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의 배면은, 상기 제빙실 도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바스켓의 배면 중앙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안내구의 외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바스켓측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유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의 배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빙실 도어 다이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스켓은,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스켓과 제2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스켓의 하방에는 음용수 또는 제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워터탱크를 차폐하는 물탱크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스켓과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의 단차와 대응하는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제1바스켓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부에는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제빙실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발포 단열재 보다 높은 단열성을 가지는 진공단열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refrigerating chamber is formed; A first accommodation memb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having a front surface stepped with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 plurality of shelves provided above the second housing member;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n which an ice making compartment is formed, which is an adiabatic space for making ice; An ice making chambe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 making chamber, and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ice making chamber is formed; A second baske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mounting portion and mounted on the ice making chamber door, the second basket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elf; And a first basket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positioned in a stepped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members, wherein an opening part of the back surfac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And a cool air guide hole for guiding cold air to the first basket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is held in contact with the ice tray door, and the opening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rear center of the second basket.
In addition, an induction part protruding downward and guiding cool air toward the first basket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ol air guide.
An ice making chamber door dike protruding rearward along the edg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door, and the fix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door dike.
The first basket may include a fram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a basket mounted on the frame and forming a storage space, wherein the first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ater tank cover for shield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or water for ice making is provided below the first basket.
The first basket and the water tank cover have steps corresponding to step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members.
The water tank cover supports the first basket from below.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is filled with a foam insulating material and a vacuum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higher heat insulating property than the foam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ce making chambe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Further, the vacuum insulator is provided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doo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실의 내측에는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가 단차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2수납부재의 상방에는 선반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제빙실 도어에 제2바스켓이 구비되고, 제빙실 도어 하측의 냉장실 도어에 제1바스켓이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are arranged stepwis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helf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The corresponding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provided with a second basket on the ice tray door, and the first basket is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n the lower side of the ice tray door.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납부재와 제2수납부재의 단차진 부분에 상기 제1바스켓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선반의 정면에 상기 제2바스켓이 위치하게 된다.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closed, the first basket is positioned at a stepped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members, and the second baske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elf.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과 제2바스켓의 용적을 최대로 할 수 있데 되어 고내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volume of the first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mounted 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in the compartment.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의 저면에 냉기 안내구가 형성되어 고내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냉기 안내구를 통해 상기 제1바스켓 까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냉기 공급이 취약한 제1바스켓 까지 고르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A cool air guid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so that cool ai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aske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basket through the cool air guide hole to cool the first basket to a relatively weak first basket .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에서 상기 제빙실이 형성되는 부분의 영역의 두께가 얇아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용적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a region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where the ice making chamber is formed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capacity ratio.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1, 14)가 포함된다. 1 and 2, th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2)과, 상기 냉장실(102)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04)이 포함된다. In the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in which a refrigerating chambe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freezing chamber, for example.
상기 냉장고 도어(11, 14)에는, 상기 냉장실(10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냉동실(104)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14)가 포함된다.The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2, 13)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2, 13)에는, 제 1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3)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12, 13)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The plurality of
상기 냉동실 도어(14)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5, 16)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5, 16)에는, 제 1 냉동실 도어(15)와, 상기 제 1 냉동실 도어(15)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 2 냉동실 도어(16)가 포함된다. The freezing chamber door (14)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15, 16) arranged vertically. The plurality of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 13)는 회전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동실 도어(15, 16)는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frigerating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7)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12)에 상기 디스펜서(17)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On the other hand, a door of the first and second refrigerating chamber doors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후술함)가 구비된다.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frigerating chamber doors is provided with an ice making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for generating and storing ic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는, 제 1 냉장실 도 어(12)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3)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가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제 2 냉장실 도어(13)를 통칭하는 냉장실 도어(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 중 어느 하나에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제빙실(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11)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제1바스켓(160)과 제2바스켓(17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바스켓(160)의 하부에는 물탱크 커버(180)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공급 덕트(106)와 상기 제빙실(120)로부터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본체 회수 덕트(108)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내부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와 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102)은 상기 좌우로 개폐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2 and 3, the
그리고, 상기 냉장실(102)의 내측 바닥에는 제1수납부재(10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수납부재(103)는 서랍과 같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재(103)는 좌우 방향의 폭이 상기 냉장실(102)의 내부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피자 또는 길이가 긴 야채 등의 수납이 가능하다. The first
상기 제1수납부재(103)는 상기 냉장실(102)의 후측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혔을 때 상기 물탱크 커버(180)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부재(103)는 상기 냉장실(102)의 내부에 제공되는 다수의 수납부재들 중 가장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1수납부재(103)는 상기 제1바스켓(16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제1바스켓(16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상측에는 제2수납부재(10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수납부재(105) 또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서랍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바스켓(160)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부재(105)는 상기 냉장실(102)의 내측에서 다수개가 가로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납부재(105)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A second receiving
상기 제1수납부재(103)와 제2수납부재(105)는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레임에 각각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receiving
한편, 상기 제2수납부재(105)의 상방에는 선반(107)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107)은 상기 냉장실(102)의 내측에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로도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107)은 상기 냉장실(102)의 후벽면에 켄틸레버 방식으로 고정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102) 후벽면에는 상기 선반(107)의 후단이 고정되는 선반 장착부(109)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선반 장착부(109)에는 상기 선반(107)의 후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상 하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선반(107)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 상기 선반(107)은 상기 제2바스켓(170)과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선반(107)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4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ice compartment: 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빙실(120) 내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에는 제1바스켓(16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바스켓(160)은 상기 제빙실(120) 하방의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물탱크 커버(180)의 상방에서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비교적 길이가 긴 식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first basket (160)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120). The
상기 제1바스켓(160)은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162)과 상기 프레임(162)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16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62)은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62)의 상부에는 손잡이(168)가 구비되어 탈착이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바스켓(164)은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납부재(105)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혔을 때 상기 바스켓(164)은 상기 제1수납부재(103)와 제2수납부재(105)의 단차진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The
상기 제1바스켓(160)의 하방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와 디스펜서(17)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82)가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182)를 차폐하는 물탱크 커버(1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물탱크 커버(180)는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바스켓(160)을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한편, 상기 제빙실(120)은 제빙실 도어(1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 도어(130)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힌지(139)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을 개폐하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3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되기 위한 핸들(14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128)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를 수용한다.The ice making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바스켓(17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배면(고내측을 향하는 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140)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스켓(160)은 상기 선반(107)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ice making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둘레에는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 내측에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부(172)와 형합되는 장착부(13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바스켓(170)을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에 탈착 가능하게 된다.An ice making
이하에서는 상기 제2바스켓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baske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 2 바스켓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bas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basket.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170)의 후반부 일부는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배면은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접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 밀착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한편, 상기 제2바스켓(17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고정 장착을 위한 고정부(17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72)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에 형성되는 장착부(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107)의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 기 제빙실 도어(130)의 배면에서 탈착된 후 상하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높이에 장착 가능하게 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바스켓(170)의 장착시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접하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배면에는 개구부(17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74)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배면 일부가 절개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바스켓(170)과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직접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An
상기 개구부(174)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배면 좌우 양측을 제외한 중앙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표면과 고내 공간의 온도차이에 의해 상기 제2바스켓(170)의 내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배면 일부가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스켓(170)의 장착시 상기 함몰되는 부분이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표면 온도가 상기 제2바스켓(170)의 내측으로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제2바스켓(170)의 바닥면에는 냉기 안내구(1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안내구(176)는 상기 제2바스켓(170) 내부에 냉기가 적체되지 않고 상기 제2바스켓(170) 상하로 냉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cool
그리고, 상기 냉기 안내구(176)는 상기 제2바스켓(170) 하방의 상기 제1바스켓(160)으로 냉기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스켓(160)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즉, 상기 냉기 안내구(176)가 상기 제1바스켓(160)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 도록 개구될 수 있다.The cool
또한, 상기 제2바스켓(170)의 하면에는 상기 냉기 안내구(176)를 통과하는 냉기가 상기 제1바스켓(160)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178)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유도부(178)는 상기 냉기 안내구(176)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도부(178)는 상기 냉기 안내구(176)의 둘레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바스켓(160)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n opened state of the ice-mak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 state where the icemaker assembly is removed from the ice-mak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와 도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된다.2, 7 and 8, a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을 개폐하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전면(제빙실 내측을 향하는 면) 둘레에는 가스켓(1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32)은 상기 제빙실(120)의 개구된 전단과 접하여 상기 제빙실(120)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A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상기 제빙실(120)을 비롯한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11)의 배면 중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 즉 상기 디스펜서(17) 후방의 부분이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되는 부분 보다 더 돌출된다. Meanwhile, the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체 두께를 비교할 때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의 부분보다 얇게 된다. Therefore, the back surface of the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공급 덕트(106)와 상기 제빙실(120)로부터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본체 회수 덕트(108)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제빙실(120)의 냉기를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로 회수하는 도어 회수 덕트(124)가 포함된다. The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 및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도어 라이너(110)의 외측벽(113)에서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내측벽(114) 까지 연장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상기 냉장실(10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와 정렬되어 연통되고,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와 정렬되어 연통된다.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the door supply duct (122) is aligned with and communicates with the main supply duct (106), and the door return duct (124) And communicates with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는 냉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덕트(290)를 통과한 냉기가 최종적으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 의해서 냉기가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신속한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The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25)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125)는 상기 제빙실(120)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6)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icemaker assembly (200). The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실(120)에 위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내측벽(114) 하측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개구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127)와 연통되는 얼음 덕트(150)가 배치된다. An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ce-making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 및 도 1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m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 어셈블리(200)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생성된 얼음을 지지하는 아이스 메이커(2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회 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20)과, 상기 구동원(220)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224)와, 상기 급수관(126)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240)가 포함된다. 7 to 10, the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25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300)과, 상기 아이스 빈(3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기(270)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어셈블리(280)가 포함된다. The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와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구동원(220)에 연결되는 전선은 제 2 커넥터(28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282)는 상기 제 1 커넥터(12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상세히, 상기 지지기구(250)에는, 제 1 지지부(252)와, 상기 제 1 지지부(252)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260)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제빙실(120)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장착시 아래에서 설명할 얼음토출부재(40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28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284)는 상기 제 1 지지부(252)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 토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지지한다.An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는 상기 아이스 빈(300)과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When the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는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양측에는 회전축(212)이 포함되며,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기어 박스(224)에 연결되고, 타측의 회전축(212)은 상기 안착부(2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The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71)와, 상기 송신부(271)와 이격되며 상기 송신부(271)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72)를 포함한다. The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The transmitting
이하에서는 아이스 빈(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1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측에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은,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보관된 얼음을 지지하고, 보관된 얼음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끌어져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20)이 구비된다. Inside the
상기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 및 상기 경사안내면(320)에 의해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보관공간(315)이 형성된다.An
상기 경사안내면(320)은 제1경사안내면(321)과 제2경사안내면(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은 양측벽(313) 중 어느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는 양측벽(313) 중 다른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The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의 사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빈(300) 외부로 토출하는 얼음토출부재(4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좌우에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 경사안내면(322)이 위치된다. An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411)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포함된다. 얼음의 용이한 토출을 위해서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에 놓인 얼음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얼음토출부재(400)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The ice placed on the first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 사이에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얼음이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510)를 구비하는 토출부(500)가 마련된다. The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상기 토출부(500)에 정역회전 가능하게(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설치된다. The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하부 일측, 즉 상기 토출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블레이드(410)와 함께 얼음을 파쇄시켜 조각얼음을 만드는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가 마련된다. When the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는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 사이 공간을 상기 회전블레이드(410)가 통과한다. The plurality of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와 상기 회전블레이드(410) 사이에 얼음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얼음을 가압하면 얼음이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된다. When the ice is pressed between the
한편,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하부 타측, 즉, 상기 토출부(500)의 타측에 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통 얼음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410)와 상기 얼음저장공간(315)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부재(600)가 마련된다. When the
상기 개폐부재(60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0)의 동작범위를 제한하여, 통얼음 상태의 얼음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제한부(650)가 마련된다. An
상기 토출부(500)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궤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안내벽(520)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안내벽(520)의 하측에 상기 고정블레이드(480)가 장착된다. The
상기 토출안내벽(500)은, 파쇄된 얼음조각이 상기 토출부(50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와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 사이에 얼음이 끼여서 정체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얼음끼임방지부(330)가 마련된다. The
도 12는 상기 아이스 빈의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bi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블레이드(410)는 회전축(4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20)은 지지판(425)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6의 280 참조)의 연결부재(284)와 연결되는 연결판(428)을 관통한다.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지지판(425)과 상기 연결판(428) 사이에는 상기 연결판(428)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29)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425)에는, 상기 지지판(425)의 측면에 위치하는 얼음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측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426)이 포함된다. An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지지판(425), 연결판(428) 및 상기 탄성부재(429)가 상기 회전축(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20)의 전단부에 삽입부재(21)가 삽입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를 관통한다. 상기 각 고정블레이드(480)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481)이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여기서, 상기 회전축(4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기 고정블레이드(48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481)의 크기는 상기 회전축(4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hrough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안내벽(520)의 하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타측에는 고정부재(485)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485)가 상기 토출안내벽(520)에 형성된 홈(521)에 삽입된다.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한편, 상기 개폐부재(6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 측방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부재(600)는 상기 토출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자체The opening and closing
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4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Or may be supported by an
이는 얼음에 의한 가압작용에 의하여 그 단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가 얼음에 의한 가압 작용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allow the end portion to move downward due to the pressing action by the ice,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action by the ice is released.
상기 얼음토출부재(400), 상기 고정블레이드(480), 개폐부재(600)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장착된 후,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11a)가 장착된다. After the
상기 전면플레이트(311a)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0)나 상기 고정블레이드(48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커버부재(318)가 설치될 수있다.A
도 1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ce maker is rotated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maker in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실(120)에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은 실질적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수직 하방에 배치된다.13 and 14, the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300)의 개방부(310)의 입구(310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사이 영역(A)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배치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빙실(120)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사이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let 310a of the
그 이유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회전 동작에 의해서 뒤집어지고, 얼음(I)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분리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빈(300)으로 낙하되므로, 상기 영역(A)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이 상기 영역(A)을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영역(A)에 위치될 필요성이 없어진다. This is because the
따라서, 상기 영역(A)에 상기 아이스 빈(300)이 위치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체 두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빙실(120) 나아가 상기 냉장고 도어(11)가 슬림해질 수 있다. Therefore, as the
한편,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전후 폭(W) 범위 내에서 위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부터 얼음(I)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다수의 얼음 중 일부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블레이드로 직접 낙하된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고, 낙하되는 얼음(I) 들 중 하나 이상의 얼음(I)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블레이드(410)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이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의 낙하 방향은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의 낙하 방향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회전될 때 그리는 가상의 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다. At this time,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ice separated from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축(212) 까지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서 상기 토출구(510)까지의 최단 수평 거리보다 크다.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ice making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112)의 사이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발포 단열재(115)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아웃 케이스(111)의 배면에는 상기 발포 단열재(115)와 다른 이종의 단열재(116)가 부착된다.Between the outer case of the refrigerating
상기 단열재(116)는 상기 발포 단열재(115)와 비교할 때 그 효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단열재(116)로는 진공 단열재(Vaccum Insulation Panel)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116)는 상기 아웃 케이스(111) 중 상기 제빙실(120)에 대응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The
상기 진공 단열재는 가스투과율이 낮은 외피재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부여한 심재가 수용된 것으로, 폴리 우레탄이나 스티로폼과 비교할 때 단열성능은 월등하게 높은 반면, 그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contains a core material having a vacuum state inside a shell material having a low gas permeability. Compared with polyurethane or styrofoam,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s much higher, while the thickness thereof is relatively thin.
따라서, 상기 단열재(116)가 부착된 영역은 상기 발포 단열재(115)의 충진량을 줄일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제빙실(120)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두 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rea where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의 내부에도 상기 단열재(116)와 같은 상기 진공 단열재로 형성된 제빙실 도어 단열재(물탱크 커버(18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 단열재(134)의 부착으로 상기 제빙실 도어(130)는 보다 슬림하게 설계될 수 있게 된다.The ice making chamber door insulating material (water tank cover 180) formed of the vacuum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he
물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진공 단열재로 형성된 제빙실 도어 단열재(134)와 더불어 발포액을 충진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ice making
이와 같이,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형성된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의 구조 및 상기 단열재(116)와 제빙실 도어 단열재(134)에 의해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된 영역을 보다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슬림화로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제2바스켓(170)이 장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170)이 장착된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측의 선반(18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바스켓(170)이 장착된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회동시에도 다른 측의 냉장실 도어(1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로부터 냉기가 유동되어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로 상기 제빙실(120)의 내측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빙실(120)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연통되는 냉기 덕트(290)가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메이커(210) 쪽으로 냉기를 집중 공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ce making
상기 제빙실(120)의 내측으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를 거치게 되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 내부의 냉기는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를 통해 상기 제빙실(120)의 외측으로 냉기가 배출되며,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를 위해 상기 냉동실(104)로 냉기가 회수된다. 이와 같은 유로를 통해 냉기는 지속적으로 순환되며, 상기 제빙실(120) 내부의 제빙을 위한 온도 및 제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된다.The cool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부의 발포 단열재(115)에 의해 상기 고내 공간과 공간 사이들 단열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제빙실(120)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측에 구비된 시트 형상의 상기 단열재(116)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120)과 외부 공간 사이의 단열을 한층 더 강화시키게 된다.The space between the high-temperature space and the space is insulated by the foamed thermal insulating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부의 발포 단열재 및/또는 시트 형상의 상기 단열재(116)에 의해 상기 제빙실(120) 내부와 상기 냉장실(102) 사이를 단열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ice-making
상기 제빙실(120) 내부의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얼음이 만들어진 부분이 회전을 하여 제빙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수직하방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이빙된 얼음은 상기 얼음토출부재(400) 측으로 직접 떨어지게 되며,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하부 공간에 쌓이게 된다.When ice is produced in the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얼음 취출을 위해 상기 디스펜서(17)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회전하여 제빙된 얼음의 원상태와 같은 각얼음 상태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얼음이 상기 개폐부재(600)를 통해 상기 토출구(510)로 토출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얼음이 고정 블레이드(480)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의 사이에서 파쇄되어 조각얼음 상태로 상기 토출구(510)로 토출된다. When the
즉,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각얼음과 조각얼음으로의 배출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510)로 토출되는 얼음은 얼음덕트(150)의 입구(152)와 출구(154)를 지나서 상기 디스펜서(17)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charge state of the ice into the ice cubes and the ice cub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한편, 상기 제빙실(120) 내부의 제빙 어셈블리(2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빙실(120)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 수 있게 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11)와 제빙실 도어(130)에 구비되는 시트 형상의 단열재(116) 및 제빙실 도어 단열재(134)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11) 및제빙실 도어(130) 자체의 두께 또한 줄어들 수 있게 된다.The inner space of the
즉, 상기 냉장실 도어(11)에서 상기 제빙실(120)이 구비되는 영역이 슬림해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상기 제2바스켓(17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기 제빙실 도어 다이크(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137)와 상기 고정부(172)의 구속에 의해 상기 제2 바스켓(170)은 고정 장착된다.That is, the area where the
도 1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의 고내 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losed.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빙실(120) 하방의 상기 냉장실 도어(11)에 구비된 제1바스켓(160)과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 구비된 상기 제2바스켓(170)이 상기 냉장실(102) 내부의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15,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전방에는 상기 물탱크 커버(18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수납부재(105)의 전방에는 상기 제1바스켓(16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바스켓(160)은 상기 제1수납부재(103)와 제2수납부재(105)의 단차진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The
상세히, 상기 제1바스켓(160)의 후단은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전단과 제2수납부재(105)의 전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바스켓(160)은 상기 제1수납부재(103)의 상방 및 상기 제2수납부재(105)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In detail,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 구비된 상기 제2바스켓(170)은 상기 선반(107)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빙실(120)이 형성된 상기 냉장실 도어(11) 부분이 슬림해지게 되어 상기 제2바스켓(17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닫히게 되더라도 상기 선반(18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선반(180)의 전후 방향 길이 또한 기존의 선반(107)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basket (170) provided on the ice making chamber door (1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helf (107). In this state, the
한편, 상기 냉장실(102)의 후벽면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덕트(101)의 토출구 를 통해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102)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전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can be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frigerating
이때, 상기 제2바스켓(170)의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170)에 형성되는 냉기 안내구(176)를 통해 상기 제2바스켓(170)을 지나 상기 제1바스켓(160) 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기 안내구(176) 둘레의 유도부(178)에 의해 상기 제2바스켓(170)의 내측을 향해 냉기가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2바스켓(170)은 물론 상기 제1바스켓(160)의 내부까지 고르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ol air introduced into the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내부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바스켓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bas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상기 제 2 바스켓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basket;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n opened state of the ice mak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 state where the icemaker assembly is removed from the ice mak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2는 상기 아이스 빈의 분해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bin.
도 1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수직 단면도. 1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4는 도 13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e maker is rotated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maker in FIG.
도 1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의 고내 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closed state;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51A KR101639444B1 (en) | 2009-12-22 | 2009-12-22 | Refrigerator |
US12/961,653 US20110146335A1 (en) | 2009-12-22 | 2010-12-07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51A KR101639444B1 (en) | 2009-12-22 | 2009-12-22 |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436A KR20110072436A (en) | 2011-06-29 |
KR101639444B1 true KR101639444B1 (en) | 2016-07-13 |
Family
ID=4440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351A Active KR101639444B1 (en) | 2009-12-22 | 2009-12-22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94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239B1 (en) * | 2013-05-27 | 2020-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250069039A (en) | 2023-11-10 | 2025-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
KR20250069038A (en) | 2023-11-10 | 2025-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ice mak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52232A1 (en) * | 2004-05-17 | 2005-11-1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airflow passage for ice making compartment of the same |
US20060196214A1 (en) * | 2005-03-02 | 2006-09-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2752B1 (en) * | 2002-05-31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351A patent/KR1016394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52232A1 (en) * | 2004-05-17 | 2005-11-1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airflow passage for ice making compartment of the same |
US20060196214A1 (en) * | 2005-03-02 | 2006-09-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436A (en)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8995B1 (en) | Refrigerator | |
US20110146335A1 (en) | Refrigerator | |
JP5571746B2 (en) | refrigerator | |
KR101631322B1 (en) | Refrigerator | |
KR101584806B1 (en) | Refrigerator | |
EP3059526B1 (en) |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 |
US8733122B2 (en) | Refrigerator having drawer | |
KR101713327B1 (en) | Refirgerator | |
EP2474798A1 (en) |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device | |
KR20130028324A (en) | Refrigerator | |
EP3062048A2 (en) | Refrigerator | |
KR20180057717A (en) | Refrigerator | |
KR20180053415A (en) | Refrigerator | |
KR20180054874A (en) | Refrigerator | |
EP2808627B1 (en) | Refrigerator | |
KR101639443B1 (en) | Refrigerator | |
KR101639444B1 (en) | Refrigerator | |
KR20100113193A (en) | Refrigerator | |
US20240102715A1 (en) | Refrigerator | |
KR20220144216A (en) | Refrigerator | |
KR101652213B1 (en) | Refrigerator | |
KR101260559B1 (en) | Refrigerator | |
KR101621558B1 (en) | Refrigerator | |
KR101691226B1 (en) | Refrigerator | |
KR101596502B1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