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808B1 - Cover por cooking pots - Google Patents
Cover por cooking po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8808B1 KR101628808B1 KR1020140046894A KR20140046894A KR101628808B1 KR 101628808 B1 KR101628808 B1 KR 101628808B1 KR 1020140046894 A KR1020140046894 A KR 1020140046894A KR 20140046894 A KR20140046894 A KR 20140046894A KR 101628808 B1 KR101628808 B1 KR 101628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lid
- seating means
- cooking contain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7686 Eschscholzia lobb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이 조리용기의 외부로 튀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손잡이가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수직단면 형상이 파형을 이루는 둘레부를 갖는 몸체; 및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고, 조리용기의 상측 둘레에 접하여 몸체가 조리용기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수단; 을 포함하되,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둘레부와 안착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prevent oil from splash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discharging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visually confirm a cooking state of a food while the lid is cov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handle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waveform in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periphery; And a seating mean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 cavity, the seating means contacti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oking cavity to seat the body in the cooking cavity; Wherein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f the food is discharg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seat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이 조리용기의 외부로 튀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prevent oil from splash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discharging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visually confirm a cooking state of a food while the lid is covered.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으로 덮개 없이 음식을 요리하거나 생선을 굽게 되면 기름이 밖으로 튀어나오면서 가스레인지나 그 주변의 벽면에 달라붙어 청소하기가 번거롭거나 비산되는 뜨거운 기름에 요리하는 사람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Generally, when you cook food without covering with a frying pan or bake fish, there is a case where the cooker sticks to the gas range or the surrounding wall as the oil protrudes out and the cooking oil is burned or scattered do.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냄비 등의 덮개를 덮어주거나 신문지와 같은 종이를 덮어주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cover of a pot or the like is covered or a paper such as a newspaper is often covered.
그러나, 냄비 등의 덮개를 덮는 경우 수분이 배출되지 않아 음식물의 맛이 떨어지고, 신문지와 같은 종이를 덮는 경우 신문지 등에 인쇄되어 있는 잉크의 유해물질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id of a pot or the like is covered, the moisture is not discharged and the taste of the food is deteriorated. When the paper is covered with a newspaper such as a newspaper, there is an unsanitary problem due to the harmful substances of the ink printed on a newspaper.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등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Therefore, for example, in the "oil pan splashing frying pan cov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uch a problem is solved.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덮개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기름이 밖으로 튀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in Patent Document 1, the oil has a problem that it can protrude out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lid.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621호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47962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이 조리용기의 외부로 튀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prevent oil from splashing out of the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is capable of maintaining adequate moisture because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smoothly discharged, thereby enabling delicious cook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hich can visually confirm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while the lid is covered.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손잡이가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수직단면 형상이 파형을 이루는 둘레부를 갖는 몸체; 및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고, 조리용기의 상측 둘레에 접하여 몸체가 조리용기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수단; 을 포함하되,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둘레부와 안착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handle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along a periphery; And a seating mean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 cavity, the seating means contacti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oking cavity to seat the body in the cooking cavity; Wherein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f the food is discharg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seating means.
둘레부는, 몸체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파형의 높이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eripheral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corrugation increases from the central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body.
몸체는, 둘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중앙부, 둘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and either or both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안착수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ating means may be constructed of a metall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에 의하면, 기름이 조리용기의 외부로 튀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il can be prevented from splash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또,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discharged smooth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proper moisture and to cook delicious food.
또한, 본 발명은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visually confirming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while the lid is cov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기용 덮개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용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or a cooking vessel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lid for a cooking container shown in Fig.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기용 덮개의 결합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용 덮개의 정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or a cooking container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lid for a cooking container shown in Fig. 2.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100)는 크게 몸체(10)와 안착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몸체(10)는 둘레를 따라 수직단면 형상이 파형을 이루는 둘레부(12)와, 둘레부(12)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10)는 조리용기(P; 이하, "프라이팬"이라 한다)의 상측 둘레에 접할 수 있도록 프라이팬(P)의 직경과 같거나, 직경이 더 커서 프라이팬(P)을 완전히 덮어줄 수 있어야 한다. 몸체(10)는 프라이팬(P)의 모양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The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앙부(14)에는 손잡이(H)가 형성되는데, 중앙부(14) 외에 몸체(10) 어디에라도 손잡이(H)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H)의 형상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 나타나는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14)나 둘레부(12) 중 어느 하나 또는 중앙부(14)와 둘레부(12) 모두는 음식물(도 5의 F)의 조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내열유리 또는 내열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앙부(14)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둘레부(12)는 몸체(10)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파형의 높이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A handle H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안착수단(20)은 손잡이(H)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 즉 몸체(10)의 하면에 둘레부(12)를 따라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써, 프라이팬(P)의 상측 둘레에 접하여 몸체(10)가 프라이팬(P)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착수단(20)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재질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안착수단(20)은 둘레부(12)에 용접, 예를 들어 스포트용접법(spot welding process)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안착수단(20)은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나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프라이팬(P)의 형상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나 설거지 등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안착수단(20)은 소정의 폭을 갖게 되는데, 여러 규격의 프라이팬(P)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표준이 되는 프라이팬(P)의 직경이 30㎝이면, 그보다 아래 치수인 28㎝와 그보다 위 치수인 32㎝의 프라이팬(P)에 모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좋다.The seating means 20 is a component disposed along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100)는 몸체(10), 특히 둘레부(12)의 하면에 안착수단(20)이 배치되어 사용되는데, 둘레부(12)의 수직단면 형상이 파형을 이루게 되므로 둘레부(12)와 안착수단(20) 사이에 다수의 틈이 형성된다.In the
이에, 음식물(도 5의 F)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는 둘레부(12)와 안착수단(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배출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f the food (F in FIG. 5) is discharged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의 사용상태도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 싱크대 등에 위치하는 가스레인지 또는 야외에 설치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에 프라이팬(P)을 올려놓고 조리준비를 완료한 후, 안착수단(20)이 프라이팬(P)의 상측 둘레에 접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덮개(100)를 덮어 준다.4 and 5, after the frying pan P is put on a gas range located in a kitchen sink or the like or a portable gas range provided in the outdoors, the seating means 20 is placed in the frying pan P To cover the
음식물(F)의 조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몸체(10)의 중앙부(14)를 통해 조리용기용 덮개(100)를 덮은 상태에서 프라이팬(P)에 조리되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cooking of the food F,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state of being cooked in the frying pan P while covering the
그리고, 조리시 외부로 튀어나오는 기름은 조리용기용 덮개(100)에 의해 차단되며, 특히 둘레부(12)는 몸체(10)의 중심측보다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지게 구성되므로 둘레부(12)측으로 튄 기름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이 아니라 프라이팬(P)측으로 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또한, 조리시 발생하는 수분, 즉 수증기는 둘레부(12)와 안착수단(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적절한 수분을 유지하여 음식물(F)이 눅눅해지는 것을 막아줄 뿐 아니라 바삭바삭한 식감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moisture generated during cooking, that is, water vapor is discharged smoothly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 12: 둘레부
14: 중앙부 20: 안착수단
100: 조리용기용 덮개 F: 음식물
H: 손잡이 P: 조리용기10: Body 12:
14: central portion 20: seating means
100: Cover for cooking container F: Food
H: Handle P: Cooking container
Claims (4)
손잡이가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수직단면 형상이 파형을 이루는 둘레부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상측 둘레에 접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조리용기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수단; 을 포함하되,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기 둘레부와 상기 안착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
In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 body formed with a handle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waveform in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eating mean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allow the body to be seated in the cooking vessel; ≪ / RTI >
Wherein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food is discharg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seating means.
상기 둘레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파형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corruga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ody.
상기 몸체는,
상기 둘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 상기 둘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And a central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Wherein one or both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안착수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덮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ating means is made of a metal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894A KR101628808B1 (en) | 2014-04-18 | 2014-04-18 | Cover por cooking pots |
CN201510181324.4A CN105030084A (en) | 2014-04-18 | 2015-04-16 | Cover for cook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894A KR101628808B1 (en) | 2014-04-18 | 2014-04-18 | Cover por cooking po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0785A KR20150120785A (en) | 2015-10-28 |
KR101628808B1 true KR101628808B1 (en) | 2016-06-09 |
Family
ID=5442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6894A KR101628808B1 (en) | 2014-04-18 | 2014-04-18 | Cover por cooking pot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8808B1 (en) |
CN (1) | CN105030084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13905A1 (en) | 2005-01-04 | 2006-09-28 | Peter Shaw | Disposable microwave food shield |
JP2010094473A (en) | 2008-10-16 | 2010-04-30 | Chie Ota | Lid directly resting on food |
JP2011057291A (en) | 2009-08-11 | 2011-03-24 | Global Chef株式会社 | 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3927U (en) * | 1989-06-26 | 1991-02-13 | ||
WO2003101266A1 (en) * | 2002-04-11 | 2003-12-11 | Happycall Co., Ltd. | Cover of frying pan |
CN2902132Y (en) * | 2006-04-24 | 2007-05-23 | 陈钦城 | Pot cover with over-flowing prevention function |
CN201088482Y (en) * | 2007-09-11 | 2008-07-23 | 郎志兰 | Pot-lit of noodle boiler |
CN202567835U (en) * | 2012-03-28 | 2012-12-05 | 刘哲宇 | Spill-proof pot cover |
-
2014
- 2014-04-18 KR KR1020140046894A patent/KR10162880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4-16 CN CN201510181324.4A patent/CN10503008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13905A1 (en) | 2005-01-04 | 2006-09-28 | Peter Shaw | Disposable microwave food shield |
JP2010094473A (en) | 2008-10-16 | 2010-04-30 | Chie Ota | Lid directly resting on food |
JP2011057291A (en) | 2009-08-11 | 2011-03-24 | Global Chef株式会社 | 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030084A (en) | 2015-11-11 |
KR20150120785A (en) | 2015-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100774A4 (en) | Multifunctional Cookware | |
TW446550B (en) | Cookware handle assembly | |
US7617948B2 (en) | Cookware with multiple component lid | |
US20080296303A1 (en) | Domed splatter screen with a fitted rim | |
US20150104555A1 (en) | Splatter shield for cooking | |
US20220322865A1 (en) | Cookware Assembly | |
JP2018525183A (en) | Cooking splash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 |
JP3194420U (en) | Multi-function cooker | |
KR101628808B1 (en) | Cover por cooking pots | |
JP4494507B1 (en) | Cookware lid | |
KR101867087B1 (en) | Cover for cooking pots | |
JP5855044B2 (en) | Cooking container | |
JP2008054893A (en) | Earthenware cooker | |
CN103976664A (en) | An all-in-one device for rinsing and roasting | |
KR101280021B1 (en) | Multi-Function Roast Pan | |
JP3194548U (en) | Container for porridge production | |
KR101621186B1 (en) | Cover for cooking fried egg | |
CN204260541U (en) | A kind of ceramic roasting tray | |
KR200473141Y1 (en) | Gas Oven Steam Pot | |
RU2673766C1 (en) | Food preparation device | |
KR200453883Y1 (en) | Easy to combine cookware | |
JP5852362B2 (en) | kitchenware | |
KR200406422Y1 (en) | Cookware | |
KR200279277Y1 (en) | improved steamer | |
JP3160143U (en) | Steamer for microwave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1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