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44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7844B1 KR101637844B1 KR1020150105022A KR20150105022A KR101637844B1 KR 101637844 B1 KR101637844 B1 KR 101637844B1 KR 1020150105022 A KR1020150105022 A KR 1020150105022A KR 20150105022 A KR20150105022 A KR 20150105022A KR 101637844 B1 KR101637844 B1 KR 101637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terminal
- token
- deposit
- atm
- toke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사이의 정보 전송을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현금 입출금 업무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위한 토큰(token) 생성 요청이 접수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접수된 토근 생성 요청에 대응되도록 토큰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전송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가 ATM(현금 자동 입출금기)으로 전송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를 전송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토큰 정보의 유효성 검토를 수행한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ATM을 통해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by quickly and easily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a method of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h withdrawal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a token creation request for a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token generation request received through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ken to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in which the tok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from the ATM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through the third step;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valida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tep and provid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through the ATM if there is no abnorma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사이의 정보 전송을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현금 입출금 업무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터넷 기술의 발달 등에 힘입어 많은 금융 업무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금융 서비스의 이용자가 항상 통장이나 카드 등을 휴대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점차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일반적인 카드 결제 등의 업무 처리까지 가능해 짐으로써 이와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 하고 있다.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many financial transactions can be done online, and therefore the necessity of users of financial services always have to carry passbooks and cards is gradually decreasing. In particular, this trend is accelerating a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can be used for general card payment transactions.
하지만, 수많은 금융 서비스 가운데 현금의 입출금 관련 업무에 있어서만은 여전히 통장이나 카드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대다수의 금융 업무가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처리 가능해진 최근에도 여전히 대다수의 금융 서비스 이용자들은 가방이나 지갑에 하나 이상의 카드를 휴대하고 다니는 실정이다.However, among the many financial services, the use of passbooks and cards is still required only in the case of cash withdrawals and withdrawal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financial transactions have been able to be processed by computers or mobile terminals, Financial service users carry more than one card in their bags or purs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통장이나 카드를 이용하지 않고 ATM에서 직접 현금의 입출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scheme for enabling cash withdrawal and withdrawal from ATMs directl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using a bankbook or a car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사이의 정보 전송을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현금 입출금 업무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ash dispenser, which can quickly and easily process cash deposits and withdrawals through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위한 토큰(token) 생성 요청이 접수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접수된 토근 생성 요청에 대응되도록 토큰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전송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가 ATM(현금 자동 입출금기)으로 전송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를 전송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토큰 정보의 유효성 검토를 수행한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ATM을 통해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token for a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a first step of receiving a token generation request;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token generation request received through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ken to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in which the tok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from the ATM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through the third step;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valida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tep and provid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through the ATM if there is no abnormality.
여기서, 상기 제5 단계의 유효성 검토는,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생성된 토큰 정보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토큰 정보의 동일성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validity check of the fifth step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tep.
또한, 상기 제5 단계의 유효성 검토는,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생성된 토큰 정보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토큰 정보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이 규정된 유효 시간 이내인지의 판단을 통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효 시간은 1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validity check of the fifth step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tim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the recep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tep is within a prescribed effective time It may be additionally made through judgment,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ffective time is one minute.
이때,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마그네틱 카드의 트랙 3(Track 3) 정보 형태로 변환된 토큰가 정보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third step, the token value information converted into the track 3 information type of the magnetic card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ATM by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or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Lt; / RTI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현금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입출금 금융 계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충전 또는 사용 가능한 상용 모바일 페이(mobile pay)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in, the cash depositing or withdrawing service applied to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cash depositing and withdrawing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posit or withdrawal financial account linked to the user terminal, or a commercial mobile which can be charged or u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configured to use a mobile pay.
한편, 본 발명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NFC 또는 MST 기능을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NFC 또는 MST 방식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ATM(Automated Teller Machine; 현금 자동 입출금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ATM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입출금 거래 내역을 관리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금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의 처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이와 연동 중인 ATM에 대한 보안 인증과 유효성 검토를 수행한 후, 상기 ATM을 통해 입금 또는 출금 업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and having an NFC or MST function;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NFC or MST method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financial server that manages a receipt and payment transaction histor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ATM. When the financial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processing a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A cash receipt and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 security authentication and validity check on an ATM in which the ATM is installed and then perform a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through the ATM.
여기서,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입출금 금융 계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충전 또는 사용 가능한 상용 모바일 페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Herein,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can be performed using a deposit-and-withdrawal financial account linked to the user terminal, or a commercial mobile phone that can be charged or u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만을 이용해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카드나 통장 등의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간편한 현금 입출금 업무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only a personal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handle the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without the hassle of carrying a card, It is also advantageous.
아울러, 이 과정에서 별도의 인증 기관 등의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수수료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tervene in a separate certification authority or the like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advantages such as the prevention of unnecessary fee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및 금융 서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1, a system for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사용자 단말기(110)는 금융 서버 접속 기능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 뱅킹이나 이와 유사한 금융 서비스 기능의 수행을 위해 금융 서버(130)와의 직접 접속을 통한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며, NFC 기능 이나 MST 기능 등을 통해 ATM(120) 데이터 송수신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삼성 페이(Pay), 애플 페이나 카카오 페이 등과 같은 상용 모바일 페이 서비스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lso, the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금융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페이 관련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To this end, it may be desirable that a
ATM(120)은 통상의 ATM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 단말기(110)와 NFC나 MST 등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The
금융 서버(130)는 인터넷 뱅킹 등의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연동을 통한 토큰(token) 생성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토큰이란 1회용 임시 계좌번호를 의미하며, 금융 서버(130) 내에 토큰 관련 업무의 처리를 위한 전용 서버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구비를 통해 이러한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토큰 관련 서비스의 지원이 금융 서버(13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하도록 한다.The
즉, 본 발명은, 현금의 입출금이 가능한 뱅킹 계좌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충전된 삼성 페이, 애플 페이 및 카카오 페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상용 모바일 페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ATM을 통해 손쉽고 간편하게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easily provide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through a bank using a variety of commercial mobile pages such as a banking account capable of depositing / withdrawing cash or Samsung Faye, Apple Pay, and Kakao Faye charged in a
가령, 출금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현금 출금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금융 서버(130)에 접속한 후 출금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며, 이후, 다시 ATM(120)과의 태깅 등을 통해 출금 액수 등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withdrawal service is taken as an example, a user who wishes to use the cash withdrawal service using the
그러면, 금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 및 ATM(120)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보안 인증 등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상용 모바일 페이의 잔액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서비스 가능한 뱅킹 계좌 정보 등을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사용자가 요청한 출금 서비스를 ATM(120)을 통해 지원한다.The
반대로, 입금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금융 서버(130)에 접속한 후 입금 서비스를 선택하고, ATM(120)과의 태깅 이후 인증 과정 등을 거쳐 현금을 입금하게 되면, 금융 서버(130)는 해당 금액을 사용자 지정 계좌로 입금하거나 또는 사용자 지정 모바일 페이 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와 연동되는 계좌가 다수이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용 가능한 사용 모바일 페이 서비스의 종류가 다수일 경우, 사용자의 선택 입력 등을 통해 1 이상의 입금 계좌 또는 충전 모바일 페이를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contrary, in case of the deposit service, after the user accesses the
이하에서는 별도의 도면을 통해, 상기 설명된 개략적인 동작에 대한 세부 수행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detail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eparat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단계(S212), 토큰 요청 단계(S214), 토큰 정보 수신 단계(S216) 및 토큰 정보 전송 단계(S2218), ATM을 통한 토큰 정보 수신 단계(S222), 토큰 정보 전송 단계(S224) 및 입금/출금 단계(S226), 그리고 금융 서버를 통한 토큰 생성 단계(S232), 토큰 정보 전송 단계(S234), 토큰 정보 수신 단계(S236) 및 유효성 검토 단계(S23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2, a method of providing a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212 of operating an applic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a step of requesting a token (step S214), a step of receiving a token information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22,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24, the deposit / withdrawal step S226, and the token generation step S232 through the financial server, and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218, the token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22, Information transferring step S234, toke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36, and validity checking step S238.
즉,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S212)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금/출금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금융 서버 측으로 토큰 요청 신호를 전송(S214)하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selects a deposit / withdrawal service through a user terminal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S212),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token request signal to the financial server side (S214).
그러면 금융 서버는 상기 토큰 요청 신호(S214)를 전송받아 이와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S232)하며, 생성(S232)된 토큰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S234)한다.The financial server receives the token request signal S214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token in step S23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oke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step S234.
서버로부터 전송(S234)된 토큰 정보를 수신(S216)한 사용자 단말기는, NFC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등을 통해 ATM에 해당 토큰 정보를 전송(S218)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입금/출금과 관련된 정보의 입력이 ATM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234) (S216),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oken information to the ATM through NFC or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S218) It may also be possible that input of related information is made via ATM.
이때, ATM 측으로 전송(S218)되는 토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마그네틱 카드의 트랙 3(Track 3) 정보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는데, 트랙 3 정보는 통상 은행 계좌와 관련된 정보로 이루어지며 107 바이트의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TM side (S218) may be data converted into the track 3 information type of the magnetic car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track 3 information is usually composed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nk account, Of the data size.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S222)한 ATM은 다시 해당 토큰 정보를 금융 서버 측으로 전송(S224)하게 되며, 이를 수신(S236)한 금융 서버는 해당 토큰 정보의 유효성 검토(S238)를 통해 ATM이 입금/출금 서비스를 수행(S226)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ATM receives the toke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S222)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oken information to the financial server (S224). The financial server (S236) receives the token information (S236) And performs a deposit / withdrawal service (S226).
이때, 상기 유효성 검토(S238)는 2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토큰 정보의 동일성 비교 및 업무 처리 시간의 유효성 판단을 통해 상기 유효성 검토(S238)가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alidity review (S238) may be preferably performed in two aspects. That is, the validity review (S238) may be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of the identity of the token information and validity of the business processing time.
상술하자며, 금융 서버는, ATM으로부터 수신(S236)된 토큰 정보와 스스로 생성(S232)한 토큰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의 비교를 통해 1차로 해당 서비스의 유효성을 검토(S238)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 토큰 정보를 전송(S234)한 시간으로부터 ATM으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S236)한 시간까지 소요된 총 시간이 서비스 처리 유효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의 판단을 통해 유효성 검토(S238)를 수행할 수 있다.The financial server can firstly check the validity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S238) by comparing whether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M (S236) and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by itself (S232) are the same, The tok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t step S234. The toke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M at step S236. At step S236, .
즉, 금융 서버가 생성하여 전송한 1회성 임시 계좌 정보가 ATM에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와 ATM 기기를 확정하기 위한 1차적인 동일성 비교를 수행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ATM 기기가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중간에서 금융 사기 등의 범죄 행위가 개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2차적인 유효 시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효 시간은 데이터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고려한 최소한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를 1분(60초)으로 설정하도록 지정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며, 가령 1차 유효성 검토 및 2차 유효성 검토의 순서가 바뀌는 등의 변형 구성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at is, the terminal performs a primary identity comparison to determine the ATM device with the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one-time temporary account information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financial server is properly transmitted to the ATM, And the ATM devic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cond validity time judgment to prevent the intervention of the criminal act such as financial fraud in the midd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id time is set to a minimum time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time is set to 1 minute (60 second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a modified configuration such as a first validity review and a second validity review.
구체적인 서비스를 예로 들어, 상기 설명된 각각의 과정을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한다.Let's take a specific example of the service and review each process described above.
가령, 단말기에 충전된 상용 모바일 페이나 금융 계좌의 잔고를 이용해 현금을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ATM을 찾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S212)시킨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는 금융 서버 측으로 토큰 생성 요청 신호를 자동 전송(S214)하게 되며, 금융 서버는 이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S232)한 후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생성(S232)된 토큰 정보를 전송(S234)한다.For example, a user who wishes to withdraw cash using a commercial mobile page charged in a terminal or a balance of a financial account first finds an ATM capable of supporting a service and drives a dedicated application (S212). Then,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a toke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financial server side (S214), and the financial server generates token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token (S232) and transmits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in S232 (S232) to the user terminal .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단말기를 이용해 ATM과 NFC나 MST 등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이 과정에서 금융 서버로부터 수신(S216)된 토큰 정보가 단말기로부터 ATM 측으로 전송(S218)된다.When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such as NFC or MST using the terminal driven by the application,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nancial server (S216)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ATM side (S218).
이후, 사용자가 ATM에 출금 액수 등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대기하는 동안, ATM은 수신(S222)된 토큰 정보를 금융 서버 측으로 전송(S224)하여 유효성 검토(S238)를 완료한 다음,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응되는 현금을 출금(S226)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inputs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withdrawal to the ATM or waits, the ATM transmits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S222) to the financial server side (S224) to complete the validity review (S238) Only the cash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is withdrawn (S226).
현금 입금 서비스의 경우, ATM을 통해 입금된 현금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금융 계좌로 직접 적립되거나, 상용 모바일 페이로 전환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충전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계좌 또는 다수의 상용 모바일 페이 서비스 가운데 1 이상의 입금처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In the case of the cash deposit service, the cash deposited via the ATM may be directly accumulated in a financial account linked to the user terminal, or may be converted into a commercial mobile phone and then charged to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Of the mobile mobile phon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and designated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만을 이용해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카드나 통장 등의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 현금 입출금 업무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수수료 등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고 편리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h deposit / withdrawal service can be provided using only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t is not only possible to process cash deposits and withdrawals, but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cash withdrawal services promptly and conveniently since no additional fees are incurred in the process.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토큰 관련 서비스의 지원이 금융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와 같은 서비스가 금융 서버와 연결되는 별도의 전용 토큰 서버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지원 가능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upport of the token-related service is described through the financial server. However, such a service can be supported through a dedicated dedicated token server connected to the financial server and a database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10: 사용자 단말기
120: ATM
130: 금융 서버110: User terminal
120: ATM
130: financial server
Claims (8)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위한 토큰(token) 생성 요청이 접수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접수된 토큰 생성 요청에 대응되도록 토큰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전송된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가 ATM(현금 자동 입출금기)으로 전송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토큰 정보를 수신한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를 전송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토큰 정보의 유효성 검토를 수행한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ATM을 통해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마그네틱 카드의 트랙 3(Track 3) 정보 형태로 변환된 토큰가 정보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생성된 토큰 정보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토큰 정보의 동일성을 비교하고,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생성된 토큰 정보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전송받은 토큰 정보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이 규정된 유효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유효성 검토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A system for providing cash deposit and withdrawa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step of receiving a token creation request for a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for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ken creation request through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the token to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in which the tok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from the ATM receiving the token information through the third step; And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valida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tep and provid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through the ATM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third step,
The token value information converted into the track 3 information form of the magnetic card is transmitted to the ATM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IC) method or the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e fifth step,
Comparing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step with the toke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tep and comparing the toke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ourth step from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oke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until the recep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is within a prescribed effective time to perform a validity check.
상기 유효 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id time is one minute. ≪ Desc / Clms Page number 24 >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입출금 금융 계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충전 또는 사용 가능한 상용 모바일 페이(mobile pay)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is performed using a deposit and withdrawal financial account linked to the user terminal or a mobile payable or charge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Way.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NFC 또는 MST 방식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ATM(Automated Teller Machine; 현금 자동 입출금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ATM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입출금 거래 내역을 관리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의 처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이와 연동 중인 ATM에 대한 보안 인증과 유효성 검토를 수행한 후, 상기 ATM을 통해 입금 또는 출금 업무를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ATM 사이에는 마그네틱 카드의 트랙 3(Track 3) 정보 형태로 변환된 토큰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토큰 정보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이 규정된 유효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유효성 검토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and having an NFC or MST function;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NFC or MST method with the user terminal; And
And a financial server for managing a receipt and payment transaction history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ATM,
Wherein the financial server performs security authentication and validity checking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ATM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quest for processing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n processes the deposit or withdrawal transaction through the ATM In addi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oken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track 3 (Track 3) information form of the magnetic card is perform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ATM,
Wherein the financial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tim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token information to the reception of the token information is within a prescribed effective time and performs a validity check.
상기 입금 또는 출금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입출금 금융 계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충전 또는 사용 가능한 상용 모바일 페이(mobile pay)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posit or withdrawal service is performed using a deposit and withdrawal financial account linked to the user terminal or a mobile payable or charge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022A KR101637844B1 (en) | 2015-07-24 | 2015-07-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
PCT/KR2015/010602 WO2017018597A1 (en) | 2015-07-24 | 2015-10-07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sh deposit/withdrawal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022A KR101637844B1 (en) | 2015-07-24 | 2015-07-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7844B1 true KR101637844B1 (en) | 2016-07-08 |
Family
ID=5650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5022A Active KR101637844B1 (en) | 2015-07-24 | 2015-07-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7844B1 (en) |
WO (1) | WO201701859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617A (en) * | 2016-12-29 | 2018-07-09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fintech pay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99536A (en) * | 2018-02-07 | 2018-08-14 | 聚龙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operating method of internet cash interactive service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6042A (en) * | 2007-03-13 | 2007-05-02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Cash Withdrawal Processing Method Using Authentication Code |
KR20120080405A (en) | 2011-01-07 | 2012-07-1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User equipment and deposit/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deposit/payment apparatus |
KR20130065764A (en) * | 2011-11-29 | 2013-06-20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smart phone |
KR20140039803A (en) * | 2012-09-25 | 2014-04-02 | 주식회사 이리언스 |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ris in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0779B1 (en) * | 2004-10-22 | 2007-01-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TM equipped with wireless network connection device and financia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
-
2015
- 2015-07-24 KR KR1020150105022A patent/KR101637844B1/en active Active
- 2015-10-07 WO PCT/KR2015/010602 patent/WO20170185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6042A (en) * | 2007-03-13 | 2007-05-02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Cash Withdrawal Processing Method Using Authentication Code |
KR20120080405A (en) | 2011-01-07 | 2012-07-1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User equipment and deposit/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deposit/payment apparatus |
KR20130065764A (en) * | 2011-11-29 | 2013-06-20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smart phone |
KR20140039803A (en) * | 2012-09-25 | 2014-04-02 | 주식회사 이리언스 |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ris inform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7617A (en) * | 2016-12-29 | 2018-07-09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fintech pay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18597A1 (en) | 2017-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94200B2 (en) | Secure account creation | |
US11308481B1 (en) | Cardless ATM authentication | |
CA3019935A1 (en) | Token aggregation system for multi-party transactions | |
CN105518733A (en) | Provisioning payment credentials to a consumer | |
TW201337821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transaction at a financial transaction terminal using a mobile device | |
US20200051060A1 (en) | Automated digital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or sharing access | |
KR101754759B1 (en) | Messenger server for mediating remittance and collection of money | |
KR20100138887A (en) | SIM chip bank system and method | |
CN103999106A (en) | System and method of multi-factor balance inquiry and electronic funds transfer | |
WO2016097879A1 (en) | Real-time electronic cheque issue system for money transfer, payment and management | |
CN103530957A (en) | Method and system for non-card withdrawal transaction through self-service money depositing and withdrawing equipment | |
JP2017511562A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operation of mass electronic transactions | |
KR10163784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l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 |
CN104574691B (en) | A kind of method for processing business and system based on automatic teller machine | |
CN106779715A (en) | A kind of method and merchant client of point-to-point E-Payment | |
KR101394996B1 (en) | Remittance transaction service method based on payee | |
WO2014146286A1 (en) | Secure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bank card by using real-time communication | |
US10115084B2 (en) | Electronic payment system | |
CN112767617A (en) | Card-free automatic teller machine utilizing mobile terminal and identity card multiple identification | |
EP333237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authentication using dynamic wireless beacon devices | |
KR20090012897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using electronic wallet device, integrated electronic wallet server and electronic wallet support financial transaction terminal | |
CA3131260A1 (en) |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11232416B2 (en) | Local edge-node server | |
US11881087B2 (en) | Fund disbursement at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using a credit push | |
Vahedi et al. | Promote Mobile Banking Services by using National Smart Card Capabilities and NFC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