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8973B1 -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973B1
KR101628973B1 KR1020150126724A KR20150126724A KR101628973B1 KR 101628973 B1 KR101628973 B1 KR 101628973B1 KR 1020150126724 A KR1020150126724 A KR 1020150126724A KR 20150126724 A KR20150126724 A KR 20150126724A KR 101628973 B1 KR101628973 B1 KR 10162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powder
cyclone
pulverizer
d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용
Original Assignee
정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용 filed Critical 정시용
Priority to KR102015012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9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측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항습기(2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입고된 천연 식재료를 계량하여 일정한 질량 단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투입기(30);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어 계량되는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조분쇄기(40); 상기 조분쇄기(40)를 통해 1차적으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를 2차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미분쇄기(45);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습기(50);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천연 식재료 분말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진동선별기(64)를 거쳐 포장기(65)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말이나 먼지는 제1 내관(62)을 통해 제1 배출구(63)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사이클론(60); 상기 제1 사이클론(60)의 제1 배출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클론(60)을 거친 미세분말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분말이나 먼지 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의 미세분말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분말수집부(74)로 집적되게 하고, 상기 먼지는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제2 사이클론(70); 및 상기 제2 사이클론(70)의 제2 배출구(73)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구(73)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집진시설을 이용하여 폐기물(82)로 분리되어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집진기(8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외기의 영향 없이 설비 내의 기준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설비내 수증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영향없이 일정한 품질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고 천연 식재료 분쇄시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SYSTEM FOR MANUFACTURING POWDER OF NATURAL SEASONING}
본 발명은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외기의 영향 없이 설비 내의 기준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설비 내부의 수증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미료는 음식을 만드는 주재료인 식품에 첨가되어 음식의 맛을 돋우는 물질로 일반적으로 천연조미료와 인공조미료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인공조미료로는 글루타민산나트륨 또는 핵산조미료 등의 화학조미료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인공조미료는 인체에 유해하다는 인식이 퍼져 있어 그 사용에 있어서 항상 논란이 되어 왔다.
최근 소비자들은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생활의 질이 향상되고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과거에 사용하던 L-글루타민산나트륨(MSG) 또는 핵산조미료 등 화학조미료의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자연 그대로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천연조미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즉, 최근 급격한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에 따라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암을 비롯한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및 치매와 같은 여러 퇴행성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고 건강에도 유익한 천연조미료들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급격한 핵가족화 시대로의 변모로 인스턴트 및 편의식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가공식품을 주로 취급하는 식품서비스업 및 외식산업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체 유해성이 문제시되고 있는 화학조미료 및 화학합성 식품첨가물에의 노출이 그만큼 커짐에 따라 국민건강이 크게 위협을 받고 있는데, 최근 소비자들은 인스턴트 및 편의 식품보다는 자연식품, 건강지향의 식품을 크게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생리활성을 지닌 건강기능식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조미료의 소재로는 동물, 식물, 해산물 등 다양한 자연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인공 화학 재료를 전혀 첨가하지 않고 천연 재료만을 이용한 조미료는 천연 재료를 추출, 농축, 엑기스 제조 등의 가공을 거쳐 제조하거나, 천연 재료를 그대로 분말화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뉜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서 직접 멸치, 다시마, 버섯 등의 천연재료를 분말화하여 조리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분말상의 천연조미료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다. 분말 천연조미료의 장점은 재료를 그대로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영양성분 소실 없이 섭취가 가능하며 자연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재료를 그대로 분말화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천연 재료를 분말화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입도로 분말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분말의 특성상 입자가 작은 분말의 경우에는 조리시에 가루가 날리거나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고 검증된 각종 식재료를 분말화하여 천연조미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화학성 조미료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하여 조리시에 가루가 날리거나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천연식재료의 분말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54852호(2004년 10월 20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76509호(2011년 10월 18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67878호(2015년 06월 19일 공개)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외기의 영향 없이 설비 내의 기준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설비 내부의 수증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고 검증된 각종 식재료를 분말화하여 천연조미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화학성 조미료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재료의 영양성분 소실 없이 자연의 맛을 그대로 섭취가 가능하며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하여 조리시에 가루가 날리거나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측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항습기(2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입고된 천연 식재료를 계량하여 일정한 질량 단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투입기(30);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어 계량되는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조분쇄기(40); 상기 조분쇄기(40)를 통해 1차적으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를 2차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미분쇄기(45);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습기(50);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천연 식재료 분말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진동선별기(64)를 거쳐 포장기(65)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말이나 먼지는 제1 내관(62)을 통해 제1 배출구(63)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사이클론(60); 상기 제1 사이클론(60)의 제1 배출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클론(60)을 거친 미세분말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분말이나 먼지 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의 미세분말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분말수집부(74)로 집적되게 하고, 상기 먼지는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제2 사이클론(70); 및 상기 제2 사이클론(70)의 제2 배출구(73)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구(73)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집진시설을 이용하여 폐기물(82)로 분리되어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집진기(80)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기(50)는 상기 미분쇄기(45)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보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50)는 배관시설(55)을 포함하되, 상기 배관시설(55)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기준값과 일치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클론(60)은 제1 유입구(61), 제1 내관(62) 및 제1 배출구(6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입구(61)에 구비된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제1 유입구(61)로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이 선회류에 의해 상기 제1 내관(62) 외주면 및 제1 사이클론(6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선회류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중량 이상의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여 집적되며, 일정한 중량 이하의 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1 내관(62)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1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외기의 영향 없이 설비 내의 기준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설비 내부의 수증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영향없이 일정한 품질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고 천연 식재료 분쇄시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현장 관리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연조미료 분말은 천연 식재료를 그대로 섭취할 수 있어 각종 화학성 조미료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식재료의 영양성분 소실 없이 자연의 맛 그대로 섭취가 가능하며 조리시에 가루가 날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외기의 영향 없이 설비 내의 기준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설비 내부의 수증기량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천연 식재료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천연 식재료"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고 검증된 각종 식재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물, 식물, 해산물 등 다양한 자연 재료가 이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일정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고 균일한 입도로 분쇄될 수 있는 각종 재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은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는 항온항습기(20), 정량투입기(30), 분쇄기(40, 45), 제습기(50), 제1 사이클론(60), 제2 사이클론(70) 및 집진기(8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에 구비되는 분쇄기(40, 45), 제습기(50)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각종 식재료들이 분말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열되어 밀폐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위생적인 현장관리와 동절기나 하절기에 따른 생산 조건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측에 구비된 설비를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종 설비들이 하우징(10) 내측의 바닥이나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항온항습기(20)는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측의 환경, 즉 온도나 습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항온항습기(20)는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하여 냉방운전, 난방운전, 가습운전, 제습운전 등과 같이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하우징(10) 내부의 배관이나 덕트와 같은 공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온항습기(2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와 같이 일정하게 유지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하기에서 설명될 제습기(50)가 이용함으로써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제습기(5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량투입기(30)는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입고된 천연 식재료를 계량하여 일정한 질량 단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량투입기(30)는 천연 식재료가 배송라인을 따라 이송중에 배관 등에 막힘없이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투입속도나 투입량 등이 다양하게 조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정량투입기(30)는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에 따라 200kg/hr, 120kg/hr와 같이 투입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계량되어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의 공정 조건들은 정해진 기준값에 따라 다양하게 조작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상기 정량투입기(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쇄기(40, 45)는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고, 일정하게 계량되어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들을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기(40, 45)는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의 입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분쇄기(40, 45)는 조분쇄기(40) 및 미분쇄기(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분쇄기(40)는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를 거칠게(tough) 갈아서 부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어 계량되는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분쇄기(40)를 이용하여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거칠게 분쇄함으로써, 분쇄기(40, 45)의 강한 압력에 의한 천연 식재료의 부스러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단계적인 분쇄를 수행할 수 있어 균일한 입도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미분쇄기(45)는 상기 조분쇄기(40)를 통해 1차적으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를 2차적으로 정밀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분쇄기(45)는 일측이 상기 조분쇄기(40)와 연결되어 조분쇄기(40)를 통해 거칠게 분쇄된 천연 식재료가 투입되고, 타측이 제습기(50)와 연결되어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에서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의 수분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미분쇄기(45)는 조분쇄기(40)를 통해 거칠게 분쇄된 천연 식재료가 투입되어 입도가 더 작게 정밀 분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에 투입되어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는 분쇄 과정 중 분쇄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분쇄에 의해 천연 식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에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수반되고, 상기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해 균일한 물성이나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습기(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분쇄기(45)를 통해 제조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물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를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는데,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와 기준값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어 있는 제습기(50)가 상기 기준값과 일치하도록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대습도가 아닌 절대습도를 이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미분쇄기(45)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대습도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자체의 수분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제조자가 원하는 기준값과 오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물성의 천연 조미료 분말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미분쇄기(45) 내측의 단위 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수분(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수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제습기(50)로 보정하여 줌으로써,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의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천연조미료 분말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50)는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는 미분쇄기(45) 내측의 단위 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수분(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수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보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데, 상기 제습기(50)는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는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배관시설(55)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에 구비된 배관시설(55)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거나, 또는 제습기(50)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값과 일치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제습기(50)는 배관시설(55)이 하우징(10) 외측까지 연장되어 외기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절기나 하절기, 비오는 날이나 맑은 날과 같이 외기의 환경 변화에 따라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제습기(50) 조작에 따른 어려움은 일정한 물성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로 직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기(50)가 이용하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아니라, 상기 항온항습기(20)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되는 내부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클론(60)은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클론(60)에는 에어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미분쇄기(45)를 통해 일정한 입도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상기 제1 사이클론(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클론(60)은 제1 유입구(61), 제1 내관(62) 및 제1 배출구(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입구(61)는 천연 식재료 분말이 유입되는 입구로, 상기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은 자연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말이나 먼지 등 이물질은 상기 제1 내관(62)을 통해 제1 배출구(63)로 유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에는 미세먼지나 입자가 작은 미세분말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제1 유입구(61)로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유입시 발생되는 선회류에 의해 상기 제1 내관(62) 외주면 및 상기 제1 사이클론(6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회전하게 되고, 중량이 큰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여 집적되며, 중량이 작은 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1 내관(62)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1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진동선별기(64)를 거쳐 이동 및 집적되고, 상기와 같이 집적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포장기(65)를 통해 일정한 질량 단위로 포장되어 천연조미료 분말로 제품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1 내관(6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배출구(63)를 통해 상기 제1 사이클론(60) 외부로 이송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배출구(63)를 통해 이송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제2 사이클론(70)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클론(70)은 제1 사이클론(60)의 제1 배출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출구(63)를 통해 이송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2 사이클론(7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클론(70)에도 에어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배출구(63)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상기 제2 사이클론(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클론(70)은 제2 유입구(71), 제2 내관(72) 및 제2 배출구(7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입구(71)는 제1 사이클론(60)을 거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이 유입되는 입구로, 상기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의 미세분말은 자연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사이클론(70) 하부로 낙하하여 분말수집부(74)로 집적되게 되고, 상기 미세먼지나 초미세분말 등 이물질은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선회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선회류는 상기 제2 내관(72) 외주면 및 상기 제2 사이클론(7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회전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미세분말은 상기 제2 사이클론(70) 하부의 분말수집부(74)로 낙하하여 집적되며, 중량이 작은 초미세먼지나 초미세분말은 상기 제2 내관(72)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사이클론(70) 하부로 낙하된 분말은 분말수집부(74)로 집적하게 되는데, 상기 분말수집부(74)에 집적된 분말은 조분쇄기(40) 또는 미분쇄기(45)로 재투입되어 동일 분쇄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천연조미료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집진기(80)는 상기 제2 사이클론(70)의 제2 배출구(73)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구(73)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분말 등은 상기 집진기(80)에 구비되어 있는 집진시설을 이용하여 집적됨으로써, 폐기물(82)로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조미료 분말의 제조방법은 천연 식재료 입고 및 계량 단계(S100), 정량 투입 단계(S200), 조분쇄 단계(S300), 미분쇄 단계(S400), 제1 선별 단계(S500), 및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천연 식재료 입고 및 계량 단계(S100)
상기 천연 식재료 입고 및 계량 단계(S100)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고 검증된 각종 식재료들인 천연 식재료를 입고하여 일정한 중량 단위로 계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식재료로는 동물, 식물, 해산물 등 다양한 자연 재료가 이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일정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고 균일한 입도로 분쇄될 수 있는 각종 재료들을 의미할 수 있다.
2. 정량 투입 단계(S200)
상기 정량 투입 단계(S200)는 상기 계량된 천연 식재료를 일정한 중량 단위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량 투입 단계(S200)는 정량투입기(30)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정량투입기(30)는 천연 식재료가 배송라인을 따라 이송중에 배관 등에 막힘없이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투입속도나 투입량 등이 다양하게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량투입기(30)는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에 따라 200kg/hr, 120kg/hr와 같이 투입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3. 조분쇄 단계(S300)
상기 조분쇄 단계(S300)는 투입되는 천연 식재료를 거칠게(tough) 갈아서 부수는 단계로,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어 계량되는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조분쇄 단계(S300)를 거침으로써, 분쇄기(40, 45)의 강한 압력에 의한 천연 식재료의 부스러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단계적인 분쇄를 수행할 수 있어 균일한 입도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다.
4. 미분쇄 단계(S400)
상기 미분쇄 단계(S400)는 상기 조분쇄 단계(S300)를 통해 1차적으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를 2차적으로 정밀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분쇄 단계(S400)는 일측으로 조분쇄기(40)를 통해 거칠게 분쇄된 천연 식재료가 투입되고, 타측으로 제습기(50)와 연결되어 상기 미분쇄 단계(S400)를 통해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의 수분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미분쇄 단계(S400)는 조분쇄 단계(S300)를 통해 거칠게 분쇄된 천연 식재료가 투입되어 입도가 더 작게 정밀 분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미분쇄 단계(S400)를 위해 투입되어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는 분쇄 과정 중 분쇄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분쇄에 의해 천연 식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분쇄 단계(S400)에서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수반되고, 상기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해 균일한 물성이나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분쇄 단계(S400)에서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습기(50)를 구비함으로써 미분쇄기(45)를 통해 제조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물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분쇄 단계(S400)는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를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는데,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와 기준값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어 있는 제습기(50)가 상기 기준값과 일치하도록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분쇄 단계(S400)에서는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대습도가 아닌 절대습도를 이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대습도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 자체의 수분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제조자가 원하는 기준값과 오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물성의 천연 조미료 분말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미분쇄 단계(S400)에서 미분쇄기(45) 내부의 단위 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수분(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수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제습기(50)로 보정하여 줌으로써, 분쇄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의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천연조미료 분말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는 미분쇄기(45) 내측의 단위 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수분(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수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보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데, 상기 제습기(50)는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는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배관시설(55)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기(50)에 구비된 배관시설(55)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거나, 또는 제습기(50)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값과 일치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5. 제1 선별 단계(S500)
상기 제1 선별 단계(S500)는 상기 미분쇄 단계(S400)를 거쳐 분쇄된 천연 식재료 분말을 1차적으로 분리하여 일정한 중량 이상의 천연 식재료 분말을 선별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선별 단계(S500)는 제1 사이클론(6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사이클론(60)은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클론(60)에는 에어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분쇄기(45)를 통해 일정한 입도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상기 제1 사이클론(60)의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은 자연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말이나 먼지 등 이물질은 상기 제1 내관(62)을 통해 제1 배출구(63)로 유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에는 미세먼지나 입자가 작은 미세분말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제1 유입구(61)로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은 유입시 발생되는 선회류에 의해 제1 내관(62) 외주면 및 제1 사이클론(6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회전하게 되고, 중량이 큰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여 집적되며, 중량이 작은 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1 내관(62)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1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6.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
상기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는 상기 제1 선별 단계(S500)를 거쳐 하부로 낙하된 천연 식재료 분말을 선별하여 집적하고, 상기 집적된 천연 식재료 분말을 일정한 질량 단위로 포장하여 천연조미료 분말로 제품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는 일정한 중량 이상의 식재료 분말을 선별하여 포장함으로써, 입도가 일정하고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를 거쳐 균일한 품질의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선별 단계(S500)를 거쳐 분리된 미세분말을 다시 한번 선별함으로써 천연 식재료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조미료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 선별 및 포장 단계(S600) 이후에 제2 선별 단계(S700), 분말 수집 단계(S800) 및 집진 단계(S900)를 더 진행함으로써 천연조미료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제2 선별 단계(S700)
상기 제2 선별 단계(S700)는 상기 제1 선별 단계(S500)를 통해 분리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을 2차적으로 분리하여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선별 단계(S700)는 제2 사이클론(7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사이클론(70)은 제1 사이클론(60)의 제1 배출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출구(63)를 통해 이송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2 사이클론(7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클론(70)에도 에어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배출구(63)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상기 제2 사이클론(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 사이클론(60)을 거친 미세먼지나 미세분말은 제2 사이클론(70)의 제2 유입구(71)로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미세분말 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의 미세분말은 자연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사이클론(70) 하부로 낙하하여 분말수집부(74)로 집적되게 되고, 상기 미세먼지나 초미세분말 등 이물질은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클론(70)의 작동 원리는 제1 사이클론(60)과 기술적 사상이 동일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분말 수집 단계(S800)
상기 분말 수집 단계(S800)는 상기 제2 선별 단계(S700)에서 하부로 낙하된 분말을 집적하고, 상기 집적된 분말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 수집 단계(S800)는 상기 제2 사이클론(70)을 통해 수집된 분말을 조분쇄기(40) 또는 미분쇄기(45)로 재투입되어 동일 분쇄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천연조미료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집진 단계(S900)
상기 집진 단계(S900)는 상기 제2 선별 단계(S700)를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집진기(80)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폐기물(82)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집진 단계(S900)에서는 상기 제2 선별 단계(S700)를 거쳐 수집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분말이 수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집진 단계(S900)를 수행함으로써 설비 내에서 분진이나 미세먼지가 비산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천연조미료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우징 20; 항온항습기
30; 정량투입기 40; 조분쇄기
45; 미분쇄기 50; 제습기
55; 배관시설 60; 제1 사이클론
61; 제1 유입구 62; 제1 내관
63; 제1 배출구 64; 진동선별기
65; 포장기 70; 제2 사이클론
71; 제2 유입구 72; 제2 내관
73; 제2 배출구 74; 분말수집부
80; 집진기 82; 폐기물

Claims (9)

  1.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측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항습기(2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고 입고된 천연 식재료를 계량하여 일정한 질량 단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투입기(30);
    상기 정량투입기(30)와 연결되어 계량되는 천연 식재료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조분쇄기(40);
    상기 조분쇄기(40)를 통해 1차적으로 분쇄된 천연 식재료를 2차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미분쇄기(45);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습기(50);
    상기 미분쇄기(45)와 연결되고, 천연 식재료 분말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천연 식재료 분말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진동선별기(64)를 거쳐 포장기(65)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천연 식재료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말이나 먼지는 제1 내관(62)을 통해 제1 배출구(63)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사이클론(60);
    상기 제1 사이클론(60)의 제1 배출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클론(60)을 거친 미세분말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71)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분말이나 먼지 중에서 일정한 중량 이상의 미세분말은 자연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분말수집부(74)로 집적되게 하고, 상기 먼지는 제2 배출구(73)를 통해 집진기(8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제2 사이클론(70); 및
    상기 제2 사이클론(70)의 제2 배출구(73)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구(73)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집진시설을 이용하여 폐기물(82)로 분리되어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집진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50)는 상기 미분쇄기(45)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절대습도의 양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산정한 후 상기 차이의 값만큼 보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50)는 배관시설(55)을 포함하되, 상기 배관시설(55)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미분쇄기(45) 내부의 온도 및 절대습도를 기준값과 일치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론(60)은 제1 유입구(61), 제1 내관(62) 및 제1 배출구(6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입구(61)에 구비된 에어실린더를 통해 분사된 에어와 함께 제1 유입구(61)로 유입된 천연 식재료 분말이 선회류에 의해 상기 제1 내관(62) 외주면 및 제1 사이클론(6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선회류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중량 이상의 천연 식재료 분말은 상기 제1 사이클론(60) 하부로 낙하하여 집적되며, 일정한 중량 이하의 먼지나 미세분말은 상기 제1 내관(62)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1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26724A 2015-09-08 2015-09-08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Active KR10162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24A KR101628973B1 (ko) 2015-09-08 2015-09-08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24A KR101628973B1 (ko) 2015-09-08 2015-09-08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973B1 true KR101628973B1 (ko) 2016-06-09

Family

ID=5613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724A Active KR101628973B1 (ko) 2015-09-08 2015-09-08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120B1 (ko) * 2022-08-09 2023-04-03 (주) 해우농수산 고추분쇄장치에 사용되는 집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52B1 (ko) 2002-03-25 2004-11-05 김형남 천연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천연 조미료
KR20050119069A (ko) * 2004-10-01 2005-12-20 소이젠주식회사 질소를 이용한 안정화된 고기능성 전지활성생대두미세분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6509B1 (ko) 2011-06-28 2011-10-24 남종현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KR20140089831A (ko) * 2013-01-07 2014-07-16 고영학 육계부산물이 함유된 건식 티백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7878A (ko) 2013-12-10 2015-06-19 유미원 주식회사 체내흡수가능한 초미세분말을 이용한 천연복합분말조미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52B1 (ko) 2002-03-25 2004-11-05 김형남 천연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천연 조미료
KR20050119069A (ko) * 2004-10-01 2005-12-20 소이젠주식회사 질소를 이용한 안정화된 고기능성 전지활성생대두미세분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6509B1 (ko) 2011-06-28 2011-10-24 남종현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KR20140089831A (ko) * 2013-01-07 2014-07-16 고영학 육계부산물이 함유된 건식 티백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7878A (ko) 2013-12-10 2015-06-19 유미원 주식회사 체내흡수가능한 초미세분말을 이용한 천연복합분말조미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120B1 (ko) * 2022-08-09 2023-04-03 (주) 해우농수산 고추분쇄장치에 사용되는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16450B (zh) 用于确定颗粒尺寸的装置
CN1080089C (zh) 致密可流动的炒焙磨碎的咖啡及其制备方法
CN105188390A (zh) 咖啡樱桃颗粒物及其制备方法
CN107048448A (zh) 一种农业机械用畜禽食用饲料处理喂养一体化设备
CN103125854B (zh) 一种青稞营养粉及其生产方法
CN104970186A (zh) 含氨基酸的发酵液的流化床造粒方法
CN205684312U (zh) 一种红瓜子分级筛选装置
KR101628973B1 (ko) 천연조미료 분말 제조 시스템
KR101247309B1 (ko)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TR201910654T4 (tr) Kum tanesi biçimindeki hammaddenin genleşmesine yönelik yöntem.
JP2018510122A (ja) 紅参濃縮液粒及び、紅参濃縮液粉末と流動層コーティング機とを利用した紅参濃縮液粒の製造方法
CN104621263A (zh) 一种羊奶粉及其生产方法
US20060040027A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grated cheese and uses thereof
NO330770B1 (no) Fremgangsmate for gjenbruk av bearbeidet matvare med lavt fuktighetsinnhold og hoyt lipidinnhold i produksjon av bearbeidet mat
KR101586352B1 (ko) 고형식품 분말화 시스템
RU2486850C1 (ru)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гранулированных комбикормов
Audet Emerging feed mill technology: keeping competitive
CN107744855A (zh) 智能石磨面粉售卖机器人与方法
JP2009019947A (ja) 粉体計量装置
CN205948958U (zh) 一种多纤维香辛料粉碎装置
CN108813335A (zh) 一种新型挂面生产工艺流程
JP2014221017A (ja) そば麺の製造方法、そば麺の製造装置およびそば麺
CN207978862U (zh) 一种粮油加工生产用调和罐
CN103238918B (zh) 一种流化床式烟丝掺配加香装置及掺配加香方法
Ádám Rácz et al. Effect of the milling parameters on the product dispersity and energy consumption in a continuous dry air-transported stirred media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