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17B1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Google Patents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1217B1 KR101631217B1 KR1020090113692A KR20090113692A KR101631217B1 KR 101631217 B1 KR101631217 B1 KR 101631217B1 KR 1020090113692 A KR1020090113692 A KR 1020090113692A KR 20090113692 A KR20090113692 A KR 20090113692A KR 101631217 B1 KR101631217 B1 KR 101631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sleeve
- crank chamber
- control valve
- valv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에 있어서,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과 토출실 압력 및 흡입실 압력을 받는 크랭크실 연결공과 토출실 연결공 및 흡입실 연결공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 연결공과 크랭크실 연결공을 가로지르는 제1안내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하우징; 왕복운동하면서 제1안내공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통전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왕복 운동시키는 전자 솔레노이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와 밸브체 사이를 연결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이동에 의해 크랭크실과 흡입실을 연결시키는 추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includes a crank chamber pressure, a discharge chamber pressure, and a suction chamber connection hole, And a first guide ho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chamber connecting hole and the crank chamber connecting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valve housing; A valve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of the first guide ball while reciprocating; An electromagnetic solenoid that reciprocates the valve body by energization; A sleeve connecting betwe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and the valve body; And a bleed valve connecting the crank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by movement of the sleeve.
이에 따라, 추기밸브에 의해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때에 이를 흡입실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crank chamber pressure of the compressor suddenly increases due to the extraction valve,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용량가변형 압축기, 용량제어밸브, 추기밸브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capacity control valve, extraction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때에 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capable of rapidly discharging a crankcase pressure of a compressor when the pressure increases sharply.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냉방 시스템에 포함되는 압축기는 벨트를 통해 엔진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수를 제어할 수 없다.The number of revolutions can not be controlled because the compressor included in the cooling system of the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gine through the belt.
따라서, 근래에는 엔진의 회전수에 의해 규제되는 경우 없이 냉방 능력을 얻기 위해 냉매의 토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형 압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capacity variable compressor capable of chang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efrigerant to obtain the cooling capacity without being regulated by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has been widely used.
용량가변형 압축기로는 사판식, 로터리식 및 스크롤식 등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어 있다.As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various types such as swash plate type, rotary type, and scroll type are disclosed.
이 중 사판식 압축기는, 크랭크실 내에서 경사각이 가변되도록 설치된 사판 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사판의 회전운동에 의해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실의 냉매가 실린더 내에 흡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실로 배출되는데,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과 흡입실 내의 압력 차이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하여 냉매의 토출량이 조절되게 된다.I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 swash plate provided so as to vary the inclination angle in the crank chamber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piston reciprocates by the rotary motion of the swash plate.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is sucked into the cylinder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and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rank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
특히, 전자 솔레노이드식 용량제어밸브를 채택하여 통전에 의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크랭크실의 압력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토출용량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In particular, by adopting an electromagnetic solenoid-type displacement control valve,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is adjus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by energization, thereby adjusting the discharge capacity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이하, 종래기술의 용량제어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capacity control valv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제어밸브(10)는, 몇 가지 연결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11), 전자 솔레노이드(13), 상기 밸브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12)를 포함하고 있다.1, the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11)에는 밸브체(1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14)이 형성되어 있다.The valve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hole (1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12).
특히,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3)가 통전됨에 따라 밸브체(12)가 왕복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11)에 형성된 제1안내공(14)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Particularly, as the
상기 밸브하우징(11)에는 크랭크실의 압력(Pc)과 토출실의 압력(Pd)이 각각 작용하는 크랭크실 연결공(15)과 토출실 연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실 연결공(16)과 크랭크실 연결공(15)은 상기 제1안내공(14)을 통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11)에는 토출실 연결공(16) 하단으로 흡입실 연결공(17)이 형성된다In the
또한, 상기 밸브체(12)의 끝단에 슬리브부재(18)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12)와 전자 솔레노이드(1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A
한편, 상기 슬리브부재(18)가 설치되는 상기 밸브하우징(11)에는 슬리브 보어(19)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부재(18)에는 상기 슬리브 보어(19)에 대응되는 슬리브(20)가 형성된다. A sleeve bore 19 is formed in the
또한, 상기 슬리브부재(18)에는 안쪽에 수용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에는 벨로우즈(22)가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11)에는 상기 밸브체(12)의 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캡(23)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체(12)와 캡(23) 사이에는 지지스프링(24)이 구비되어 상기 벨로우즈(22)의 팽창력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제1스프링(25)의 팽창력이 규제된다.The
한편, 상기 캡(23)은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크랭크실의 압력(Pc)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제어밸브는 압축기의 초기구동시에 크랭크실 액냉매가 기화하거나 압축기의 비정상 동작에 의해 크랭크실의 압력(Pc)이 급격하 게 증가하는 경우 이를 배출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없었다.However, the capacity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not been disclosed in which the crankcase liquid refrigerant vaporizes at the same time as the compressor of the compressor, or when the pressure Pc of the crankcase suddenly increases due to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실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때에 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capable of rapidly discharging a crankcase when a pressure of the crankcase is rapidly increased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는,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에 있어서,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과 토출실 압력 및 흡입실 압력을 받는 크랭크실 연결공과 토출실 연결공 및 흡입실 연결공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 연결공과 크랭크실 연결공을 가로지르는 제1안내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밸브하우징; 왕복운동하면서 제1안내공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통전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왕복 운동시키는 전자 솔레노이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와 밸브체 사이를 연결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이동에 의해 크랭크실과 흡입실을 연결시키는 추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comprising: a crank chamber pressure sensor A valve housing having a thread connecting hole and a suction chamber connecting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guide ho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chamber connecting hole and the crank chamber connecting hole, A valve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of the first guide ball while reciprocating; An electromagnetic solenoid that reciprocates the valve body by energization; A sleeve connecting betwe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and the valve body; And a bleed valve connecting the crank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by movement of the sleeve.
또한, 상기 추기밸브는, 상기 밸브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안내공 및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2안내공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보조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raction valve may include a second guide hole formed in the valve housing, and an auxiliary valve body formed in the sleeve to reciprocate and open the inlet of the second guide hole.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크랭크실 연결공과 제2안내공을 연결하는 유입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하우징과 슬리브 사이에는 상기 제2안내공과 흡입실 연결공을 연결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valve housing is formed with an inflow passage connecting the crank chamber connecting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and a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guide hole and the suction chamber connecting hole is formed between the valve housing and the sleeve .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에 따르면, 추기밸브에 의해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때에 이를 흡입실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ank chamber pressure of the compressor suddenly increases due to the extraction valve,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즉,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크랭크실에서 증발된 액상 냉매를 흡입실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압축기의 작동지연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판의 최대경사각으로 이동이 용이하다.That is, the liquid refrigerant vaporized in the crank chamb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at the time of initi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delay of the compressor and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swash plate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용량제어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용량제어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FIG. 2, to b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량제어밸브가 설치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provided with the displacement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C)는, 내주면에 길이방 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 보어(12)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10)과,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전방에 밀폐 결합된 전방 하우징(16)과,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후방에 밸브 플레이트(20)를 개재하여 밀폐 결합된 후방 하우징(18)으로 구성된다.2,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 includes a
상기 전방 하우징(16)의 안쪽에는 크랭크실(86)이 마련되며, 전방 하우징(16)의 중심 부근에는 구동축(44)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44)의 타단은 상기 크랭크실(86)을 통과하여 실린더 블럭(10)에 설치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다.One end of the
또한, 상기 크랭크실(86) 내에는 구동축(44) 둘레에 러그 플레이트(54)와 사판(50)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상기 러그 플레이트(54)에는, 중앙부에 가이드홀(64)이 각각 직선 천공된 한쌍의 동력전달용 지지 암(62)이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판(50)의 일면에는 볼(6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러그 플레이트(5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판(50)의 볼(66)이 러그 플레이트(54)의 가이드홀(64)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사판(50)의 경사각이 가변되게 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사판(50)의 외주면은 슈(76)를 개재하여 각 피스톤(14)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사판(50)이 경사된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에 슈(76)를 개재하여 끼워진 피스톤(14)들은 상기 실린더 블럭(10)의 각 실린더 보어(12)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그리고, 상기 후방 하우징(18)에는 흡입실(22)과 토출실(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방 하우징(18)과 실린더 블럭(10)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플레이트(20)에는 각 실린더 보어(12)에 대응하는 곳에 흡입구(32)와 토출구(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A
상기 피스톤(14)의 왕복운동에 의해 흡입실(22)의 냉매가 실린더 보어(12) 내에 흡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실(24)로 배출되는데, 상기 크랭크실(86) 내의 압력과 흡입실(22) 내의 압력 차이에 따라 사판(50)의 경사각이 변화하여 냉매의 토출량이 조절된다.The refrigerant i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용량가변형 압축기는 전자 솔레노이드식 용량제어밸브(100)를 채택하여 통전에 의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크랭크실(86)의 압력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사판(50)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의 압축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Specifically, in the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dop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량제어밸브(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제어밸브(100)는, 몇 가지 연결공이 형성된 밸브하우징(110), 전자 솔레노이드(130),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120)를 포함하고 있다.3, the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는 밸브체(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117)이 형성되어 있다.A
특히,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30)가 통전됨에 따라 밸브체(120)가 왕복 이동 하면서 밸브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안내공(117)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Particularly, as the
상기 밸브하우징(110)에는 크랭크실(86)의 압력(Pc)과 토출실(24)의 압력(Pd)이 각각 작용하는 크랭크실 연결공(112)과 토출실 연결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실 연결공(113)과 크랭크실 연결공(112)은 상기 제1안내공(117)을 통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110)에는 토출실 연결공(113) 하단으로 흡입실 연결공(111)이 형성된다In the
도면에서는, 상기 토출실 연결공(113)과 흡입실 연결공(111)이 크랭크실 연결공(112)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방향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Although the discharge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밸브체(120)의 양단부에는 압축기(C)의 흡입압(Ps) 또는 크랭크실(86)의 압력(Pc)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it i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compressor C or the pressure Pc of the
또한, 상기 밸브체(120)의 끝단에 슬리브(140)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120)와 전자 솔레노이드(1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A
한편, 상기 슬리브(140)가 설치되는 상기 밸브하우징(110)에는 슬리브 보어(119)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140)에는 상기 슬리브 보어(119)에 대응되는 니들(141)이 형성된다. 상기 니들(141)은 밸브체(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그리고, 상기 니들(141)은 밸브체(120)를 관통하며 상대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슬리브(140)의 이동에 의해 크랭크실(86)과 흡입실(32)을 연결시키는 추기밸브(150)가 더 구비된다.Further, a
상기 추기밸브(150)는 상기 밸브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제2안내공(151) 및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2안내공(151)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슬리브(140)에 형성되는 보조밸브체(152)를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10)에는 크랭크실 연결공(112)과 제2안내공(151)을 연결하는 유입유로(15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하우징(110)과 슬리브(140) 사이에는 상기 제2안내공(151)과 흡입실 연결공(111)을 연결하는 배출유로(1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154)는 흡입실(2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추기밸브(150)에 의해 압축기의 크랭크실(86) 압력(Pc)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보조밸브체(152)는 제2안내공(151)을 개방하여 크랭크실(86) 압력(Pc)이 흡입실(22)로 신속하게 배출하게 된다.The
즉, 상기 솔레노이드(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슬리브(140)에 형성된 보조밸브체(152)는 하부로 이동하며 제2안내공(151)을 개방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30)에 전류가 차단되면 보조밸브체(152)는 상부로 이동하여 제2안내공(151)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동작하는 추기밸브(150)의 구동에 의해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크랭크실(86)에서 증발된 액상 냉매를 흡입실(22)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압축기의 작동지연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판(50)의 최대경사각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The liquid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또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30)는 상기 슬리브(140)와 연결된 가동철 심(131)과, 상기 가동철심(131)의 둘레에 배치된 전자코일(132)과, 상기 전자코일(132) 등을 감싸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34)과, 상기 전자코일(132)의 안쪽에 배치된 고정철심(133) 및 상기 고정철심(133)에 결합되며 후술될 벨로우즈(160)와 고정되는 로드(135)로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4)은 전자코일(132)을 감싸는 사출물이나 절연성 케이스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가동철심(131)에는 로드(135)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공(131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30)의 통전에 의해 가동철심(131)과 슬리브(140) 및 밸브체(120)가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밸브체(120)에 의해 토출실 연결공(113)과 크랭크실 연결공(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안내공(117)의 입구가 개폐된다.The
또한, 상기 고정철심(133)과 가동철심(131) 사이에는 오프 스프링(off-spring, 125)이 설치되어 있어, 외력이 없는 평상시에는 밸브체(120)가 상승하여 제1안내공(117)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반면 제2안내공(151)은 제2밸브체(152)가 상승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An off-
그리고, 상기 로드(135)는 고정철심(133)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로드(135)의 회전에 의해 후술할 벨로우즈(160)의 초기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슬리브(140)의 일면과 제1안내공(117)이 형성된 밸브하우징(110)의 내측 대향면에 의해 상기 밸브체(120)의 최대 열림량이 제한된다.The maximum opening amount of the
또한, 상기 슬리브(140)의 안쪽에 수용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70)에는 벨로우즈(160)가 설치된다. A receiving
한편, 상기 수용부(170)는 상기 흡입실(22)에 직접 연결되어 흡입실 압력(Ps)이 작용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160)에는 삽입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135)에는 상기 삽입홈(161)에 대응되는 삽입구(135a)가 형성되어 상대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이다.An
한편, 상기 벨로우즈(160)의 삽입홈(161)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 단부는 상기 슬리브(140)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posit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160) 내부에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지지스프링(162)이 내장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가동철심(131)에는 흡입실 연결공(111)과 연통되도록 안내홈(131b)이 형성된다.A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4)에도 흡입실(22)의 압력(Ps)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가동철심(131)과 슬리브부재(140)에도 흡입실(22)의 압력(Ps)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sure Ps of the
더욱이, 흡입실(22)의 압력(Ps)을 가지는 흡입 냉매가스가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4)을 통과함으로써 전자 솔레노이드(130) 부분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솔레노이드(130)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전자 솔레노이드(130)가 발생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류에 비례하는 전자기력을 정확하게 생성 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refrigerant gas having the pressure Ps of the
한편, 상기 로드(135)에는 링홈(136)이 형성되며, 상기 링홈(136)에는 오링(137)이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131b)을 통해 유입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
또한, 상기 토출실 연결공(113)에는 필터(180)가 설치되어 제어밸브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apacity control valve of a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pacity modulation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용량제어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FIG.
도 4는 도 2의 용량제어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acity control valve of FIG. 2. FIG.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용량제어밸브100 ... capacity control valve
110... 밸브하우징110 ... valve housing
111... 흡입실 연결공111 ... suction chamber connection ball
112... 크랭크실 연결공112 ... crank chamber connection hole
113... 토출실 연결공113 ... discharge chamber connection hole
117... 제1안내공117 ... first guide ball
119... 슬리브 보어119 ... sleeve bore
120... 밸브체120 ... valve body
121... 턱부121 ... jaw
122... 대경부122 ... large neck
123... 소경부123 ... small neck
130... 전자 솔레노이드130 ... Electronic solenoid
131... 가동철심131 ... movable core
132... 전자코일132 ... electromagnetic coil
134... 솔레노이드 하우징134 ... Solenoid housing
137... 제3안내공137 ... 3rd guide ball
140... 슬리브140 ... Sleeve
150... 추기밸브150 ... Extraction valve
160... 벨로우즈160 ... Bellows
170... 벨로우즈 수용부170 ... bellows receiving portion
C... 용량가변형 압축기C ... capacity variable type compresso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3692A KR101631217B1 (en) | 2009-11-24 | 2009-11-24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CN201080058095.2A CN102667154B (en) | 2009-11-24 | 2010-11-11 |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PCT/KR2010/007938 WO2011065693A2 (en) | 2009-11-24 | 2010-11-11 |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3692A KR101631217B1 (en) | 2009-11-24 | 2009-11-24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7333A KR20110057333A (en) | 2011-06-01 |
KR101631217B1 true KR101631217B1 (en) | 2016-06-17 |
KR101631217B9 KR101631217B9 (en) | 2021-09-09 |
Family
ID=4439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3692A Active KR101631217B1 (en) | 2009-11-24 | 2009-11-24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12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722B1 (en) * | 2012-07-26 | 2013-08-21 |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27283A (en) | 2003-10-27 | 2005-05-19 | Calsonic Kansei Corp |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09057855A (en) | 2007-08-30 | 2009-03-19 | Sanden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349A (en) * | 1996-08-12 | 1998-02-24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2009
- 2009-11-24 KR KR1020090113692A patent/KR1016312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27283A (en) | 2003-10-27 | 2005-05-19 | Calsonic Kansei Corp |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09057855A (en) | 2007-08-30 | 2009-03-19 | Sanden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7333A (en) | 2011-06-01 |
KR101631217B9 (en) | 2021-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5288150A (en) | Solenoid control valve | |
KR101631222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986939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US20110220825A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83671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28874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and assembly method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631217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99100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607708B1 (en) | A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083678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621247B1 (en) |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58586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58774B1 (en) |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993769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58585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993771B1 (en) | Valve assembly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757343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099092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1580266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933264B1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220014947A (en) | Variable Capacity External Control Valve | |
KR20120122657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069658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120008309A (en) | Capacity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110040207A (en) | Driving Control Method of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10607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10812 Request date: 20210607 Appeal identifier: 2021105000051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5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607 Effective date: 20210812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2108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10607 Decision date: 20210812 Appeal identifier: 2021105000051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21090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