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2846B1 -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46B1
KR101632846B1 KR1020150171685A KR20150171685A KR101632846B1 KR 101632846 B1 KR101632846 B1 KR 101632846B1 KR 1020150171685 A KR1020150171685 A KR 1020150171685A KR 20150171685 A KR20150171685 A KR 20150171685A KR 101632846 B1 KR101632846 B1 KR 10163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se
gripping
sliding door
de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메탈프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3653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328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탈프린스 filed Critical (주)메탈프린스
Priority to KR102015017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46B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d)의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3); 문틀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d) 정지위치(ⅰ)에 설치된 멈춤쇠(s)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파지슬라이더(5); 상기 파지슬라이더(5)의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에 쌍으로 장착되는 착탈블럭(7); 및 각각의 상기 착탈블럭(7)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에 쌍으로 장착되는 탄발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문틀의 상단에 부착된 멈춤쇠와 착탈됨으로써, 문틀 상의 소정 위치에 슬라이딩 도어를 멈추거나 소정 위치에 멈춘 슬라이딩 도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등 슬라이딩 도어를 멈춤쇠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 상태로 좌우 양방향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stop device for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comprising: a case (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n outer body to be installed at at least one corner of the sliding door (d); A gripping slider (5) protruding outwardly to be snapped on a detent (s) provided at a stop position (i) of the sliding door (d) of the door frame; A detachable block (7) mounted in pairs in the case (3)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ripping slider (5); And a spring means (9) mounted in the case (3) so as to be arrang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detachable blocks (7).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ding door The sliding door can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oor frame or the sliding door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liding door can be freely moved in both right and left directions in a relaxed state by the detent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본 발명은 수납장, 붙박이장, 책장 등에 적용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문 또는 미닫이 창문 등의 문짝이나, 미닫이 선반 또는 책장 등의 이동식 틀체 등을 지칭하는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어, 문틀에 설치된 멈춤쇠와 결합 또는 해제를 반복하면서, 문틀의 소정 위치에 도어를 정지시키거나 정지된 도어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stop device for a bidirectional sliding outdoor applied to a cabinet, a built-in cabinet, a bookcase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tionary stop device for a sliding door or a sliding window or a movable frame such as a sliding door shelf, And the door can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frame or the stopped door can be moved to the other side while repeat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with the detent provided on the door frame. .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으로 대표되는 슬라이딩 도어는 이외에도 미닫이창, 미닫이선반, 미닫이 붙박이장, 미닫이 책장 등에 사용되는 문짝 또는 틀체 등을 두루 이르는 말로, 문틀과 같은 외부틀체에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미국특허(등록 제8,307,497호) 미닫이문의 소프트-클로징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문틀의 소정 위치에 정지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In general, a sliding door typified by a sliding door may be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shelf, a sliding door built-in sliding door, a sliding door used for a sliding door bookcase, or the like, A bar, a US patent (Registration No. 8,307,497) shown in Fig. 1, is equipped with a sliding-door soft-closing device to mitig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door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즉, 위 소프트-클로징 장치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것처럼, 미닫이 상단에 장착되는 바, 문틀에 고정된 지주(170)와 착탈되는 슬라이더(130)의 베이스(110)에 대한 상대 이동을 탄성스프링(140)과 감쇠 실린더(120)를 통해 감쇠시킴으로써, 슬라이더(130)가 지주(170)와 결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있었다.That is, the upper soft-clos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door,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01 in Fig. 1,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170 fixed to the door frame and a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of the slider 130,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slider 13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pillars 170 is mitigated by damp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lider 130 through the elastic spring 140 and the damping cylinder 120. [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소프트-클로징 장치(101)는 탄성스프링(140)과 감쇠 실린더(120)가 슬라이더(130) 한 쪽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도 1의 반대방향 즉, 슬라이더(130)의 우측방향으로 미닫이를 이동시킬 때는 위와 같은 완충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oft-closing device 101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spring 140 and the damping cylinder 120 are installed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slider 130, When the sliding door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ffer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not be expected at all.

따라서, 미닫이가 움직이는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완충이 가능하므로, 좌우 양측으로 움직이는 미닫이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shock absorber can be cushioned only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door mov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sliding doors moving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또한, 위와 같은 단방향 개폐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내등록특허 제10-1452688호로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댐퍼는 문틀 중앙 상단에 길게 배치되어, 문틀의 좌우 양측에서 안쪽에 설치되는 인도어 사이에 배치되도록 문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아웃도어를 안내하는 바, 아웃도어를 좌측으로도 또는 우측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양측단에 배치된 탄성부재나 감쇠부재에 의해 완충하도록 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idirectional opening and closing,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452688 proposes an outdoor damper for furniture. The damper is disposed at a central upper end of the door frame so as to guide an outdoor doo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indoor unit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frame, The shock generated by the movement is buffered by the elastic members and the damping members disposed at both ends.

그러나, 이 아웃도어 댐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에 장착된 스토퍼(S)와 착탈되는 메인스위치(300)에 대해 좌우 양측 방향에서 탄성저항이나 감쇠저항을 주기 위해 제1 완충부재(510)와 제2 완충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 바, 제1 완충부재(510)와 제2 완충부재가 메인스위치(300)의 이동방향 즉, 아웃도어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동작할 수 있도록, 바디부(200)가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의 전체적인 크기나 무게가 증대되고, 따라서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운반 또는 취급 등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outdoor damper includes a stopper S mounted on the door frame and a first cushioning member (not shown) for imparting elastic resistance or damping resistance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switch 300, 510 and the second buffering member 510. The first buffering member 510 and the second buffering membe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switch 300, The overall size or weight of the damper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body 200 has the dual structure of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so that the damper can be operated without any dam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ransportation or handling is inconvenient.

또한, 이에 따라 제1 완충부재(510)는 제1 바디(210)를 따라 위쪽에, 제2 완충부재는 제2 바디(220)를 따라 아래쪽에서 바디부(200) 내에 설치되는 바, 메인스위치(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메인스위치(300)에 모먼트를 발생시키는 등 상하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편중됨으로써, 메인스위치(30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따라서 작동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마모 손상을 일으켜 아웃도어 댐퍼의 작동성능이나 내구수명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first buffer member 5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is installed in the body 200 on the lower side along the second body 220,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witch 300 may cause the main switch 300 to generate a moment, and the main switch 300 may be unevenly balanced. Thus, the main switch 300 may not operate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performance and durability life of the outdoor damper are greatly lowered due to the damage.

USP 8,307,497USP 8,307,497 KR 10-1452688KR 10-145268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 완충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문틀의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미닫이를 좌우 양측 어느 방향에서도 소정의 정지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느 방향에서 정지가 이루어지든 정지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 conventional sliding door shock absorber.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top the sliding door moving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oor frame at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opped can be buffered.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도어가 정지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면서도, 좌우의 완충구조가 최소의 구성으로도 좌우 대칭에 의해 완벽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경박단소화는 물론이고, 좌우 비대칭으로 인한 소음이나 마모 등의 성능저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door is stopped can be buffered regardless of the mov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left and right cushioning structures can be perfectly balanced by symmetric left and right even with the minimum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eliminate the degradation in performance such as noise and wear due to asymmetry of the right and left sides as well as the light and short duration of the ligh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 문틀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 정지위치에 설치된 멈춤쇠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멈춤쇠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움직이면, 상기 멈춤쇠를 해제하는 해제위치까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파지슬라이더; 상기 파지슬라이더의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쌍으로 장착되어 상기 파지슬라이더와 동시에 이동하되, 정지위치에 있는 상기 파지슬라이더가 접근하기 시작한 때 상기 파지슬라이더와 분리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슬라이더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한 때 상기 파지슬라이더와 재결합되는 착탈블럭; 및 각각의 상기 착탈블럭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쌍으로 장착되어 상기 착탈블럭이 상기 파지슬라이더에 의해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탄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양단이 구부러져 이탈구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 안내홈이 내벽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되,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피벗홈이 전후면 중 적어도 일측의 중앙에 형성된 케이스부;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정지위치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에 걸려 구속됨으로써 상기 멈춤쇠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압된 때 변형되어 상기 멈춤쇠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나, 상기 해제위치에서는 어느 한 쪽의 상기 이탈구를 따라 변위되어 상기 멈춤쇠를 해제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측 각각에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착탈블럭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정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착탈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정지위치에서 상기 착탈블럭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때 상기 착탈블럭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한 때 상기 착탈블럭과 재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door comprising: a cas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n outer body to be installed at at least one side edge of the sliding door; The door is protruded outwardly to be snapped on a detent provided at the sliding door stop position of the door frame. When the sliding door moves while the detent is engaged, the detent is moved relative to the case A gripping slider mounted in the case to move the gripping slider; Wherein the gripping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gripping slider when the gripping slider in the stopping position starts approaching, and the gripping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gripping slider in a separated state, A detachable block that is rejoined to the gripping slider when the slider returns to the stop position; And a spring means paired in the case so as to be dispos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detachable blocks, and elastically repulsive to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detachable block is pulled by the gripping slider, wherein the case is bent Wherein the slider guide groove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rm a sphere and the grip slider includes an outer body for mov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 cas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ase portion and is constrained by the slider guide groove at the stop position so that it is deformed when it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etent, The grip portion being displaced along one of the release ports to release the detent at the release position; And a case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f opposite ends of the case portion toward each corresponding detachable block, the case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when the case portion is at the stop position, the case portion starting to approach the detachable block And an extension part which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block when the case part is returned to the stop position when the case part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block, and is reconnected to the detachable block when the case part is returned to the stop posi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변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양측에 상기 걸림턱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회동구가 절결된 몸체판; 일단은 상기 몸체판의 상변 양측단 중 어느 한 쪽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멈춤쇠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된 때 상기 회동구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훅을 형성하되 상기 멈춤쇠를 파지하는 파지죠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몸체판 위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파지편; 및 상기 정지위치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에 끼워져, 상기 파지부가 상기 멈춤쇠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를 일으키지 못하게 하나, 상기 해제위치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에 끼워진 어느 한 쪽을 중심으로 다른 한 쪽이 상기 피벗홈을 따라 상기 이탈구로 피벗 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상기 멈춤쇠에 의해 가압된 때 피벗 회전하여 상기 멈춤쇠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몸체판 전후면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body plate inserted into the case portion so as to be displaceable,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protrusion being cut off at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symmetrically about the locking protrusion; One end of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body plate and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pivot along the pivot when the pawl is pressed by the detent, Wherein the gripping hooks are bent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by forming gripping hooks for gripping the detents, and are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the body plate; And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lider guide groove at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grip portion is not displaced relative to the case portion even if the grip portion is pressed by the detent, So that the pawl portion is pivotally rotated when the grip portion is pressed by the detent to release the dete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late is mutually symmetric And a pair of locking pawls disposed in pairs.

또한, 상기 케이스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단이 구부러져 회동구를 이루도록 내벽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착탈블럭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슬라이더는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착탈블럭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상기 연장부에 돌출된 슬라이더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블럭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는 블럭몸체; 및 상기 파지슬라이더가 상기 정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돌기와 정합되며, 상기 정지위치에서 접근하기 시작할 때 상기 슬라이더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동구를 따라 피벗 회전하여 열린 상태가 되고, 상기 정지위치에서 이격될 때 상기 착탈블럭 안내홈을 따라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에 장착된 회동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case may include a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of the case is bent to form a rotation hole, and the grip slider is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block, A slid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ase, wherein the detachable block comprises: a block body constituting an outer body to move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a slider projection which is aligned with the slider projection when the gripping slider is at the stop position, is pushed by the slider projection and pivoted along the pivot opening when the slider projection starts approaching from the stop position, And a pivoting piece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lock body to maintain a closed state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pivo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착탈블럭의 상기 파지슬라이더 반대쪽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슬라이더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착탈블럭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감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하다.It is further desirable to include a damping mean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rip slider of the detachable block to damp the movement of the detachable block when the grip slider returns from the released position to the stop position.

본 발명의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에 따르면, 문짝이나 창문 또는 책꽂이 선반 등 슬라이딩 도어 식으로 개폐 또는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어,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문틀 등의 상단에 부착된 멈춤쇠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문틀 상의 소정 위치에 슬라이딩 도어를 멈추거나 소정 위치에 멈춘 슬라이딩 도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등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좌우 양측에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우 양측에서 소정위치에 정지되도록 멈춤쇠와 결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모두 완충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사용 편리성 및 내구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topping device for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lied to various kinds of sliding doors which are opened or closed by a sliding door such as a door, a window or a book shelf,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door on both sides by stopping the sliding do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oor frame or returning the sliding door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detent attached, It is possible to buffer both impacts generated when the pawl is engaged with the pawl so as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durability life of the sliding door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위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의 좌우 양방향 이동에 대해 공히 완충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이를 위한 내부의 완충구조가 좌우 완전 대칭을 이루는 동시에 작고 단순하기 때문에, 좌우 구조의 비대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마모 등의 성능저하를 염려할 필요가 없고, 전체 멈춤장치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제작단계에서의 생산성은 물론, 사용단계에서의 취급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internal buffer structure for the sliding door exhibits the buffering effect both for the left and right bidirectional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as described above, while being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it is small and simple. Therefore, the noise and wear caused by the asymmetry of the left- It is not necessary to worry about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whole stop device, thereby maximizing the productivity in the production stage as well as the handling convenience in the use stage.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완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슬라이딩 도어 댐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와 파지슬라이더를 분해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지슬라이더를 분해한 정면도.
도 7은 정지위치에 있는 파지슬라이더의 파지편이 멈춤쇠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8은 정지위치에서 멈춤쇠와 결합된 상태의 파지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정지위치의 파지슬라이더가 착탈블럭으로 접근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정지위치의 파지슬라이더가 착탈블럭으로 접근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파지슬라이더가 해제위치에 도착하여 파지부가 피벗 회전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해제위치에서 파지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멈춤쇠를 해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sliding door cushioning devic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liding door damper.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is applied to a sliding door to which a stationary stopper of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ationary stop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shown in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case and the gripping slider shown in Fig. 4, exploded. Fig.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gripping slider shown in FIG. 5;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piece of the gripping slider at the stop position is deformed by the detent.
8 shows a gripping slider in engagement with a detent in a rest posi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slider at the stop position starts approaching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slider at the stop position is approaching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section starts pivot rotation when the gripping slider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 is fully opened in the release position to release the det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d)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장착되어, 문틀 상단의 멈춤쇠(s)에 착탈을 반복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d)를 문틀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3), 파지슬라이더(5), 착탈블럭(7), 및 탄발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liding door d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ent s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frame, As shown in Figs. 3 to 5, includes a case 3, a gripping slider 5, a detachable block 7, and a collapsing means 9, as shown in Figs. .

여기에서, 먼저 상기 케이스(3)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의 외부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납작한 플라스틱 재질의 사각 통체로 이루어지는 바, 슬라이딩 도어(d)의 적어도 일측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케이스(3)는 외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도어(d)에 부착되는 전면에 케이스(3) 전체를 덮는 전면보강판(11)이 부착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에는 후면의 중간부분과 전면의 하단 일부를 감싸듯이 덮는 후면보강판(13)이 부착된다.3 to 5, the case 3 is a part of an outer body of the stationary stop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The case 3 is made of a long, flat flat plastic material. ,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talled along at least one side of the sliding door 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long the upper edge. 4, a front reinforcing plate 11 covering the whole of the case 3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3 attached to the sliding door d,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the figure, a rear reinforcing plate 13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hich covers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특히, 케이스(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탄발수단(9) 및 감쇠수단(10)을 제외한 중앙 부분만을 덮고 있는 전방케이스(15)와 전장에 걸쳐 연장된 후방케이스(17)로 이루어지는 바, 후방케이스(3)의 내벽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안내홈(19)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 안내홈(19)은 양단이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칭이 되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이탈구(21)를 형성한다. 또한, 전방케이스(3)도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안내홈(19)과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더 안내홈(20)이 관통 형성되는 바, 이들 안내홈(19,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간에 끼워진 걸림돌기(533)를 통해 파지부(53), 더 나아가 파지슬라이더(5)의 이동을 안내한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se 3 includes a front case 15 covering only a central portion except for the elastic means 9 and damping means 10 on both sides, And a case 17, an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case 3, a slider guide groove 19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lider guide grooves 19 are bent in a hook shap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and 5, a slider guide groove 20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slider guide groove 19 is formed through the front case 3 and the guide grooves 19 and 2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53 and further the gripping slider 5 via the interlocking protrusion 5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케이스(3)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케이스(3) 내벽면의 슬라이더 안내홈(19) 위쪽에 좌우로 한 쌍의 착탈블럭 안내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착탈블럭 안내홈(23)도 마찬가지로 케이스(3)의 외측단(여기에서, 외측단이라 함은 케이스(3)의 중심에서 먼 쪽 끝을 의미한다)의 이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회동구(2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방케이스(3)도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블럭 안내홈(23)과 동일한 형태의 착탈블럭 안내홈(24)이 관통된다. 따라서, 이들 안내홈(23,24)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간에 끼워진 회동편(73)의 회동돌기(79)를 통해 회동편(73), 더 나아가 착탈블럭(7)의 이동을 안내한다.5, a pair of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s 23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the slider guide grooves 19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case 3, as shown in Fig. 5 And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3 is likewise bent in the shape of a hook of the outer end of the case 3 (here, the outer end is the far end from the center of the case 3) 25 are formed. 4 and 5, the front case 3 likewise penetrates through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4 of the same shape as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3. Therefore, these guide grooves 23 and 24 guide the movement of the pivotal piece 73 and further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via the pivotal projection 79 of the pivotal piece 73 inserted in the middle as described later.

상기 파지슬라이더(5)는 멈춤쇠(s)가 설치된 문틀 임의의 위치에 슬라이딩 도어(d)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5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슬라이딩 도어(d)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문틀의 위치에 설치된 멈춤쇠(s)와 수시로 결합 또는 해제를 반복하도록 일부 즉, 파지편(532)이 케이스(3)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파지슬라이더(5)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편(532)이 멈춤쇠(s)에 걸리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d)가 예컨대 도 8의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함께 이동하지 못하므로, 멈춤쇠(s)가 해제되는 해제위치(ⅱ)까지 케이스(3)에 대해 화살표(B)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The gripping slider 5 is means for temporarily fixing the sliding door d to any position of the door frame provided with the detent s, Similarly, the sliding door (d) is movably mounted in the case (3) so as to repeatedly engage or disengage from the detent (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door frame to which the sliding door (532) protrudes outside the case (3). 8, when the gripping piece 532 is caught by the detent s, even if the sliding door 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8, the gripping slider 5 moves together So that it is relative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with respect to the case 3 up to the releasing position (ii) at which the detent s is released.

이를 위해, 파지슬라이더(5)는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1), 파지부(53), 그리고 연장부(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gripping slider 5 again comprises a case part 51, a grip part 53, and an extension part 55,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부(51)는 케이스(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각 통체의 형태로 제작된 파지슬라이더(5)의 외부 몸체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나 도 6과 같이 전면판(56)과 후면판(57)이 양측단의 요철(59)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면판(56) 및/또는 후면판(57)의 중앙 부분에 공히 케이스(3)의 이탈구(21)와 동일한 형태의 피벗홈(61)이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쌍을 이루어 관통 형성된다.5 and 6 as the outer body of the gripping slider 5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so as to mov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 The front plate 56 and the rear plate 57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s shown in FIG. 6, and the front plate 56 and / The pivot grooves 61 of the same shape as the releasing opening 21 of the case 3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pierc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57.

또한, 상기 파지부(5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파지슬라이더(5) 중에서 멈춤쇠(s)를 파지하는 부분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1) 내에 삽입, 설치되는 바, 일측 즉, 상측의 파지편(532)은 케이스부(51)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 즉, 하측의 몸체판(531)은 케이스부(51) 내부에 삽입된다.5 and 6, the grip portion 53 is inserted into the case portion 51,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portion 51,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gripping piece 532 on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part 51 and the other side or the lower side body plate 531 is inserted into the case part 51.

따라서, 파지슬라이더(5)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3) 정중앙에 해당하는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 파지부(53)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걸림돌기(533)와 같은 몸체판(531)의 일부가 슬라이더 안내홈(19)에 걸려 상하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케이스(3) 외부로 노출된 파지편(532)이 도 6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압되어, 케이스부(51) 안쪽으로 압축 변형되고, 곧이어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와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반면, 파지부(53)는 파지슬라이더(5)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해제위치(ⅱ)에 있을 때는 멈춤쇠(s)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가압된 때, 예컨대 걸림돌기(533)가 이탈구(21)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벗 회전하여 멈춤쇠(s)를 해제시킨다.6 and 8,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at the stop position i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case 3 as shown in Fig. 8, for example, A part of the body plate 531 such as the base 533 is caught by the slider guide groove 19 and restrained from moving up and down so that the grip piece 53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3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etent s and compressively deforms into the inside of the case portion 51, and consequently, is snap-engaged with the detent s as shown in Fig. 11,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by the detent s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in the releasing position (ii), for example, 533 move along the release port 21 to pivot to release the detent s.

이를 위해, 파지부(5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판(531), 파지편(532), 및 걸림돌기(533)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gripper 53 may be composed of a body plate 531, a gripping piece 532, and a locking protrusion 533, as described above.

여기에서, 상기 몸체판(531)은 파지부(53)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부(51) 내에 상하이동 또는 회전 등의 변위가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상변의 중앙에 파지편(532)의 걸림훅(536)을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534)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534)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회동홈(535)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어 절결되는 바, 파지편(532)의 걸림훅(536)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body plate 531 is a part of the body of the grip 53. The body plate 531 is inserted into the case 51 so as to be displaced upward or downward or rotated, And a locking step 534 for locking the locking hook 536 of the gripping piece 5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groove 534. The locking groove 53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groove 534, So that the hooking hook 536 of the gripping piece 532 provides a space for pivotal rotation.

또한, 상기 파지편(532)도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직접적으로 멈춤쇠(s)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판(531) 위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바, 전체적으로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절곡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파지편(5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즉, 외측단이 몸체판(531)의 상변 양측단 어느 한 쪽에 각각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턱(534)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훅(536)을 형성한다. 더욱이, 파지편(532)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된 때 회동구(25)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에 이웃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수직면에 의해 멈춤쇠(s)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파지죠(537)를 형성한다.Also, as mentioned above, the gripping pieces 532 are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the body plate 531, as shown in Fig. 6, as means for grasping or releasing the detents s directly The bar is bent in the form of a right triangle as a whole. 6, the outer ends of the gripping pieces 532 are pivotally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late 531, and the other ends of the gripping pieces 532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s 534 and hook hook 536 are formed. Further, the gripping piece 53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pivot along the pivotal opening 25 when it is pushed outward by the detent s, as shown in Fig. 7, Thereby forming a gripping jaw 537 for grasping or releasing the detent s.

끝으로, 상기 걸림돌기(533)도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파지부(53)가 슬라이더 안내홈(19)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판(531)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홈(61)을 통해 케이스부(51)의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스(3)의 슬라이더 안내홈(19,20)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슬라이더(5)가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 걸림돌기(533)는 슬라이더 안내홈(19)에 끼워진다. 따라서, 파지부(53)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편(532)이 멈춤쇠(s)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걸림돌기(533)가 슬라이더 안내홈(19,20)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불가하므로, 파지편(532) 자체가 아래 쪽으로 피벗 회전하는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멈춤쇠(s)가 파지죠(537)에 위치하도록 즉, 파지죠(537)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피벗 회전한 파지편(532)의 걸림훅(536)은 회동구(25)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지편(532)의 피벗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Finally, the latching protrusion 533 is also a portion that supports the grip portion 53 so that it can be guided along the slider guide groove 19,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531, a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ortion 51 through the pivot groove 61, as shown in FIGS. 5 and 7 below And is fitted in the slider guide grooves 19, 20 of the case 3. 8,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at the stop position (i), the engaging protrusion 533 is fitted in the slider guide groove 19. 12, the grip portion 533 is caught by the slider guide grooves 19, 20 so that the grip portion 533 is engaged with the slider guide grooves 19, The pawl piece 532 itself undergoes a deformation such that it pivots downward so that the detent s is located at the pawl 537. In other words, . At this time, the hooking hook 536 of the gripping piece 532 rotated by pivoting allows the gripping piece 532 to pivot while moving along the pivoting mouth 25.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슬라이더(5)가 해제위치(ⅱ)에 있을 때, 어느 한 쪽에 예컨대, 도 11 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533)는 더 이상 슬라이더 안내홈(19)에 걸리지 못하고 멈춤쇠(s)의 가압력에 의해 이탈구(21)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는 반면, 나머지 한 쪽 예컨대, 도 11 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533)는 여전히 슬라이더 안내홈(19)에 걸려 높이 변화를 일으키기 못하므로 파지부(53)는 결과적으로 도 11과 같이 좌측 걸림돌기(533)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지부(53)는 도 12와 같이 파지죠(537)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되며, 비로소 멈춤쇠(s)를 파지슬라이더(5)로부터 해제시킨다.However, as shown in Fig. 11,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in the releasing position (ii), the engaging protrusion 533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11, for example, The locking projection 533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11, for example, remains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guide groove 19 (FIG. 11) So that the grip portion 53 is pivoted clockwise about the left locking protrusion 533 as a result,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grip portion 53 is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jaws 537 are fully opened as shown in Fig. 12, and the pawl portion s is released from the gripping slider 5 only.

한편, 상기 연장부(55)는 파지슬라이더(5)의 케이스부(51)와 착탈블럭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으로, 도 5 및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1)의 좌우 양단측 각각에서 대응하는 좌우의 착탈블럭(7)을 향해 길게 연장된 단면 ㄱ자 형태의 자루로 이루어지는 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가 즉, 케이스부(51)가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 각각의 연장부(55)는 대응하는 각각의 착탈블럭(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지위치(ⅰ)에서 케이스부(51)가 도 8의 화살표(B) 방향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때, 각각의 연장부(55)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블럭(7)으로부터 분리되며, 반대로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스부(51)가 정지위치(ⅰ)로 복귀한 때 각각의 연장부(55)는 착탈블럭(7)과 재결합된다.5 and 6, the extending portion 55 i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ase 51 of the gripping slider 5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8, the gripping slider 5, that is, the case portion 51 is in the stop position (i), as shown in Fig. 8, , Each extension portion 55 maintains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detachable block 7. As shown in Fig. 9 to 12, when the case portion 51 starts appro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in Fig. 8 at the stopping position (i), each extending portion 55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block 7, respectively. Conversely, when the case portion 51 returns to the stop position i in this separated state, each extending portion 55 is rejoin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이를 위해, 각각의 연장부(55)는 파지슬라이더(5) 즉, 케이스부(51)의 위와 같은 위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블럭(7)과 착탈될 수 있는 슬라이더돌기(63)를 말단 측에 구비하는 바, 이 슬라이더돌기(63)는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블럭(7)에 대해 접근하든 이격되든 관계없이 회동편(73)에 물렸을 때 착탈블럭(7)을 원활히 가압할 수 있도록 각진 사각통체의 형태로 연장부(55) 내측에 돌출된다.To this end, each extension portion 55 has a slider projection 63 selective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position of the gripping slider 5, that is, the case portion 51, 5 and 7, the slider protrusion 63 is provided on the detachable block 7 when the detachable block 7 is stitched on the detent block 73 regardless of whether the detachable block 7 is close to or away from the detachable block 7, And protrudes inwardly of the extended portion 55 in the form of an angled square cylinder so as to smoothly pressurize it.

상기 착탈블럭(7)은 파지슬라이더(5)와 연동하면서 슬라이딩 도어(d)의 위치에 따라 파지슬라이더(5)에 외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파지슬라이더(5) 양단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파지슬라이더(5) 양단의 연장부(55) 슬라이더돌기(63)와 착탈을 반복함으로써,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가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는 슬라이더돌기(63)와 결합되어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와 동시에 이동한다. 또한, 착탈블럭(7)은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가 정지위치(ⅰ)에서 접근하기 시작할 때는 슬라이더돌기(63)와 분리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에서 멈춤쇠(s)가 해제된 이후, 착탈블럭(7)은 복귀스프링과 같은 탄발수단(9)의 복원력에 의해 파지슬라이더(5)가 도 10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여 재차 정지위치(ⅰ)에 이른 때, 파지슬라이더(5) 즉, 슬라이더돌기(63)와 재결합된다. The detachable block 7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gripping slider 5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d while interlocking with the gripping slider 5. As shown in Figures 5 and 7, 8 by being repeatedly attached and detached with the slider projections 6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ip slider 5 at both ends of the grip slider 5, When the slider 5 is at the stop position (i), it engages with the slider projection 63 and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gripper slider 5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9, the detachable block 7 is separated from the slider projection 63 and does not move when the gripping slider 5 starts approaching at the stop position (i),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detent s is released from the gripping slider 5 as shown in Fig. 12, the detachable block 7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9, such as the return spring, 10, that is, the gripper slider 5, that is, the slider projection 63, when it reaches the stop position i again.

이를 위해, 착탈블럭(7)은 다시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71)와 회동편(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again comprises a block body 71 and a turning piece 73, as shown in Figs. 5 and 7 and below.

여기에서, 상기 블럭몸체(71)는 도 7 이하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블럭(7)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통체의 형태로 되어 케이스(3) 내주면을 따라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럭몸체(71)는 파지슬라이더(5)의 케이스부(51)를 향한 측면과 상면에 걸쳐 회동편(73)을 끼우기 위한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이 형성된 외벽에는 회동편(73)의 안내돌기(79)를 끼워 안내하는 회동홈(75)이 관통 형성되는 바, 이 회동홈(75)은 착탈블럭 안내홈(23)의 회동구(25)와 연속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회동편(73)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7, the block body 71 is a part of the outer body of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cylinder as a whole so as to slide later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 . The block body 7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recessing the turning piece 73 on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slider 5 toward the case portion 51, A pivotal groove 75 for guiding the pivotal piece 73 with the guide projection 79 therebetween is formed through the pivotal groove 75. The pivotal groove 75 has a curvature continuous with the pivotal opening 25 of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3 So a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iece 73.

또한, 상기 회동편(73)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탈블럭(7)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파지슬라이더(5)와의 착탈을 실행하는 부분으로,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착탈블럭(7)의 내측단 상단에 핀 결합되어 삽입홈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외측단 상단에 회동돌기(77)가 전후로 돌출됨으로써, 케이스(3)의 착탈블럭 안내홈(23)에 끼워져 안내된다. 아울러, 회동편(73)은 삽입홈 내에서의 피벗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외측단 하단에 안내돌기(79)가 전후로 돌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ivotal piece 73 is attach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to perform attachment / detachment to / from the gripping slider 5, and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locking protrusion 77 protrud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 removal block guide groove (groove) 7 of the case 3, 23). In addition, a guide projection 79 protrud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end so that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pivoting piece 73 can be stabilized in the insertion groove.

따라서, 회동편(73)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는 슬라이더돌기(63)와 정합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위치의 파지슬라이더(5)가 접근하기 시작할 때 슬라이더돌기(63)에 의해 가압되어 화살표(E) 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열림으로써 파지슬라이더(5)와 분리된다. 이때, 회동돌기(79)는 착탈블럭 안내홈(23)의 회동구(25)를 따라 이동하므로 회동편(73)의 피벗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슬라이더(5)가 정지위치에서 착탈블럭(7)으로부터 이격될 때, 회동편(73)은 닫힌 상태로서 슬라이더돌기(63)와의 결합을 그대로 유지하며, 따라서 좌측의 착탈블럭(7)은 연장부(55) 더 나아가, 파지슬라이더(5)를 따라 같은 방향 즉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편(73)의 회동돌기(79)는 착탈블럭 안내홈(23)에 걸려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상태에서 파지슬라이더(5)가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회동편(73)은 슬라이더돌기(63)와의 결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좌측 착탈블럭(7)도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pivoting piece 73 is aligned with the slider projection 63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at the stop position, as shown in Fig. However, as shown in Fig. 9, when the gripping slider 5 at the stop position starts to approach, it is separated from the gripping slider 5 by being pushed by the slider projection 63 and pivo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to open . At this time, the pivoting projection 79 moves along the pivot opening 25 of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3, so that the pivoting piece 73 can be pivo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separated from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at the stop position,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0, the pivoting piece 73 is in a closed state and maintains the engagement with the slider protrusion 63 So that the left detachable block 7 moves further along the gripping slider 5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t this time, the rotation protrusion 79 of the rotation piece 73 is caught by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3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herefore, even if the gripping slider 5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in the state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0, the left detachable block 7 is also held in the state shown by the arrow D while maintaining the engagement with the slider projection 63, (D) direction.

상기 탄발수단(9)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착탈블럭(7)을 통해 파지슬라이더(5)의 위치를 정지위치(ⅰ)에 유지시키는 반발수단으로서, 케이스(3) 내에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도 5 및 도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단(여기에서, 내측단이라 함은 케이스(3) 중심에서 가까운 쪽 끝을 의미한다)은 각각의 착탈블럭(7)의 외측단 하측에 연결되고, 그 외측단은 케이스(3)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의 탄발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mentioned elastic means 9 is a repulsion means for holding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slider 5 at the stop position i through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end (here, the inside end refers to the end nearer the center of the case 3) of each of the detachable blocks 7, as shown in Figs. 5 and 7,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lower side of the case 3 and the tension spring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ase 3.

따라서, 탄발수단(9)은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블럭(7)이 파지슬라이더(5)에 의해 당겨질 때 탄성 변형되어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바, 도 12와 같이 멈춤쇠(s)가 파지슬라이더(5)로부터 해제된 때, 파지슬라이더(5)를 정지위치(ⅰ)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0, the elastic means 9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detachable block 7 is pulled by the gripping slider 5, and resiliently repels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s is released from the gripper slider 5, it returns the gripper slider 5 to the stop position i.

끝으로,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는 도 5 및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블럭(7)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따라서, 착탈블럭(7)에 연결된 파지슬라이더(5)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한 쌍의 감쇠수단(10)을 더 포함하는 바, 각각의 감쇠수단(10)으로는 도시된 것처럼 유공압 감쇠실린더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감쇠수단(10)은 착탈블럭(7)의 파지슬라이더(5) 반대쪽 즉, 외측단에 푸시로드(31)가 연결되고, 케이스(3) 양단에 실린더(33)가 안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감쇠수단(10)은 착탈블럭(7)의 좌우 이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지만, 특히 착탈블럭(7)이 예컨대 도 10의 좌측에서 케이스(3) 외측단으로 이동할 때, 즉, 파지슬라이더(5)가 해제위치(ⅱ)에서 정지위치(ⅰ)로 복귀할 때 탄발수단(9)에 의한 복원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Finally, the biasing device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is provided with a gripping slider 5 connected to the detachable block 7, which damps the movement of the detachable block 7, as shown in FIGS. 5 and 7 (10) for attenuating the movement of the damping means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damping means (10) is applied with a hydraulic pressure damping cylinder as shown. At this time, the push rod 31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damping means 10 opposite to the grip slider 5 of the attaching / detaching block 7, and the cylinder 33 is seated on both ends of the case 3. Therefore, each of the damping means 10 relieves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block 7 is moved leftward or rightward, but particularly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block 7 moves from the left side of Fig. 10 to the outer side of the case 3, , And relaxes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means 9 when the gripping slider 5 returns to the stop position (i) at the release position (ii).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ationary stop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 등의 슬라이딩 도어(d)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문틀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한다.The sliding door d such as a sliding door to which the stationary stop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oves freely along the door frame in a state where the sliding door d is slidably mounted on the door frame as shown in Fig.

그러나, 도 3에 은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 도어(d)를 정지시키기 위해 문틀 상 소정의 위치에 멈춤쇠(s)가 장착된 경우,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는 파지슬라이더(5)가 멈춤쇠(s)와 결합된 때 결합을 가져온 외력을 감쇠시키기 시작하며, 이와 같이 감쇠가 종료되어 이동이 정지된 위치를 정지위치(ⅰ)라고 한다. 이와 같이, 파지슬라이더(5)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도 7 및 도 8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즉, 화살표(A)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한 슬라이딩 도어(d)와 함께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가 이동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파지슬라이더(5)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와 접촉하는 순간, 파지부(53) 파지편(532)이 도 7 및 도 6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에 의해 아래로 절곡되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멈춤쇠(s)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죠(537)에 끼워져 파지부(53)와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이후부터 멈춤쇠(s)에 의해 우측 파지편(532)에 가해진 힘 즉, 외력은 그대로 파지슬라이더(5)에 전달되며, 이 힘이 좌측 탄발수단(9)의 탄성저항과 우측 감쇠수단(10)의 감쇠저항을 이기지 못 한 경우 파지슬라이더(5), 더 나아가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 더 나아가 슬라이딩 도어(d)는 그 즉시 정지한다.However, when the detent (s)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oor frame to stop the sliding door (d) as shown by the phantom line in Fig. 3, the stopping device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The position where the damping is ended and the movement is stopped is referred to as a stop position (i).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gripping slider 5 to engage with the detent s, as shown in Figs. 3 and 8,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Figs. 7 and 8, , The biasing device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must move with the sliding door (d) moved by an external force. 7 and Fig. 6,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etent s as shown in Fig. 7, the gripping piece 532 of the gripping portion 53 is pushed downward by the detent (s) lt; / RTI > s). Thus, the detent s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jaw 537 and snapped with the gripping portion 53, as shown in Fig. The force applied to the right gripping piece 532 by the detent s is transmitted to the gripping slider 5 as it is and this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resistance of the left elasticizing means 9 and the right damping means 10 The gripping slider 5, and furthermore the stopping device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and furthermore the sliding door d, stops immediately.

반대로, 우측 파지편(532)에 가해진 외력이 위 탄발수단(9)과 감쇠수단(10)의 저항을 압도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편(532)에 멈춤쇠(s)가 물린 파지슬라이더는 위 저항을 이긴 채, 슬라이딩 도어(d)와 함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는 케이스(3)에 대해 화살표(B)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개시한다.Conversely,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ight gripping piece 532 overwhelms the resistance of the upper gripping means 9 and the damping means 10, the detent s is stuck in the gripping piece 532 as shown in Fig. The gripping slider starts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with respect to the case 3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ogether with the sliding door d while overcoming the upper resistance.

이에 따라, 파지슬라이더(5)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 착탈블럭(7)에 접근하기 시작하며, 파지슬라이더(5)에 의해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 착탈블럭(7)은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지만, 슬라이더돌기(63)에 의해 가압된 회동편(73)이 회동구(25)를 따라 블럭몸체(71)에 대해 회동편(73)을 화살표(E)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킨다. 이때, 회동돌기(79)는 회동구(25)를 따라 이동하므로 회동편(73)의 피벗 회전을 억제하지 못 한다.9, the gripping slider 5 starts to approach the right detachable block 7, and the detachable block 7, which is pressed rightward by the gripping slider 5, is moved to the right side The pivotal piece 73 pressed by the slider projection 63 relatively rotates the pivotal piece 7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with respect to the block body 71 along the pivotal opening 25. [ At this time, since the rotation protrusion 79 moves along the pivot opening 25, the pivot rotation of the rotation piece 73 can not be suppressed.

외력이 위 탄성 및 감쇠저항을 압도하므로, 파지슬라이더(5)는 도 10의 위치를 거쳐 도 11에 도시된 해제위치(ⅱ)까지 계속해서 이동하는데, 이 해제위치(ⅱ)에 이르면, 걸림돌기(533)가 이탈구(21)를 따라 아래로 이동 가능해 지므로, 파지부(53)는 화살표(F) 방향으로 피벗 회전한다. 뒤이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53)는 완전히 개방되고, 따라서, 멈춤쇠(s)가 파지슬라이더(5)와 해제되면서 슬라이딩 도어(d)는 도 12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위치(ⅰ)를 벗어나 문틀의 좌측 어딘가에 정지한다. 이때, 파지슬라이더(5)는 멈춤쇠(s)로부터 해방되었지만 파지부(53)의 걸림돌기(533)가 여전히 이탈구(21)에 걸려 있으므로 해제위치(ⅱ)를 벗어나지 못한다.Since the external force overwhelms the elasticity and damping resistance, the gripping slider 5 continues to move to the releasing position (ii) shown in Fig. 11 through the position of Fig. 10. When the gripping slider 5 reaches the releasing position (ii) The grip portion 533 can be moved downward along the release port 21, so that the grip portion 53 pivot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12, the grip portion 53 is completely opened, and thus the detent s is released from the grip slider 5, so that the sliding door 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stops at the left side of the door frame after leaving the stop position (i). At this time, although the gripping slider 5 has been released from the detent s, the engagement protrusion 533 of the gripping portion 53 is still hooked to the release port 21, so that the gripping slider 5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releasing position (ii).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d)에 가해진 외력이 파지슬라이더(5)를 해제위치(ⅱ)에 이르게 정도로 크지 않으면, 파지슬라이더(5)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위치(ⅰ)와 해제위치(ⅱ) 중간 어디쯤까지만 이동했다가 좌측 탄발수단(9)의 탄성저항과 우측 감쇠수단(10)의 감쇠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정지위치(ⅰ)로 수렴한다. 이때, 정지위치(ⅰ)로 수렴한다는 것은 좌측 해제위치에 있던 파지슬라이더(5)가 한 번에 정지위치(ⅰ)에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정지위치(ⅰ) 좌우로 진동을 겪다가 정지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d)는 멈춤쇠(s)가 설치된 위치 즉,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d)를 위치시키고자 했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However, if 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sliding door d is not large enough to bring the gripping slider 5 to the releasing position II, the gripping slider 5 is moved from the stopping position i to the releasing position Ii) only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converge to the stop position (i) without wasting the elastic resistance of the left side collision means (9) and the damping resistance of the right damping means (10). At this time, converging to the stop position (i) means that the grip slider 5 at the left release position does not stop at the stop position i at one time, but stops at the stop position (i) to be. Thus, the sliding door d is stopped at the position where the detent s is installed,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user intends to place the sliding door d.

한편, 도 8의 우측에 있던 슬라이딩 도어(d)를 압도적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도어(d)가 도 12와 같이 예컨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 것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슬라이딩 도어(d)를 잡고 좌측으로 이동시킨 것과도 동일하며, 따라서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1)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d)를 정지위치(ⅰ)에서 좌우측 어느 쪽으로도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door d on the right side of FIG. 8 is pushed to the left side by an overwhelming external force to move the sliding door 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 12,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opping device 1 of the bidirectional sliding door, the sliding door d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t the stop position (i).

어느 경우이든 즉, 도 8의 우측에 있던 슬라이딩 도어(d)를 과도한 힘으로 좌측으로 밀었건 또는 슬라이딩 도어(d)를 계속 잡고 이동시켰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s)와 해제되어 정지위치(ⅰ)를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한 슬라이딩 도어(d)를 재차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우측으로 경사져 있던 파지부(53)의 좌측 파지편(532)이 멈춤쇠(s)에 걸리는 순간 파지부(53)는 도 1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파지죠(537)에 멈춤쇠(s)를 물게 되고, 동시에 걸림돌기(533)가 이탈구(21)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파지슬라이더(5)는 좌측 탄발수단(9)의 복원력에 의해 정지위치(ⅰ)로 수렴한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딩 도어(d)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밀거나 처음 한 차례 밀 때 과도한 힘을 가한 경우가 아니라면, 파지슬라이더(5)가 멈춤쇠(s)에 걸린 때 좌우의 탄발수단(9) 및 감쇠수단(10)에 의해 좌우 이동에 따른 충격을 충분히 완충하면서 정지위치(ⅰ)에 정지하여, 문틀을 개폐하게 된다.In either case, if the sliding door d on the right side of Fig. 8 is pushed to the left by excessive force or the sliding door d is continuously held and moved, the pawl s is released as shown in Fig. 12 When the sliding door d which has moved to the left side beyond the stop position i is moved again to the right side so that the left gripping piece 532 of the gripping portion 53 inclined to the right is caught by the detent s, The pawl 53 is pivoted counterclockwise in Fig. 12 to engage the pawl s on the pawl 537 and at the same time the pawl 533 is pulled out of the pawl 21, Converges to the stop position (i)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ft side elastic means (9). In this way, the sliding door d can be moved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caught by the detent s, and when the sliding door d does not exert excessive force when pushing or pushing the first time, (10) stopping at the stop position (i) while fully cushioning the impact caused by the lateral movement,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frame.

1 : 정위치 멈춤장치 3 : 케이스
5 : 파지슬라이더 7 : 착탈블럭
9 : 탄발수단 10 : 감쇠수단
15 : 전방케이스 17 : 후방케이스
19, 20 : 슬라이더 안내홈 21 : 이탈구
23, 24 : 착탈블럭 안내홈 25 : 회동구
51 : 케이스부 53 : 파지부
55 : 연장부 61 : 피벗홈
63 : 슬라이더돌기 71 : 블록몸체
73 : 회동편 d : 슬라이딩 도어
s : 멈춤쇠 (ⅰ) : 정지위치
(ⅱ) : 해제위치
1: Fixed stop 3: Case
5: grip slider 7: detachable block
9: Elongation means 10: Attenuation means
15: front case 17: rear case
19, 20: Slider guide groove 21:
23, 24: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 25:
51: Case portion 53:
55: extension part 61: pivot groove
63: Slider projection 71: Block body
73: Rotating piece d: Sliding door
s: detent (i): stop position
(Ii): Release position

Claims (4)

슬라이딩 도어(d)의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3);
문틀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d) 정지위치(ⅰ)에 설치된 멈춤쇠(s)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멈춤쇠(s)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d)가 움직이면, 상기 멈춤쇠(s)를 해제하는 해제위치(ⅱ)까지 상기 케이스(3)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3) 내에 장착된 파지슬라이더(5);
상기 파지슬라이더(5)의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에 쌍으로 장착되어 상기 파지슬라이더(5)와 동시에 이동하되, 정지위치(ⅰ)에 있는 상기 파지슬라이더(5)가 접근하기 시작한 때 상기 파지슬라이더(5)와 분리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슬라이더(5)가 상기 정지위치(ⅰ)로 복귀한 때 상기 파지슬라이더(5)와 재결합되는 착탈블럭(7); 및
각각의 상기 착탈블럭(7)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3) 내에 쌍으로 장착되어 상기 착탈블럭(7)이 상기 파지슬라이더(5)에 의해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탄발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3)는 양단이 구부러져 이탈구(21)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 안내홈(19,20)이 내벽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슬라이더(5)는,
상기 케이스(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되,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피벗홈(61)이 전후면 중 적어도 일측의 중앙에 형성된 케이스부(51);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51)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5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정지위치(ⅰ)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19,20)에 걸려 구속됨으로써 상기 멈춤쇠(s)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압된 때 변형되어 상기 멈춤쇠(s)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나, 상기 해제위치(ⅱ)에서는 어느 한 쪽의 상기 이탈구(21)를 따라 변위되어 상기 멈춤쇠(s)를 해제시키는 파지부(53); 및
상기 케이스부(51)의 양단측 각각에서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착탈블럭(7)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51)가 상기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 상기 착탈블럭(7)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51)가 상기 정지위치(ⅰ)에서 상기 착탈블럭(7)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때 상기 착탈블럭(7)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51)가 상기 정지위치(ⅰ)로 복귀한 때 상기 착탈블럭(7)과 재결합되는 연장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A case (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n outer body to be installed at at least one side edge of the sliding door (d);
When the sliding door d moves in a state of being hooked on the detent s, the sliding door d protrudes out so as to be snapped on the detent s installed at the stop position i of the sliding door d of the door frame. A gripping slider (5) mounted in the case (3) so as to move relative to the case (3) up to a releasing position (ii) for releasing the detent (s);
The gripping slider 5 is paired and mounted in the case 3 so as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ripping slider 5 so as to be moved simultaneously with the gripping slider 5 so that the gripping slider 5 in the stopping position (7) separated from the gripping slider (5) at the start and recombined with the gripping slider (5) when the gripping slider (5) returns to the stopping position (i) in a separated state; And
(9) mounted in pairs in the case (3) so as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detachable blocks (7) and elastically repel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detachable block (7) is pulled by the gripping slider (5) ; ≪ / RTI >
The case (3) has slider guide grooves (19, 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bent so as to form the release port (21),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 gripping slider (5)
A case part 51 formed at the center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ivot groove 61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as to mov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ase part 51 and restrained by the slider guide grooves 19 and 20 at the stop position i so that the detent s And is displaced along either one of the releasing orifices 21 in the releasing position (ii)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detent s A grip portion 53 for releasing the grip portion 53; And
(7) extending from each of opposite ends of the case part (51) to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block (7), and is engaged with the detachable block (7) when the case part (7) when the case part (51) starts to approach the detachable block (7) at the stop position (i), and the case part (51)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block And an extension part (55) which is rejoined to the detachable block (7) when returned to the position (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53)는,
상기 케이스부(5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변 중앙에 걸림턱(53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534)의 양측에 상기 걸림턱(534)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회동구(25)가 절결된 몸체판(531);
일단은 상기 몸체판(531)의 상변 양측단 중 어느 한 쪽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멈춤쇠(s)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된 때 상기 회동구(25)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534)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훅(536)을 형성하되 상기 멈춤쇠(s)를 파지하는 파지죠(537)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몸체판(531) 위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파지편(532); 및
상기 정지위치(ⅰ)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19,20)에 끼워져, 상기 파지부(53)가 상기 멈춤쇠(s)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상기 케이스부(51)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를 일으키지 못하게 하나, 상기 해제위치(ⅱ)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안내홈(19,20)에 끼워진 어느 한 쪽을 중심으로 다른 한 쪽이 상기 피벗홈(61)을 따라 상기 이탈구(21)로 피벗 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지부(53)가 상기 멈춤쇠(s)에 의해 가압된 때 피벗 회전하여 상기 멈춤쇠(s)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몸체판(531) 전후면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걸림돌기(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portion 53,
A locking protrusion 53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dge of the case part 5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trusion 534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534, A body plate 531 cut out;
One end of the body plate 531 is pivotally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late 531. When the pawl is pushed outwardly by the detent s,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ivot along the pivotal opening 25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atching jaw 534 so as to form a latching hook 536. The latching jaw 536 is formed by grasping the detent s, A gripping piece 532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symmetrically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supporting member 531; And
In the stop position (i), even if the grip portion 53 is pushed by the detent s, it is inserted into the slider guide grooves 19 and 20 so that the displacement does not occur relative to the case portion 51 The other one of the slider guide grooves 19 and 20 is pivoted to the release port 21 along the pivot groove 61 at the release position (ii) Are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late (531) so as to pivot and release the detent (s) when the grip portion (53) is pushed by the detent And a locking protrusion (533) for locking the stopper (5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단이 구부러져 회동구(25)를 이루도록 내벽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착탈블럭 안내홈(23,24)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슬라이더(5)는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착탈블럭(7)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상기 연장부(55)에 돌출된 슬라이더돌기(63)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블럭(7)은,
상기 케이스(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부몸체를 이루는 블럭몸체(71); 및
상기 파지슬라이더(5)가 상기 정지위치(ⅰ)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돌기(63)와 정합되며, 상기 정지위치(ⅰ)에서 접근하기 시작할 때 상기 슬라이더돌기(63)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동구(25)를 따라 피벗 회전하여 열린 상태가 되고, 상기 정지위치(ⅰ)에서 이격될 때 상기 착탈블럭 안내홈(23,24)을 따라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럭몸체(71)의 상단에 장착된 회동편(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3) includes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s (23, 24)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one end bent to form a turning hole (25)
The gripping slider 5 includes a slider protrusion 63 protru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55 to selectively attach and detach from the detachable block 7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The detachable block (7)
A block body 71 constituting an outer body for mov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 And
Is fitted to the slider projection (63) when the gripping slider (5) is at the stop position (i) and is pressed by the slider projection (63)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71) so as to remain closed along the detachable block guide grooves (23, 24) when separated from the stop position (i) And a pivoting piece (73)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블럭(7)의 상기 파지슬라이더(5) 반대쪽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슬라이더(5)가 상기 해제위치(ⅱ)에서 상기 정지위치(ⅰ)로 복귀할 때 상기 착탈블럭(7)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감쇠수단(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7) when the gripping slider (5) returns from the releasing position (ii) to the stopping position (i) when the gripping slider (5) Further comprising a damping means (10) for damp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KR1020150171685A 2015-12-03 2015-12-03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Ceased KR101632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85A KR101632846B1 (en) 2015-12-03 2015-12-03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85A KR101632846B1 (en) 2015-12-03 2015-12-03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902A Division KR20170065431A (en) 2016-06-13 2016-06-13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46B1 true KR101632846B1 (en) 2016-06-22

Family

ID=5636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685A Ceased KR101632846B1 (en) 2015-12-03 2015-12-03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46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86B1 (en) * 2016-07-14 2017-02-08 이광재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KR101763393B1 (en) 2016-12-27 2017-08-03 김익호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KR101852075B1 (en) * 2017-08-21 2018-04-25 박기환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KR101852100B1 (en) * 2017-08-21 2018-04-27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855111B1 (en) * 2017-08-21 2018-05-04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CN108742406A (en) * 2018-08-09 2018-11-06 张文艳 Flat mop water squeezing sector
KR101940147B1 (en) * 2018-03-21 2019-01-18 (주) 메탈프린스 Damper exposed type sliding door installation structure
KR20190020604A (en) * 2018-01-15 2019-03-04 (주)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20190020602A (en) * 2017-12-06 2019-03-04 박기환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KR20190032984A (en) * 2018-01-16 2019-03-28 (주)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27B1 (en) * 2010-03-10 2011-10-27 (주)삼우 Cas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KR101186377B1 (en) * 2011-11-23 2012-09-26 신정철 Auto openning-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US8307497B2 (en) 2010-01-14 2012-11-13 Door & Window Hardware Co.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KR20130096657A (en) * 2012-02-22 2013-08-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1452688B1 (en) 2014-07-30 2014-10-22 신정철 Damper for Out Door of Furni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7497B2 (en) 2010-01-14 2012-11-13 Door & Window Hardware Co.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KR101077227B1 (en) * 2010-03-10 2011-10-27 (주)삼우 Cas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KR101186377B1 (en) * 2011-11-23 2012-09-26 신정철 Auto openning-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20130096657A (en) * 2012-02-22 2013-08-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1452688B1 (en) 2014-07-30 2014-10-22 신정철 Damper for Out Door of Furnitur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86B1 (en) * 2016-07-14 2017-02-08 이광재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KR101763393B1 (en) 2016-12-27 2017-08-03 김익호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KR101852075B1 (en) * 2017-08-21 2018-04-25 박기환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KR101852100B1 (en) * 2017-08-21 2018-04-27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855111B1 (en) * 2017-08-21 2018-05-04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2098308B1 (en) * 2017-12-06 2020-04-07 박기환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KR20190020602A (en) * 2017-12-06 2019-03-04 박기환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KR101987070B1 (en) * 2018-01-15 2019-06-10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20190020604A (en) * 2018-01-15 2019-03-04 (주)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20190032984A (en) * 2018-01-16 2019-03-28 (주)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987075B1 (en) * 2018-01-16 2019-06-10 (주) 메탈프린스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940147B1 (en) * 2018-03-21 2019-01-18 (주) 메탈프린스 Damper exposed type sliding door installation structure
CN108742406A (en) * 2018-08-09 2018-11-06 张文艳 Flat mop water squeezing s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46B1 (en)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KR20170065431A (en)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JP6715797B2 (en) Slide rail assembly
US20110043087A1 (en) Slide rail buffering structure
US8469468B2 (en) Slide assembly with buffering device
JP5433466B2 (en) Sliding assist device
JP6721565B2 (en) Slide rail assembly
US20110235952A1 (en)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US11280126B2 (en) Door closer arrangement
KR101454917B1 (en) Rail device of drawer
KR101524829B1 (en) Damping Device for Door of Furniture
US20120205058A1 (en) Semi-automatic sunshade device
KR101852100B1 (en)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763393B1 (en)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US10251486B2 (en) Headrest moving device
KR101987075B1 (en)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2098308B1 (en)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CN216875634U (en) Damping buffer device
US20180298655A1 (en) Latch Hook-type Positioning Device
KR101852075B1 (en) Damping Device For Stopping A Sliding Door
EP2371241B1 (en) Slide assembly with an opening device
KR101855111B1 (en)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101987070B1 (en)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EP2428135B1 (en) Slide assembly with buffering device
JP5380642B2 (en)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70615

Decision date: 20180817

Appeal identifier: 201710000184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8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615

Effective date: 2018081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70615

Decision date: 20180817

Appeal identifier: 2017100001849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0314

Appeal identifier: 2018200007675

Request date: 20180921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90323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90226

Request date: 20181029

Appeal identifier: 201810500010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8105000106

Request date: 20181029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90226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J1202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0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Decision date: 20190314

Request date: 20180921

Appeal identifier: 201820000767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