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5352B1 -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 Google Patents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52B1
KR101635352B1 KR1020140149836A KR20140149836A KR101635352B1 KR 101635352 B1 KR101635352 B1 KR 101635352B1 KR 1020140149836 A KR1020140149836 A KR 1020140149836A KR 20140149836 A KR20140149836 A KR 20140149836A KR 101635352 B1 KR101635352 B1 KR 10163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huck
handle
rotary shaft
tool s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804A (ko
Inventor
이우혁
Original Assignee
이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혁 filed Critical 이우혁
Priority to KR102014014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6Features relating to the removal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작업시 공작물의 고정 또는 공구의 고정시 사용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주축에 구성되는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는 척조임구를 하부에 형성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핸들로 이루어진 척핸들; 상기 척핸들에 구성된 회전축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회전축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삽입홈; 내부에 사각홀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척핸들의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각홀에 연통되는 제1, 2결합홀을 구성한 공구소켓; 상기 공구소켓의 일측에 구성된 제1결합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볼트; 상기 공구소켓의 타측에 구성된 제2결합홀에 끼워지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2결합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회전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구소켓을 척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이동 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구소켓의 승강이동을 통해 제2결합홀이 제1, 2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면,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이 제1, 2삽입홈에 끼워지게 되어 공구소켓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multi function tool for lathe}
본 발명은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척핸들의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을 승강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구소켓의 위치고정을 이루어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들로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렌치와 볼렌치를 통해 선반작업에 필요한 작업을 모두 이루어 공구준비 및 사용에 따른 시간 절감과 더불어 작업효율의 증진을 이룰 수 있으며, 가이드볼트의 조임을 통해 공구소켓을 회전축에 견고히 결합함으로써 사용 또는 휴대보관시 상기 공구소켓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장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의 가공물 재료를 일정 형상 및 치수로 정밀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장치이다.
상기 절삭장치의 종류로는 선반(lathe), 밀링기,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은 크게 베드(bed)와, 주축대(headstock), 복식공구대가 설치된 왕복대(carriage) 및 심압대(tailstock)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축대에는 전동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축(主軸; spindle)과, 주축의 나사부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척(chuck)이 설치되어 있다. 즉, 선반은 주축대의 척에 가공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심압대가 왕복대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가공물에 대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공물을 척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척의 내부 직경을 작게 하거나 커지도록 조작하는 별도의 척 핸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척 핸들은 단순히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공물을 조이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힘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힘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척의 조작부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4371호와 같은 "척 핸들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4371호 (2014.10.17) "척 핸들 조립체" - 이승열 / 김현준 / 한승섭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척 핸들 조립체는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고자 하는 손잡이부가 판 상형 베이스부재의 테두리에 방사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를 보관하기 위한 받침대의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선반 작업에는 주축에 결합된 단동척의 내경 조절 외에도 바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공구대 핸들 및 렌치 등도 필요한데, 종래의 구성을 통해서는 이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필요한 모든 공구를 전부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선반의 주축에 결합되는 단동척의 내부 직경 조절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공구 준비 없이도 공구대 핸들 및 렌치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척핸들의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을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탄성가압부에 구성된 탄성수단의 볼을 제1삽입홈 또는 제2삽입홈에 탄성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구소켓의 승강 위치에 따라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들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의 양 끝단 형성되는 렌치와 볼렌치를 통해 선반작업에 필요한 작업을 모두 이룰 수 있게 함으로써 공구준비 및 사용에 따른 시간 절감과 더불어, 작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삽입홀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가이드볼트가 끼워지는 제1, 2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가이드홈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볼트를 상기 제1, 2끼움홈에 고정결합 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또는 휴대보관시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반의 주축에 구성되는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는 척조임구를 하부에 형성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핸들로 이루어진 척핸들; 상기 척핸들에 구성된 회전축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회전축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삽입홈; 내부에 사각홀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척핸들의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각홀에 연통되는 제1, 2결합홀을 구성한 공구소켓; 상기 공구소켓의 일측에 구성된 제1결합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볼트; 상기 공구소켓의 타측에 구성된 제2결합홀에 끼워지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2결합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회전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구소켓을 척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이동 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구소켓의 승강이동을 통해 제2결합홀이 제1, 2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면,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이 제1, 2삽입홈에 끼워지게 되어 공구소켓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이용하면, 척핸들의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을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탄성가압부에 구성된 탄성수단의 볼을 제1삽입홈 또는 제2삽입홈에 탄성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공구소켓의 승강 위치에 따라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들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의 양 끝단 형성되는 렌치와 볼렌치를 통해 선반작업에 필요한 작업을 모두 이룰 수 있으므로 공구준비 및 사용에 따른 시간 절감과 더불어 작업효율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삽입홀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가이드볼트가 끼워지는 제1, 2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가이드홈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볼트를 상기 제1, 2끼움홈에 고정결합 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 또는 휴대보관시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척 핸들로 사용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구대 핸들로 사용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구소켓의 승강작동을 통해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들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작동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반작업시 주축(미도시)의 척(미도시)에 공작물(미도시)을 고정하거나, 바이트와 같은 공구(미도시)를 공구대(미도시)에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핸들(10)과, 가이드홈(20)과, 제1, 2삽입홈(31, 32)과, 공구소켓(40)과, 가이드볼트(50)와, 탄성가압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척핸들(10)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선반(미도시)의 주축에 구성되는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는 척조임구(11)를 하부에 형성한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핸들(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척핸들(10)의 회전축(13)은 척조임구(11)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되는 공구소켓(40)이 회전축(1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척핸들(10)에 구성된 핸들(15)의 양 끝단에는 렌치(17)와 볼렌치(19)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선반작업에 필요한 렌치 및 볼렌츠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 더욱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렌치(17) 및 볼렌치(19)는 통상의 용접과 같은 결합이나,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가이드홈(20)은 상기 척핸들(10)에 구성된 회전축(13)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가이드볼트(50)의 끝단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공구소켓(40)의 승강 작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공구소켓(40)의 하강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공구소켓(40)이 척핸들(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20)의 양 끝단 즉,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제1, 2삽입홈(31, 32)과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가이드볼트(50)가 끼워지는 제1, 2끼움홈(21, 22)이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제1, 2끼움홈(21, 22)에 의하면, 공구소켓(40)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50)를 제1끼움홈(21) 또는 제2끼움홈(22)에 끼워 넣는 것을 통해 공구소켓(4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또는 휴대 보관시 상기 척핸들(10)의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40)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없앴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
셋째, 제1, 2삽입홈(31, 32)은 상기 가이드홈(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척핸들에 구성되는 회전축(13)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승강작동하는 공구소켓(40)을 탄성가압부(50)를 통해 높이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홈(20)의 제1끼움홈(2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삽입홈(31)이 형성되고, 제2끼움홈(2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삽입홈(32)이 형성된다.
넷째, 공구소켓(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사각홀(43)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척핸들(10)의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되는 구성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각홀(43)에 각각 연통되는 제1, 2결합홀(41, 42)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결합홀(41, 42)은 가이드볼트(50) 및 탄성가압부(6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용이한 결합을 위해 내주에 암나사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각홀(43)은 공작물의 모따기 등을 이루기 위해 공구대를 회전조작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사각홀(43)은 공구대 핸들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섯째, 가이드볼트(50)는 상기 공구소켓(40)의 일측에 구성된 제1결합홀(4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13)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0)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작동하는 공구소켓(40)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공구소켓(40)의 하강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공구소켓(40)이 척핸들(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볼트(50)는 제1결합홀(41)과의 나사결합을 꽉 조이는 것을 통해 가이드홈(20)의 제1, 2끼움홈에 끼울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하면, 상기 공구소켓(40)을 척핸들(1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도 겸하게 된다.
여섯째, 탄성가압부(60)는 상기 공구소켓에 결합된 상태로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축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가압을 받는 구성으로, 상기 공구소켓(40)의 타측에 구성된 제2결합홀(42)에 끼워지는 탄성수단(65)과, 상기 제2결합홀(4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65)을 회전축(13)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67)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100)를 척 핸들로 사용하게 하거나 공구대 핸들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수단(65)은 공구소켓(40)의 제2결합홀(42)에 끼워지는 볼(61)과, 상기 볼(61)과 가압볼트(67) 사이에 끼워져 볼(61)을 회전축(13)의 타측면에 밀착시키는 스프링(6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작동하는 볼(61)을 통해 공구소켓(40)이 회전축을 따라 용이하게 승강이동되어 본 발명을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드로 손쉽게 변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구소켓(40)의 승강 작동시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볼(61)이 제1, 2삽입홈(31, 32)에 끼워지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공구소켓(40)의 위치고정이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가압볼트(67)는 통상의 무드볼트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무드볼트를 가압볼트(67)로 사용하면, 상기 가압볼트(67)가 공구소켓(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외관이 깔끔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핸들(15)의 양 끝단에 렌치(17)와 볼렌치(19)가 형성되고, 회전축(1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가이드홈(20) 및 제1, 2삽입홈(31, 32)이 형성된 척핸들(10)을 준비한다.
그 후에는, 공구소켓(40)의 제1결합홀(41)이 가이드홈(20)에 대응되도록 공구소켓(40)의 사각홀(43)에 척핸들(10)의 회전축(13)을 끼워 넣은 다음, 공구소켓(40)에 형성된 제1결합홀(41)에 가이드볼트(50)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끝단이 가이드홈(20)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공구소켓(40)에 형성된 제2결합홀(42)에는 볼(61)과 스프링(63)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65)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상기 제2결합홀(42)에 가압볼트(67)를 나사결합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공구소켓(40)을 승강시키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100)를 척 핸들 또는 공구대 핸들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100)를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척 핸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구소켓(40)을 회전축(13)의 상측 방향으로 상승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공구소켓(40)의 제2결합홀(42)에 설치된 탄성가압부(60)의 볼(61)이 스프링(63)을 압축시키면서 회전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된 공구소켓(40)의 상승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승이동을 통해 상기 볼(61)이 회전축(13)의 타측에 형성된 제1삽입홈(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스프링(6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볼(61)이 제1삽입홈(31)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볼(61)이 제1삽입홈(31)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31)에 끼워진 탄성가압부(60)의 볼(61)에 의해 공구소켓(4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져 작업자는 공구소켓(40)에 의한 걸림 없이 본 발명을 척 핸들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100)를 공구대 핸들로 사용할 때에는, 공구소켓(40)을 회전축(13)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탄성가압부(60)에 구성된 볼(61)이 제2삽입홈(32)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는데, 이때에는 전술한 작동을 통해 볼(61)이 제1삽입홈(31)에 끼워져 있으므로, 초기에는 공구소켓(4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강하게 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공구소켓(40)을 회전축(13)의 하측 방향으로 강하게 밀면, 공구소켓(40)의 제2결합홀(42)에 끼워진 볼(61)에 하강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볼(61)이 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제1삽입홈(31)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를 통해, 탄성가압부(60)에 구성된 볼(61)을 제2삽입홈(32)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탄성가압부(60)에 구성된 볼(61)이 제2삽입홀(32)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탄성가압부(60)가 결합된 공구소켓(4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공구소켓(40)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홀(43)이 회전축(13)의 척조임구(11) 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되므로, 작업자는 공구소켓(40)의 사각홀(43)을 이용하여 공구대 핸들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척 핸들 및 공구대 핸들 외에도, 핸들(15)의 양측에 형성된 렌치(17) 및 볼렌치(19)를 이용하여 선반작업에 필요한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선반작업을 위한 별도의 다른 공구가 필요 없게 되어 공구준비 및 사용에 따른 시간 절감과 더불어 작업효율이 증진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척핸들 11 : 척조임구 13 : 회전축 15 : 핸들 17 : 렌치 19 : 볼렌치
20 : 가이드홈 21, 22 : 제1, 2끼움홈
31, 32 : 제1, 2삽입홈
40 : 공구소켓 41, 42 : 제1, 2결합홀 43 : 사각홀
50 : 가이드볼트
60 : 탄성가압부 61 : 볼 63 : 스프링 65 : 탄성수단 67 : 가압볼트
100 :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Claims (4)

  1. 선반의 주축에 구성되는 척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는 척조임구(11)를 하부에 형성한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의 상측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핸들(15)로 이루어진 척핸들(10);
    상기 척핸들(10)에 구성된 회전축(13)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0);
    상기 가이드홈(20)에 대응되도록 회전축(13)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삽입홈(31, 32);
    내부에 사각홀(43)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척핸들(10)의 회전축(13)에 슬라이드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각홀(43)에 연통되는 제1, 2결합홀(41, 42)을 구성한 공구소켓(40);
    상기 공구소켓(40)의 일측에 구성된 제1결합홀(4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13)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0)에 끼워지는 가이드볼트(50);
    상기 공구소켓(40)의 타측에 구성된 제2결합홀(42)에 끼워지는 탄성수단(65)과, 상기 탄성수단(65)는 공구소켓(40)의 제2결합홀(42)에 끼워지는 볼(61)과, 상기 볼(61)과 가압볼트(67) 사이에 끼워져 볼(61)을 회전축(13)의 타측면에 밀착시키는 스프링(63)으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제2결합홀(4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65)을 회전축(13)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47)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60);
    상기 척핸들(10)의 회전축(13)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0)에는 제1, 2삽입홈(31, 32)과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가이드볼트(50)가 끼워지는 제1, 2끼움홈(21, 22)이 구성되어져 있어, 상기 공구소켓(40)을 척핸들(10)의 회전축(13)을 따라 승강이동 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공구소켓(40)의 승강이동을 통해 제2결합홀(42)이 제1, 2삽입홈(31, 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면, 탄성수단(6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65)이 제1, 2삽입홈(31, 32)에 끼워지게 되어 공구소켓(4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핸들(10)에 구성된 핸들(15)의 양 끝단에는 렌치(17)와 볼렌치(19)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3. 삭제
  4. 삭제
KR1020140149836A 2014-10-31 2014-10-31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63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36A KR101635352B1 (ko) 2014-10-31 2014-10-31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36A KR101635352B1 (ko) 2014-10-31 2014-10-31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04A KR20160050804A (ko) 2016-05-11
KR101635352B1 true KR101635352B1 (ko) 2016-07-01

Family

ID=5602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5352B1 (ko) 2014-10-31 2014-10-31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0608B (zh) * 2016-08-31 2018-12-04 南通苏通人防防护设备有限公司 采用圆心位置检测装置与钻床在钢板的中心上钻孔的方法
CN106270607B (zh) * 2016-08-31 2018-10-19 南通苏通人防防护设备有限公司 在矩形钢板的中心处钻孔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04A (ja) * 1989-06-23 1991-02-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ビニル系重合体スケールの防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ビニル系重合体スケールの防止法
KR19990013317U (ko) * 1997-09-25 1999-04-15 이동열 박스형 렌치
JP3026704B2 (ja) * 1993-07-29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発振出力制御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方法
JP2001347463A (ja) * 2000-06-07 2001-12-18 Mitsuo Morita エクステンションバー及び締付工具
JP2013000858A (ja) * 2011-06-20 2013-01-07 Masatoshi Hasegawa 連続ソケット
JP3189593U (ja) * 2014-01-07 2014-03-20 フラッシュ精機株式会社 十字レンチ
KR20140095894A (ko) * 2013-01-25 2014-08-04 이승열 척 핸들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04A (ja) * 1989-06-23 1991-02-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ビニル系重合体スケールの防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ビニル系重合体スケールの防止法
JP3026704B2 (ja) * 1993-07-29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発振出力制御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方法
KR19990013317U (ko) * 1997-09-25 1999-04-15 이동열 박스형 렌치
JP2001347463A (ja) * 2000-06-07 2001-12-18 Mitsuo Morita エクステンションバー及び締付工具
JP2013000858A (ja) * 2011-06-20 2013-01-07 Masatoshi Hasegawa 連続ソケット
KR20140095894A (ko) * 2013-01-25 2014-08-04 이승열 척 핸들 조립체
JP3189593U (ja) * 2014-01-07 2014-03-20 フラッシュ精機株式会社 十字レン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0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66059A1 (en) Cnc turning and milling machine
KR102263072B1 (ko)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KR101635352B1 (ko) 선반 일체형 다기능 공구
US20020158426A1 (en) Chuck device
KR101441794B1 (ko) 구멍 가공용 백챔퍼링 공구
KR101496055B1 (ko) 드릴 날 교체 장치
CN206373626U (zh) 一种用于垂直孔钻床的夹具
KR101573412B1 (ko) 머시닝 가공품의 가공위치 고정 지그 어셈블리
CN211804978U (zh) 一种钻孔加工专用台式钻床
CN209920078U (zh) 一种多功能木工车床
JP3115388U (ja) 携帯式切削工具研磨機
CN106541457A (zh) 一种佛珠车床
CN105583435A (zh) 偏心自锁式钻孔用工装夹具
CN111515426B (zh) 一种孔内环型沟槽高效加工装置
CN211638388U (zh) 电机后端盖风罩孔钻削装置
CN211029020U (zh) 一种数控机床轴向可调式定位装置
CN204545445U (zh) 刀架和车床
CN211162929U (zh) 一种多功能钻床定位装置
CN215845907U (zh) 一种多功能铣钻刀具
CN104475765A (zh) 一种车粗轴轴肩过渡圆弧的装置
CN109434209A (zh) 手提式双切割片机
CN211331393U (zh) 一种带有工件夹持装置的钻床
KR101454371B1 (ko) 척 핸들 조립체
CN214079619U (zh) 一种高性能数控攻丝机
CN218476323U (zh) 一种多轴调节的立式钻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