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0653B1 -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653B1
KR101630653B1 KR1020090075457A KR20090075457A KR101630653B1 KR 101630653 B1 KR101630653 B1 KR 101630653B1 KR 1020090075457 A KR1020090075457 A KR 1020090075457A KR 20090075457 A KR20090075457 A KR 20090075457A KR 101630653 B1 KR101630653 B1 KR 10163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y
call
client
server
medi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386A (ko
Inventor
맹제영
한세희
팽패이패이
정동신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26Media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 포인트가 호 송수신 요청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중 요청된 호 송수신을 하고자 하는 대상 전자기기 및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과 대상 전자기기 간의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한 후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이 설정된 단말과 대상 전자기기 간의 호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90075457
UPnP, Call delivery, Call forwarding, Telephony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ALL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 상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 기반의 사설 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개인 컴퓨터(PC)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인 미들웨어(middleware)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여기서 미들웨어는 다양한 장치들을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하여 장치들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미들웨어는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HWW(Home Wide Web)등이 제안되었다.
이 중 UPnP 네트워크는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 기술로서, UPnP 디바이스와 UPnP 서비스(service) 및 이들 간의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 러한 UPnP 네트워크는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홈 네트워크 장치인 피제어 장치(Controlled Device: CD)와,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인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CP)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제어 장치로 이벤트를 요청하고 피제어 장치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한다.
피제어 장치는 제어 포인트의 요청에 따라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태(state)가 변경되면 이벤트를 요청한 제어 포인트로 요청된 이벤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UPnP 네트워크 장치들은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과정,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 디스크립션(Description) 과정, 제어(Control) 과정 및 이벤팅(Eventing)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과정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과정은 새로운 피제어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과정이다.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은 새로운 제어 포인트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피제어 장치들을 검색(search)하는 과정이다. 디스크립션(Description) 과정은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검색된 피제어 장치의 IP 주소를 통해 서비스 디스크립션 (service descrip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또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vice description) XML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새로 추가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는 과정이다. 제어(Control) 과정은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장치를 통 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따라 SOAP를 이용해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action request)를 해당 피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result, variable value)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이벤팅(Eventing) 과정은 제어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한 피제어 장치의 정보 변경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UPnP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오디오(Audio)/비디오(Video)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UPnP AV 기술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UPnP AV 기술은 UPnP AV 스펙에 기재되어 있다.
UPnP 스펙에 따르면, UPnP AV 아키텍쳐는 CDS(Content Directory Service)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기(Media Renderer), 및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기가 상호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CDS는 미디어 서버에 내장되어 있는 서비스로서, 홈 네트워크 내외에 존재하여 미디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제어 포인트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 포인트는 CDS로부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미디어 재생기에게 확인된 메타데이터의 재생을 요청한다. 이처럼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할 경우 해당 단말기는 VVOIP(Video and Voice Over IP) 및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을 통해서 전송된 호들을 상기와 같은 UPnP AV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로 재전송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UPnP AV 아키텍쳐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이동 및 동기화하기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전화 통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호 제어 신호를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UPnP AV 아키텍쳐는 자동응답 기능 및 SMS 작성 또는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UPnP AV 아키텍쳐는 AV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통화 음성 및 영상을 전송할 경우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통화 전송을 위한 전용 규격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클라이언트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호를 송수신하거나 호를 제어하는 텔레포니(Telephony) 단말과, 상기 텔레포니 단말로부터 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텔레포니 단말로 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중 호 송수신을 하고자 하는 대상 전자기기 및 상기 텔레포니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텔레포니 단말과 상기 선택된 대상 전자기기 간의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이 설정된 텔레포니 단말 및 대상 전자기기에 대한 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포니 단말,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가 호 송수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중 상기 요청된 호 송수신을 하고자 하는 대상 전자기기 및 상기 텔레포니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텔레포니 단말과 대상 전자기기 간의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이 설정된 텔레포니 단말과 대상 전자기기 간의 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화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장치를 통해서 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호 송수신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다 큰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근접한 홈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호 송수신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할 필요 없이 바로 홈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101),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 (Universal Plug and Play Telephony Control Point, 이하, '제어 포인트'라고 칭한다.)(102), 텔레포니 서버(Telephony Server)(103), 텔레포니 클라이언트(Telephony Client)(104)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101)는 텔레포니 서비스(Telephony Service)를 제공하고,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텔레포니 서버(103)로 제공한다.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Telephony Server Device)(106)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Telephony Client Device)(109)를 제어하는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103)로부터 전송된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포함하는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의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에 사용할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그리고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결정된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이 정의된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텔러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함으로써 텔러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에 포함된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의 환경을 설정한다.
또한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103),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또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가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내부에 포함되면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UPnP Action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를 제어할 수 있다.
텔레포니 서버(103)는 휴대폰, 전화와 같은 CE(Computer Engineering) 장치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VoIP(Voice over IP)를 포함한 PC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포니 서버(103)는 텔레포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01)와, 해당 서비스 제공자(101)가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을 제어한다.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9)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상 전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영상을 입출력할 수 있는 CE 장치 및 PC 또는 TV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 안에서 편리하게 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텔레포니 서버(103)는 셀룰러 모듈(105),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CCS)(106), 대역 외 프로토콜 호 제어 서비스(Out of band Protocol CCS)(107), 호 전송 에이전트(Call Transfer Agent)(108)를 포함한다.
셀룰러 모듈(105)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단말기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로서, 셀룰러 망에 접속하여 호 송신 요청, 호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 호 데이터 전송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101)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셀룰러 모듈(105)은 일 실시 예로서 서비스 제공자(101)와 연결되어 텔레포니 서비스(Telephony Service)를 제공하는 VoIP와 같은 어떠한 모듈로도 대체될 수 있다.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CCS)(106)는 호 제어 서비스(Call Control Service)(200),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Telephony Client ConfigService)(201), 채널 전송 서비스(Channel Transport Service)(202), 자동 응답 서비스(Answering machine Service)(203), HID 서비스(HID Service)(204)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 제어 서비스(200)는 호 송신 요청, 호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 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셀룰러 모듈(105)을 제어한다.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1)는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 언트(104) 간에 전송되는 규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보유한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108)의 능력(Capability)을 UPnP 텔리포니 제어 포인트(102)로 제공한다. 그리고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1)는 UPnP 텔리포니 제어 포인트(102)로부터 능력 정보를 기록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유일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호 송수신 할 시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를 구별한다.
채널 전송 서비스(202)는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간의 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송수신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정보는 프로파일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에 정의된 프로토콜이 이더넷(Ethernet) 기반으로 하는 TCP/IP 상의 HTTP일 경우 설정되는 정보는 양방향으로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RL이 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상에 복수의 텔레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통신 연결을 위한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선택이 있으면 채널 전송 서비스(202)는 선택된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에 대한 정보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채널 전송 서비스(202)는 선택된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한다.
자동 응답 서비스(203)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텔레포니 서버(103)의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거나 사용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텔레포니 클라이언 트(104)의 호 데이터 송신 에이전트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자동 응답 서비스(203)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자동 응답 서비스(203)는 부재중 메시지와 같이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수신하지 못한 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저장된 호 데이터 정보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송신하도록 호 데이터 송신 에이전트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는 자동 응답 서비스(203)를 통해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도중에 호가 수신되더라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한 후 호를 수신할 수 있다.
HID(Human Interface Device) 서비스(204)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에 텍스트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서비스로서,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타입을 정의하여 설정한 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입력 값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자동 응답 서비스(203)와 HID 서비스(204)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를 포함하지 않고, 그 외의 서비스들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대역 외 프로토콜 호 제어 서비스(107)는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고, 그 외의 CEA 2014 및 XRT와 같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emote UI Protocol) 또는 SIP 프로토콜 기술을 이용하여 호 제어를 수행한다.
호 전송 에이전트(108)는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정의된 전송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이용되는 전송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은 특정 기술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호 전송 에이전트(108)는 수신된 호 데이터를 셀룰러 모듈(105)이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포맷의 호 데이터를 셀룰러 모듈(105)에게 전달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간의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에 정의된 프로토콜이 이더넷(Ethernet) 기반으로 하는 TCP/IP 상의 HTTP일 경우 채널 송수신 서비스(202)에 설정된 송수신 정보가 양방향으로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RL이면 호 전송 에이전트(108)는 URL을 이용하여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 대역 외 프로토콜 호 제어 서비스(110), 호 데이터 송수신 에이전트(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상기에서 텔레포니 서버(103)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 텔레포니 서버(103)의 구성 요소들과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다만,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에 포함된 호 제어 서비스 제어 포인트(CP)(207)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의 호 제어 서비스(200)를 제어함으로써 셀룰러 모듈(105)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101)로 호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호 제어 서비스 제어 포인트(CP)(207)는 셀룰러 모듈(105)를 제어하기 위해 호 제어를 위한 신호(call control signal)를 UPnP Action을 이용하여 전 송하는데, 이러한 호 제어 신호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제어 서비스 CP(207)와 호 제어 서비스(200), 서비스 제공자(101)로 전송되는 호 제어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ReceiveCall()(300)는 호가 수신되어 호가 수신됨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는 중에 호를 수신함을 알리기 위한 UPnP Action이다.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서비스 제공자(101)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ReceiveCall()(300)를 호 제어 서비스(200)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호 수신 메시지(301)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자(101)로부터 수신된 호 데이터를 호 전송 에이전트를 통해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송신한다.
SendCall()(302)은 호를 송신함을 알리고, 호 송신을 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함께 송신하기 위한 UPnP Action이다.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서비스 제공자(101)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endCall()(302)를 호 제어 서비스(200)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호 송신 메시지(303)을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부터 수신된 호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이때, 호 전송 에이전트(108)는 호가 수신자의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더라도 송화음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할 수 있다.
TerminateCall()(304)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함을 알리기 위한 UPnP Action이다.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서비스 제공자(101)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TerminateCall()(304)를 호 제어 서비스(200)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호 송수신 종료 메시지(305)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하고, 호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거나 호 데이터의 수신을 종료한다.
RequestSendSMS()(306)는 SMS 메시지와 함께 SMS 메시지를 송신함을 알리기 위한 UPnP Action이다.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서비스 제공자(101)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포함시킨 RequestSendSMS(message)(307)를 호 제어 서비스(200)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SMS 송신 메시지(305)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Sendkeyvalue()(308)는 다양한 AR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생성되는 키 값을 전달하기 위한 UPnP Action이다.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서비스 제공자(101)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키 값을 포함시킨 Sendkeyvalue(keycode)(308)를 호 제어 서비스(200)로 송신한다. 이후 호 제어 서비스(200)는 키 코드 메시지(305)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다양한 UPnP Action을 이용하여 셀룰러 모듈(105)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02)는 호 송수신을 위해 텔레포니 서비 디바이스(106)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통신 연결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텔러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4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의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1)를 통해 GetServerProtocolInfo()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03)가 제공하는 프로토콜, 파일 포맷, 사용 가능한 호 제어 방식과 같은 셋업 정보를 요청한다.
40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요청된 셋업 정보를 제어 포인트(102)로 송신한다.
402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5)를 통해 GetServerProtocolInfo()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3)가 제공하는 프로토콜, 파일 포맷, 사용 가능한 호 제어 방식과 같은 셋업 정보를 요청한다.
403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요청된 셋업 정보를 제어 포인트(102)로 송신한다.
4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수신된 셋업 정보들 중 호 송수신에 사용할 셋업 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 포인트(102)는 사용자에 의해서 호 송수신에서 사용할 셋업 정보를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정책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정책에 따라 호 송수신에서 사용할 셋업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4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결정된 셋업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4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AddProfile()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리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5)로 송신한다.
40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AddProfile()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리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의 텔레포니 서버 컨피그서비스(201)로 송신한다.
408단계에서 제어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와의 세션을 연결하여 수신채널과 송신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송수신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URL을 SetCTURI(send, receiv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116)에 송신한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송신된 URL이외의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 세션을 연결할 경우에도 상기에서 생성된 프로파일을 텔리포니 서버(103)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로 송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리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만약 미리 사전에 호 송수신 셋업이 설정되어 프로파일이 생성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은 호 송수신 셋업은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송수신 요청이 있을 때 설정될 수 있고, 호 송수신 요청보다 이전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호 송수신 셋업이 완료된 상태라 할지라도 새로운 텔레포니 서버 또는 텔레포 니 클라이언트가 홈 네트워크 상에 진입하면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마다 IP가 새로 부여된다. 그러므로 텔레포니 서버 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는 새롭게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해야 한다. 새롭게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할 시 사용자는 호 송수신을 위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거나 기존에 설정된 프로파일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은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수신 이후에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5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UPnP를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수신 이후에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외부로부터 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자(101)는 500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50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UPnP Device Architecture)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또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502단계에서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 처럼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호가 수신됨을 알릴 수도 있다. 이때,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 수신됨을 알림과 동시에 호 송신자의 전화번호를 송신한다. 그리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화면에 호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중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수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5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은 상기의 도 4를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된다.
5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6)를 통해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호 데이터 송수신 에이전트(111)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506 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호 데이터 수신을 준비하는데, 호 수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50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2)를 통해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 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03)의 호 데이터 송수신 에이전트(108)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508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데이터 수신을 준비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수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6)를 통해 StartCalldelivery()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가 호 수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102)를 통해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 수신 시작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를 이용하여 호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510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eceiveCall()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수신 시작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사용자에 의해 호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 수신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UPnP Action 이외에 상기에서 대역 외 프로토콜 호 제어 서비스(107)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 CEA 2014 및 XRT와 같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 스(Remote UI) 프로토콜 또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51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서비스 제공자(511)로 호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
512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101)가 호 데이터를 송신하면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수신된 호 데이터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송신한다. 즉,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대역 외 프로토콜(out of 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호 데이터를 스트림(stream)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호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제어 포인트(102)로 호 수신 종료를 요청하고,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수신 종료를 요청한다. 이후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데이터 수신을 종료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수신을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호가 수신되면 호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지만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호 발신자의 이름, 프로필, 일정등과 같은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수신 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텔 레포니 클라이언트(104)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101)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60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제어 포인트(102)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또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602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후 6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getSenderInformation()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호 발신자 관련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프로필, 일정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604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요청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송신한다.
6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setSenderInformation()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수신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송신한다.
606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수신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에서 설명한 도 5의 503과정부터 503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호 송신 시 호 발신자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호 수신 과정에서는 호 수신 요청 이후에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수신하였다.
다른 실시 예로 호 수신 요청 이전에 제어 포인트(102)가 미리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 간의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7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수신 요청 이전에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7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00)는 상기에서 도 3에서 설명한 호 송수신 셋업 과정과 같이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 간의 호 수신 설정을 수행한다.
외부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자(101)는 70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702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호가 수신됨을 통지한다.
7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호 수신 설정된 복수의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중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프로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디폴트로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7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이용할 수 있 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중 호 수신을 위해 사용할 프로토콜이 정의된 프로파일 아이디를 포함하는 CallInitiate(profileID)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가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705 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7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선택된 프로파일에 대한 텔레포니 서버 ID 값을 포함하는 CallInitiate(profileID)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03)가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707 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후 708단계부터 712단계는 상기의 도 5에서 설명한 509단계부터 513단계까지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이처럼 상기에서는 호 수신 요청 이전에 제어 포인트(102)가 미리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비아스간의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 포인트(102)가 호 수신 요청 이전에 미리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간에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 8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상에서 호 수신 요청 이전에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 간의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8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은 상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설정된다.
이후 제어 포인트(102)가 호 수신 과정에서 제외되고, 8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101)가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수신을 알린다.
802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수신을 알리기 위해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Incoming call notification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로 직접 송신한다.
이후 803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수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804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를 수신하도록 준비한다. 이후 805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Call Initiation notification을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하여 호 수신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메커니즘이나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호 수신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806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는 호 수신을 준비한다.
807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 수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808단계로 진행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로 호 수신 시작을 알리고, 그렇지 않으면 807단계에서 호 수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이후 809단계부터 811단계는 상기의 도 5에서 설명한 511단계부터 513단계까지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는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간의 호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제어 포인트(102) 논리적인 컴포넌트로써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또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동일한 물리적 장치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물리적 장치 내에 제어 포인트(102)가 존재하면 UPnP Action 또는 Network Protocol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는 내부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외에는 동일한 방식을 이용한다.
한편, 호 수신 이외에 S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900단계에서 외부로부터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자(101)는 SMS 메시지 수신을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알린다.
901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SMS 메시지 수신을 알리고, 902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 바이스(106)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SMS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 수신을 알릴 수 있다.
9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Unicast Event mechanism)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SendSMS()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송신한다. 이때, 제어 포인트(102)는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UPnP Action을 사용하여 SMS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송신 요청 이후에 호 수신 이후에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UPnP 기술을 이용하여 호 송신을 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수신 이후에 텔레포니 서버(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호 송신을 위한 요청이 있으면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10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로 호 송신 요청을 알린다. 1001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러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호 송신 요청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송신 요청을 알림과 동시에 호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송신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할 수 있다.
1002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중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10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은 상기의 도 4를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된다.
10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6)를 통해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의 호 데이터 송수신 에이전트(111)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1005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 이스(109)는 호 데이터 송신을 준비하는데, 호 송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10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2)를 통해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03)의 호 데이터 송수신 에이전트(108)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준비를 요청한다. 1007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데이터 송신을 준비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송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1008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채널 송수신 서비스(206)를 통해 StartCalldelivery()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가 호 송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102)를 통해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 송신 시작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를 이용하여 호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1009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의 호 제어 서비스 CP(207)는 상기의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endCall()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송신 시작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사용자에 의해 호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 송신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텔레포니 클 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UPnP Action 이외에 상기에서 대역 외 프로토콜 호 제어 서비스(107)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 CEA-2014 및 XRT와 같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Remote UI) 프로토콜 또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1010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서비스 제공자(511)로 호 데이터 송신을 요청한다.
1011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데이터를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한다.
1012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수신된 호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호 송신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제어 포인트(102)로 호 송신 종료를 요청하고,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호 송신 종료를 요청한다. 이후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호 데이터 수신을 종료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102)를 이용하여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호를 송신할 시 호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지만 텔레포니 서버(103)에 저장된 주소록을 수신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주소록 중 호 송신할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호 송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송신 시 주소록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04)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1100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호 송신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여 요청이 있으면 110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100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호 송신 요청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1101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제어 포인트(102)로 호 송신 요청을 알린다. 또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1102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호 송신 요청을 알린다.
11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getSenderInformation()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주소록을 요청한다. 이때, 주소록은 복수의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주소, 휴대폰 번호를 포함한다.
1104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요청된 주소록를 검색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송신한다.
11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setSenderInformation()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수신된 주소록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송신한다.
1106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수신된 주소록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에서 설명한 도 5의 503과정부터 503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 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주소록에 포함된 호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편리하게 호 송신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호 송신 과정에서는 호 수신 요청 이후에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수신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 포인트(102)가 호 송신 요청 이전에 미리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간에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상에서 호 송신 요청 이전에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 간의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12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2)는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이러한 호 송수신 셋업은 상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설정된다.
이후 제어 포인트(102)가 호 수신 과정에서 제외되면 1201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1202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 송신을 준비한다. 이후 1203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Call Initiation notification을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하여 호 송신을 준비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메커니즘이나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호 송신 준비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1204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는 호 송신을 준비한다.
1205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호 송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1206단계로 진행하여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로 호 송신 시작을 알리고, 그렇지 않으면 1205단계에서 호 송신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이후 1207단계부터 1209단계는 상기의 도 10에서 설명한 1010단계부터 1012단계까지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는 제어 포인트(102)를 제외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3)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간의 호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호 송신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호 송신 이외에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1300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여 요청이 있으면 1301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300단계에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1301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102)로 SMS 메시지 송신 요청을 알리고, 1302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SMS 메시지 송신 요청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 송신 요청을 알릴 수 있다.
1303단계에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는 SMS 메시지 송신을 요청하기 위해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포함하는 RequestSendSMS()를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로 송신한다. 이때, 제어 포인트(102)는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1304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수신된 SMS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자(101)로 송신한다.
이러한 SMS 메시지는 호(Call)와 달리 일방향 메시지이므로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송신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텔레포니 서버 디바이스(106)는 1305단계에서 UPnP Action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송신 완료됨을 제어 포인트(102)로 알리고, 1306단계에서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송신 완료됨을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9)로 알린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SMS 메시지 를 송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 (Telephony Service Provider)(2101),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Universal Plug and Play Telephony Control Point, 이하, '제어 포인트'라고 칭한다.)(2102), 텔레포니 단말(Telephony Terminal)(2103),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2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는 제어 포인트(2102)와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텔레포니 서비스(Telephony Service)를 제공하고,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텔레포니 단말(2103)로 제공한다.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서버(Telephony Server)(2106)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Telephony Client)(2109)를 제어하는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이러한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텔레포니 단말(103) 및 전자기기(2104)와 개별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에 구성될 수 있지만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와 같은 물리적 장치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만약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가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와 같은 물리적 장치 내부에 포함되면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 트(2102)는 UPnP Action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 또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를 제어할 수 있다.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부터 전송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 또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가 포함하는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의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에 사용할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그리고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결정된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이 정의된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UPnP 텔레포니 서버(2106) 또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전송함으로써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에 포함된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의 환경을 설정한다.
텔레포니 단말(2103)은 전화기와 같은 CE(Computer Engineering)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VoIP(Voice over IP)를 포함한 PC, 통신망으로 연동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포니 단말(2103)은 텔레포니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와, 해당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가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호 송수신을 제어한다.
전자기기(2104)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상 전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영상을 입출력할 수 있는 CE 장치 및 PC 또는 TV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210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 안에서 편리하게 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텔레포니 단말(2103)은 텔레포니 코어모듈(2105), UPnP 텔레포니 서버 (2106), 비 UPnP 호 제어 관리 모듈(2107), 호 전송 에이전트(2108)를 포함한다.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은 텔레포니 단말(2103)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단말기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로서, 셀룰러 망에 접속하여 호 송신 요청, 호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 호 데이터 전송할 뿐만 아니라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은 일 실시 예로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와 연결되어 텔레포니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와 같은 어떠한 모듈로도 대체될 수 있다.
UPnP 텔레포니 서버 (2106)는 호 제어 서비스(2200),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1),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 부가 서비스(2203)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호 제어 서비스(2200),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1),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는 하나의 호 관리 서비스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호 제어 서비스(2200)는 호 송신 요청, 호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 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서 텔레포 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호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호 제어 서비스(2200)는 내부적으로 제어하며,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호 제어 서비스(2200)를 제어하기 위해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호 제어를 위한 신호(call control signal)를 전송한다. 이때, 호 제어를 위한 신호는 호가 수신되어 호 수신을 알리는 벨이 울리고,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 간에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든 준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동시에 텔레포니 코어모듈(2105)에게 호를 수신함을 알리기 위한 ReceiveCall(), 호를 송신함을 알리고, 호 송신을 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함께 송신하기 위한 SendCall(), 호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함을 알리기 위한 TerminateCall(), SMS 메시지와 함께 SMS 메시지를 송신함을 알리기 위한 RequestSendSMS(), 다양한 AR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생성되는 키 값을 전달하기 위한 Sendkeyvalu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다양한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호 제어 서비스(2200)를 제어하고, 호 제어 서비스(2200)는 내부적으로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를 제어할 수 있다.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1)는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규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가 보유한 호 전송 에이전트(2108)의 능력(Capability)을 UPnP 텔리포니 제어 포인트(2102)로 제공한다. 그리고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1)는 UPnP 텔리포니 제어 포인트(2102)로부터 실제 사용하게 될 능력 정보를 기록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의 유일한 식별자 및 음성 및 영상 데이터 코덱, 데이터 타입, 통신 프로토콜, 기타 영상 및 음성 송수신에 관련된 파라미터, 채널 전송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호 송수신 할 시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를 구별할 수 있다.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는 호 전송 에이전트(2108,2111)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며,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여 호 전송 에이전트(2108,2111) 간의 음성 및 영상 스트리밍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상에 복수의 텔레포니 단말 또는 전자기기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통신 연결을 위한 텔레포니 단말과 전자기기의 선택이 있으면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는 선택된 텔레포니 단말과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를 UPnP 텔레포니 제어포인트(2102)로 전달하고, 이를 다시 선택된 다른 전자기기의 텔레포니 전송 서비스(2202)로 전달한다. 그리하여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는 선택된 텔레포니 단말과 전자기기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호 전송 에이전트(2108)를 제어하고, 데이터 송수신 종료 시에도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하도록 호 전송 에이전트(2108)를 제어한다.
부가서비스(2203)는 전자기기(2104)가 텔레포니 단말(2103)의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거나 사용하기 위한 자동 응답 기능, 전자기기(2104)에 텍스트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없는 경우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타입을 정의하여 설정한 후 전자기기(2104)로 입력 값을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가서비스(2203)는 옵션 모듈이므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내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 UPnP 호 제어 관리 모듈(2107)은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고, 그 외의 CEA 2014 및 XRT와 같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emote UI Protocol) 또는 SIP 프로토콜 기술을 이용하여 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기기(2104)는 비 UPnP 호 제어 관리 모듈(2107)을 통해서 텔레포니 단말(2103)과 호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비 UPnP 호 제어 관리 모듈(2107)은 옵션 모듈이므로 텔레포니 단말(2103)내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호 전송 에이전트(2108)는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 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정의된 전송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 음성 및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호 전송 에이전트(2108)는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을 설정하고,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로부터 수신한 호 데이터를 전자기기(2104)가 사용할 수 있도록 코덱 및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사전에 약속된 전송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달하거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호 데이터를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로 전달할 수 있는 코덱 및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텔레포니 코어 모듈(2105)로 전달한다. 여기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4)는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호 전송 에이전트(2108)는 각각의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4)의 호 전송 에 이전트와 복수개의 세션을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전송 미디어, 프로토콜, 전송 포맷, 코덱은 특정 기술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 또는 코덱을 사용하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3)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4)간의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기기(2104)는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4),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6), 부가서비스(2206)를 포함하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2109), 비 UPnP 호 제어 관리 모듈(2110), 호 송수신 에이전트(2111)를 포함한다. 이때,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 서비스(2204)와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6)는 하나의 미디어 관리 서비스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2104)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상기에서 텔레포니 단말(2103)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 텔레포니 단말(2103)의 구성 요소들과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도 15와 같이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 포인트(2102)는 2300단계 및 2301단계에서 특정 이벤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예약 메시지(Subscribe Message)를 UPnP 텔레포니 서버(2106) 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전송한다.
이후 외부로부터 호 데이터가 수신되면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2302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호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때,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호 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리면서 자신의 미디어 포맷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230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UPnP Device Architecture)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2102)로 호 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이처럼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정의된 UPnP 이벤트 메커니즘 이외에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 또는 멀티캐스트 이벤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호 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릴 수도 있다. 이때,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의 미디어 포맷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포인트(2102)로 호 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리는 동시에 수신된 미디어 포맷 정보를 함께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한다.
23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getSenderInformation()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호 데이터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요청하고, 2305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요청된 발신자 정보를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한다. 이때, 발신자 정보 요청 및 전송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23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호 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리면서 요청된 발신자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프로필, 일정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화면상에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230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결정 요청이 있으면 호 데이터 수신을 결정한다.
2308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UPnP 텔레포니 서버 및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중 호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한 후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데이터 수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호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2309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여기서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은 호 데이터 송수신이 있을 때 설정될 수 있고, 호 데이터 송수신보다 이전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부터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의 미디어 포맷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미디어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이 완료된 상태라 할지라도 새로운 UPnP 텔레포니 서버 또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가 홈 네트워크 상에 진입하면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마다 IP가 새로 부여된다. 그러므로 UPnP 텔레포니 서버 또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는 새롭게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을 설정해야 한다. 새롭게 데이터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할 시 사용자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거나 기존에 설정된 프로파일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은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231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5)를 통해 호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111)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를 요청한다.
또한 2311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를 통해 호 전송 에이전트(2108)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를 요청한다.
2312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는데, 호 데이터 송수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제어 포인트(2102)로부터 호 데이터 송수신준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기 전에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231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제어 포인트(2102)로 알린다.
2314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는데, 호 송수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제어 포인트(2102)로부터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기 전에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2315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제어 포인트(2102)로 알린다.
231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StartCalldelivery()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5)를 통해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가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2102)를 통해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호 데이터 송수신 시작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를 이용하여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231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2316 단계에서와 같이 UPnP 텔레포니 서버(2106)가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두 단계 중 하나만을 실시한다.
2318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호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
2319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호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
상기의2318단계와 2319단계는 2310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 포인트(2102)가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미리 호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고, UPnP 텔레포니 서버(2106)가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호 데이터 수신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2320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와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와 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2321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호 데이터를 호 데이터를 2309단계에서 설정된 셋업 정보에 따라 정해진 미디어 포맷으로 송수신한다.
이후 232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호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제어 포인트(2102)로 호 데이터 수신 종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232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호 데이터 전송 종료를 요청하고, 2324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호 데이터 전송 종료를 요청한다. 이후 2325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101)는 호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수신을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 포인트(2102)는 2400단계 및 2401단계에서 특정 이벤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예약 메시지를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전송한다.
2402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getSenderInformation()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주소록(Phone book)을 요청한다. 이때, 주소록은 복수의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주소, 휴대폰 번호를 포함한다.
240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요청된 주소록를 검색하여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한다.
24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수신된 주소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24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주소록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 호 송신 요청이 있으면 제어 포인트(2102)는 호 송신을 결정한다. 이때, 주소록 요청 및 주소록 전송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3)에 저장된 주소록을 이용하여 호 송신을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호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후 24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UPnP 텔레포니 서버 및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중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240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다.
2408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CallIinitiate()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6)를 통해 호 전송 에이전트(2111)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호 송수신 준비를 요청한다.
2409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는데, 호 송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제어 포인트(2102)로부터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기 전에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241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2)를 통해 호 전송 에이전트(2108)를 활성화시켜 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호 송수신 준비를 요청한다.
2411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제어 포인트(2102)로 알린다.
2412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데이터 송신 시 전송할 파일을 준비하거나 통신 포트를 오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제어 포인트(2102)로부터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 데이터 송수신을 준비하기 전에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2413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버(2106)는 호 데이터 송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제어 포인트(2102)로 알린다.
241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StartCalldelivery()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데이터 전송 서비스(2206)를 통해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가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2415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2414 단계와 같이 UPnP 텔레포니 서버(2106)가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두 단계 중 하나만 실시한다.
이러한 요청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2102)를 통해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호 데이터 송수신 시작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를 이용하여 호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241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호 데이터 송신을 요청한다. 이러한 호 송신 요청에는 전화를 받을 상대방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2417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수신된 호 송신 요청을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송신한다. 이러한 호 송신 요청에는 전화를 받을 상대방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2418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와 UPnP 텔레포니 서버(2106)간의 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2416단계와 2417단계는 2408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는 호 송수신 셋업 시에 전달되는 프로파일 정보가 호 데이터 송신 요청(2416)과 함께 전달된다. 이러한 프로파일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2101)로 전달되어 서비스 제공자(2101)와 텔레포니 서버(2106)간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는 데 참고될 수 있다.
2419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2309단계에서 설정된 셋업 정보에 따라 정해진 미디어 포맷으로 호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이후 24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호 송신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제어 포인트(2102)로 호 전송 종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2421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호 송신 종료를 요청하고, 2422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서비스 제공자(2102)에게 호 전송 종료 요청을 실시한다.
이후 2423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호 전송을 종료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제어 포인트(2102)를 이용하여 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신을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면 호 송수신 이외에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이벤트 예약 메시지를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전송한다.
2501단계에서 외부에서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가 수신됨을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알린다.
2502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UPnP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가 수신됨을 제어 포인트(2102)로 알리고, 2503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SMS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25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결정 요청이 있으면 SMS 메시지 수신을 결정한다.
25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수신된 SMS 메시지의 전문을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요청하고, 2506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요청된 SMS 메시지의 전문을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한다.
2507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유니캐스트 이벤트 메커니즘(Unicast Event mechanism)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SendSMS()를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전송한다.
2508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MS 메시지를 삭제, 보관, 답장을 결정하고, 2509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 메시지 삭제, 보관, 답장을 요청한다.
2510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요청에 따라 메시지 삭제, 보관, 답장을 수행하고, 2511단계에서 이에 대한 메시지를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로 전송한다. 즉,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가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S 메시지를 보내거나, 자체적으로 보관 및 삭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요청을 처리하는 데 일정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2512단계에서 텔레포니 서비스 제공자(2101)는 요청에 따른 결과를 UPnP 텔레포니 서버(106)로 전송하고, 251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106)는 요청에 따른 결과를 제어 포인트(2102)로 전송한다. 이후, 251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결과를 전송한다.
한편, UPnP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2102)는 호 송수신을 위해 UPnP 텔레포니 서비(2106)와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통신 연결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텔레포니 단말(2103)과 전자기기(2104)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260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의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서비스(2201)를 통해 GetServerProtocolInfo()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레포니 단말(2103)이 제공하는 프로토콜, 파일 포맷, 사용 가능한 호 제어 방식과 같은 셋업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2600단계는 제어 포인트(2102)가 도 16의 230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로부터 셋업 정보를 수신할 경우 추가적으로 셋업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미리 수신된 셋업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2601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서버(2106)는 요청된 셋업 정보를 제어 포인트(2102)로 송신한다.
2602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서비스(2205)를 통해 GetServerProtocolInfo()와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전자기기(2103)가 제공하는 프로토콜, 파일 포맷, 사용 가능한 호 제어 방식과 같은 셋업 정보를 요청한다.
2603단계에서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는 요청된 셋업 정보를 제어 포인트(2102)로 송신한다.
2604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수신된 셋업 정보들 중 호 송수신에 사용 할 셋업 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 포인트(2102)는 사용자에 의해서 호 송수신에서 사용할 셋업 정보를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정책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정책에 따라 호 송수신에서 사용할 셋업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2605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결정된 셋업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2606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AddProfile()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텔리포니 클라이언트(2109)의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서비스(205)로 송신한다.
2607단계에서 제어 포인트(2102)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AddProfile()과 같은 UPnP Action을 이용하여 UPnP 텔리포니 서버(2106)의 텔레포니 프로파일 관리서비스(2201)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 포인트(2102)는 UPnP 텔레포니 서버(2106) 및 UPnP 텔레포니 클라이언트(2109)로 푸시(push) 또는 풀(pull)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된 URL이외의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 세션을 연결할 경우에도 상기에서 생성된 프로파일을 텔리포니 단말(2103) 또는 전자기기(2104)로 송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고, 설정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 홈 네트워트 상에 존재하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제어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수신 이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수신 시 호 발신자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수신 요청 이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수신 요청 이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를 제외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간의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수신 이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여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송신 시 주소록을 클라이언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호 송신 요청 이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한 후 제어 포인트를 제외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를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호 송수신 셋업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Claims (68)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전에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서버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전에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포인트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텔레포니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전에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텔레포니 서버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가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가 수신되면 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가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가 상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가 상기 텔레포니 제어포인트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전에 상기 텔레포니 서버가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여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있어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수단과,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 호 준비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
  19. 삭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서버에 있어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며,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이 설정되는 텔레포니 서버 관리 서비스부와,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텔레포니 서버 전송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포니 서버 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버.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텔레포니 서버 호 제어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버.
  23. 삭제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 전송 서비스부는,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버.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며,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텔레포니 서버와의 연결이 설정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관리 서비스부와,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전송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포인트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호 제어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27. 삭제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호 제어 서비스부는,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요청에 따라 미디어 능력 정보를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연결 설정 및 제어되는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와,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가 수신되면 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는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호 수신 시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가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여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는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
  31. 삭제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는,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고, 상기 텔레포니 제어포인트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는,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 및 텔레포니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포니 서비스 시스템.
  35.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 장치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전에,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37. 삭제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39. 홈 네트워크에서 서버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연결 설정된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전에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1. 삭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된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연결 설정된 클라이언트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3. 홈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가 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연결 설정된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전에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5. 삭제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7. 홈 네트워크 상의 호 송수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가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가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미디어 능력 정보 중 이벤트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어 장치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전에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49. 삭제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송수신 방법.
  51. 홈 네트워크 상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수단과,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미디어 능력 중 이벤트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3. 삭제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 및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5. 홈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이 설정되는 서버 관리 서비스부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연결 설정된 클라이언트와 함께 제어되는 서버 전송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6. 제55항에 있어서,
    호 수신 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며,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서버 호 제어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7. 삭제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전송 서비스부는,
    상기 연결 설정된 클라이언트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9. 홈 네트워크상의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요청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로 전송한 후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텔레포니 서버와의 연결이 설정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관리 서비스부와,
    상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에 의해서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와 함께 제어되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전송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 서비스부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호 제어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61. 삭제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호 제어 서비스부는,
    상기 연결 설정된 텔레포니 서버와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63. 홈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요청에 따라 미디어 능력 정보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연결 설정 및 제어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상기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미디어 능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미디어 능력 정보 중 이벤트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미디어 능력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호 수신 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능력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상기 제어 장치로 이벤트 등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호 수신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65. 삭제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 장치로 호 상태를 나타내는 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미디어 세션 시작을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시작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 미디어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68.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설정된 서버 및 클라이언트간의 미디어 전송 시작, 미디어 세션 변경, 미디어 전송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KR1020090075457A 2008-08-14 2009-08-14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30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92 2008-08-14
KR20080080192 2008-08-14
KR1020090029142A KR20100021342A (ko) 2008-08-14 2009-04-03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90029142 2009-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86A KR20100021386A (ko) 2010-02-24
KR101630653B1 true KR101630653B1 (ko) 2016-06-17

Family

ID=42091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42A KR20100021342A (ko) 2008-08-14 2009-04-03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900754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0653B1 (ko) 2008-08-14 2009-08-14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42A KR20100021342A (ko) 2008-08-14 2009-04-03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56083B2 (ko)
EP (1) EP2319206B1 (ko)
JP (1) JP5086477B2 (ko)
KR (2) KR20100021342A (ko)
CN (1) CN102187620B (ko)
WO (1) WO201001902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146B1 (ko) 2020-02-24 2021-02-25 (주)큰사람 Voip 프로토콜-미디어 코덱 정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호 처리 방법
KR102250183B1 (ko) 2021-02-02 2021-05-10 (주) 큰사람커넥트 Voip 프로토콜-미디어 코덱 정합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8931A1 (de) * 2007-04-17 2008-11-13 Gyrus ACMI, Inc., Southborough Lichtquellenleistung auf der Grundlage einer vorbestimmten erfaßten Bedingung
KR20100121384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 UPnP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로 전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396899B1 (en) * 2009-12-15 2021-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multi-media conferencing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enabled telephony devices and wireless area network (wan) devices
EP2548338B1 (en) * 2010-03-15 2020-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session information in universal plug and play telephony service
CN101820499B (zh) * 2010-05-18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机顶盒与家庭网关自动交互的方法及系统
KR101921120B1 (ko) * 2010-08-27 2019-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텔레포니를 이용한 메모 공유 방법 및 장치
US9020143B2 (en) 2010-08-28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anced address book functionality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environment
KR20120083827A (ko)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장치
JP6073248B2 (ja) * 2011-01-19 2017-02-0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汎用プラグアンドプレイホームネットワーク環境で強化されたイベント通知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905778B1 (ko) * 2011-02-24 201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JP5989013B2 (ja) 2011-03-18 2016-09-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ユニバーサルプラグアンドプレイホーム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連絡先情報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2689557B1 (en) * 2011-03-21 2018-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ender service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environment
KR101844021B1 (ko) * 2011-04-06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WO2012153981A2 (en) 2011-05-09 201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oice mail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environment
WO2012153983A2 (en) * 2011-05-09 201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evice capabilities of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devices with a service network entity
WO2012153982A2 (en) * 2011-05-09 201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lephony service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environment
KR101995809B1 (ko) * 2011-08-17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을 사용한 텔레포니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87942B2 (en) 2011-08-22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parallel call session based on 3-Box architecture
CN105592193A (zh) * 2014-10-20 2016-05-1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屏显示来电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78B1 (ko) * 2001-12-31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에서의 디스크립션 파일 재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17760B2 (ja) * 2002-01-18 2009-08-19 シーカ・テクノロジー・アーゲー 高い初期強度を有する2液型ポリウレタン組成物
KR100830940B1 (ko) * 2002-07-10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피엔피(UPn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원격 제어시스템
US20040068756A1 (en) * 2002-10-02 2004-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rtual link between CE devices
KR20050076966A (ko)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피엔피(UPnP) 기반의 자동 응답 시스템 및 방법
EP1820118A2 (en) * 2004-10-27 2007-08-22 Superna Limited Networked device control architecture
US20060153072A1 (en) * 2004-12-28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xtending universal plug and play messaging beyond a local area network
FR2882485A1 (fr) 2005-02-18 2006-08-25 Thomson Licensing Sa Systeme a reseau local comprenant au moins un terminal telephonique et des terminaux multimedias
US8935405B2 (en) * 2005-03-07 2015-01-13 Nokia Corporation Expanding universal plug and play capabilities in power constrained environment
JP2007053641A (ja) * 2005-08-19 2007-03-01 Sony Corp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システム
ITTO20060083A1 (it) 2006-02-07 2007-08-08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plug-and-play" per applicazioni video-voce su reti a commutazione di pacchetto
US20070200920A1 (en) 2006-02-14 2007-08-30 Walker Mark R Digital communications adaptor
US20080008114A1 (en) * 2006-04-21 2008-01-10 Nokia Corporation UPnP device control protocol for mobile telephones
US20080031136A1 (en) * 2006-08-07 2008-02-07 Gavette Sherman L Round trip time (rtt) proximity detection testing
KR20080018778A (ko) * 2006-08-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컨텐츠를 세그먼트 단위로 실행하는 방법, 제어포인트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090287794A1 (en) * 2008-05-16 2009-11-19 Nokia Corporation And Recordation Assisting media servers in determining media profi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146B1 (ko) 2020-02-24 2021-02-25 (주)큰사람 Voip 프로토콜-미디어 코덱 정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호 처리 방법
KR102250183B1 (ko) 2021-02-02 2021-05-10 (주) 큰사람커넥트 Voip 프로토콜-미디어 코덱 정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0211A1 (en) 2010-02-18
US8473583B2 (en) 2013-06-25
EP2319206B1 (en) 2022-06-22
JP2011530947A (ja) 2011-12-22
EP2319206A2 (en) 2011-05-11
JP5086477B2 (ja) 2012-11-28
US8356083B2 (en) 2013-01-15
WO2010019022A3 (en) 2010-05-27
CN102187620A (zh) 2011-09-14
US20110085648A1 (en) 2011-04-14
EP2319206A4 (en) 2012-10-17
KR20100021386A (ko) 2010-02-24
KR20100021342A (ko) 2010-02-24
WO2010019022A2 (en) 2010-02-18
CN102187620B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653B1 (ko)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4746054B2 (ja) ネットワーク用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メディアクライアントのアーキテクチャ
EP1832087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edia device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N101094243B (zh) 基于UPnP的不同类型设备间的多媒体适配系统及多媒体内容适配方法
JP5718969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上でUPnPを使用して電話関連サービスを複数の装置に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539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sharing video content
US20070198669A1 (en) Plug-and-play device for videophony applications on packet-switched networks
CN105208020A (zh) 用于发送多媒体流的方法和系统
EP2584760B1 (en) Method for realizing video browsing, ip multimedia subsystem (ims) video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front end
KR101944745B1 (ko)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GB2405768A (en) Image transmission via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25661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resources
KR100695393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5191878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28268B1 (ko) 콘텐츠를 원격 위치들에 스트리밍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0695391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El Saghir et al. ISE03-1: A New Framework for Indicating Terminal Capabilities in the IP Multimedia Subsystem
KR20120020003A (ko) UPnP 텔레포니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