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08B1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1208B1 KR101631208B1 KR1020140098561A KR20140098561A KR101631208B1 KR 101631208 B1 KR101631208 B1 KR 101631208B1 KR 1020140098561 A KR1020140098561 A KR 1020140098561A KR 20140098561 A KR20140098561 A KR 20140098561A KR 101631208 B1 KR101631208 B1 KR 101631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tilt
- tilt bracket
- slit
- dist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축이 삽입된 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어저스트볼트가 관통되는 디스턴스브래킷;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의 양측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어저스트볼트가 체결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틸트브래킷; 상기 틸트브래킷이 고정되고, 차체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래킷; 및 상기 어저스트볼트에 연결되어 상기 틸트브래킷을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틸트브래킷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시 일정한 고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장홀의 테두리를 따라 호 형상으로 절결되는 절결슬릿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틸트브래킷의 유연성을 조정함으로써 작은 토크량으로도 조향축을 효율적으로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 distance bracke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e into which a steering shaft is inserted and an adjust bolt penetrated therethrough; A til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tance bracket and having an elongated hole for fastening the adjust bol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unting bracket to which the tilt bracket is fixed and which is mounted to a vehicle body;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adjuster bolt and brings the tilt bracket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ance bracket, wherein the tilt bracket includes a tilt bracket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bracket so as to form a constant fixing force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And a cutout slit that is cut out in an arc shape along the rim of the long hole.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flexibility of the tilt bracket, the steering shaft can be effectively fixed or released with a small torque amou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에 관한 것으로, 틸트브래킷의 유연성을 조정하여 작은 토크로도 틸트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어 틸트 및 텔레스코픽의 고정상태를 용이하게 유지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which can adjust the flexibility of a tilt bracket to rotate a tilt lever even with a small torque and can easily maintain and release a fixed state of tilt and telescopic .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자세에 맞게 조향휠(STEERING WHEEL)의 높이 및 전·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향휠 조정장치가 있다. The vehicle has a steering wheel adjustment devic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steering wheel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and posture.
조향휠 조정장치는 운전자가 잠금 레버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한 뒤, 조향휠을 일정한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는 틸트 조정장치와,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향축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입시켜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조정장치로 이루어진다.The steering wheel adjusting device includes a tilt adjusting device that can tilt the steering wheel by a predetermined angle after the driver releases the locked state by operating the lock lever and a tilt adjusting device that pulls or draws the steering wheel from the steering shaft, And a telescopic adjustmen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아래에서는 이러한 틸트 조정과 텔레스코픽 조정이 모두 가능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정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Below, a tilt and telescopic adjustment device capable of both tilt adjustment and telescopic adjust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종래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lt and telescopic adjustment device.
기본적으로 조향휠(10)이 조향축(12)의 선단에 연결되고, 조향축(12)은 외측튜브(14)에 수용된다. 외측튜브(14) 후단으로는 내측튜브(16)가 수용되어 내측튜브(16)가 외측튜브(14)에 대해 인입 및 인출 동작된다.Basically, the
마운팅브래킷(20)은 외측튜브(14) 상부에 위치하고, 하면으로 한 쌍의 틸트브래킷(26)이 설치되어 외측튜브(14)를 감싼다. 마운팅브래킷(20)은 차체에 고정된다.The
디스턴스브래킷(22)은 외측튜브(14)에 고정되되, 마운팅브래킷(20)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텔레스코픽장홀(23)이 형성되어 어저스트볼트(24)가 관통된다.The
틸트브래킷(26)은 마운팅브래킷(20)에 고정되어 외측튜브(14)를 감싼다. 그리고 틸트브래킷(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27)이 형성되어 어저스트볼트(24)가 관통됨으로써 어저스트볼트(24)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The
틸트고정기어(28)는 틸트브래킷(26) 외측에 고정되고, 틸트 장홀(27)의 위치에 대응되게 장홀(29)이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다.The tilt fixed
틸트가동기어(30)는 틸트고정기어(28)에 선택적으로 맞닿아 치합된다. 그리고 틸트가동기어(30)에는 캠(34)이 설치되고, 캠(34)에는 틸트레버(32)가 연결된다.The tilt
위와 같은 구조로, 외측튜브(14)를 틸트시키거나, 인출입시키는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정한 뒤 틸트레버(32)를 회전시키면, 캠(34)의 작용으로 틸트가동기어(30)가 틸트고정기어(28)와 치합되면서 틸트브래킷(26)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틸트브래킷(26)이 디스턴스브래킷(22)을 가압하여 조향휠(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When the
그러나 종래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정장치는 조향휠(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틸트브래킷(26)을 가압해 탄성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턴스브래킷(22)에 대한 수직항력을 증가시키므로, 틸트 과정에서 틸트브래킷(26)이 고정된 마운팅브래킷(20)에 가까워질수록 틸트브래킷(26)을 탄성 변형시키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틸트레버(32)가 수동으로 구동되는 타입일 경우, 위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틸트레버(32)를 조작하기는 더욱 어렵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ilt and telescopic adjusting device increases the vertical drag on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틸트브래킷에 호 형상의 절결슬릿을 형성하여 틸트브래킷의 유연성을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flexibility of a tilt bracket by forming a notched slit in a tilt bracket .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는 조향축이 삽입된 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어저스트볼트가 관통되는 디스턴스브래킷;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의 양측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어저스트볼트가 체결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틸트브래킷; 상기 틸트브래킷이 고정되고, 차체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래킷; 및 상기 어저스트볼트에 연결되어 상기 틸트브래킷을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틸트브래킷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시 일정한 고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장홀의 테두리를 따라 호 형상으로 절결되는 절결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nce bracke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e into which a steering shaft is inserted and through which an adjust bolt passes; A til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tance bracket and having an elongated hole for fastening the adjust bol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unting bracket to which the tilt bracket is fixed and which is mounted to a vehicle body;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adjuster bolt and brings the tilt bracket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ance bracket, wherein the tilt bracket includes a tilt bracket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bracket so as to form a constant fixing force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And a cutout slit that is cut out in a round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ong hol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는 절결슬릿으로 인해 틸트브래킷의 유연성을 조정함으로써 작은 토크량으로도 조향축을 효율적으로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The steering column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fix or unlock the steering shaft even at a small torque amount by adjusting the flexibility of the tilt bracket due to the cutout slit.
도 1은 종래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절결슬릿의 실시예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lt and telescopic adjustment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s 4 and 5 show the embodiment of the notched slit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는 조향축이 삽입된 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어저스트볼트가 관통되는 디스턴스브래킷; 디스턴스브래킷의 양측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어저스트볼트가 체결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틸트브래킷; 틸트브래킷의 일단에 고정되고, 차체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래킷; 및 어저스트볼트에 연결되어 틸트브래킷을 디스턴스브래킷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틸트브래킷은, 마운팅브래킷과 인접한 위치에서 장홀의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절결되는 절결슬릿과, 절결슬릿 양단부로부터 절결되되 틸트브래킷 타단에 가까워질수록 장홀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형태로 절결되는 보조절결슬릿을 포함하며, 틸트브래킷은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과 상기 절결슬릿이 함께 형성된 제1 영역; 장홀과 보조절결슬릿이 함께 형성된 제2 영역; 및 장홀만 형성된 제3 영역으로 구획된다.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nce bracke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e into which a steering shaft is inserted, the adjust bolt passing through; A til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tance bracket and having an elongated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unting bracket fixed to one end of the tilt bracket and moun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adjuster bracket and closely contacting the tilting bracket with the distance bracket. The tilting bracket includes a cutout slit cut in a circular arc around the long hol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bracket, Wherein the tilt bracket includes a first region in which a long hole and the cut slit ar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tilt bracket; A second region in which an elongated hole and a beam adjusting element slit are formed together; And a third region where only long holes are formed.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튜브(100)는 조향축(미도시)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튜브(100)와 조향축을 통틀어 조향컬럼이라 부른다.
The
디스턴스브래킷(110)은 튜브(100) 외측에 설치되는데, 튜브(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모두 설치 가능하다. 디스턴스브래킷(110)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The
어저스트볼트(114)는 긴 원기둥 형상으로, 관통홀(112)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어저스트볼트(114)는 후술할 장홀(133, 142)을 관통하여 장홀(113, 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The adjust bolt (114) has a long columnar shap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The
마운팅브래킷(120)은 차체에 고정되어 튜브(100)를 지지한다.
The
틸트브래킷(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120)에 고정되어 튜브(100)와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The
틸트브래킷(1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각각이 마운팅브래킷(120)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고, 디스턴스브래킷(110) 양측면과 맞닿아 후술할 틸트레버(160)의 작동에 따라 마운팅브래킷(120)에 대해 탄성변형되어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가압한다. 틸트브래킷(1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133)이 형성되어 어저스트볼트(114)가 관통된다.Each of the
한편, 틸트브래킷(130)에는 호 형상의 절결슬릿(134)이 장홀(13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절결슬릿(134)은 틸트브래킷(130)이 작은 힘으로도 탄성변형되도록 하여 디스턴스브래킷(110)을 용이하게 가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arc-
가압부재는 틸트브래킷(130)을 가압하여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구속함으로써 조향휠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틸트고정기어(140); 틸트가동기어(150); 및 틸트레버(160)로 이루어진다.
The pressing member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by pressing the
틸트고정기어(1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틸트브래킷(130) 외측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톱니(141)가 형성된다. 톱니(141)는 2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장홀(142)이 형성된다.
The tilt
틸트가동기어(1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틸트브래킷(1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어저스트볼트(114)의 일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톱니(151)가 2열로 형성되어 어저스트볼트(114)의 위치에 따라 틸트가동기어(150)가 틸트고정기어(140)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The tilt
틸트레버(160)는 틸트브래킷(1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어저스트볼트(114)의 타단에 고정된다. The
그리고 틸트레버(160)와 틸트브래킷(130) 사이에는 캠(162)이 설치되어 틸트레버(160)의 회전에 따라 캠(162)이 틸트레버(160)를 틸트브래킷(13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어저스트볼트(114)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캠(162)은 작동캠(162a)과 고정캠(162b)으로 이루어지는데, 작동캠(162a)은 틸트레버(160)에 고정되고, 고정캠(162b)은 틸트브래킷(130)에 고정된다. 따라서 틸트레버(160)의 회전에 따라 작동캠(162a)이 고정캠(162b)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어저스트볼트(114)가 이동된다.
A
아래에서는 튜브(100)가 고정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ixing the
틸트레버(160)가 잠금 방향으로 회전되면, 작동캠(162a)이 고정캠(162b)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고정캠(162b)을 밀기 때문에 틸트브래킷(130)이 탄성변형되어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어저스트볼트(114)는 틸트브래킷(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어저스트볼트(114)의 일단에 고정된 틸트가동기어(150)가 틸트고정기어(140)에 맞물려 어저스트볼트(114)의 위치가 고정된다.When the
따라서 운전자는 틸트레버(160)의 조작으로 튜브(100)를 고정 해제시킨 상태에서 튜브(100)와 연결된 조향휠을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두고, 다시 틸트레버(160)를 조작하여 튜브(100)를 고정시킴으로써 조향휠(미도시)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iver moves the steering wheel connected to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는 절결슬릿(134)으로 틸트브래킷(130)의 유연성을 조율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flexibility of the
도 4 및 도 5는 절결슬릿의 실시예이다.
Figs. 4 and 5 show embodiments of the cut slit. Fig.
본 발명은 틸트브래킷(130)의 일단부가 마운팅브래킷(120)에 고정되므로, 만약 절결슬릿(134)이 없을 경우 틸트브래킷(130)의 마운팅브래킷(120)과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구속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틸트브래킷(130)의 마운팅브래킷(120)과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틸트브래킷(130)을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이하 '요구 변형력'이라 한다)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 변형력을 낮추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레버(160)의 회전으로 가장 큰 힘을 받는 틸트브래킷(130)에 호 형상의 절결슬릿(134)이 형성된다. Since the one end of the
절결슬릿(134)은 라운드진 U자 형태로 형성되되, 장홀(13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틸트브래킷(130)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장홀(133) 주변이 분할되기 때문에, 가압부재를 통해 틸트브래킷(130)을 가압할 시 1차적으로 장홀(133) 주변의 상기 분할된 부분이 탄성변형되고, 2차적으로 그 외의 부분이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 또는 같은 힘으로도 고효율의 가압 효과가 발생되는 장점이 있다.The cut-
한편, 절결슬릿(134)은 U자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절결슬릿(134)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cutout slit 13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U-shape, and an embodiment of the cutout slit 134 will be described below.
제1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슬릿(134)의 끝단부 각각에 보조절결슬릿(135)이 장홀(133)로부터 멀어지는 형태, 즉, 바깥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절결슬릿(135)의 끝단부는 장홀(135)의 길이를 넘지 않게 위치한다. 따라서 틸트브래킷(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133)과 절결슬릿(134)이 함께 형성된 제1 영역(Z1); 장홀(133)과 보조절결슬릿(135)이 함께 형성된 제2 영역(Z2); 및 장홀(133)만이 형성된 제3 영역(Z3)으로 구획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는 틸트브래킷(130) 중 장홀(133)과 절결슬릿(134) 사이의 분할된 면적이 증가되어 제2 영역(Z2)의 요구 변형력이 제1 영역(Z1)의 요구 변형력보다 증가된다. 그리고 제3 영역(Z3)에는 별도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요구 변형력이 제2 영역(Z2)보다 증가된다. 이는 어저스트볼트(114)의 위치가 올라갈수록 요구 변형력이 낮아져 틸트레버(160)가 회전되기 위해 필요한 토크량이 낮아지는 것, 즉, 틸트레버(160)가 너무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는 틸트레버(160)가 제1, 제2, 제3 영역(Z1, Z2, Z3) 중 어느 영역에서 회전되더라도 요구되는 토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결국, 틸트브래킷(130)이 디스턴스브래킷(110)을 고정시키는 힘(고정력)이 일정한 장점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cutout slit 134 is further formed with a beam adjusting slit 135 away from the
제2 실시예로, 절결슬릿(134)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 단부에만 보조절결슬릿(135)이 바깥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절결슬릿(135)은 도 5와 같이 틸트브래킷(130) 중 절곡되지 않은 면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틸트브래킷(130)의 절곡된 면{도 5(b) 기준으로 우측}이 마운팅브래킷(120)과 결합된 방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요구 변형력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는 틸트브래킷(130)의 장홀(133)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요구 변형력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100: 튜브 110: 디스턴스브래킷
112: 관통홀 114: 어저스트볼트
120: 마운팅브래킷 130: 틸트브래킷
133: 장홀 134: 절결슬릿
135: 보조절결슬릿 140: 틸트고정기어
141: 톱니 142: 장홀
150: 틸트가동기어 151: 톱니
160: 틸트레버 162: 캠
162a: 작동캠 162b: 고정캠100: tube 110: distance bracket
112: through hole 114:
120: mounting bracket 130: tilt bracket
133: long hole 134: cut slit
135: beam adjustment slit 140: tilt fixed gear
141: sawtooth 142: long shaft
150: tilt movable gear 151: tooth
160: Tilt lever 162: Cam
162a:
Claims (3)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의 양측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어저스트볼트가 체결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틸트브래킷;
상기 틸트브래킷의 일단에 고정되고, 차체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래킷 및
상기 어저스트볼트에 연결되어 상기 틸트브래킷을 상기 디스턴스브래킷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틸트브래킷은 타단이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틸트브래킷은,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장홀의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절결되는 절결슬릿과, 상기 절결슬릿 양단부로부터 절결되되 상기 틸트브래킷 타단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장홀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형태로 절결되는 보조절결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브래킷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장홀과 상기 절결슬릿이 함께 형성된 제1 영역; 상기 장홀과 상기 보조절결슬릿이 함께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장홀만 형성된 제3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A distance bracke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into which the steering shaft is inserted and having an escape bolt penetrated therethrough;
A til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tance bracket and having an elongated hole for fastening the adjust bol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unting bracket fixed to one end of the tilt bracket and moun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adjuster bolt to closely contact the tilt bracket with the distance bracket,
The other end of the tilt bracket is not fixed,
The tilt bracket includes a cutout slit cut in a circular arc shape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ng hol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 cutout slit that is cut away from both ends of the cutout slit and sloped away from the long hol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tilt bracket Shaped beam-slitting slit,
Wherein the tilt bracket has a first reg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which the elongated hole and the cut slit are formed together;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elongated hole and the beam adjusting slit are formed together; And a third region having only the elongated hole form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65475 | 2014-05-29 | ||
KR1020140065475 | 2014-05-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399A KR20150139399A (en) | 2015-12-11 |
KR101631208B1 true KR101631208B1 (en) | 2016-06-17 |
Family
ID=5502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8561A Active KR101631208B1 (en) | 2014-05-29 | 2014-07-31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120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4179B1 (en) * | 2018-04-26 | 2022-11-08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
KR102538797B1 (en) * | 2018-04-26 | 2023-06-01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6819A (en) | 1998-04-24 | 2000-01-11 | Nippon Seiko Kk | Support device for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
JP2007069800A (en) | 2005-09-08 | 2007-03-22 | Nsk Ltd | Stee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2983B1 (en) * | 2007-04-27 | 2011-05-09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of car |
KR20120139898A (en) | 2011-06-20 | 2012-12-28 | 주식회사 만도 | Tilt apparatus of steering column and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using the same |
-
2014
- 2014-07-31 KR KR1020140098561A patent/KR1016312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6819A (en) | 1998-04-24 | 2000-01-11 | Nippon Seiko Kk | Support device for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
JP2007069800A (en) | 2005-09-08 | 2007-03-22 | Nsk Ltd | Stee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399A (en) | 2015-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68945B2 (en) | Steering column comprising an improved depth-blocking mechanism | |
US10343707B2 (en) |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KR101585421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US20060213309A1 (en) | Clamp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 |
JP2016175486A (en) | Steering device | |
KR101631210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US10676122B2 (en) | Tilt fixing device for vehicular steering column | |
US20170008550A1 (en) |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KR101631208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20120139898A (en) | Tilt apparatus of steering column and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using the same | |
KR101593600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101604020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102267718B1 (en) | Latch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 |
KR101601697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101631213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100854767B1 (en) | Tilt or tilt telescope steering of motor vehicle with adjustment spring | |
US11697447B2 (en) | Steering column positive lock drive mechanism | |
KR20180088252A (en) | Steering column | |
JP2021020526A (en) | Steering column device | |
KR101622233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JP6512486B2 (en) | Vehicle knee bolster | |
KR101745046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123258B1 (en) | Ratchet structure for vehicle steering systems | |
EP3844047B1 (en) | Steering column breakaway and energy absorption apparatus | |
KR100923203B1 (en) | Tilting device of the steering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