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9950B1 -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50B1
KR101629950B1 KR1020140099288A KR20140099288A KR101629950B1 KR 101629950 B1 KR101629950 B1 KR 101629950B1 KR 1020140099288 A KR1020140099288 A KR 1020140099288A KR 20140099288 A KR20140099288 A KR 20140099288A KR 101629950 B1 KR101629950 B1 KR 10162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ase stations
small base
weight
activation ind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064A (ko
Inventor
류탁기
김영락
나민수
문성호
김태근
홍대식
박요섭
이권종
김현수
왕한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50B1/ko
Priority to PCT/KR2015/005022 priority patent/WO2016017912A1/ko
Priority to CN201580041681.9A priority patent/CN106576394B/zh
Priority to US15/501,066 priority patent/US11190954B2/en
Publication of KR2016001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셀 커버리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셀 내에 소형셀이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소형기지국끼리 밀집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 신호간섭 또는 소형기지기국 간의 신호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기지국들 간의 신호간섭을 해결하기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소형기지국을 필요에 따라 온(On)/오프(Off) 즉 활성화/비활성화시켜 운용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헌데, 기존의 소형기지국 온/오프 방식은, 매크로셀 내의 소형기지국들을 운용함에 있어서, 매크로셀 내의 트래픽량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켜 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존의 소형기지국 온/오프 방식은, 오로지 트래픽량 만을 고려하여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결정하기 때문에, 트래픽량이 많아짐에 따라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켜 운용하는 경우, 오히려 기지국들 간의 신호간섭을 커지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사용자단말의 SINR을 떨어뜨리고 서비스 품질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는,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트래픽량확인부; 상기 각 기지국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부;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는 활성화지수계산부; 및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활성화시키는 기지국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은, 상기 각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 또는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측정한 수신세기측정값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기지국의 신호간섭은, 상기 각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는, 상기 트래픽량이 많거나, 상기 신호간섭이 작거나, 상기 트래픽량이 많으면서 상기 신호간섭이 작은 경우, 큰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화지수계산부는, 상기 각 기지국 별로, 기지국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기지국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며,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상기 다수의 기지국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상기 다수의 기지국의 신호송신세기,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하여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특정 셀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상기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가 적을수록, 상기 제1가중치 대비 상기 제2가중치가 커지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특정 셀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상기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상기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상기 제1가중치 대비 상기 제2가중치가 같거나 작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되,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활성화시킬 때마다 특정 네트워크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네트워크환경이 기 설정된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포함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환경은,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에서 상기 선택한 기지국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이후의 셀용량 변화, 또는 상기 특정 셀 내의 전체 단말 중에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활성화된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을 포함하며, 상기 운용유지조건은, 상기 셀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 만족되며, 또는 상기 단말접속률이 기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인 경우 만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트래픽량확인단계; 상기 각 기지국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단계;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는 활성화지수계산단계; 및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활성화시키는 기지국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는, 상기 트래픽량이 많거나, 상기 신호간섭이 작거나, 상기 트래픽량이 많으면서 상기 신호간섭이 작은 경우, 큰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화지수계산단계는, 상기 각 기지국 별로, 기지국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기지국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며,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상기 다수의 기지국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상기 다수의 기지국의 신호송신세기,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하여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제어단계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되,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활성화시킬 때마다 특정 네트워크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네트워크환경이 기 설정된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포함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각 기지국 별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운용설정구간 및 각 기지국 별로 상기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는 운용유지구간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스템 성능 증가 및 신호간섭 개선을 균형 있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용설정구간 및 운용유지구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하나의 매크로기지국(100) 및 다수의 소형기지국(1,2...6)이 공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 매크로기지국(100)의 셀 커버리지(C100)에 포함되는 셀(C1,C2...C9)을 형성하는 소형기지국(1,2...9)이 공존한다.
물론,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을 비롯한 여러 개의 매크로기지국이 존재하고, 매크로기지국(100)의 셀(C100) 내에 소형기지국(1,2,...6)이 위치하듯이 각 매크로기지국의 셀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매크로기지국(100)을 언급하고, 매크로기지국(100)의 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2...9)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의 셀 즉 매크로셀(C100) 내에 소형기지국(1,2...9)의 셀 즉 소형셀(C1,C2...C6)이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소형기지국끼리 밀집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 신호간섭 또는 소형기지기국 간의 신호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기지국들 간의 신호간섭을 해결하기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소형기지국을 필요에 따라 온(On)/오프(Off) 즉 활성화/비활성화시켜 운용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헌데, 기존의 소형기지국 온/오프 방식은, 매크로셀 내의 소형기지국들을 운용함에 있어서, 매크로셀 내의 트래픽량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켜 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존의 소형기지국 온/오프 방식은, 오로지 트래픽량 만을 고려하여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결정하기 때문에, 트래픽량이 많아짐에 따라 많은 수의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켜 운용하는 경우, 오히려 기지국들 간의 신호간섭을 커지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사용자단말(미도시)의 SINR을 떨어뜨리고 서비스 품질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안을 실현할 수 있는 기지국제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는, 트래픽량확인부(210)와 간섭확인부(220)와 활성화지수계산부(230) 및 기지국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전술의 기능부들을 통해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동일한 하나의 매크로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들의 온(On)/오프(Off) 즉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는, 하나의 매크로기지국 단위로 또는 여러 개의 매크로기지국 단위로, 해당 매크로기지국의 매크로셀 내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지국들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운용설정구간(X), 소형기지국들을 결정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의 상태로 유지하여 운용하는 운용유지구간(Y)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운용설정구간(X) 동안에는 소형기지국들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고, 운용유지구간(Y) 동안에는 소형기지국들을 결정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의 상태로 유지하여 운용한다. 그리고,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운용유지구간(Y) 이후에는 또 다시 새롭게 운용설정구간(X) 및 운용유지구간(Y)을 반복 동작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운용설정구간(X) 및 운용유지구간(Y)를 하나의 주기(X+Y)로 하여,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같이 하나의 매크로기지국(100)을 언급하고, 동일한 하나의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2...9)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이 포함하는, 전술의 각 기능부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트래픽량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을 확인한다.
이때,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은, 각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 또는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측정한 수신세기측정값에 따른다.
여기서, 전술한 다수의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일한 하나의 매크로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들, 예컨대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2...9)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트래픽량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 다시 말해 소형기지국(1,2...9) 각각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확인한 트래픽량에 대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9) 중 하나 예컨대 소형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1)의 트래픽량은, 소형기지국(1)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 또는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측정한 수신세기측정값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소형기지국(1)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의 상향링크신호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상향링크신호의 신호수신세기 즉 수신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기지국(1)은, 현재 시점의 주변 트래픽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기 설정된 시간(T)동안 측정하고,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을 수신세기측정값으로 얻을 수 있다.
또는, 소형기지국(1)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에 국한되지 않고,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모든 신호의 신호수신세기 즉 수신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기지국(1)은, 현재 시점의 주변 트래픽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모든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기 설정된 시간(T)동안 측정하고,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을 수신세기측정값으로 얻을 수 있다.
물론, 소형기지국(1)과 같이 다른 소형기지국(2...9) 역시, 전술과 같이 수신세기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소형기지국(1,2...9)는, 수신세기측정값, 즉 기 설정된 시간(T)와 자신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신호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얻는 것이다.
그리고, 각 소형기지국(1,2...9)은, 자신이 측정하여 얻은 상향링크신호의 에너지 즉 수신세기측정값을 기지국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
예컨대, 각 소형기지국(1,2...9)은, 기지국제어장치(200)와 연결된 유선 또는 무선의 백홀(Backhaul)을 통해 수신세기측정값을 기지국제어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각 소형기지국(1,2...9)은, 각 소형기지국(1,2...9)을 RU(Remote radio Unit)로서 관리하는 BU(baseband unit)을 통해 수신세기측정값을 기지국제어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트래픽량확인부(210)는, 각 소형기지국(1,2...9)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세기측정값을, 각 소형기지국(1,2...9)의 트래픽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소형기지국(1,2...9)의 트래픽량은, 각 소형기지국(1,2...9)에 실제 수용되고 있는 트래픽량을 의미하기 보다는, 각 소형기지국(1,2...9)의 주변 트래픽량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기존의 소형기지국 온/오프 방식은, 트래픽량을 고려하여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결정하였다고는 하지만, 여기서의 트래픽량은 주변의 트래픽량이라기 보다는 활성화 상태로 운용되고 있는 소형기지국의 수용 트래픽량이다.
결국, 기존에는, 소형기지국 주변의 트래픽량을 확인(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는 상황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 특히 트래픽량확인부(210)는, 각 소형기지국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의 신호수신세기 또는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모든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기초로, 각 소형기지국의 주변 트래픽량을 확인(측정)함으로써, 비교적 정확도 높게 간접적으로 각 소형기지국의 주변 트래픽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있다.
간섭확인부(220)는, 각 기지국 즉 각 소형기지국(1,2...9)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한다.
여기서, 인접기지국이란, 소형기지국 예컨대 소형기지국(1) 측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일 수도 있고, 다른 소형기지국(예 : 2,3...9)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각 기지국의 신호간섭은, 각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따른다.
이때, 확인한 신호간섭에 대하여 다수의 소형기지국(1,2...9) 중 하나 예컨대 소형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1)의 신호간섭은, 소형기지국(1)이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피드백 받은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소형기지국(1)은,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피드백 되는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인 소형기지국(1)의 경우 하향링크채널의 자원을 통해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측정할 수 있고, 활성화 상태인 소형기지국(1)의 경우 하향링크채널의 자원 중 할당하지 않은 자원을 통해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소형기지국(1)과 같이 다른 소형기지국(2...9) 역시, 전술과 같이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형기지국(1,2...9)은, 자신이 측정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전술과 같이 백홀(Backhaul) 또는 BU를 통해 기지국제어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간섭확인부(220)는, 각 소형기지국(1,2...9)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각 소형기지국(1,2...9)의 신호간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미도시)로부터 피드백 되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크다는 것은, 사용자단말(미도시)이 수신하는 신호에 인접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많이 섞여있다는 것 다시 말해 신호간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각 기지국 즉 각 소형기지국(1,2...9)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는, 트래픽량이 많거나, 신호간섭이 작거나, 트래픽량이 많으면서 신호간섭이 작은 경우, 큰 값으로 계산된다.
즉,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함에 있어서, 트래픽량이 많은 소형기지국의 활성화지수일수록 큰 값으로 계산하고 신호간섭이 작은 소형기지국의 활성화지수일수록 큰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각 소형기지국(1,2...9) 별로, 소형기지국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소형기지국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소형기지국(1,2...9) 중 하나 예컨대 소형기지국(1)을 언급하여, 소형기지국(1)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소형기지국(1)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소형기지국(1)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소형기지국(1)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아래의 수식1로 활성화지수를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2
는 i번째 소형기지국의 신호간섭 즉 소형기지국이 측정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3
는 i번째 소형기지국의 트래픽량 즉 소형기지국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측정한 수신세기측정값을 모두 합한 수신세기측정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4
는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5
는 제2가중치를 나타낸다.
이에,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전술의 수식1에 따라서, 소형기지국(1)의 신호간섭(B1)에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6
)를 적용하고 소형기지국(1)의 트래픽량(Φ1)에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7
)를 적용하여, 소형기지국(1)에 대한 활성화지수(Γ1)를 계산할 수 있다.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소형기지국(1) 뿐 아니라 다른 소형기지국(2...9)에 대해서도, 전술의 수식1에 따라 각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요소들에 따라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8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09
)를 상이하게 적용함으로써, 각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계산되는 활성화지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0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1
)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기지국 즉 각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소형기지국(1,2...9)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각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 각 소형기지국(1,2...9)과 관련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각 소형기지국(1,2...9)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하여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소형기지국(1,2...9)과 관련된 특정 셀이란, 소형기지국(1,2...9)의 소형셀(C1,C2...C6)이 포함되는 매크로셀(C100)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 소형기지국(1,2...9)의 개수란, 동일한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한 소형기지국들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란,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들이 특정 영역에 집중 분포된 정도를 의미하며, 단말 집중분포도가 작을수록 단말이 매크로셀(C100) 내에 고르게 분포되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란 소형셀의 커버리지 형성에 주요 인자인 하향링크신호의 송신전력을 의미하고, 기지국 간 평균거리란 동일한 하나의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한 각 소형기지국(1,2...9)들 간의 거리들을 합하여 평균 계산한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각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란 소형기지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하는 주파수자원의 대역을 의미한다.
즉,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2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3
)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의 환경적 요소, 다시 말해 각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소형기지국(1,2...9)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각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 각 소형기지국(1,2...9)과 관련된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식1에서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4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5
)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6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7
) 중 적어도 하나는,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 개수가 적을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8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19
)가 커지도록 상이해질 수 있다.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2...9)의 경우, 매크로기지국(100)과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이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됨에 있어서,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의 신호간섭을 회피하고자 한다면, 소형기지국(1,2...9)이 매크로기지국(100)과 상이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됨에 있어서,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의 신호간섭을 회피하고자 한다면, 소형셀의 커버리지가 너무 크지 않도록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비교적 작게 설계될 것이다.
또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됨에 있어서, 소형기지국끼리의 신호간섭을 회피하고자 한다면, 소형기지국을 서로 너무 가깝게 설치하지는 않아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클 것이다.
한편,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의 개수가 작을수록, 소형기지국끼리의 신호간섭이 작은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활성화지수 계산 시 고려되는 트래픽량과 신호간섭 중에서,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작을수록, 신호간섭은 설계 및 설치 토폴로지로 인해 또는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 회피된다고 간주하고 그 보단 트래픽량을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 특히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작을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0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1
)가 커지도록 예를 들면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2
)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3
) 대비 커지도록 조정한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4
)를 전술의 수식1에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신호간섭이 설계 및 설치 토폴로지로 인해 또는 자연스럽게 회피된다고 간주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5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6
)가 같거나 작아지도록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7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8
) 중 적어도 하나는,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29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0
)가 같거나 작아지도록 상이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지수 계산 시 고려되는 트래픽량과 신호간섭 중에서,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많을수록, 전술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신호간섭이 설계 및 설치 토폴로지로 인해 또는 자연스럽게 회피된다고 간주할 수 없는 상황이며 오히려 신호간섭이 더욱 심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트래픽량 보다 신호간섭을 더욱 고려하거나 동등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 특히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많을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1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2
)가 같거나 작아지도록 예를 들면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3
)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4
) 대비 같거나 작아지도록 조정한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5
)를 전술의 수식1에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지수 계산 시 고려되는 트래픽량과 신호간섭 중에서,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트래픽량 보다 신호간섭을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이 집중 분포된 특정 영역에서 여러 개의 소형기지국이 활성화되는 경우, 매크로기지국(100)의 단말을 소형기지국으로 접속 유도하는 소형기지국으로의 오프로딩 효과는 미미한데 반해 소형기지국끼리의 신호간섭을 클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 특히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6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7
)가 작아지도록 예를 들면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8
)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지수계산부(230)는,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39
) 대비 커지도록 조정한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0
)를 전술의 수식1에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요소들에 따라 상이해지는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1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2
)를 신호간섭 및 트래픽량에 각기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의 활성화지수를 계산함으로써, 소형기지국과 관련된 신호간섭 및 트래픽량의 비중을 환경에 맞게 조정하여 신뢰도 높은 최적의 활성화지수로 계산해낼 수 있다.
기지국제어부(240)는, 각 기지국 즉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해, 기지국제어부(240)는,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계산된 매크로셀(C10) 내의 각 소형기지국(1,2...9)의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소형기지국들(1,2...9)을 결정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의 상태로 운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제어부(240)는, 다수의 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기지국제어부(240)는,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할 때마다,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이 활성화된 이후의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기 설정된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을 포함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그 외의 나머지 기지국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한다.
달리 말하면, 기지국제어부(240)은,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전술의 운용설정구간(X)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제어부(240)은,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면, 소형기지국(1,2...9) 중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은 활성화 상태로,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비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은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며, 이를 전술의 운용유지구간(Y)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네트워크환경은, 다수의 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2...9)과 관련된 특정 셀 즉 매크로셀(C100)에서의 셀용량 변화,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전체 단말 중에서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된 소형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이다.
그리고, 운용유지조건은,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 또는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된 소형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이 기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인 경우 만족될 수 있다.
결국, 운용유지조건이란,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전술의 운용설정구간(X)에서 운용유지구간(Y)으로 넘어가기 위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형기지국(1,2...9)을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지기국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고 전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소형기지국4>3>2>1>5>6>7>8>9
이 경우라면, 기지국제어부(240)는,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4)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3,2,1,5...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제어부(240)에서 금번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기지국제어부(240)는,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4)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기지국제어부(240)는,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기지국제어부(240)는,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임계치 이하이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라면, 소형기지국(4)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증가된 셀용량의 변화가 제1임계치 이하로 미미하기 때문에 더 이상 셀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가로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에 기인한다.
또는, 기지국제어부(240)는,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단말접속률이 기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이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매크로셀(C100) 내의 전체 단말 중에서 소형기지국에 접속되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이 제2임계치 이상인 경우라면, 소형기지국(4)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소형기지국에 접속되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이 제2임계치 이상으로 충분히 커졌기 때문에 더 이상 소형기지국으로의 오프로딩을 위해 추가로 소형기지국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에 기인한다.
다만, 금번 활성화시킨 소형기지국(4)이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된 첫번째 소형기지국이기 때문에,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이처럼, 소형기지국(4)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기지국제어부(240)는, 활성화지수가 다음으로 큰 소형지기국(3)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이 경우에도, 기지국제어부(240)는,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다시 말해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제1임계치 이하인지 또는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단말접속률이 제2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소형기지국(3)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기지국제어부(240)는, 활성화지수가 다음으로 큰 소형지기국(2)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기지국제어부(240)은,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4,3,2,1)을 활성화시킨 후, 소형기지국(5)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기지국제어부(240)은,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5) 및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5)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4,3,2,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2,3,4,5)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다수의 소형기지국(1,2...9) 중 나머지 소형기지국(6,7,8,9)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한다.
즉, 기지국제어부(240)은,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2,3,4,5)은 활성화 상태로,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비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6,7,8,9)은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는, 전술의 운용유지구간(Y)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뿐 아니라 신호간섭까지도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셀용량 및 단말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를 중앙의 기지국제어장치(200)에서 수행하고 있으나, 전술의 기지국제어장치(200) 내 각 기능부 모두 또는 일부를 각 소형기지국에 구비함으로써 각 소형기지국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기지국제어장치(200)와의 연동을 통해 소형기지국 자신에 대하여 활성화/비활성화를 결정 및 그에 따라 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운용설정구간(X) 및 운용유지구간(Y)를 하나의 주기(X+Y)로 하여, 소형기지국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같이 하나의 매크로기지국(100)을 언급하고, 동일한 하나의 매크로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1,2...9)에 대하여,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 각각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것이다(S10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백홀(Backhaul) 또는 BU를 통해 각 소형기지국(1,2...9)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세기측정값을 수집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의 주변 트래픽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각 소형기지국(1,2...9)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한다(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백홀(Backhaul) 또는 BU를 통해 각 소형기지국(1,2...9)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수집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의 신호간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각 소형기지국(1,2...9)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요소들에 따라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3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4
)를 상이하게 결정하고(S120), 이처럼 상이하게 결정한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5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6
)를 수식1에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작을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7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8
)가 커지도록 예를 들면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49
)를 조정(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매크로셀(C100)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소형기지국(1,2...9)의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매크로셀(C100) 내의 소형기지국 개수가 많을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0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1
)가 같거나 작아지도록 예를 들면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2
)를 조정(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매크로셀(C100)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3
) 대비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4
)가 작아지도록 예를 들면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5
)를 조정(결정)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라 조정(결정)된 제1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6
) 및 제2가중치(
Figure 112014073304905-pat00057
)를 전술의 수식1에 적용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S140, S150).
이하에서는, 소형기지국(1,2...9)을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지기국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고 전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4)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3,2,1,5...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4)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S14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다시 말해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제1임계치 이하인지 또는 소형기지국(4)이 활성화된 이후의 단말접속률이 제2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다만, 금번 활성화시킨 소형기지국(4)이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된 첫번째 소형기지국이기 때문에,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이처럼, 소형기지국(4)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140 No),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로 복귀하여, 활성화지수가 다음으로 큰 소형지기국(3) 즉 활성화 여부가 미 결정된 소형기지국 (1,2,3,5,6,7,8,9) 중에서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지기국(3)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다시 말해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매크로셀(C100)의 셀용량 변화가 제1임계치 이하인지 또는 소형기지국(3)이 활성화된 이후의 단말접속률이 제2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소형기지국(3)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140 No),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로 복귀하여, 활성화지수가 다음으로 큰 소형지기국(2)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소형기지국(1,2...9) 중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가,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140 No) S130단계로 복귀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에 대한 오버헤드 및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 도 4와 같이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140 No) S130단계로 복귀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변화하는 하향링크의 신호간섭을 지속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140 No) S110단계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소형기지국부터 순차적으로 소형기지국(4,3,2,1)을 활성화시킨 후, 소형기지국(5)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이후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9) 중에서,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5) 및 금번 선택한 소형기지국(5)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4,3,2,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기지국(6,7,8,9)을 비활성화로 결정한다(S160).
이때, 전술의 S140 내지 S160단계를, 소형기지국(1,2...9)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전술의 운용설정구간(X)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2,3,4,5)은 활성화 상태로,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비활성화되어 있는 소형기지국(6,7,8,9)은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는, 전술의 운용유지구간(Y)으로 동작하는 것이다(S1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에 대한 관리 기능이 종료되지 않는 한(S180 No), 운용유지구간(Y)경과하면, S100단계로 복귀하여 전술의 S100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2,3,4,5)은 활성화 상태로 소형기지국(6,7,8,9)은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는 운용유지구간(Y) 동안, 전술의 S100 내지 S130단계를 병렬 수행하여 각 소형기지국(1,2..9)의 활성화지수를 새롭게 계산해두고, 운용유지구간(Y)경과하면, S140단계로 복귀하여 전술의 S140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뿐 아니라 신호간섭까지도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셀용량 및 단말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을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매크로기지국
1,2,3,4,5,6,7,8,9 : 소형기지국
200 : 기지국제어장치
210 : 트래픽량확인부 220 : 간섭확인부
230 : 활성화지수계산부 240 : 기지국제어부

Claims (13)

  1.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트래픽량확인부;
    상기 각 기지국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부;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트래픽량이 많을수록 및 상기 신호간섭이 작을수록 큰 값을 갖는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는 활성화지수계산부; 및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되,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활성화시킬 때마다 측정한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기 설정된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포함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나머지 기지국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는 기지국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은,
    상기 각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신호 또는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수신세기를 측정한 수신세기측정값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의 신호간섭은,
    상기 각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지수계산부는,
    상기 각 기지국 별로, 기지국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기지국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며,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상기 다수의 기지국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상기 다수의 기지국의 신호송신세기,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하여 상이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특정 셀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멀수록, 또는 상기 신호송신세기가 작을수록, 또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가 적을수록, 상기 제1가중치 대비 상기 제2가중치가 커지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특정 셀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경우, 또는 상기 기지국 간 평균거리가 가까울수록, 또는 상기 신호송신세기가 클수록, 또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상기 단말 집중분포도가 클수록, 상기 제1가중치 대비 상기 제2가중치가 같거나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환경은,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에서 상기 선택한 기지국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이후의 셀용량 변화, 또는 상기 특정 셀 내의 전체 단말 중에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활성화된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의 단말접속률을 포함하며
    상기 운용유지조건은,
    상기 셀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 만족되며, 또는 상기 단말접속률이 기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인 경우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
  9.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 속하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을 확인하는 트래픽량확인단계;
    상기 각 기지국의 인접기지국에 의한 신호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단계;
    상기 각 기지국의 트래픽량 및 신호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트래픽량이 많을수록 및 상기 신호간섭이 작을수록 큰 값을 갖는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는 활성화지수계산단계; 및
    상기 각 기지국에 대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활성화지수가 가장 큰 기지국부터 활성화지수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지국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되,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활성화시킬 때마다 측정한 특정 네트워크환경이 기 설정된 운용유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상기 선택한 기지국을 포함하여 기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활성화된 상태로 운용하고, 나머지 기지국을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는 기지국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지수계산단계는,
    상기 각 기지국 별로, 기지국의 신호간섭에 제1가중치를 적용하고 기지국의 트래픽량에 제2가중치를 적용하여 활성화지수를 계산하며,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제2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역, 상기 다수의 기지국 내 기지국 간 평균거리, 상기 다수의 기지국의 신호송신세기,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된 특정 셀 내의 단말 집중분포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하여 상이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과 관련하여, 각 기지국 별로 활성화지수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운용설정구간 및 각 기지국 별로 상기 운용유지조건이 만족된 시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을 유지하는 운용유지구간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099288A 2014-08-01 2014-08-01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ctive KR10162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88A KR101629950B1 (ko) 2014-08-01 2014-08-01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15/005022 WO2016017912A1 (ko) 2014-08-01 2015-05-19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N201580041681.9A CN106576394B (zh) 2014-08-01 2015-05-19 基站控制设备以及基站控制设备的操作方法
US15/501,066 US11190954B2 (en) 2014-08-01 2015-05-19 Base st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88A KR101629950B1 (ko) 2014-08-01 2014-08-01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64A KR20160016064A (ko) 2016-02-15
KR101629950B1 true KR101629950B1 (ko) 2016-06-13

Family

ID=5521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288A Active KR101629950B1 (ko) 2014-08-01 2014-08-01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0954B2 (ko)
KR (1) KR101629950B1 (ko)
CN (1) CN106576394B (ko)
WO (1) WO2016017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05B1 (ko) * 2015-04-20 2020-10-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08924746B (zh) * 2018-07-13 2020-10-23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ue密度的基站控制方法、装置
KR20240085324A (ko) * 2022-12-07 2024-06-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제어장치 및 간섭 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745B2 (en) * 2000-06-08 2013-10-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sual-servoing optical microscopy
CN1146165C (zh) * 2001-07-18 2004-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负载分配信道的方法
WO2011034321A2 (en) * 2009-09-16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101083542B1 (ko) * 2009-10-16 2011-11-14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KR101785997B1 (ko) * 2009-10-30 2017-10-17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KR101086540B1 (ko) * 2009-11-03 2011-11-23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진입을 위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104490B1 (ko) * 2010-03-30 2012-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중계기 온/오프 방법
US8780860B2 (en) * 2010-05-01 2014-07-15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9131363B2 (en) * 2010-11-16 2015-09-08 Lg Electronics Inc.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CN102695251B (zh) * 2011-03-21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中的节能方法
EP2512171B1 (en) * 2011-04-14 2014-08-13 Alcatel Lucent Method for managing the state of micro base stations by following the variations of traffic requirements, and associated controller device
US9461779B2 (en) * 2012-02-26 2016-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497007B2 (en) * 2012-05-15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s of sending feedback signaling under carrier specific measurement gaps in multi-carrier
US8515410B1 (en) * 2012-05-21 2013-08-20 Nokia Siemens Networks Oy Enabling different base station ES levels based on time to activate cell
US9077649B2 (en) * 2012-05-29 2015-07-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plit customer premises equipment architecture for provisioning fixed wireless broadband services
US9603098B2 (en) * 2013-05-02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88522A1 (en) * 2013-06-18 2016-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in a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a Plurality of Antenna Sites of the Base Station
CN103391604B (zh) * 2013-07-17 2016-02-24 浙江大学 小基站休眠的控制方法
US9445443B2 (en) * 2013-09-27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based provisioning of UE credentials for non-operator wireless deployments
KR20150089890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정 및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6618084B2 (ja) * 2014-11-06 2019-12-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er, Louai, et al. "Optimal control of wake up mechanisms of femtocells in heterogeneous networks."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n 30.3(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64A (ko) 2016-02-15
CN106576394A (zh) 2017-04-19
US11190954B2 (en) 2021-11-30
CN106576394B (zh) 2021-01-08
WO2016017912A1 (ko) 2016-02-04
US20170257781A1 (en)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5605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cell information
JP68051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端末
CN106658514B (zh) 一种微基站超密集部署异构网络的能量效率与频谱效率平衡方法
US9730084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mall-or-medium-scale base station
KR101310901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전송전력 제어방법
CN105830483A (zh) 波束配置方法、基站及用户设备
EP3205032B1 (en) Cell sha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CN110024338A (zh) 改进空间复用中的edca机制的技术
EP2695462B1 (en) Intra cell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relay nodes
US10764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lecting and adjust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EDTs) in uncoordinated radio nodes deploying listen before talk to improve throughput on shared spectrum
CN107852775B (zh) 在服务无线电节点和控制节点以及相关联设备中使用的方法
KR1017810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뮤팅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2890A (ko)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12428B1 (ko) 무선 제어 시스템, 통신 장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29950B1 (ko)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US10111183B2 (e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227926A1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CN101965748A (zh) 自组织无线网络中的信道选择
JP7044152B2 (ja) 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管理サーバ
US938046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KR1016167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할당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454718B2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serving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KR101205577B1 (ko) 중계기 및 온-오프 신호를 이용한 중계기의 전송대역 분할방법
JP61569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4120578A1 (en) Beam optimization based on signal measurements in neighboring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