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943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435B1
KR101639435B1 KR1020090097162A KR20090097162A KR101639435B1 KR 101639435 B1 KR101639435 B1 KR 101639435B1 KR 1020090097162 A KR1020090097162 A KR 1020090097162A KR 20090097162 A KR20090097162 A KR 20090097162A KR 101639435 B1 KR101639435 B1 KR 10163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gear
door
driving moto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037A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35B1/ko
Priority to US12/729,387 priority patent/US8454102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8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of the line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8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a transmission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한쌍의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각각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어 개방하는 한쌍의 푸쉬로드가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개방, 모터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의 밀폐를 위해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캐비닛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은 스틸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의 내측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도어의 차폐시 자석에 의해 상기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상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가스켓 내부의 자석이 가지는 자력만큼의 힘이 더 들게 되며, 냉장고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냉장고 도어가 커지고 도어 배면의 수납공간이 증가하게 되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힘이 더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한쌍의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각각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어 개방하는 한쌍의 푸쉬로드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조작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동작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기어부재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어서 개방시키는 한쌍의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와 인접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전환을 위해 푸쉬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는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쉬로드에는 상기 이동가이 드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이동 가이드와 가이드 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 후방의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상기 푸쉬로드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 부재는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푸쉬로드의 중립위치와 최대 전진 위치 및 최대 후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와 푸쉬로드에 위치 확인부와 감지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두개의 상기 위치 확인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푸쉬로드가 중립상태에서 상기 위치 확인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하나의 상기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로드의 중립위치와 최대 전진위치 및 최대 후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위치 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는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상기 푸쉬로드의 최대 이동, 최소 이동 및 초기 위치시 상기 발광부의 빛을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측면에 구비며, 상기 차단부는 대응하는 상기 푸쉬로드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의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평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축이 상기 푸쉬로드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웜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와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의 랙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축이 상기 푸쉬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하나의 기어부재는 양측의 푸쉬로드의 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푸쉬로드의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푸쉬로드에 전달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푸쉬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랙기어부;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푸쉬로드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푸쉬로드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복수의 기어가 상기 웜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랙기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푸쉬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푸쉬로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방향과 상기 구동모터의 축의 연장방향은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차단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푸쉬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한쌍의 푸쉬로드 중 하나를 전 진이동시켜 한쌍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밀어 개방 또는 개방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상기 도어의 개방시작을 위한 가스켓의 분리에 드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한쌍의 도어어 각각을 개방하기 위한 푸쉬로드의 동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성이 간결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푸쉬로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한쌍의 푸쉬로드 모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푸쉬로드 위치정보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성의 간결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효과가 한층 더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은 한쌍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에 힌지결합되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한쌍의 도어(20) 전면에는 각각 도어 핸들(3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핸들(30)은 상기 도어(20)의 좌우측 중 상기 힌지(40)로부터 먼쪽의 단부에 구비되어 좌우 양측의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3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며, 상기 조작부(32)의 조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이 결정되어 상기 구동모터(20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 핸들(3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해 파지하게 될 때 상기 조작부(32)를 통해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센서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도어 핸들(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도어(20) 중 사용자가 개방을 원하는 도어(20)의 도어 핸들(30)을 파지할 때 해당하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외측 상면에는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사용자의 상기 도어 핸들(30) 파지시 해당하는 상기 도어(20)를 밀어 개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10) 상면 전단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구비된 상기 도어(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한쌍의 도어(20) 각각을 개방하기 위한 한쌍의 푸쉬로드(400)가 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다른 구성들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00), 상기 도어(20)를 밀어 개방하는 푸쉬로드(4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상기 푸쉬로드(400)로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케 이스(100)의 전면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푸쉬로드 관통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구동모터(20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로 다양한 형태의 전기모터가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도 2에서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쉬로드(400)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축(210)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는 웜기어(3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푸쉬로드(400)가 구비된다.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기어부재(300)와 기어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전후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400)는 최초의 중립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의 배면과 접하거나 떨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를 밀어서 개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로드(40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푸쉬로드 관통구(110)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반부(도 2에서 좌측)에는 랙기어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부(41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부재(300)와 기어 결합되는 부분 으로, 상기 푸쉬로드(400)의 스트로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하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4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 가이드(120)를 수용하여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 직선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부재(300)는 상기 웜기어(310)와 제1기어(320) 내지 제4기어(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 상기 웜기어(310)가 장착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1기어(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320)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과 교차되는 회전축(210)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320)의 상면에는 직경이 다소 작은 상부기어(3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기어(322)는 제2기어(33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기어(330)는 다시 제3기어(34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3기어(340)의 상면에도 직경이 작은 상부기어(342)가 형성된다. 상기 제3기어(340)의 상부기어(342)의 상하 양측에는 한쌍의 제4기어(350)가 각각 상기 상부기어(34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기어(350)는 각각 인접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랙기어부(410)와 서로 맞물려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웜기어(310)를 제외한 다수의 기어부재(300)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들 다수의 기어비가 서로 다른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이 감속되어 토크가 증가된 상태로 상기 푸쉬로드(400)로 전달되어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하측에 구비된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며, 어느 하나가 전진하게 되면, 다른 하나는 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가 정지된 초기상태 또는 중립상태에서는 상기 푸쉬로드(400)는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400)의 장착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후단에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푸쉬로드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 의 I-I'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하 양측의 푸쉬로드(40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진 이 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로드(4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기 푸쉬로드 관통구(110)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단(도 2에서 볼 때)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가장 후방에 이동하게 될 때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40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20)은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단에서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후단에는 스토퍼(13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12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연장되는 방향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푸쉬로드(400)에는 위치감지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푸쉬로드(400)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부(51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감지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20)는 스 위치 또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감지부(52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거나 개구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감지부(520)에서 인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확인부(510)와 상기 감지부(520)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 및 상기 구동모터(200)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부(32)와도 연결되는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감지부재(500) 및 조작부(32)로부터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도어(20) 개방을 위한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200)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4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또는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520)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520)는 상기 케이스(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확인부(510)의 인식이 가능한 접촉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52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의 위치 확인부(510)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전방과 후방의 위치 확인부(512,514)가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와 후방의 감지부(524)에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 즉 중립의 위치(제1위치)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중립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 또한 동일하게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후방의 위치 확인부(514)가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에서 인식되고, 상기 후방의 감지부(524)에서 인식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되는 경우(일측의 푸쉬로드가 제2위치에 있음)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최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전방의 위치 확인부(512)가 상기 후방의 감지부(524)에서 인식되고,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에서 인식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최대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위치감지부재의 위치 확인부와 감지부는 도 5에서의 상기 위치감지부재의 위치 확인부 및 감지부와 그 수량과 위치 및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가이드 홈(420) 내측에 구비되는 세개의 위치 확인부(530)와 상기 이동 가이드(120)에 구비되는 하나의 감지부(5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감지부(540)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 즉,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세개의 상기 위치 확인부(530) 중 중앙에 위치한 위치 확인부(5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감지부(530)에 중앙에 위치한 위치 확인부(532)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 위치 즉, 중립 위치(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의 위치 확인부(532) 전방과 후방에도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전방 위치 확인부(534)와 후방 위치 확인부(5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540)에서 상기 전방의 위치 확인부(534)가 인식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푸쉬로드가 제2위치에 위치함). 그리고, 상기 감지부(540)에서 상기 후방의 위치 확인부(536)가 인식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560)와, 상기 발광부(560)에서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570) 그리고, 상기 발광부(560)에서 발산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 감지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560)는 상기 푸쉬로드(400) 측방의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56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위치(제1위치) 즉, 중립상태일 때 아래에서 설명할 차단부(4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일측면에는 수광부(570)가 구비된다. 상기 수광부(570)는 상기 발광부(560)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광부(570)는 전방의 발광부(562)에서 후방의 발광부(564)까지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두개의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43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30)는 전후방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430)가 형성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일면은 상기 차단부(4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430)에 의해서만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제2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의 차단부가 상기 전방의 발광부(562)를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는 후방의 발광부(564)에서 조사되는 빛만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의 차단부가 상기 후방의 발광부(564)를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는 전방의 발광부(562)에서 조사되는 빛만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며,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개시되는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 신호전달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일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타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 면도이다.
도 2,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전 상기 도어(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32)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도어(20)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방장치(50)는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에 구비되는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모두 상기 각각의 도어(20) 후방에 배치되며, 접촉 또는 다소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도어(20)로 개방을 위한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400)는 초기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 5의 (a)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한쌍의 위치 확인부(510)는 각각 대응하는 한쌍의 감지부(5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모두 동일한 길이만큼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가 양측의 도어(20) 중 일측의 도어 핸들을 잡게 되면, 상기 도어 핸들(30)에 구비되는 조작부(32)에 해당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양측의 도어(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양측의 도어(20) 중 개방되는 도어(20)가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구동모터(20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고,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 장착된 웜기어(310)를 비롯하여,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된 제1기어(320) 및 연속하여 연결된 제2,3,4,기어(330,340,350)들로 구성되는 기어부재(30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320) 내지 제4기어(350)는 기어비가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구동모터(20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에 전달되는 힘이 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기어(350)의 회전으로 상기 제4기어(350)와 기어 결합되는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개방을 위한 상기 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의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렇지 않은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400)는 후방의 위치 확인부(514)가 전방의 감지부(522)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5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이동시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단이 상기 도어(20)의 배면을 밀어서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최대 전방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며,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에서는 상기 제어부(130)로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정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상기 구동모터(200)를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전방으로 최대 이동되었던 상기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방으로 최대 이동되었던 상기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상기 푸쉬로드(400)는 도 5의 (a)와 같은 초기위치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20) 중 반대편 도어(20)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될 경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진되어 해당하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기어부재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 개방장치(50)는 케이스(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구동모터(200)와 웜기어(310) 및 전달기어(310)로 구성되는 기어부재(301) 그리고, 전달기어(310)와 기어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푸쉬로드(40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도 12에서 볼 때)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축(210)이 연장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의 푸쉬로드(40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의 단부에는 웜기어(310)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양측에는 전달기어(310)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된다.상기 전달기어(310)는 평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양측에서 상기 푸쉬로드(400)의 랙기어부(4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웜기어(310)의 회전력은 상기 전달기어(310)를 통해 상기 푸쉬로드(4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400)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하나의 웜기어(310)에 맞물리는 각각의 전달기어(310)에 의해 이동되므로, 하나의 푸쉬로드(400)가 전진 이동하게 될 경우 나머지 하나의 푸쉬로드(400)는 후진 이동 하게 된다.
상기 푸쉬로드(400)의 하방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푸쉬로드(400)와 케이스(100)에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 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양측의 도어(20) 중 일측의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구동모터 및 기어부재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케이스(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구동모터(200)와 웜기어(310) 및 전달기어(310)로 구성되는 기어부재(300) 그리고, 전달기어(310)와 기어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푸쉬로드(40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대략 중앙에는 구동모터(2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일반적인 디씨모터보다 두께가 얇은 압전모터와 같은 모터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장착 가능 할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400)의 사이에 장착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은 상기 푸쉬로드(40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랙기어부(410)와 맞물리는 기어부재(302)가 장착된다.
상기 기어부재(300)는 하나의 기어로 중심축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이 되며, 상기 기어부재(302)의 양측에 상기 푸쉬로드(400)의 랙기어부(410)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시 상기 기어부재(30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기어부재(302)의 회전으로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302)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과 상기 푸쉬로드(400)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는 다수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푸쉬로드(400)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랙기어부(410)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기어부재(302)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부재(302)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푸쉬로드(400)와 상기 기어부재(30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기어부재(300)의 대향되는 양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시 상기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대 응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타측의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전방 이동되는 푸쉬로드(4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결정된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400)의 하방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푸쉬로드(400)와 케이스(100)에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 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양측의 도어(20) 중 일측의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푸쉬로드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의 I-I'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 신호전달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일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타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 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Claims (16)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홈이 형성된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푸쉬로드의 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이동 가이드;
    상기 푸쉬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쉬로드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랙 기어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랙 기어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다수의 위치 확인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웜 기어와, 상기 웜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 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푸쉬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가 구비되는 냉장고.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방향과 상기 구동모터의 축의 연장방향은 교차되는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푸쉬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97162A 2009-10-13 2009-10-13 냉장고 Active KR10163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62A KR101639435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US12/729,387 US8454102B2 (en) 2009-10-13 2010-03-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62A KR101639435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37A KR20110040037A (ko) 2011-04-20
KR101639435B1 true KR101639435B1 (ko) 2016-07-13

Family

ID=4385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62A Active KR101639435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4102B2 (ko)
KR (1) KR101639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80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022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U2011251962B2 (en) * 2010-05-14 2013-10-10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mechanism
DE102011084825A1 (de) * 2011-10-19 2013-04-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S9474433B2 (en) * 2011-12-30 2016-10-25 Arcelik Anonim Sirketi Dish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mechanism
ITTO20120642A1 (it) * 2012-07-23 2014-01-24 Elbi Int Spa Sistema per controllare la chiusura di una porta di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per una macchina lavatrice, quale una macchina lavastoviglie.
JP5961480B2 (ja) * 2012-08-10 2016-08-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20140265805A1 (en) * 2013-03-15 2014-09-18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automatic door opener
CN104077843A (zh) * 2013-03-25 2014-10-0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
KR20140121187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E102013103819A1 (de) * 2013-04-16 2014-10-16 Miele & Cie. Kg Kühlgerät
JP6177574B2 (ja) * 2013-04-23 2017-08-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開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DE102013223728A1 (de) * 2013-11-20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JP6165604B2 (ja) * 2013-11-29 2017-07-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4107367B4 (de) * 2014-05-26 2022-10-06 Miele & Cie. Kg Kühlgerät
CN104328971B (zh) * 2014-08-18 2016-07-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1655801B1 (ko) * 2014-09-05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644438B1 (ko) * 2014-11-20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49151B1 (ko) * 2014-12-31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1883B1 (ko) 2015-01-2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5207311A1 (de) * 2015-04-22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Überlast-Schutzeinrichtung einer Öffnungs-Hilfs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DE102015207314A1 (de) * 2015-04-22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Öffnungs-Hilfsvorrichtung
EP4036499B1 (en) 2015-06-11 2024-10-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7018864A1 (ko) *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7083099A (ja) * 2015-10-30 2017-05-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091549B (zh) * 2016-05-27 2018-04-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开关门装置和冰箱
TR201612437A2 (tr) * 2016-09-02 2018-03-21 Arcelik As Bi̇r buzdolabi
KR101897356B1 (ko) *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73115B1 (ko) * 2016-11-03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070991B (zh) * 2016-11-17 2021-08-0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的开门装置
CN106437391B (zh) * 2016-12-21 2018-03-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自动开关装置和制冷设备
CN106761136B (zh) * 2016-12-27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US10995536B2 (en) * 2017-01-03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08080B1 (ko) * 2017-04-05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0433B1 (ko) 2017-04-24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2016B1 (ko) * 2017-05-17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8499B1 (ko) * 2017-06-02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KR102530693B1 (ko) * 2017-11-27 202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94128B1 (ko) * 2017-12-01 2023-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10339B1 (ko) * 2018-03-14 2019-08-13 (주)세고스 액추에이터
WO2019177413A1 (ko) * 2018-03-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8457549A (zh) * 2018-04-10 2018-08-28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自动开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826926B (zh) * 2018-12-11 2020-11-24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具有其的冰箱
DE102019109650A1 (de) * 2019-04-11 2020-10-15 Hettich-Oni Gmbh & Co. Kg Öffnungsvorrichtung für ein Kühlgerät
KR102091596B1 (ko) * 2019-04-23 2020-03-20 (주)세고스 액추에이터
US10648218B1 (en) * 2019-05-31 2020-05-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with push-to-open door opener
CN110965288B (zh) * 2019-11-25 2024-02-20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开关门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1236786B (zh) * 2020-01-14 2022-02-15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开启系统、方法及车辆
CN113445846B (zh) * 2020-03-27 2022-11-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冰箱
CN113439962B (zh) * 2020-03-27 2022-1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自动开门和关门装置及冰箱
CN113701441B (zh) * 2020-05-22 2024-07-05 南京中竞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及冰箱自动关门方法
CN112647794B (zh) * 2020-12-30 2022-04-22 湖北美的电冰箱有限公司 开门机构、门组件和储物柜
KR20220114869A (ko) * 2021-02-09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KR20220114870A (ko) * 2021-02-09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US20230349630A1 (en) * 2022-05-02 2023-11-02 BSH Hausgeräte GmbH Method for determining an actuation of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by a user, apparatus for this purpose and also household appliance having the apparatus
CN117780219A (zh) * 2022-09-20 2024-03-29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开关门装置及电器设备
KR20250032816A (ko) * 2023-08-30 202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334A (ja) * 1999-04-07 2000-10-17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およびドア開閉機構
KR200411123Y1 (ko) * 2005-11-29 2006-03-10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589A (en) * 1971-11-15 1973-05-22 Feeders Corp Height adjustment means
KR0180189B1 (ko) * 1995-11-27 1999-05-15 배순훈 위성방송수신장치의 요금카드삽탈장치
TW508426B (en) * 1999-08-17 2002-11-01 Toshiba Corp Door opening device for storage apparatus
KR100597754B1 (ko) * 2004-10-29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방방법
KR100675795B1 (ko) * 2004-11-0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문형 냉장고 및 양문형 냉장고의 도어 개방 방법
US7819488B2 (en) * 2006-10-09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099970B2 (en) * 2006-12-08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64022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334A (ja) * 1999-04-07 2000-10-17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およびドア開閉機構
KR200411123Y1 (ko) * 2005-11-29 2006-03-10 동보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80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42576B1 (ko) 2017-01-03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37A (ko) 2011-04-20
US20110083461A1 (en) 2011-04-14
US8454102B2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435B1 (ko) 냉장고
KR101658668B1 (ko)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EP3189292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10887320B (zh) 冰箱
JP6771609B2 (ja) 冷蔵庫
KR101768699B1 (ko)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KR1015941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KR101644438B1 (ko) 냉장고
KR10240303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40072974A (ko) 가전기기,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119027A (ko) 냉장고
KR101768698B1 (ko)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US10309143B2 (en) Refrigerator
KR101578354B1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745124B1 (ko) 냉장고
KR1015258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72547B1 (ko) 도어 자동열림장치가 장착된 양문형 냉장고
CN114508881B (zh) 一种冰箱
KR101504359B1 (ko) 냉장고
JP2009127980A (ja) 冷蔵庫
KR102492945B1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
KR0129658Y1 (ko) 냉장고의 도아
KR101611609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102486263B1 (ko) 냉장고
JP200815136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