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9438B1 -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438B1
KR101629438B1 KR1020150142043A KR20150142043A KR101629438B1 KR 101629438 B1 KR101629438 B1 KR 101629438B1 KR 1020150142043 A KR1020150142043 A KR 1020150142043A KR 20150142043 A KR20150142043 A KR 20150142043A KR 101629438 B1 KR101629438 B1 KR 10162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ixing hole
support rod
supporter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15014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38B1/ko
Priority to CN201610633305.5A priority patent/CN106567557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형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받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 건축용 서포터에 있어서, 지지봉의 나사부에 스토퍼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지지봉에 나사 결합되어 높이 조절되는 회전부재의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부재를 한계 높이를 벗어나 임의로 조절할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를 임의로 쉽게 제거할 수 없도록 하면서, 건축용 서포터 설치작업의 간편성 확보 및 필요 시 회전부재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SUPPORTER EQUIPED WITH STOPPER OF NON-PORTABLE ROTARY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PLACE METHOD FOR ROTARY PLATE THEREOF}
본 발명은 파이프형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받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 건축용 서포터에 있어서, 지지봉의 나사부에 스토퍼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지지봉에 나사 결합되어 높이 조절되는 회전부재의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부재를 한계 높이를 벗어나 임의로 조절할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를 임의로 쉽게 제거할 수 없도록 하면서, 건축용 서포터 설치작업의 간편성 확보 및 필요 시 회전부재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사현장에 거푸집 등의 구조물을 견고하게 받쳐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건축용 서포터라 한다.
상기 건축용 서포터는 지지봉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용 서포터는 지면이나 구조물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파이프형 지지부재가 지지봉에 끼워져, 회전부재가 지지부재를 받치거나, 또는 반대로 지지부재가 회전부재를 받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서포터는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을 통해 건축용 서포터의 전체 길이, 즉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지지 높이가 조절되는데, 시공 중 작업자가 회전부재의 높이를 한계 높이 이상으로 조절하게 되면, 각 건축용 서포터마다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구조물을 견고하게 받칠 수 없게 된다.
특히, 건축용 서포터는 건축물의 구조 설계에 맞게 회전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반작업자들은 설치작업이 편리하도록 회전부재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건축용 서포터로써의 본래 기능이 저하되기 쉽다.
즉,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기능은 건축용 서포터를 설치한 상태에서 시공이 완료된 후 건축용 서포터의 해체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일부작업자들은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점을 악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구조를 무시하고 회전부재의 높이를 정확한 높이로 조절하지 않고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봉에서 회전부재의 완전 분리가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회전부재를 완전 분리한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 건축물에 다수의 건축용 서포터가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지지봉에서 분리된 회전부재의 분실 우려가 크고, 이러한 부재의 분실은 자재 손실은 물론, 재설치를 위한작업시간 및 인건비 증가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건축용 서포터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45955호 "보강된 받침판을 갖는 건축용 서포터", 등록실용신안 제20-0440973호 "건축용 서포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건축용 서포터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여 제작이 편리하면서도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회전부재의 한계 높이를 벗어나도록 임의로 높이를 조절하거나 회전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 시 회전부재의 교체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봉의 길이 방향 소정 높이에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의 고정공에 결합된 스토퍼를 +자,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일반 공구를 사용해 작업자가 임의로 쉽게,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의 교체와 같이 스토퍼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특수 공구만을 사용하여 스토퍼를 분리시킬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는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에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공을 구비한 지지봉;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승하강되되, 상기 고정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 일측 단부를 받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며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에서
상기 스토퍼는
연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끼움공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1 걸림부를 구비한 장착부재와,
경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측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부재의 타측단에 걸리면서 끼움 결합되는 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공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심부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헤드부가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가 압착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심부재의 일부가 절단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에서
상기 스토퍼는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부로 기능하는 헤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공에 나사 결합되는 스토핑볼트로 구성되되,
상기 스토핑볼트의 헤드는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원호형상 측벽들로 둘러싸여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머리부를 구비한 체결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은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심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공을 천공하는 단계;
C) 상기 고정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지지봉에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스토퍼의 제1 걸림부가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공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심부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압착시켜 상기 제1 걸림부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공에 고정한 후, 상기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 외측으로 노출된 심부재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은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회전부재를 교체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지지봉에 체결된 회전부재를 고정공과 이격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정공에 결합된 스토퍼의 제1 걸림부를 공구로 타격하여 제거하는 단계;
c) 제1 걸림부가 제거된 스토퍼를 상기 지지봉의 중공부를 이용해 고정공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d)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정공에, 제1 걸림부를 구비한 장착부재와 심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은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스토핑볼트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공을 천공하고, 상기 고정공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가공하는 단계;
C) 상기 고정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지지봉에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스토퍼의 헤드가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걸림부로 기능하도록, 상기 체결공구를 이용해 상기 스토핑볼트의 몸체를 상기 고정공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공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은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회전부재를 교체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지지봉에 체결된 회전부재를 고정공과 이격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체결공구를 이용해, 상기 고정공에 나사 결합된 스토핑볼트를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단계; 및
d`) 상기 체결공구를 이용해, 상기 스토핑볼트를 상기 고정공에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은 종래의 건축용 서포터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지지봉에 고정공을 천공하고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제작이 편리하면서도 제작 단가가 저렴하며, 건축용 서포터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임의로 회전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재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 시 회전부재의 교체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은 작업자가 +자,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일반적인 공구를 사용하여 스토퍼를 임의로 쉽게 제거할 수 없어 건축용 서포터 설치 시 건축물의 설계 구조에 맞게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물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및 스토퍼의 결합 단계별 종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작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는 크게, 지지봉(10), 상기 지지봉(10)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부재(20), 상기 지지봉(10)의 고정공(13)에 결합되는 스토퍼(3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설치예는 건축용 서포터가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의 파이프형 지지부재(50)를 지지하는 형태로,
지지봉(1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형 부재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11)가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12)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공(1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10)에 중공부(11)를 형성한 이유는 건축용 서포터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후술하는 스토퍼(30)의 제2 걸림부(34)를 이용해 스토퍼(30)를 고정공(13)에 고정,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공(13)이 나사부(12)의 소정 높이에 관통 형성된다는 의미는 건축물의 설계 구조 상 건축용 서포터가 받칠 구조물의 높이에 맞게 회전부재(20)가 승하강될 수 있는 한계 높이에 고정공(13)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부재(20)가 상부의 파이프형 지지부재(50)를 지지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경우, 고정공(13)은 지지봉(10)의 상측 소정 높이에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회전부재(20)가 고정공(13)의 하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 체결된다.
미설명 부호 14는 건축용 서포터를 설치할 때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봉(10)의 베이스플레이트로써, 베이스플레이트(14)가 지지봉(10)의 하측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화되어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재(20)는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 체결되어 지지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로써, 관통홀(21A)이 형성된 몸통(21)과, 상기 몸통(21)의 외주면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 연결된 한 쌍의 손잡이(22)로 이루어진다.
몸통(21)의 관통홀(21A)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12)에 대응하는 대응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지지봉(10)에 끼워지면서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부재(20)를 고정공(13)과 이격하도록 하측으로 회전이동한 상태에서 건축용 서포터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후 회전부재(20)를 다시 상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회전부재(20)의 몸통(21) 상단부가 파이프형 지지부재(50)의 하단부를 받치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파이프형 지지부재(50)의 상단부를 거푸집과 같은 구조물의 하단부에 결합함으로써, 건축용 서포터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건축용 서포터에 있어서, 회전부재(20)의 상승 한계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지지봉(10)에서 회전부재(20)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공(13)에 결합되며, 일측단에 상기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걸림부(33)를 구비한다.
즉, 스토퍼(30)의 몸체부(32) 일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33)가 나사부(12)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0)가 회전 상승하는 나사부(12)의 회전경로가 차단되어, 회전부재(20)는 스토퍼(30) 상측으로 회전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공(13)의 천공 높이를 건축물의 설계 구조에 맞게 형성하게 되면, 회전부재(20)는 하측의 베이스플레이트(14)와 상측의 스토퍼(30)로 인해 지지봉(10)에서 분리, 이탈될 수 없으며, 스토퍼(30)로 인해 회전부재(20)의 상승 높이 한계가 설정되어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구조물의 하부를 정확한 높이에서 결합,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50)는, 회전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봉(1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단부가 구조물에 결합되어 하부의 회전부재(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지지봉(10)에 끼워지는 파이프형 지지부재(50)의 직경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0)의 지지 형태가 달라진다.
도 7의 [A] 도시된 회전부재(20; 속칭 자키베이스)는 몸통(21)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홀(21A) 둘레를 따라 돌출된 끼움턱(21a)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상기 끼움턱(21a)의 외주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회전부재(20; 속칭 잭베이스)는 몸통(21)의 상면에서 외벽을 따라 돌출된 삽입단(21b)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상기 삽입단(21b)의 내주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삽입단(21b)은 몸통(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나사산(12a)들 사이를 용접으로 메우거나, +자 홈이나 -자 홈 또는 육각홈이 형성된 헤드를 갖는 일반 볼트를 고정공(13)에 결합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그러나 용접으로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게 되면, 회전부재(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용접된 부위의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일반 볼트를 고정공(13)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너트를 이용한 볼트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소지하기 쉬운 +자 또는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고정공(13)에서 볼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회전부재(20)를 지지봉(10)에서 분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게 된다.
즉, +자 또는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는 일반 작업자가 손쉽게 소지하기 쉬운 공구로써, 이를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일반 볼트를 스토퍼로써 활용하게 되면, 일반 작업자가 작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스토퍼를 분리하여 작업하기 쉬우며, 이렇게 임의로 이루어지는 스토퍼의 분리는 회전부재 또는 스토퍼 등의 부품 분실이 발생할 여지가 많아, 자재 손실이나 원활한 설치 작업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스토퍼(30)를 임의로 쉽게 분리하지 못하면서도, 회전부재(2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특수 공구를 이용해 스토퍼(30)의 제거 및 재결합이 용이한 스토퍼(30)를 도입하였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스토퍼(30)의 제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끼움공(32A)을 갖는 몸체부(32)와, 상기 몸체부(32)의 일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1 걸림부(33)를 구비한 장착부재(31),
경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32A)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측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헤드부(36)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부재(31)의 타측단에 걸리면서 끼움 결합되는 심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31)는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끼움공(32A)에 심부재(35)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몸체부(32)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게 되나, 몸체부(32)의 길이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몸체부(32)가 압착된다.
상기 몸체부(32)에는 후술하는 심부재(35)를 이용한 압착 시 몸체부(32)가 쉽게 압착되면서 제2 걸림부(34)를 형성하도록 몸체부(32)의 외주면을 따라 두께가 얇아지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32a)가 마련된다.
도면과 같이, 2 개의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몸체부(32)가 도넛 형태로 압착되면서 중첩된 2개의 제2 걸림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부재(35)는 상기 장착부재(31)와 반대로 강철과 같은 경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의 부재로써, 길이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길이가 줄어들거나 압착되지 않는다.
상기 심부재(35)의 타측단에 형성된 헤드부(36)는 상기 장착부재(31)의 타측단에 걸리면서 심부재(35)가 장착부재(31)의 끼움공(32A)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심부재(35)를 헤드부(36) 반대방향으로 가압(잡아당기는 압력이 작용)하면 장착부재(31)를 압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심부재(35)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부재(31)의 끼움공(32A) 내주면에는 각각 서로 걸림 결합되는 돌출링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장착부재(31)의 끼움공(32A)에서 심부재(3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36)와, 상기 몸체부(32)의 외주 직경은 상기 고정공(13)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스토퍼(30)의 헤드부(36)를 고정공(13)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헤드부(36)가 상기 고정공(13)의 내측을 향하도록 스토퍼(30)를 고정공(13)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심부재(35)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헤드부(36)가 상기 장착부재(31)의 타측단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31)가 압착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33)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스토퍼(30)가 상기 고정공(13)에 고정, 결합된다.
즉, 스토퍼(30)가 고정공(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심부재(35)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제1 걸림부(33)와, 제2 걸림부(34) 사이에 고정공(13)이 배치되는 형태가 되므로, 스토퍼(30)의 양측단이 고정공(13)의 내, 외측에 모두 걸림 결합되어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일반 공구로 스토퍼(30)를 분리, 제거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위치에는 절단용 홈(35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토퍼(3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 걸림부(34)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33) 외측으로 심부재(35)의 일부가 노출되는데, 이렇게 노출된 심부재(35)의 일부(35A)는 몸체부(32)의 압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심부재(35)를 가압하는(잡아당기는) 힘이 심부재(35) 자체의 강도 임계점을 넘어서, 상기 절단용 홈(35a) 부위가 끊어지면서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토퍼(30)의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부(38a)를 구비한 몸체(38)와, 상기 몸체(38)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부(33)로 기능하는 헤드(39)로 이루어진 스토핑볼트(37)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공(13)에 나사 결합하되,
상기 헤드(39)는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원호형상의 측벽(39a)들로 둘러싸인 삽입홈(39A)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핑볼트(37)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삽입홈(39A)의 형상에 대응하는 머리부(41)를 구비한 체결공구(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핑볼트(37)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볼트와 유사한 구조이나, 다만 작업자가 쉽게 소지할 수 있는 +자,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가 아닌 특수 제작된 체결공구(40)만을 이용해 스토핑볼트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임의로 스토핑볼트(37)를 분리할 수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삽입홈(39A)은 도면과 같이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원호형상의 측벽(39a)들로 둘러싸인 형태인데, 이때 삽입홈(39A)을 형성하는 원호형상의 측벽(39a)들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즉, 도면에서는 총 6개의 측벽(39a)들로 이루어진 유사 육각 형태의 삽입홈(39A)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 팔각, 십이각 등의 형태도 가능하며, 다만 결합 및 분리에 필요한 힘의 전달이 용이하고, 삽입홈(39A)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선 육각 이상의 삽입홈(39A)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구(40)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삽입홈(39A)에 삽입하여 스토핑볼트(3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39A)의 형상에 대응하는 머리부(41)를 갖는 부재로 특수 제작된다.
즉, 체결공구(40)의 머리부(41)는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외벽(41a)들로 둘러싸인 형태가 된다.
이러한 체결공구(40)는 머리부(41)가 일측단에만 형성된 일반 드라이버와 같은 -자 형태, 또는 머리부(41)가 양측단에 형성되되 양 머리부(41)가 서로 다른 길이로 직각되도록 절곡된 일반 육각렌치와 같은 ㄱ자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특수 제작된 스토핑볼트(37)와 체결공구(40)를 이용해 스토퍼(30)로 활용하게 되면, 일반 작업자는 체결공구(40)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 임의로 스토핑볼트(37)의 분리가 불가능하고, 회전부재(20)의 교체와 같은 필요시에만 관리자의 지시 아래 체결공구(40)를 이용해 스토핑볼트(37)의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서포터의 제2 설치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설치예와 반대로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상부의 건축용 서포터를 지지하는 형태로,
상기 제1 설치예와 동일한 구조의 지지봉(10), 회전부재(20) 및 스토퍼(30)로 구성되는데, 다만, 고정공(13)이 지지봉(10)의 하측 소정 높이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지지봉(10)에 끼워지는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회전부재(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2 설치예에서 회전부재(20)를 지지봉(10) 하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지지봉(10)이 상승하게 되고, 지지봉(10)의 상단부에 연결된 'U'자형 헤드(15)를 멍에재와 같은 구조물에 결합함으로써, 건축용 서포터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 경우, 상기 고정공(13)에 결합되는 스토퍼(30)는 회전부재(20)의 하강 높이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U'자형 헤드(15)는 상기 제1 설치예의 베이스플레이트(14)를 대신하여 지지봉(10)의 상측단에 일체화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양측에 상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결합편(15A)을 구비하여, 결합편(15A)들 사이에 멍에재와 같은 구조물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설치예는 회전부재(20)의 하부에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배치되는 형태이므로, 상기 회전부재(20)는 끼움턱(21a)이나, 삽입단(21b)이 몸통(21)의 하측을 향하도록 지지봉(10)에 결합된다.
이밖에 제2 설치예에서 스토퍼(30)의 구체 구조 및 결합 방법, 이를 통한 기능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설치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의 건축용 서포터(S1)와, 도 2의 건축용 서포터(S2)의 동시 사용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파이프형 지지부재(50)를 기준으로,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14)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S1)가 끼워지고, 상부에 'U'자형 헤드(15)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S2)가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설치예 또는 상기 제2 설치예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설치되는 형태를 통해, 고정공(13)의 천공 높이만을 건축물 설계 구조에 맞게 형성하여 사용 가능하며, 설치 방향에 따라 회전부재(20)의 한계 높이를 제한하면서 회전부재(20)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건축용 서포터를 통한 구조물의 정확한 지지가 가능하며 건축용 서포터 운반 시 회전부재(20)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은 사용되는 스토퍼(30)의 실시예에 따라 달라지는데,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는,
파이프형 지지부재(50)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11)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 체결되는 회전부재(20) 및 상기 장착부재(31)와 상기 심부재(35)로 이루어진 스토퍼(3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나사부(12)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공(13)을 천공하는 단계;
C) 상기 고정공(13)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20)를 상기 지지봉(10)에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스토퍼(30)의 제1 걸림부(33)가 상기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스토퍼(30)의 헤드부(36)를 상기 고정공(13)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심부재(35)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31)를 압착시켜 상기 제1 걸림부(33)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34)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30)를 상기 고정공(13)에 고정한 후, 상기 제2 걸림부(34)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33) 외측으로 노출된 심부재(35)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지지봉(10)과, 회전부재(20)는 공지된 종래의 건축용 서포터의 부재들에 상응하는 것이므로 이의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되는 스토퍼(30)는 상술한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질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장착부재(31)와, 경질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심부재(35)를 별도로 제작한 후, 심부재(35)를 장착부재(31)의 끼움공(32A)에 끼워서 심부재(35)의 헤드부(36)가 장착부재(31)의 몸체부(32)에 걸리도록 끼움 결합되어 완성되며, 이 경우,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 사이에는 돌출링(미도시)과, 결합홈(미도시) 등이 각각 구비되어, 암수 결합 구조를 통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지지봉(10)과, 회전부재(20) 및 스토퍼(30)가 준비되면, B) 단계로써 지지봉(10)의 소정 높이에 고정공(13)을 천공한다.
상기 고정공(13)은 건축물의 설계 구조에 따라 상기 제1, 제2 설치예의 설치 형태에 맞게, 지지봉(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우치는 높이에 형성되며, 고정공(13)의 천공은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정공(13)을 나사부(12)의 나사산(12a)들 사이의 공간에 천공하여, C) 단계에서 스토퍼(30)의 몸체부(32)가 나사산(12a)들 사이에 수용되면서 제1 걸림부(33)가 인접한 상, 하측의 나사산(12a)들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고정공(13)을 나사부(12)의 나사산(12a)에 형성하더라도 제1 걸림부(33)가 지지봉(10)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회전부재(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나사산(12a)에 고정공(13)을 형성하게 되면, 나사산(12a)의 얇은 두께로 인해 나사산(12a)이 파손되어 후술하는 회전부재(20)의 교체를 위해 스토퍼(30)를 제거할 경우 나사산(12a)의 파손으로 지지봉(10)을 재사용할 수 없고,
또한 실질적으로 회전부재(20)의 대응나사부(21a)가 회전 이동하는 경로는 나사산(12a)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므로, 고정공(13)을 나사산(12a)에 형성하여 스토퍼(30)를 결합하게 되면, 제1 걸림부(33)가 결합된 나사산(12a)의 상, 하측 공간을 덮는 형태가 되어, 나사산(12a)들 사이의 공간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대응나사부(21a)의 나사산이 제1 걸림부(33)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회전부재(20)를 과도하게 회전시키길 경우 제1 걸림부(33)가 파손되거나 절단될 수 있다.
반면에, 나사산(12a)들 사이의 공간에 고정공(13)을 형성하여 스토퍼(30)를 결합하게 되면, 제1 걸림부(33)는 인접한 나사산(12a)들을 덮으면서 걸리는 형태가 되므로, 나사산(12a)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토퍼(3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결합강도가 향상되며, 대응나사부(21a)의 나사산이 제1 걸림부(33)에 접촉하기 전에 회전부재(20)의 몸통(21) 상면이 제1 걸림부(33)에 먼저 접촉하여 정지됨에 따라 제1 걸림부(33)가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토퍼(30)의 제1 걸림부(33)의 너비(직경)는 나사부(12)의 나사산(12a)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너비보다 크면서, 인접한 나사산(12a)들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정공(13)의 천공이 완료되면, C) 단계로써 상기 회전부재(20)를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 체결하되, 이 회전부재(20)는 제1, 제2 설치예의 설치 형태에 따라 고정공(13)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도록 회전 이동시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가 완료되면, D) 단계로써, 스토퍼(30)의 제1 걸림부(33)가 지지봉(10)의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공(13)에 상기 스토퍼(30)를 결합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스토퍼(30)의 결합은 지지봉(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심부재(35)의 헤드부(36)가 고정공(13)의 내측을 향하도록 스토퍼(30)를 고정공(13)에 삽입하고, 심부재(35)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헤드부(36)에 의해 지지봉(10)의 중공부(11)에 배치된 장착부재(31)의 몸체부(32)가 압착되면서 제2 걸림부(34)가 형성되어, 고정공(13)의 내, 외측면에 스토퍼(30)의 제1, 제2 걸림부(33)(34)가 걸리면서 스토퍼(30)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제2 실시예는,
파이프형 지지부재(50)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50)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11)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 체결되는 회전부재(20) 및 제 3 항의 스토핑볼트(37)로 이루어진 스토퍼(3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공(13)을 천공하고, 상기 고정공(13)의 내주면에 나사부(12)를 가공하는 단계;
C) 상기 고정공(13)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20)를 상기 지지봉(10)에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스토퍼(30)의 헤드(39)가 상기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걸림부(33)로 기능하도록, 제 4 항의 체결공구(40)를 이용해 상기 스토핑볼트(37)의 몸체(38)를 상기 고정공(13)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스토퍼(30)를 상기 고정공(13)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되, 다만 사용되는 스토퍼(30)가 스토핑볼트(37)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실시예의 A`) 단계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봉(10)과 회전부재(20) 및 스토퍼(30)를 준비하되, 제2 실시예의 스토퍼(30)는 상기 스토핑볼트(37)가 사용된다.
이러한 스토핑볼트(37) 및 이를 위한 체결공구(40)는 일반 기성품이 아닌 상술한 구조에 맞게 특수 제작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B) 단계와 다르게, 제2 실시예의 B`) 단계에서는 고정공(13)을 천공한 후 고정공(13)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추가 가공하고, D`)단계에서는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공(13)에 스토핑볼트(37)의 몸체(38)를 나사 결합하여, 스토핑볼트(37)의 헤드(39)가 제1 걸림부(33)로 기능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토핑볼트(37)의 나사 결합 시, 지지봉(10)의 중공부(11)를 이용해 너트(미도시)로 스토핑볼트(3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용 서포터를 상기 제1, 제2 실시예로 제작하게 되면, 고정공(13)에 결합된 스토퍼(30)의 제1 걸림부(33)는 나사부(12)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여, 회전부재(20)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건축용 서포터를 사용하게 되면, 건축용 서포터 운반 시 스토퍼(30)로 인해 회전부재(20)를 임의로 분리할 수 없어 자재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건축용 서포터 설치 시 회전부재(20)의 높이 조절이 제한되어, 건축용 서포터들 각각에 연결되는 파이프형 지지부재(50)들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역시 사용되는 스토퍼(30)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는,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통해 제작된 건축용 서포터에서 회전부재(20)를 교체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지지봉(10)에 체결된 회전부재(20)를 고정공(13)과 이격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정공(13)에 결합된 스토퍼(30)의 제1 걸림부(33)를 공구로 타격하여 제거하는 단계;
c) 제1 걸림부(33)가 제거된 스토퍼(30)를 상기 지지봉(10)의 중공부(11)를 이용해 고정공(13)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d)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서 상기 회전부재(20)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정공(13)에, 제1 걸림부(33)를 구비한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로 이루어진 스토퍼(3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스토퍼(30)의 분리 제거를 위해 회전부재(20)를 고정공(13) 반대편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준비 단계이다.
상기 b) 단계는 지지봉(10)을 고정한 상태에서 끌과 같은 공구를 나사산(12a)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제1 걸림부(33)에 대고 망치와 같은 공구로 타격하여 제1 걸림부(33)를 분리, 제거한다.
제1 걸림부(33)가 제거되면, c) 단계로써 지지봉(10)의 중공부(11)를 통해 제1 걸림부(33)가 제거된 스토퍼(30)를 고정공(13)에서 분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스토퍼(30)의 분리는 베이스플레이트(14) 또는 'U'자형 헤드(15) 반대편의 개구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c) 단계가 완료되면, d) 단계로써 회전부재(20)를 베이스플레이트(14) 또는 'U'자형 헤드(15) 반대편으로 회전 이동시켜 분리한 후, 지지봉(10)에 교체할 회전부재(20)를 다시 끼워서 결합한다.
e) 단계는 회전부재(20)의 체결 후 고정공(13)에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로 이루어진 스토퍼(30)를 다시 결합하는 단계로,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를 고정공(13)에 결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관한 제2 실시예는,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제작된 건축용 서포터에서 회전부재를 교체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지지봉(10)에 체결된 회전부재(20)를 고정공(13)과 이격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b`) 제 4 항의 체결공구(40)를 이용해, 상기 고정공(13)에 나사 결합된 스토핑볼트(37)를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지지봉(10)의 나사부(12)에서 상기 회전부재(20)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단계; 및
d`) 상기 체결공구(40)를 이용해, 상기 스토핑볼트(37)를 상기 고정공(13)에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되, 다만 사용되는 스토퍼(30)가 스토핑볼트(37)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a) 단계 및 C) 단계가 동일하며, 제2 실시예의 b') 단계에서는 장착부재(31)와 심부재(35)가 아닌 스토핑볼트(37)가 사용됨에 따라, 상기 체결공구(40)를 사용하여 스토핑볼트(37)를 고정공(13)에서 분리시킨다.
스토핑볼트(37) 분리 후, 회전부재(20)를 교체한 다음, d`)단계로써, 스토핑볼트(37)를 고정공(13)에 다시 나사 결합시키면, 회전부재(20)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 방지가 가능해진다.
이때 d`) 단계에서, 체결공구(40)를 이용함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일반 작업자가 작업 시 쉽게 소지할 수 있는 +자, -자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일반 공구로 스토퍼(30)의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임의로 자유롭게 스토퍼(30)를 제거하여 회전부재(20)를 지지봉(10)에서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20)의 파손 등에 의해 교체가 필요한 특수한 경우에만 관리자의 지시 하에, 작업자기 쉽게 소지할 수 없는 다른 특수공구를 이용해 스토퍼(30)를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건축용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제작방법, 상기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지봉 11 : 중공부 12 : 나사부
12a : 나사부 13 : 고정공 14 : 베이스플레이트
15 : 'U'자형 헤드 15A : 결합편 20 : 회전부재
21 : 몸통 21A : 관통홀 22 : 손잡이
30 : 스토퍼 31 : 장착부재 32 : 몸체부
32A : 끼움공 32a : 오목부 33 : 제1 걸림부
34 : 제2 걸림부 35 : 심부재 36 : 헤드부
37 : 스토핑볼트 38 : 몸체 39 : 헤드
39A : 삽입홈 40 : 체결공구 41 : 머리부
50 : 파이프형 지지부재

Claims (7)

  1.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에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공을 구비한 지지봉;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승하강되되, 상기 고정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 일측 단부를 받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며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연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끼움공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1 걸림부를 구비한 장착부재와,
    경질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측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부재의 타측단에 걸리면서 끼움 결합되는 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공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심부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헤드부가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가 압착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심부재의 일부가 절단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서포터.
  2. 삭제
  3. 삭제
  4. 파이프형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칠 수 있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파이프형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제 2 항의 장착부재와 심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의 소정 높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공을 천공하는 단계;
    C) 상기 고정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지지봉에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스토퍼의 제1 걸림부가 상기 나사부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공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심부재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압착시켜 상기 제1 걸림부에 상응하는 제2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공에 고정한 후, 상기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 외측으로 노출된 심부재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5. 제 4 항을 통해 제작된 건축용 서포터에서 회전부재를 교체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용 서포터에서 지지봉에 체결된 회전부재를 고정공과 이격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정공에 결합된 스토퍼의 제1 걸림부를 공구로 타격하여 제거하는 단계;
    c) 제1 걸림부가 제거된 스토퍼를 상기 지지봉의 중공부를 이용해 고정공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d)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정공에, 제1 걸림부를 구비한 장착부재와 심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142043A 2015-10-12 2015-10-12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Active KR10162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43A KR101629438B1 (ko) 2015-10-12 2015-10-12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CN201610633305.5A CN106567557A (zh) 2015-10-12 2016-08-05 配备转动盘高度调整范围限制及防脱离用限位器的建筑支架、其制造方法及其更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43A KR101629438B1 (ko) 2015-10-12 2015-10-12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38B1 true KR101629438B1 (ko) 2016-06-13

Family

ID=5619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43A Active KR101629438B1 (ko) 2015-10-12 2015-10-12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9438B1 (ko)
CN (1) CN106567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74Y1 (ko) 2018-06-15 2018-10-19 송준원 서포트용 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83039A1 (en) * 2018-09-04 2019-12-19 Sien Han Charlene Chong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CN111442162A (zh) * 2020-05-14 2020-07-24 浙江师范大学 户外电子信息展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846A (ja) * 1998-11-26 2000-06-13 Daizen:Kk 型枠支持装置
KR20080000416U (ko) * 2008-03-14 2008-04-10 김종호 건축용 서포트
KR20080110373A (ko) * 2007-06-15 2008-12-18 김구해 잭 베이스
KR20120140318A (ko) * 2011-06-21 2012-12-31 서상건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8705A (en) * 1999-04-09 2000-12-12 Airshore International Direct Equipment West Ltd. Vehicle Stabilization and support tool
KR200445955Y1 (ko) * 2008-12-12 2009-09-11 김종호 보강된 받침판을 갖는 건축용 서포터
JP2011117205A (ja) * 2009-12-04 2011-06-16 Takamura Sogyo Kk 間隔調節可能な支持具
CN203145492U (zh) * 2013-02-21 2013-08-21 广东浩和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早拆模板支撑头
CN204186069U (zh) * 2014-10-30 2015-03-04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快拆顶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846A (ja) * 1998-11-26 2000-06-13 Daizen:Kk 型枠支持装置
KR20080110373A (ko) * 2007-06-15 2008-12-18 김구해 잭 베이스
KR20080000416U (ko) * 2008-03-14 2008-04-10 김종호 건축용 서포트
KR20120140318A (ko) * 2011-06-21 2012-12-31 서상건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74Y1 (ko) 2018-06-15 2018-10-19 송준원 서포트용 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67557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0518B (zh) 组合加强联接器和柱对准设备
KR101629438B1 (ko) 회전부재의 높이 조절 제한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건축용 서포터,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방법 및 상기 건축용 서포터의 회전부재 교체방법
JP5873596B1 (ja) 安全サポート
RU2630396C9 (ru) Сверлильная коронка со сменной режущей частью
US20140227024A1 (en) Assembly for connecting rebar segments
US12208398B2 (en) Wear liner assembly
PH12015500437B1 (en) End plate for concrete piles
EP4155482B1 (en) Building formwork apparatus having locking member
TW201604380A (zh) 錨定螺栓
KR101152340B1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CN210857199U (zh) 一种混凝土预制桩连接装置及混凝土桩基
KR200482379Y1 (ko) 동바리
JP4453108B1 (ja) 釘抜き取り装置及び釘抜き取り方法
US20190301656A1 (en) Press seal with an elastomer body and a tensioning bolt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KR101783388B1 (ko) 고정구가 구비된 안전 서포트
US20170037646A1 (en) Template mold severing screw bar
KR2013002884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1162725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JP6007863B2 (ja)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JP3219922U (ja) サポート用のレンチ
KR101144294B1 (ko) 블라인드 리벳
CN211666273U (zh) 一种爬模承重销拆卸工具
CN219344160U (zh) 一种高层悬挑用的支模架顶托
KR102557858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