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418B1 -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 Google Patents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9418B1 KR101639418B1 KR1020160027567A KR20160027567A KR101639418B1 KR 101639418 B1 KR101639418 B1 KR 101639418B1 KR 1020160027567 A KR1020160027567 A KR 1020160027567A KR 20160027567 A KR20160027567 A KR 20160027567A KR 101639418 B1 KR101639418 B1 KR 101639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uilding
- cage
- foot plate
- entr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도어가 개방되면 발판전개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에 대향된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고, 출입도어가 폐쇄되면 발판가압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되게 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도어와 건축물 사이의 개방공간을 막아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의 출입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도어 개폐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힌지가 마련되고, 양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을 갖는 발판본체와, 상기 출입도어의 개방시 상기 발판본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건축물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발판본체에 설치되는 발판전개부 및 상기 출입도어 폐쇄시 상기 절곡편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판본체가 상기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출입도어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 door is opened, the footrest main body is pivoted toward the building opposite to the door by a footstool expansion unit and the footstep body is pivoted toward the entrance door by the footstep pressing unit when the access door is closed. .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n entrance of a cage to prevent a fall accident by blocking an open space between an entrance door and a building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cage, A footstool body having a plurality of hinges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bent piece bent at both ends thereof; and a footstool body mounted on the footstool body so that the footstep body can be turned toward the building by its own weight when the access door is opened And a foot pressing par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so that the foot body can be pivoted toward the door by pressing the bending piec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도어가 개방되면 발판전개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에 대향된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고, 출입도어가 폐쇄되면 발판가압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되게 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More specifically, when the access door is opened, the footrest main body is pivoted toward the building opposite to the entrance door by the footrest extension, Thereby causing the main body to be pivoted toward the access door.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스트를 따라 승강되어 건설자재 또는 인력을 층별로 운반해주는 리프트(lift)가 설치된다. Generally, a lift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site to lift a building material or manpower according to a vertical mast.
이러한 리프트는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터를 타고 이동되면서 각 층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여닫는 구조이며, 호출된 해당 층에 도착하면 도어의 앞에 연결된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혀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에 공간을 막는 작업을 수행한다. Such a lift is structur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stopping at each floor while being moved by a master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n the floor reached the called floor, the lif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door is turned toward the building, And performs a work to prevent the space from being filled.
이때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히는 작업은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리프트가 해당층에 정차하여 도어가 열리면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히는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서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의 간격이 메워지도록 해야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door is opened to the floor,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footboard toward the building must be carried ou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entrance of the lift You have to get it filled.
그러나 종래의 건설 리프트는 작업자가 리프트에서 내릴 때마다 수작업을 통해서 발판을 건물 측으로 내리는 작업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며, 부주의한 경우에 발판을 건물 측으로 젖히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트에서 내리면 건물과 리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al lift, it is necessary to manually perform the work of lowering the footrest to the building side by hand each time the worker gets off the lift. In case of carelessness, when the footrest is lifted from the lift without lifting the footrest to the building side,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foot of the worker is lost.
또한, 리프트에 탑승한 작업자의 손에 공구나 건설 자재 등의 물품이 들려 있을 경우에는 발판을 내리기 위해 손에 들고 있던 물품을 리프트의 바닥에 내려 놓은 후 발판을 젖히고 내려놓은 물품을 다시 들어야 하므로 작업자를 매우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ool or a construction material being held in the hand of a worker on the lift, the article held by the hand must be lowered on the floor of the lift to lower the footre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troublesom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입도어가 개방되면 발판전개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에 대향된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고, 출입도어가 폐쇄되면 발판가압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되게 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structure for a door, which, when the door is opened, is pivotally moved toward a building opposed to the door by a cushion expansion unit, an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 구조체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도어와 건축물 사이의 개방공간을 막아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지의 출입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도어 개폐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힌지가 마련되고, 양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을 갖는 발판본체와, 상기 출입도어의 개방시 상기 발판본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건축물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발판본체에 설치되는 발판전개부 및 상기 출입도어 폐쇄시 상기 절곡편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판본체가 상기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which prevents a fall accident by blocking an open space between an entrance door and a building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cage, A pedestal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hinges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having a bending piece bent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pedestal main body can be turned toward the building by its own weight when the access door is opened; And a foot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so that the foot body can be pivoted toward the door by pressing the bending piece when the door is closed. do.
여기서, 상기 발판전개부는, 상기 출입도어 폐쇄시 상기 케이지의 출입구 하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발판본체의 상측이 건축물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일면에 설치된 안착부재와, 상기 출입도어 개방시 상기 발판본체가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회동되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타면에 설치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ootrest expansion unit may include a seating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body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footrest body is tilted toward the building by being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of the cag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weigh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oot plate body so as to be pivoted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발판가압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양측 하부에서 일부가 상기 케이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케이지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면에 연장되어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ootrest press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age so as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door, and a pressing memb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x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출업도어가 폐쇄되면 하향으로 절곡된 부위가 상기 절곡편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may have a length such that a downwardly bent portion can hold the bent piece in a pressed state when the operation door is closed.
또한, 상기 발판본체의 회동시 상기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에 상기 발판본체가 충돌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판본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ushioning pad provided on the footstep body to reduce an impact when the footstep body collides with the cage and the building upon rotation of the footstrap body; And further compri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도어 개폐시 발판전개부와 발판가압부에 의해 발판본체가 자동으로 회동되는 구조로 인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발판본체를 접거나 펼치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리프트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otplate body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footplate expanding portion and the footplate pressing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effortlessly fold or unfold the footplate body manually , A safety accident that falls into a space between the lift and the building is prevented.
또한, 발판본체에 완충패드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발판본체의 회동시 발판본체가 케이지와 건축물에 강하게 충돌되어도 케이지와 건축물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pad is provided on the foot plat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ge and the building are not damaged even if the foot plate body strongly collides against the cage and the building when the foot plate body rotat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발판전개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발판가압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deploying portion of the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lift shown in Fig. 1;
3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pressing portion of the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lift shown i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발판전개부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발판가압부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ootrest expansion portion of the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pressing portion of the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lift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is shown.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는 케이지(3)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개폐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출입도어(5)와 건축물의 각층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을 막아 작업자나 건축자재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발판본체(10), 발판전개부(20), 발판가압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4,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발판본체(10)는 출입도어(5)가 개방되면 발판전개부(20)에 의해 출입도어(5)에 대향된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고, 출입도어(5)가 폐쇄되면 발판가압부(30)에 의해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지(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지(3)의 출입구 하부에 설치된다. When the
이러한 발판본체(10)에는 출입도어(5)의 개폐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케이지(3)의 출입구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11)가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힌지(11)는 발판본체(1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안정적인 회동을 위해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foot plate
또한, 발판본체(10)에는 출입도어(5) 폐쇄시 추후에 설명될 발판가압부(30)의 가압부재(32)에 눌려짐으로써, 발판본체(10)를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되게 하는 절곡편(12)이 양단부에 절곡되도록 연장된다. When the
이때 절곡편(12)은 발판본체(10)가 건축물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측으로 기울어지고,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그러면 발판본체(10)가 건축물 쪽으로 회동된 경우에는 발판가압부(30)가 절곡편(12)을 가압할 수 있게 되고, 발판본체(10)가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된 경우에는 발판가압부(30)가 절곡편(12)을 가압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상기 발판전개부(20)는 출입도어(5) 개방시 케이지(3)의 출입구 하부에 설치된 발판본체(10)가 펼쳐져서 출입도어(5)와 건축물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막을 수 있도록 발판본체(10)를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착부재(21)와 중량부재(22)를 포함한다. The
구체적으로 안착부재(21)는 출입도어(5)가 폐쇄되면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된 발판본체(10)의 상측을 소정의 각도로 건축물 쪽에 기울어지게 하는 것으로 구부러진 고리 형상을 갖으며, 발판본체(1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건축물 쪽으로 회동된 발판본체(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Specifically, the
예를 들어, 안착부재(21)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출입도어(5) 폐쇄시 발판본체(10)는 출입도어(5) 쪽으로 접혀지기 때문에 출입도어(5)가 개방되어도 발판본체(10)가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즉, 발판본체(10)가 중량부재(22)에 의해 건축물 쪽으로 자동 회동될 수 있도록 안착부재(21)는 출입도어(5) 폐쇄시 케이지(3)의 출입구 하부에 안착되어 접혀진 발판본체(10)의 상측을 건축물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중량부재(20)는 출입도어(5)가 어느 정도 개방되면 발판본체(10)가 건축물 쪽으로 자동 회동되게 중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판본체(10)의 타면, 바람직하게는 건축물 쪽으로 회동된 발판본체(10)의 하면에서 발판본체(10)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The
이에 따라, 발판본체(10)는 중량부재(20)에 의해 출입도어(5)가 완전히 개방되기도 전에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어 작업자가 발판본체(10)를 펼치려는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게 되고, 출입도어(5)와 건축물 사이에 공간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ootrest
상기 발판가압부(30)는 출입도어(5) 폐쇄시 케이지(3)가 원활하게 승, 하강될 수 있도록 건축물 쪽으로 펼쳐진 발판본체(10)를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부재(31)와 가압부재(32)로 이루어진다. The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1)는 출입도어(5) 개폐시 출입도어(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출입도어(5)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Specifically, the
이때 고정부재(31)는 출입도어(5)의 개폐 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일부가 케이지(3)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가압부재(32)는 출입도어(5)가 폐쇄되면 절곡편(12)을 타격하듯이 가압하여 건축물 쪽으로 회동된 발판본체(10)를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고정부재(31)의 후면, 바람직하게는 일부가 케이지(3)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재(31)의 후면에 연장되어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When the
이러한 가압부재(32)는 출입도어(5)가 완전히 폐쇄되면 하향으로 절곡된 부위가 발판본체(10)의 절곡편(12)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러면 발판본체(10)는 출입도어(5)가 어느 정도 폐쇄되면 출입도어(5)의 하강 동작과 함께 출입도어(5) 쪽으로 회동되고, 출입도어(5)가 완전히 폐쇄되면 건축물 쪽으로 회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When the
한편,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1)가 형성된 반대편의 발판본체(10)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패드(40)가 장착될 수 있다. 4, a
이와 같은 완충패드(40)는 발판본체(10)의 회동 동작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펼쳐진 발판본체(10)의 상하면 일부를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그러면 출입도어(5) 개폐시 발판본체(10)가 케이지(3) 또는 건축물에 강하게 부딪히더라도 완충패드(40)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케이지(3) 및 건축물이 손상되지 않음은 물론, 부딪힐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
3: 케이지 5: 출입도어
10: 발판본체 11: 힌지
12: 절곡편 20: 발판전개부
21: 안착부재 22: 중량부재
30: 발판가압부 31: 고정부재
32: 가압부재 40: 완충패드3: Cage 5: Access door
10: footstool body 11: hinge
12: bending piece 20:
21: seat member 22: weight member
30: Footstool pressing portion 31: Fixing member
32: pressure member 40: buffer pad
Claims (5)
상기 케이지의 출입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도어 개폐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힌지가 마련되고, 양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을 갖는 발판본체;
상기 출입도어의 개방시 상기 발판본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건축물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발판본체에 설치되는 발판전개부; 및
상기 출입도어 폐쇄시 상기 절곡편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판본체가 상기 출입도어 쪽으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가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전개부는,
상기 출입도어 폐쇄시 상기 케이지의 출입구 하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발판본체의 상측이 건축물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일면에 설치된 안착부재와,
상기 출입도어 개방시 상기 발판본체가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회동되도록 상기 발판본체의 타면에 설치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발판구조체.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for preventing a fall accident by blocking an open space between an entrance door and a building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cage,
A foot plate main body provided under the entrance of the c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hinges at one side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foot spreader installed on the foot plate body so that the foot plate body can be pivoted toward the building by its own weight when the access door is opened; And
A foot pressing part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door so that the foot body can be pivoted toward the door by pressing the bending piece when the door is closed; , ≪ / RTI &
Wherein,
A seating memb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foot plate body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foot plate body is inclined toward the building by being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of the cag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weigh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oot plate body so that the foot plate body is pivo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access door is opened.
상기 발판가압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양측 하부에서 일부가 상기 케이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케이지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면에 연장되어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발판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door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outward from the cage;
And a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of the cage and bent downward.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출입도어가 폐쇄되면 하향으로 절곡된 부위가 상기 절곡편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발판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sing member has a length such that a downwardly bent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can hold the bent piece in a pressed state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발판본체의 회동시 상기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에 상기 발판본체가 충돌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판본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발판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ushioning pad provided on the footstep body so as to mitigate an impact when the footstep body collides with the cage and the building upon rotation of the footstrap body; Further comprising: a safety footrest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li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567A KR101639418B1 (en) | 2016-03-08 | 2016-03-08 |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567A KR101639418B1 (en) | 2016-03-08 | 2016-03-08 |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9418B1 true KR101639418B1 (en) | 2016-07-22 |
Family
ID=5668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5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9418B1 (en) | 2016-03-08 | 2016-03-08 |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941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5009B1 (en) | 2017-06-30 | 2017-10-12 | 석동호 | Hoist |
KR20190066900A (en) * | 2017-12-06 | 2019-06-14 | 주식회사 아세스 | System for mobile swimming pool |
KR102151915B1 (en) | 2020-02-25 | 2020-09-03 | 장명진 | Installaion method of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
KR102151914B1 (en) | 2020-02-25 | 2020-09-03 | 장명진 |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with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258349B1 (en) | 2020-11-10 | 2021-05-31 | 이상진 | Construction lift with safety footrest |
CN117868456A (en) * | 2024-01-12 | 2024-04-12 | 新疆兵团市政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 Hanging basket for building constru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8955A (en) * | 1995-08-22 | 1997-03-04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Sill space reducing device of elevator |
KR100804065B1 (en) | 2006-11-15 | 2008-02-18 | 주식회사 리프텍 | Industrial lifts with folding footstool and its folding footstool |
CN102363490A (en) * | 2011-11-17 | 2012-02-29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Safety linkage device of building construction person and material elevator |
-
2016
- 2016-03-08 KR KR1020160027567A patent/KR10163941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8955A (en) * | 1995-08-22 | 1997-03-04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Sill space reducing device of elevator |
KR100804065B1 (en) | 2006-11-15 | 2008-02-18 | 주식회사 리프텍 | Industrial lifts with folding footstool and its folding footstool |
CN102363490A (en) * | 2011-11-17 | 2012-02-29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Safety linkage device of building construction person and material elevato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5009B1 (en) | 2017-06-30 | 2017-10-12 | 석동호 | Hoist |
KR20190066900A (en) * | 2017-12-06 | 2019-06-14 | 주식회사 아세스 | System for mobile swimming pool |
KR102067876B1 (en) * | 2017-12-06 | 2020-01-20 | 주식회사 아세스 | System for mobile swimming pool |
KR102151915B1 (en) | 2020-02-25 | 2020-09-03 | 장명진 | Installaion method of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
KR102151914B1 (en) | 2020-02-25 | 2020-09-03 | 장명진 |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with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258349B1 (en) | 2020-11-10 | 2021-05-31 | 이상진 | Construction lift with safety footrest |
CN117868456A (en) * | 2024-01-12 | 2024-04-12 | 新疆兵团市政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 Hanging basket for building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9418B1 (en) | Safety scaffold structure for construction lift | |
US20070261917A1 (en) | Foldable work platform | |
KR102180713B1 (en) | Lift | |
KR101676346B1 (en) | Structure of veranda with improved safety | |
KR101873395B1 (en) | Elevating type cage for architecture | |
KR101557013B1 (en) | gang form and gang form door apparatus | |
KR102089226B1 (en) |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 |
KR101793003B1 (en) | Rotate-type ladder for building and walk plate system for mold comprising the rotate-type ladder for building | |
KR102560658B1 (en) | Work boarding device | |
JP3921099B2 (en) | Elevator protection plate device | |
KR101756054B1 (en) | A foldable danger mark apparatus for preventing worker fallng from at lifting gang form | |
CN103711427A (en) | A movable railing with automatic closing function | |
KR101046178B1 (en) | Open Safety Scaffold | |
KR101920154B1 (en) | Ladder for elevator pit | |
KR102258349B1 (en) | Construction lift with safety footrest | |
AU649856B2 (en) | Cantilever scaffold device | |
JP6976536B2 (en) | Cover structure for double floors | |
KR102039521B1 (en) | Public safety ladder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70043288A (en) | a work scatfold structure including automatic closing cover | |
KR102105278B1 (en) |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 |
KR102831490B1 (en) | Scaffold Having Closing Door | |
KR200394632Y1 (en) | A site of construction | |
US11312422B2 (en) | Control station for a soil-processing machine | |
KR101824327B1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 |
JPH08337395A (en) | Safety guide of table lif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