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07B1 -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 Google Patents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4307B1 KR101634307B1 KR1020150111466A KR20150111466A KR101634307B1 KR 101634307 B1 KR101634307 B1 KR 101634307B1 KR 1020150111466 A KR1020150111466 A KR 1020150111466A KR 20150111466 A KR20150111466 A KR 20150111466A KR 101634307 B1 KR101634307 B1 KR 101634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support member
- upper plate
- bridge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곡선 구간에서 곡선 반경에 대해 상판의 외곽 부위가 내곽 부위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이 일정 구배를 갖도록 제작된 강상자형 거더교에 있어서, 상판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강상자형 거더; 강상자형 거더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교각;과 상판의 외곽 부위 또는 내곽 부위를 받치도록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도록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girder bridges capable of maintaining a slope, and in a girder girder bridges manufactured such that an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positioned higher than an inner portion of the girder with respect to a radius of curvature in a curved section of the bridge, A girder girder installed to support the girder; And a support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ridge so as to support the outer or inner edge of the upper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상자형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곡선 구간에서 곡선 반경에 대해 내측 부위 또는 외측 부위에 지지재를 떠받치도록 설치하여 곡선 구간에 마련된 구배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girder bridg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girder bridges which is provided so as to support a supporting member at an inner side portion or an outer side portion with respect to a curve radius in a curved section of a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bridge capable of being maintained.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등을 횡단하는 도로 구조물로서, 파일, 상기 파일 두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일반 도로 교량, 자전거 교량, 보행교 등이 있고, 교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교대와 교각에 올려지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Generally, a bridge is a road structure that traverses a river or the like. The bridge is composed of a pile, a top plate installed on the pile head, and has a general road bridge, a bicycle bridge, a walking bridge, Consists of a number of piers, and a top plate that is placed on the piers and piers.
이러한 종래의 교량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진입 및 진출로, 램프 구간, 산간지 등의 지리적 여건 등에 따라 평면상 곡선 형태의 구간을 마련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곡선 구간에는 통상적으로 회전 중심측의 바깥쪽인 외곽 부위에서 안쪽인 내곽 부위로 경사지게 구배를 갖도록 제작한다. 일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상자형 거더교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강상자형 거더(10)에 의해 지지된 상판(11)이 곡선 구간에 구배(θ)를 갖도록 설치한다. 이처럼, 교량을 제작함으로써, 차량이 곡선 주로를 주행할 때, 상판(11) 외측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uch conventional bridges are generally installed parallel to the ground, but they are installed to provide a section in the form of a curved line in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a ramp section and a mountainside. In such a curved section, a slope is generally made to have an inclina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outside the center of rotation to the inner periphery in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case of a girder bridge, the
하지만, 상판(11)의 외곽 부위로 장기간 동안 많은 차량이 주행하다 보면, 피로도가 누적되고, 피로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상판(11)이 전도(顚倒)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vehicles travel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the outer portion of the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외곽 부위를 떠받치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상판이 항상 일정한 구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girder bridge capable of maintaining a slope so that the upper plate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slope by providing a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는, 교량의 곡선 구간에서 곡선 반경에 대해 상판의 외곽 부위가 내곽 부위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이 일정 구배를 갖도록 제작된 강상자형 거더교에 있어서, 상판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강상자형 거더; 강상자형 거더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교각;과 상판의 외곽 부위 또는 내곽 부위를 받치도록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irder girder bridge capable of maintaining a gradient, comprising: a girder bridge having a curved section of a bridge so that an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positioned higher than an inner portion of the bridge, A girder girder bridge comprising: a girder girder installed to support an upper plate; And a suppor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ier so as to support the outer or inner edge of the upper plate.
본 발명은 강상자형 거더를 중심으로 지지부재가 설치된 반대 위치에 상판의 외곽 부위 또는 내곽 부위를 받치도록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pier so as to support the outer or inner edge portion of the top plate at a position opposite to where the supporting member is installed around the elevator type girder.
여기서,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는 "I"빔이거나 중공의 사각형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upporting member or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is an "I" beam or a hollow rectangular steel member.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와 강상자형 거더를 연결하여 이들 간의 일체 거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at least any on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to the girder type girder so as to perform integrated behavior therebetween.
여기서, 결합부재는, 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결합부재이거나, "I"빔인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가공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중간부와,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에 고정된 상부와 하부를 구비한 "I"자 형상의 제2결합부재이거나,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의 복부와 강상자형 거더의 측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H"빔인 제3결합부재이거나, 강상자형 거더의 측면에 고정된 상부와,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에 고정된 하부를 구비한 "T"자 형상의 제4결합부재이거나, 양측부가 각각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에 고정된 중공의 사각 형상의 제5결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engaging member may be a first engaging member fixed by connecting an upper face or a lower face of the girder type girder with at least one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or a first engaging member fix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upporting member or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Quot; I " -shaped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or a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n " I "Quot; T "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type girder and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member or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or a " T " Or a fourth joining member, or both side portions are each a supporting member or an auxiliary supporting member, and a hollow rectangular joining member fixed to the girder type girder.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곡선 구간에서 곡선 반경에 대해 상판의 외곽 부위를 받치도록 교각과 상판 사이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판의 외곽 부위에서의 피로한도가 현저히 상승하고, 장기간 동안 많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상판이 외곽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support member between the pier and the upper plate so as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with respect to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bridge, the fatigue limit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significantly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p plat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er side due to driving of a large number of vehicles.
또한, 지지부재의 반대측인 상판의 내곽 부위에 보조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판의 내곽 부위를 잡아당겨 주어 상판이 외곽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지지부재와 더불어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at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pulled out,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plate from being conducted to the outer side more effectively.
그리고,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를 결합부재가 연결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 또는 보조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들이 일체 거동할 수 있고, 이 역시 상판의 전도 방지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upporting member or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and the raising-and -iling girder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whereby the supporting member or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and the railing-type girder can integrally move, .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강상자형 거더교의 곡선 구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더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상자형 거더교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거동을 위한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거동을 위한 결합구조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 거동을 위한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결합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ved section of a conventional elevated girder bridg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bridge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girder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vated girder bridge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3. Fig.
8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inding material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Configu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상자형 거더교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거동을 위한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거동을 위한 결합구조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와 강상자형 거더의 일체 거동을 위한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결합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vated girder bridge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type girder shown in Fig. 3. Fig. 8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inding material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0), 교각(100)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강상자형 거더(120), 거더(120) 상부에 설치된 상판(110)과, 강상자형 거더(120)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교각(100)은 일반적인 것으로 필요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3, the girder girder bridge capable of maintaining a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강상자형 거더(120)는 교대와 교각(100), 교각(100)과 교각(100)을 연결하여 설치된다.The
상판(110)은 교량 전체 구간에서 곡선 구간에 설치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곡선 반경의 내곽 부위가 외곽 부위가 좀 더 높게 위치하도록 하고, 측면상 일정 각도(θ)로 구배를 갖도록 설치된다. The
지지부재(130)는 상판(110)의 구배를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상판(110)의 외곽 부위와 교각(100) 사이에 설치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30)의 상부가 상판(110)의 외곽 부위 하면을 받치도록 교각(100)에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130)는 통상의 "I"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중공의 직사각형의 강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물론 교각(100)과 상판(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과 재질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30)의 설치는 상판(110)의 외곽 부위에 대한 피로한도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지부재(130)가 상판(110)의 외곽 부위를 받쳐주어 상판(110)이 외곽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130)와 강상자형 거더(120)를 일체 거동시키기 위해 지지부재(130)와 강상자형 거더(120)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부재는 일례로,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30)의 상면과 강상자형 거더(120)의 상면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강재인 제1결합부재(140)일 수 있고, 이외에도 "I"빔일 수도 있고, 통상의 어떠한 형상과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fixed by connecting the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상판(110)의 구배 유지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판(110)의 내곽 부위와 교각(100)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지지부재(150)는 지지부재(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과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조지지부재(150)는 상판(110)의 내곽 부위를 잡아당겨 주어 상판(110)이 외곽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지지부재(130) 대신에 보조지지부재(150)만 설치할 수도 있고, 지지부재(130)와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5,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ing
여기서, 지지부재(130), 강상자형 거더(120)와 보조지지부재(150)의 일체 거동을 위해 지지부재(130), 강상자형 거더(120)와 보조지지부재(15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제1결합부재(14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강상자형 거더(120)에 전단연결재(111)를 설치할 수 있고, 이때 전단연결재(111)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결합부재(140)의 상면에 일부 또는 전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또한, 지지부재(130)와 강상자형 거더(120)의 일체 거동을 위해 결합부재로, "I"빔인 제2결합부재(1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지지부재(130)와 강상자형 거더(120) 및 제2결합부재(160)의 결합구조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의 상부플랜지(131)와 하부플랜지(133)의 어느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134)을 가공하고, 이 체결홀(134)에 제2결합부재(160) 일측부의 중간부(162)가 끼워지면서 상부플랜지(131)의 상면에 제2결합부재(160)의 상부(161)가 얹혀지고, 하부플랜지(133)의 하면에 제2결합부재(160)의 하부(163)가 접촉하도록 하여 상부플랜지(131)와 상부(161), 하부플랜지(133)와 하부(163)를 볼팅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재(160)의 타측부는 강상자형 거더(120)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외에, 제2결합부재(160)를 눕혀서 고정시킬 수도 있고, 제2결합부재(160)와 지지부재(130) 및 강상자형 거더(120)는 볼팅, 용접 등의 다양한 통상의 방법으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플랜지(131)와 하부플랜지(133) 사이에 제2결합부재(160)의 상부(161)와 하부(163)를 끼워서 고정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econd coupling member 160, which is an "I" beam, as the coupling member for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이외에도, 제2결합부재(160)를 도 8에서와 같이 "H"빔인 제3결합부재(170)로 대체하고, 양측 부를 각각 지지부재(130)의 복부(132)와 강상자형 거더(120)의 측면에 접촉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결합부재(160)를 도 9에서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인 제4결합부재(180)로 대체하고, 넓은 면적의 부위를 강상자형 거더(120)의 측면에 접촉시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재(160)를 도 10에서와 같이 중공의 사각형 형상인 제5결합부재(190)로 대체하고, 지지부재(130)와 강상자형 거더(12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물론, 제2결합부재(160) 내지 제5결합부재(190)를 이용하여 강상자형 거더(120)와 보조지지부재(15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8, the second joining member 160 is replaced by a third join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교각
110:상판
111:전단연결재
120:강상자형 거더
130:지지부재
131:상부플랜지
132:복부
133:하부플랜지
134:체결홀
140:제1결합부재
150:보조지지부재
160:제2결합부재
161:상부
162:중간부
163:하부
170:제3결합부재
180:제4결합부재
190:제5결합부재. 100: Pier
110: top plate
111: Shear connector
120: girder girder
130: Support member
131: Upper flange
132: abdomen
133: Lower flange
134: fastening hole
140: first coupling member
150: auxiliary supporting member
160: second coupling member
161:
162: Middle part
163:
170: third coupling member
180: fourth coupling member
190: fifth engagement member.
Claims (5)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강상자형 거더(120);
상기 강상자형 거더(1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교각(100);과
상기 상판(110)의 외곽 부위 또는 내곽 부위를 받치도록 상판(110)과 교각(100)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강상자형 거더(120)를 중심으로 지지부재(130)가 설치된 반대 위치에 상판(110)의 외곽 부위 또는 내곽 부위를 받치도록 상판(110)과 교각(100)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150);와
상기 지지부재(130)와 보조지지부재(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와 강상자형 거더(120)를 연결하여 이들 간의 일체 거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30) 또는 보조지지부재(150)는 "I"빔이거나 중공의 사각형 강재이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130)와 보조지지부재(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와 강상자형 거더(12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결합부재(140)이거나,
"I"빔인 상기 지지부재(130) 또는 보조지지부재(150)의 상부플랜지(131)와 하부플랜지(133)에 가공된 체결홀(134)에 끼워지는 중간부(162)와, 상부플랜지(131) 또는 하부플랜지(133)에 고정된 상부(161)와 하부(163)를 구비한 "I"자 형상의 제2결합부재(160)이거나,
상기 지지부재(130) 또는 보조지지부재(150)의 복부(132)와 강상자형 거더(120)의 측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H"빔인 제3결합부재(170)이거나,
상기 강상자형 거더(120)의 측면에 고정된 상부와, 지지부재(130) 또는 보조지지부재(150)에 고정된 하부를 구비한 "T"자 형상의 제4결합부재(180)이거나,
양측부가 각각 지지부재(130) 또는 보조지지부재(150)와, 강상자형 거더(120)에 고정된 중공의 사각 형상의 제5결합부재(190)이며,
상기 지지부재(130), 보조지지부재(150)와 결합부재 중 적어도 2개는 완성된 교량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 In a girder girder bridg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of the upper plate 110 so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inn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0 with respect to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bridge,
A girder girder 120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plate 110;
A bridge 100 installed to support the girder girder 120;
And a support member 13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ier 100 so as to support the outer or inn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An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ier 100 so as to support the outer or inner edge of the upper plate 110 at the opposit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130 is installed around the girder girder 120 );Wow
A coupling member provided to connect at least any one of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to the girder girder 120 so that the girder girder 120 is integrally moved; And at least one of < RTI ID = 0.0 >
The support member 130 or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may be an "I" beam or a hollow rectangular steel member,
The coupling member
The first joining member 140 is fixed by connecting at least one member of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girder 120,
An intermediate portion 162 fitted in a fastening hole 134 formed in the upper flange 131 and the lower flange 133 of the support member 130 or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which is the "I" beam, Quot; I "-shaped second engaging member 160 having an upper portion 161 and a lower portion 163 fixed to the lower flange 133,
A third coupling member 170 which is an H-beam fixed by connecting the abdomen 132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or the auxiliary supporting member 150 to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120,
A fourth joint member 180 of a "T"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girder 120 and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30 or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Each of the side portions is a supporting member 130 or an auxiliary supporting member 150 and a hollow rectangular shaped fifth joining member 190 fixed to the girder girder 12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support member (130),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150) and the engagement member are present in the finished bridg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466A KR101634307B1 (en) | 2015-08-07 | 2015-08-07 |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466A KR101634307B1 (en) | 2015-08-07 | 2015-08-07 |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4307B1 true KR101634307B1 (en) | 2016-06-30 |
Family
ID=5635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4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4307B1 (en) | 2015-08-07 | 2015-08-07 |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430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158B1 (en) | 2020-11-30 | 2021-07-08 |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 Steel box girder brid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17618A (en) * | 1998-07-06 | 2000-01-18 | Miyaji Tekkosho:Kk | Replacement method of concrete bridge to steel bridge |
KR200322140Y1 (en) * | 2003-04-28 | 2003-08-06 |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 Triangle support structure of beam for concrete slab of bridge |
KR100917035B1 (en) | 2009-02-13 | 2009-09-10 | 웅진엔지니어링(주) | Bridge support to prevent bridge side slope and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
KR101300519B1 (en) | 2013-01-22 | 2013-09-02 | 김동우 | Grade adjustable bridge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466A patent/KR1016343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17618A (en) * | 1998-07-06 | 2000-01-18 | Miyaji Tekkosho:Kk | Replacement method of concrete bridge to steel bridge |
KR200322140Y1 (en) * | 2003-04-28 | 2003-08-06 |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 Triangle support structure of beam for concrete slab of bridge |
KR100917035B1 (en) | 2009-02-13 | 2009-09-10 | 웅진엔지니어링(주) | Bridge support to prevent bridge side slope and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
KR101300519B1 (en) | 2013-01-22 | 2013-09-02 | 김동우 | Grade adjustable brid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158B1 (en) | 2020-11-30 | 2021-07-08 |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 Steel box girder brid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6304B1 (en) | A bridge having truss structure assembling handrail and girder | |
JP3168841U (en) | Road bridge drainage equipment | |
KR101198270B1 (en) | Sliding Pendulum Isolator | |
US3841223A (en) | Tracks along which ground-effect machines in particular travel | |
US10309068B2 (en) | Prefabricated bridge including steel abutments | |
US7708497B2 (en) |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674717B1 (en) | Noise reduction Hybrid Expansion Joint and Structure of Expansion Joint | |
KR101634307B1 (en) | Grade maintainable steel box girder bridge | |
KR100845088B1 (en) | Steel bridge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160009030A (en) |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 |
KR102070048B1 (en) | Step plate of railroad crossing | |
JP2012193527A (en) | Junction structure of joint part of vehicle track or the like having expansion function, and method for fixing expansion member | |
KR101948649B1 (en) | Pedestri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6489078B2 (en) | Floor slab support structure | |
US4445640A (en) | Highway railway crossing and cap therefor | |
CN110205914A (en) | A kind of anti-selection structure for arch bridge base | |
KR101883116B1 (en) | Steel bridge supported by hybrid structures | |
CN208899317U (en) | A kind of two-way sliding benzvalene form shock mount of bridge | |
KR101109128B1 (en) | Temporary Footbridge with Reinforced Installation Configuration | |
KR102195684B1 (en) | bridge structure with earthquake proof function | |
JP5230747B2 (en) | Synthetic deck system | |
KR102629512B1 (en) | Bridge superstructure in which stiffness is reinforced and bridge including the same | |
CN112853911A (en) | Double-layer structure bridge | |
KR200454341Y1 (en) | Wetland work equipment for heavy equipment | |
KR101635851B1 (en) | Bridge for easily constructing long sp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