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8256B1 -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56B1
KR101628256B1 KR1020150130304A KR20150130304A KR101628256B1 KR 101628256 B1 KR101628256 B1 KR 101628256B1 KR 1020150130304 A KR1020150130304 A KR 1020150130304A KR 20150130304 A KR20150130304 A KR 20150130304A KR 101628256 B1 KR101628256 B1 KR 10162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flange
plate
fastening hole
fastening ho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윤
임민수
박선호
김정기
김영훈
서동진
Original Assignee
유니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F03D1/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스틸로 형성되는 타워와, 상기 타워의 상측에 위치하는 나셀과, 상기 나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타워의 스틸로 형성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전망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망대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타워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망대가 설치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장치{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망대가 설치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가 점차 고갈되고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무공해 대체 에너지인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풍력발전을 위해서는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장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나셀 내부의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장치의 타워에는 주변 경치를 바라보거나 재해에 대한 감시를 위해 전망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86606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86606호에서는, 관측 플랫폼이 기계 하우징 바로 아래 풍력발전장치의 타워 상에 배치되고 지지 구조물에 의해서 상기 풍력발전장치의 상기 타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관측 플랫폼 자체를 제작하여 타워에 고정설치해야하므로 조립 및 운반 등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관측 플랫폼이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타워가 스틸재질로만 제작되어 타워의 높이를 보다 높게 제작할 경우 안전성 및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타워가 스틸재질로만 제작되어 관측 플랫폼의 크기 및 설치높이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기계 하우징 내부의 발전기의 교체 시 별도의 크레인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2-0086606 A
본 발명은 타워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망대가 설치된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력발전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스틸로 형성되는 타워와, 상기 타워의 상측에 위치하는 나셀과, 상기 나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타워의 스틸로 형성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전망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망대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망대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정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워의 스틸로 형성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1조립부가 형성된 제1플랜지와 복수 개의 제2조립부가 형성된 제2플랜지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조립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1빔과, 두 개의 상기 제1빔에 대향하도록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조립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2빔과, 서로 가장 인접한 상기 제1빔과 상기 제2빔의 외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3빔과, 두 개의 상기 제1빔과 상기 제1플랜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와, 두 개의 상기 제2빔과 상기 제2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와, 두 개의 상기 제3빔에 고정되는 제3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빔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상부빔과, 상기 제1상부빔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하부빔과, 상기 제1상부빔과 상기 제1하부빔 사이를 연결하는 제1중앙빔과, 상기 제1중앙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빔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상부빔과, 상기 제2상부빔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하부빔과, 상기 제2상부빔과 상기 제2하부빔 사이를 연결하는 제2중앙빔과, 상기 제2중앙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력발전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타워와, 상기 타워의 상단에 위치하는 나셀과, 상기 나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타워에 설치되는 전망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망대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정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전망대가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타워에 직접 조립 및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모듈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운반 및 보관 등이 용이하다는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전망대가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정비공간과 정비공간 내에 설치된 발코니를 통해 발전기의 수리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나셀 내부의 발전기의 교체 시 나셀 내에 설치된 크레인으로 발전기를 승하강시키더라도 전망대에 형성된 정비공간에 의해 발전기가 전망대에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나셀 내부의 발전기의 교체 시 별도의 외부크레인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스틸타워에 형성된 플랜지 및 조립부를 통해 각각의 빔 및 각각의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타워의 하부가 콘크리트타워로 이루어지고, 타워의 상부가 스틸타워로 이루어져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상기 타워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스틸재질로만 이루어진 타워보다 전망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설치높이를 높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변위 또는 비틀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의 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발전기가 나셀 내부의 크레인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의 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발전기가 나셀 내부의 크레인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스틸로 형성되는 타워(100)와, 타워(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나셀(200)과, 나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300)와, 타워(100)의 스틸로 형성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전망대(400)를 포함하되, 전망대(400)는 복수의 모듈(40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워(10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타워(100)는 하단이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후술할 나셀(200)을 지지하여 지주의 역할을 한다.
타워(10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워(100)의 내부에는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등의 승하강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타워(100)는 적어도 일부가 스틸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워(100)는 콘크리트타워(110)와 스틸타워(12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타워(110)의 하단에는 콘크리트기초(111)가 형성되어 콘크리트타워(110)를 바닥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스틸타워(12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콘크리트타워(1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된다.
콘크리트타워(110)의 직경은 스틸타워(12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후술할 전망대(400)의 모듈(400a)들이 고정설치된다.
타워(100)가 콘크리트타워(110)와 스틸타워(120)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스틸재질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타워에 비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타워(100)의 전체적인 높이 및 크기를 대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워(100)의 외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제1플랜지(121)와 제2플랜지(123)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랜지(121)와 제2플랜지(123)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1플랜지(121)가 제2플랜지(123)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플랜지(121)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제1플랜지(121)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플랜지(121)는 속이 차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형 벨트 형상을 가진다.
제1플랜지(121)는 후술할 모듈(400a)의 제1빔(410)과 제1플레이트(440)가 고정설치되는 부분이다.
제1플랜지(121)에는 제1플랜지(12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조립부(122)가 형성된다.
제1조립부(122)는 제1플랜지(121)의 상면과 하면과 둘레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함몰된 부분으로써 제1플랜지(121)와 마찬가지로 속이 차 있다.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1상부빔(411)의 상하 두께와 유사하고, 제1조립부(122)의 하부(1225)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1하부빔(413)의 상하 두께와 유사하며, 제1조립부(122)의 전방부(1223)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1리브(417)의 전후 두께와 유사하다.
각각의 제1조립부(122)에는 후술할 제1빔(410)이 하나씩 끼워져 고정설치되며, 제1조립부(122)는 제1빔(410)에 형성된 제1삽입부(419)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가장 인접한 제1조립부(122) 사이의 제1플랜지(121) 상면에는 복수 개의 제1체결공(121a)이 제1플랜지(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체결공(121a)의 내주면에는 볼트(B)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공(121a)은 서로 가장 인접한 제1조립부(122) 사이마다 세 개씩이 형성되어 있다.
세 개의 제1체결공(121a)은 후술할 제1플레이트(440)의 후방측 테두리 중앙 부근에 형성된 세 개의 제11체결공(440a)과 서로 대응한다.
각각의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는 제1플랜지(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제2체결공(1221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조립부(122)의 전방부(1223)에는 제1플랜지(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제3체결공(1223a)이 형성된다.
좌측의 제2체결공(1221a)은 후술할 제1상부빔(411)의 후방측 단부 좌측에 형성된 제7체결공(411a)과 후술할 제1플레이트(440)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과 서로 대응하며, 우측의 제2체결공(1221a)은 후술할 제1상부빔(411)의 후방측 단부 우측에 형성된 제7체결공(411a)과 후술할 제1플레이트(440)의 후방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과 서로 대응한다.
또한, 두 개의 제3체결공(1223a)은 후술할 제1빔(410)의 제1리브(417) 중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리브(417)에 형성된 두 개의 제8체결공(417a)과 서로 대응한다.
제2체결공(1221a)의 내주면과 제3체결공(1223a)의 내주면에는 볼트(B)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2플랜지(123)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며, 제1플랜지(121)의 하측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플랜지(123)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플랜지(123)는 속이 차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형 벨트 형상을 가진다.
제2플랜지(123)는 후술할 모듈(400a)의 제2빔(420)과 제2플레이트(450)가 고정설치되는 부분이다.
제2플랜지(123)에는 제2플랜지(123)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조립부(124)가 형성된다.
제2조립부(124)는 제2플랜지(123)의 상면과 하면과 둘레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함몰된 부분으로써 제2플랜지(123)와 마찬가지로 속이 차 있다.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2상부빔(421)의 상하 두께와 유사하고, 제2조립부(124)의 하부(미도시)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2하부빔(423)의 상하 두께와 유사하며, 제2조립부(124)의 전방부(1243)의 함몰된 깊이는 후술할 제2리브(427)의 전후 두께와 유사하다.
각각의 제2조립부(124)에는 후술할 제2빔(420)이 하나씩 끼워져 고정설치되며, 제2조립부(124)는 제2빔(420)에 형성된 제2삽입부(429)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가장 인접한 제2조립부(124) 사이의 제2플랜지(123) 상면에는 복수 개의 제4체결공(123a)이 제2플랜지(1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4체결공(123a)의 내주면에는 볼트(B)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체결공(123a)은 서로 가장 인접한 제2조립부(124) 사이마다 세 개씩이 형성되어 있다.
세 개의 제4체결공(123a)은 후술할 제2플레이트(450)의 후방측 테두리 중앙 부근에 형성된 세 개의 제12체결공(450a)과 서로 대응한다.
각각의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는 제2플랜지(1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제5체결공(1241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2조립부(124)의 전방부(1243)에는 제2플랜지(1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제6체결공(1243a)이 형성된다.
좌측의 제5체결공(1241a)은 후술할 제2상부빔(421)의 후방측 단부 좌측에 형성된 제9체결공(421a)과 후술할 제2플레이트(450)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과 서로 대응하며, 우측의 제5체결공(1241a)은 후술할 제2상부빔(421)의 후방측 단부 우측에 형성된 제9체결공(421a)과 후술할 제2플레이트(450)의 후방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과 서로 대응한다.
또한, 두 개의 제6체결공(1243a)은 후술할 제2빔(420)의 제2리브(427) 중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리브(427)에 형성된 두 개의 제10체결공(427a)과 서로 대응한다.
제5체결공(1241a)의 내주면과 제6체결공(1243a)의 내주면에는 볼트(B)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스틸타워(120)의 상단에는 나셀(200)이 위치한다.
나셀(200)은 후술할 블레이드(300)의 회전을 통해 전기를 일으키기 위한 부품들을 포함하는 기계실이다.
나셀(200)의 내부에는 수평샤프트(미도시)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G), 발전기(G)로 입력되는 회전속도를 증속하는 기어박스(미도시) 및 기타 전력생산에 필요한 장치들이 수용된다.
나셀(200)의 후방측 하면에는 개방부(210)가 형성되어 나셀(200) 내부 크레인(C)에 의해 발전기(G)가 교체 가능하다.
나셀(20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개방부(210)은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나셀(200)의 일측에는 블레이드(300)가 연결된다.
블레이드(300)는 나셀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발전기(G)에 일단이 연결된 수평샤프트(미도시)의 타단에 고정된다.
블레이드(300)는 일반적으로 방사상 형태로 형성된 세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블레이드(30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며, 이에 따른 회전력이 발전기(G)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되어진다.
타워(100)에는 주변 경치를 바라보거나 재해에 대한 감시 등을 위해 전망대(400)가 설치된다.
전망대(400)는 스틸타워(120)의 하부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망대(400)의 내부에는 전망객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간(401)은 타워(100) 내부의 승하강수단(미도시)과 연통되어 전망객들이 지상에서 전망대(400)의 수용공간(401)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전망대(400)는 복수의 모듈(400a)을 포함한다.
복수의 모듈(400a)은 타워(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복수의 모듈(400a)은 타워(100)를 기준으로 방사상의 형태로 타워(10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다.
복수의 모듈(400a) 중 서로 가장 인접한 두 모듈(400a)은 서로 중복된 하나의 후술할 제1빔(410), 제2빔(420) 및 제3빔(430)을 포함한다.
한 모듈(400a)은 두 개의 제1빔(410), 두 개의 제2빔(420), 두 개의 제3빔(430), 제1플레이트(440), 제2플레이트(450) 및 제3플레이트(460)로 이루어진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1빔(410)은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1조립부(122)에 각각 끼워져 타워(100)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제1빔(41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상부빔(411)과, 제1상부빔(411)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하부빔(413)과, 제1상부빔(411)과 제1하부빔(413) 사이를 연결하는 제1중앙빔(415)과, 제1중앙빔(41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리브(417)를 포함한다.
제1상부빔(411)과 제1하부빔(41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되어 있다.
제1상부빔(411)과 제1하부빔(413)과 제1중앙빔(415)은 타워(10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상부빔(4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7체결공(411a)이 2열로 형성된다.
좌측열의 제7체결공(411a)은 후술할 제1플레이트(440)의 우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1체결공(440a)과 서로 대응하고, 우측열의 제7체결공(411a)은 후술할 제1플레이트(440)의 좌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1체결공(440a)과 서로 대응한다.
제1중앙빔(415)은 상단은 제1상부빔(411)의 하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제1중앙빔(415)은 하단은 제1하부빔(413)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제1리브(417)는 제1상부빔(411)의 하면과 제1하부빔(413)의 상면과 제1중앙빔(415)의 좌우측면에 걸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제1리브(417)가 제1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리브(417)는 제1상부빔(411)의 하면과 제1하부빔(413)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제1중앙빔(415)에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제1빔(410)을 보강해준다.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리브(417)에는 좌우 이격된 두 개의 제8체결공(417a)이 형성된다.
타워(100)에 인접한 제1빔(410)의 일단에는 제1삽입부(419)가 형성된다.
제1삽입부(419)는 제1빔(410)이 제1조립부(122)에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서 제1삽입부(419) 내에 제1조립부(122)가 수용되어진다.
제1삽입부(419)는 제1조립부(1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부(419) 내에는 제1중앙빔(415)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삽입부(419)는 제1상부빔(411)의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단부측 하면 일부와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하부빔(413)의 단부측 상면 일부와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리브(417)로 둘러싸여 있으며, 제1삽입부(419)는 좌우로 관통되어 있고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즉, 제1삽입부(419)는 제1빔(410)의 길이방향 종단면상 제1빔(410)에 의해 "ㄷ"자 형태로 둘러싸여 있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2빔(420)은 직상방에 고정된 두 개의 제1빔(410)에 대향하도록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2조립부(124)에 각각 끼워져 타워(100)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제2빔(420)은 실질적으로 제1빔(410)과 동일한 형상이다.
제2빔(42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상부빔(421)과, 제2상부빔(421)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하부빔(423)과, 제2상부빔(421)과 제2하부빔(4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중앙빔(425)과, 제2중앙빔(42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427)를 포함한다.
제2상부빔(421)과 제2하부빔(42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되어 있다.
제2상부빔(421)과 제2하부빔(423)과 제2중앙빔(425)은 타워(10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상부빔(4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9체결공(421a)이 2열로 형성된다.
좌측열의 제9체결공(421a)은 후술할 제2플레이트(450)의 우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2체결공(450a)과 서로 대응하고, 우측열의 제9체결공(421a)은 후술할 제2플레이트(450)의 좌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2체결공(450a)과 서로 대응한다.
제2중앙빔(425)은 상단은 제2상부빔(421)의 하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제2중앙빔(425)은 하단은 제2하부빔(423)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제2리브(427)는 제2상부빔(421)의 하면과 제2하부빔(423)의 상면과 제2중앙빔(425)의 좌우측면에 걸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제1리브(417)가 제2빔(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2리브(427)는 제2상부빔(421)의 하면과 제2하부빔(423)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제2중앙빔(425)에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제2빔(420)을 보강해준다.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리브(427)에는 좌우 이격된 두 개의 제10체결공(427a)이 형성된다.
타워(100)에 인접한 제2빔(420)의 일단에는 제2삽입부(429)가 형성된다.
제2삽입부(429)는 제2빔(420)이 제2조립부(124)에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서 제2삽입부(429) 내에 제2조립부(124)가 수용되어진다.
제2삽입부(429)는 제2조립부(12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부(429) 내에는 제2중앙빔(425)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삽입부(429)는 제2상부빔(421)의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단부측 하면 일부와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하부빔(423)의 단부측 상면 일부와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리브(427)로 둘러싸여 있으며, 제2삽입부(429)는 좌우로 관통되어 있고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즉, 제2삽입부(429)는 제2빔(420)의 길이방향 종단면상 제2빔(420)에 의해 "ㄷ"자 형태로 둘러싸여 있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3빔(430)은 서로 가장 인접한 제1빔(410)과 제2빔(420)의 외측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제3빔(430)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제3빔(4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빔(410)과 제2빔(420)에 제3빔(430)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플랜지(431)와 하부플랜지(433)가 각각 형성된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한 개의 제3빔(430)은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좌측 제1빔(410)의 제1하부빔(413) 외측 단부 하면에 상부플랜지(431)가 용접이나 볼팅되고, 좌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외측 단부 상면에 하부플랜지(433)가 용접이나 볼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한 모듈에 포함되는 다른 한 개의 제3빔(430)은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우측 제1빔(410)의 제1하부빔(413) 외측 단부 하면에 상부플랜지(431)가 용접이나 볼팅되고, 우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외측 단부 상면에 하부플랜지(433)가 용접이나 볼팅되어 고정된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1플레이트(440)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1빔(410)과 타워(100)에 형성된 제1플랜지(121)에 고정된다.
제1플레이트(440)는 스틸재질의 판재이다.
제1플레이트(440)는 후방측(타워측) 단부가 타워(1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플레이트(440)는 타워(100)의 외주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진다.
제1플레이트(440)의 타워(100)측 단부 부근과 좌측 단부 부근과 우측 단부 부근에는 복수 개의 제11체결공(440a)이 형성된다.
즉, 제11체결공(440a)은 제1플레이트(440)의 좌측, 우측 및 후측(타워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제11체결공(440a)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1플레이트(440)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좌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우측부와 우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좌측부와 제1플랜지(121)의 일부분을 덮은 채 볼팅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플레이트(440)가 덮이지 않은 좌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좌측부와 우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우측부는 이와 다른 모듈(400a)들의 제1플레이트(440)들이 덮게 된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2플레이트(450)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2빔(420)과 타워(100)에 형성된 제2플랜지(123)에 고정된다.
제2플레이트(450)는 스틸재질의 판재이다.
제2플레이트(450)는 후방측(타워측) 단부가 타워(1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450)는 전방측 단부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450)는 타워(100)의 외주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진다.
제2플레이트(450)의 전방측 좌우 모서리는 제3빔(430)의 하부플랜지(43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제2플레이트(450)의 타워(100)측 단부 부근과 좌측 단부 부근과 우측 단부 부근에는 복수 개의 제12체결공(450a)이 형성된다.
즉, 제12체결공(450a)은 제1플레이트(450)의 좌측, 우측 및 후측(타워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제12체결공(450a)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2플레이트(450)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좌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우측부와 우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좌측부와 제2플랜지(123)의 일부분을 덮은 채 볼팅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2플레이트(450)가 덮이지 않은 좌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좌측부와 우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우측부는 이와 다른 모듈(400a)들의 제2플레이트(450)들이 덮게 된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3플레이트(460)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제3빔(430)에 고정된다.
제3플레이트(460)는 전망객들이 전망대(400)의 수용공간(401)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재질의 판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제3플레이트(46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의 유리판일 수 있다.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3플레이트(460)의 좌측 단부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좌측 제3빔(430)의 우측면에 고정되고, 한 모듈(400a)에 포함되는 제3플레이트(460)의 우측 단부는 동일 모듈(400a)에 포함되는 우측 제3빔(430)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제1빔(410), 두 개의 제2빔(420), 두 개의 제3빔(430), 제1플레이트(440), 제2플레이트(450) 및 제3플레이트(460)로 이루어진 한 모듈(400a)은 좌우로 관통되어 있으며, 한 모듈(400a)의 좌우(타워의 원주방향)로 복수 개의 모듈(400a)이 연장되어 타워(100)에 전망대(400)가 설치된다.
복수 개의 모듈(400a)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1빔(410), 각각의 제2빔(420), 각각의 제3빔(430), 각각의 제1플레이트(440), 각각의 제2플레이트(450) 및 각각의 제3플레이트(460)는 타워를 기준으로 방사상의 형태로 설치된다.
필요 시, 전망대(400)에는 정비공간(470)이 형성될 수 있다.
정비공간(470)은 서로 이격된 어느 두 상기 모듈(4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정비공간(470)은 전망대(400)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정비공간(470)은 한 모듈(400a)의 측부와 다른 한 모듈(400a)의 측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모듈(400a)의 측부와 상기 다른 한 모듈(400a)의 측부에는 마감을 위한 측면부재(490)가 각각 고정설치된다.
각각의 측면부재(4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망대(400)의 수용공간(401)과 후술할 발코니(480)가 통할 수 있도록 문(D)이 형성될 수 있다.
정비공간(470)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타워(1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정비공간(470)은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를 정비하거나,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의 교체 시 나셀(200)에 설치된 크레인(C)으로 발전기(G)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나셀(200) 자체에 설치된 크레인(C)에 의해 승하강되는 발전기(G)는 정비공간(470)을 통해 전망대(400)의 간섭없이 승하강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크레인이 없어도 발전기(G)를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비공간(470) 사이의 각도는 대략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비공간(470) 내에는 발코니(480)가 설치된다.
발코니(480)는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를 나셀(200)에 설치된 크레인(C)을 이용해 정비공간(470)에 두고 수리 및 보수 등의 정비를 하기 위해 설치된다.
발코니(480)는 받침부(481)와 펜스(483)로 이루어진다.
발코니(480)는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를 정비하기 위한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다.
받침부(481)는 발코니(480)의 바닥을 이룬다.
받침부(481)는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를 정비하기 위한 사람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481)는 서로 이격된 한 모듈(400a)의 측부 하단과 다른 한 모듈(400a)의 측부 하단과 제2플랜지(123)에 고정설치된다.
펜스(483)는 받침부(481)의 외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써, 받침부(481)의 외측 단부와 서로 이격된 한 모듈(400a)의 측면부재(490) 중앙 부근과 다른 한 모듈(400a)의 측면부재(490) 중앙 부근에 고정설치된다.
펜스(483)는 스틸타워(12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다.
펜스(483)는 나셀(200)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G)를 정비하기 위한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타워(100)에 모듈(400a)을 조립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두 개의 제1빔(410)을 각각의 제1삽입부(419)를 통해 좌우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1조립부(122)에 각각 삽입시켜 고정설치한다.
이때, 제1상부빔(411)의 하면 일부는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 마주하여 접촉되고, 제1하부빔(413)의 상면 일부는 제1조립부(122)의 하부(1225)에 마주하여 접촉되며,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리브(417)는 제1조립부(122)의 전방부(1223)에 마주하여 접촉된다.
또한, 제1조립부(122)의 전방부(1223)에 형성된 좌우 두 개의 제3체결공(1223a)과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리브(417)에 형성된 좌우 두 개의 제8체결공(417a)은 서로 대향하여 좌우 각각 연통되어진다.
제1조립부(122)의 전방부(1223)와 그에 마주하는 제1리브(417)는 각각 서로 연통된 좌우 제3체결공(1223a)과 좌우 제8체결공(417a)을 통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좌우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1조립부(122)에 각각 제1빔(410)이 고정된다.
다음, 먼저 설치된 두 개의 제1빔(41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두 개의 제2빔(420)을 각각의 제2삽입부(429)를 통해 좌우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2조립부(124)에 각각 삽입시켜 고정설치한다.
이때, 제2상부빔(421)의 하면 일부는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 마주하여 접촉하고, 제2하부빔(423)의 상면 일부는 제2조립부(124)의 하부(미도시)에 마주하여 접촉하며,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리브(427)는 제2조립부(124)의 전방부(1243)에 마주하여 접촉한다.
또한, 제2조립부(124)의 전방부(1243)에 형성된 좌우 두 개의 제6체결공(1243a)과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리브(427)에 형성된 좌우 두 개의 제10체결공(427a)은 서로 대향하여 좌우 각각 연통된다.
제2조립부(124)의 전방부(1243)와 그에 마주하는 제2리브(427)는 각각 서로 연통된 좌우 제6체결공(1243a)과 좌우 제10체결공(427a)을 통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좌우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2조립부(124)에 각각 제2빔(420)이 고정된다.
다음, 먼저 설치된 두 개의 제1빔(410)의 상부와 두 개의 제1조립부(122) 사이의 제1플랜지(121) 상부에 제1플레이트(440)를 고정설치한다.
제1플레이트(440)는 좌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우측부를 덮고, 우측 제1빔(410)의 제1상부빔(411) 상면 좌측부를 덮으며, 두 개의 제1조립부(122) 사이의 제1플랜지(121)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1플레이트(440)는 일부분이 제1상부빔(411)과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 걸쳐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제1상부빔(411)의 우측부에 1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7체결공(411a)은 그에 대응하는 제1플레이트(440)의 좌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1체결공(44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특히, 타워에 인접한 제1플레이트(440)의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은 제1상부빔(411)의 제7체결공(411a) 외에 좌측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 형성된 우측 제2체결공(1221a)과도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우측 제1상부빔(411)의 좌측부에 1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7체결공(411a)은 그에 대응하는 제1플레이트(440)의 우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1체결공(44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특히, 타워에 인접한 제1플레이트(440)의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은 제1상부빔(411)의 제7체결공(411a) 외에 우측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 형성된 좌측 제2체결공(1221a)과도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두 개의 제1조립부(122) 사이의 제1플랜지(121)에 형성된 세 개의 제1체결공(121a)은 그에 대응하는 제1플레이트(440)의 타워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440)는 두 개의 제1빔(410)의 상부와 두 개의 제1조립부(122) 사이의 제1플랜지(121)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다음, 먼저 설치된 두 개의 제2빔(420)의 상부와 두 개의 제2조립부(124) 사이의 제2플랜지(123) 상부에 제2플레이트(450)를 고정설치한다.
제2플레이트(450)는 좌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우측부를 덮고, 우측 제2빔(420)의 제2상부빔(421) 상면 좌측부를 덮으며, 두 개의 제2조립부(124) 사이의 제2플랜지(123)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2플레이트(450)는 일부분이 제2상부빔(421)과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 걸쳐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제2상부빔(421)의 우측부에 1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9체결공(421a)은 그에 대응하는 제2플레이트(450)의 좌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2체결공(45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특히, 타워에 인접한 제2플레이트(450)의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은 제2상부빔(421)의 제9체결공(421a) 외에 좌측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 형성된 우측 제5체결공(1241a)과도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우측 제2상부빔(421)의 좌측부에 1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9체결공(421a)은 그에 대응하는 제2플레이트(450)의 우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2체결공(45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특히, 타워에 인접한 제2플레이트(450)의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은 제2상부빔(421)의 제9체결공(421a) 외에 우측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 형성된 좌측 제5체결공(1241a)과도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두 개의 제2조립부(124) 사이의 제2플랜지(123)에 형성된 세 개의 제4체결공(123a)은 그에 대응하는 제2플레이트(450)의 타워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과 각각 연통되어 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450)는 두 개의 제2빔(420)의 상부와 두 개의 제2조립부(124) 사이의 제2플랜지(123)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다음, 먼저 설치된 좌측 제1빔(410)과 좌측 제2빔(420) 사이에 하나의 제3빔(430)을 고정설치하고, 우측 제1빔(410)과 우측 제2빔(420)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제3빔(430)이 고정설치하며, 두 개의 제3빔(430) 사이에 제3플레이트(460)가 고정설치한다.
좌측 제3빔(430)의 상부플랜지(431)는 좌측 제1하부빔(413)의 전방측 단부 하면에 볼팅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고, 좌측 제3빔(430)의 하부플랜지(433)는 제2플레이트(450)의 전방 좌측 모서리의 절개부위에 수용된 채 좌측 제2상부빔(421)의 전방측 단부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우측 제3빔(430)의 상부플랜지(431)는 우측 제1하부빔(413)의 전방측 단부 하면에 볼팅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고, 우측 제3빔(430)의 하부플랜지(433)는 제2플레이트(450)의 전방 우측 모서리의 절개부위에 수용된 채 우측 제2상부빔(421)의 전방측 단부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때, 두 개의 제3빔(430) 사이에는 제3플레이트(460)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제1빔(410)과 제1플레이트(440)를 제1플랜지(121)와 제1조립부(122)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은 제2빔(420)과 제2플레이트(450)를 제2플랜지(123)와 제2조립부(124)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440)는 일부분이 제1상부빔(411)과 제1조립부(122)의 상하부(1221,1225)와 제1하부빔(413)에 걸쳐 볼트(B)가 삽입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2플레이트(450)는 일부분이 제2상부빔(421)과 제2조립부(124)의 상하부(1241,미도시)와 제2하부빔(423)에 걸쳐 볼트(B)가 삽입되어 너트(N)와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며, 제1빔(410)과 제1플레이트(440)와 제1플랜지(121)와 제1조립부(122) 간의 결합관계는 제2빔(420)과 제2플레이트(450)와 제2플랜지(123)와 제2조립부(124) 간의 결합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참고한다.
각각의 제1조립부(122)에 형성된 제2체결공(1221a)은 제1조립부(122)의 상부(1221)에서 제1조립부(122)의 하부(1225)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제2조립부(124)에 형성된 제5체결공(1241a)은 제2조립부(124)의 상부(1241)에서 제2조립부(124)의 하부(미도시)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하부빔(413)의 타워(100)측 단부 부근에는 좌우 이격된 두 개의 제13체결공(413a)이 형성되고, 제2하부빔(423)의 타워(100)측 단부 부근에는 좌우 이격된 두 개의 제14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두 개의 제7체결공(411a)은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2체결공(1221a) 상단에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두 개의 제13체결공(413a)은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2체결공(1221a) 하단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두 개의 제9체결공(421a)은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5체결공(1241a) 상단에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두 개의 제14체결공(미도시)은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제5체결공(1241a) 하단에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한 모듈에서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플레이트(440)의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은 제1상부빔(411)의 타워(100)측 단부 우측 제7체결공(411a)과 좌측 제1조립부(122)에 형성된 우측 제2체결공(1221a)과 제1하부빔(413)의 타워(100)측 단부 우측 제13체결공(413a)에 연통되고, 연통된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며, 볼트(B)는 제1하부빔(413)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
또한, 한 모듈에서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1플레이트(440)의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1체결공(440a)은 제1상부빔(411)의 타워(100)측 단부 좌측 제7체결공(411a)과 우측 제1조립부(122)에 형성된 좌측 제2체결공(1221a)과 제1하부빔(413)의 타워(100)측 단부 좌측 제13체결공(413a)에 연통되고, 연통된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며, 볼트(B)는 제1하부빔(413)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
한 모듈에서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플레이트(450)의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은 제2상부빔(421)의 타워(100)측 단부 우측 제9체결공(421a)과 좌측 제2조립부(124)에 형성된 우측 제5체결공(1241a)과 제2하부빔(423)의 타워(100)측 단부 우측 제14체결공(미도시)에 연통되고, 연통된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며, 볼트(B)는 제2하부빔(423)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
또한, 한 모듈에서 타워(100)에 가장 인접한 제2플레이트(450)의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12체결공(450a)은 제2상부빔(421)의 타워(100)측 단부 좌측 제9체결공(421a)과 우측 제2조립부(124)에 형성된 좌측 제5체결공(1241a)과 제2하부빔(423)의 타워(100)측 단부 좌측 제14체결공(미도시)에 연통되고, 연통된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며, 볼트(B)는 제2하부빔(423)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볼트(B)와 너트(N)가 체결될 시 볼트(B) 헤드와 체결대상 사이 및 너트(N)와 체결대상 사이에는 와셔가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타워 110 : 콘크리트타워
111 : 콘크리트기초 120 : 스틸타워
121 : 제1플랜지 121a : 제1체결공
122 : 제1조립부 1221 : 제1조립부의 상부
1221a : 제2체결공 1223 : 제1조립부의 전방부
1223a : 제3체결공 1225 : 제1조립부의 하부
123 : 제2플랜지 123a : 제4체결공
124 : 제2조립부 1241 : 제2조립부의 상부
1241a : 제5체결공 1243 : 제2조립부의 전방부
1243a : 제6체결공 200 : 나셀
210 : 개방부 300 : 블레이드
400 : 전망대 400a : 모듈
401 : 수용공간 410 : 제1빔
411 : 제1상부빔 411a : 제7체결공
413 : 제1하부빔 413a : 제13체결공
415 : 제1중앙빔 417 : 제1리브
417a : 제8체결공 419 : 제1삽입부
420 : 제2빔 421 : 제2상부빔
421a : 제9체결공 423 : 제2하부빔
425 : 제2중앙빔 427 : 제2리브
427a : 제10체결공 429 : 제2삽입부
430 : 제3빔 431 : 상부플랜지
433 : 하부플랜지 440 : 제1플레이트
440a : 제11체결공 450 : 제2플레이트
450a : 제12체결공 460 : 제3플레이트
470 : 정비공간 480 : 발코니
481 : 받침부 483 : 펜스
490 : 측면부재 B : 볼트
C : 크레인 D : 도어
G : 발전기 N : 너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스틸로 형성되는 타워;
    상기 타워의 상측에 위치하는 나셀;
    상기 나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타워의 스틸로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는 전망대;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모듈 중 어느 두 상기 모듈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상기 전망대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워의 스틸로 형성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1조립부가 형성된 제1플랜지와 복수 개의 제2조립부가 형성된 제2플랜지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모듈은,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조립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1빔;
    두 개의 상기 제1빔에 대향하도록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조립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2빔;
    서로 가장 인접한 상기 제1빔과 상기 제2빔의 외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제3빔;
    두 개의 상기 제1빔과 상기 제1플랜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두 개의 상기 제2빔과 상기 제2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
    두 개의 상기 제3빔에 고정되는 제3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빔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상부빔과, 상기 제1상부빔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하부빔과, 상기 제1상부빔과 상기 제1하부빔 사이를 연결하는 제1중앙빔과, 상기 제1중앙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빔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상부빔과, 상기 제2상부빔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하부빔과, 상기 제2상부빔과 상기 제2하부빔 사이를 연결하는 제2중앙빔과, 상기 제2중앙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5. 삭제
KR1020150130304A 2015-09-15 2015-09-15 풍력발전장치 Active KR10162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04A KR101628256B1 (ko) 2015-09-15 2015-09-15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04A KR101628256B1 (ko) 2015-09-15 2015-09-15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56B1 true KR101628256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304A Active KR101628256B1 (ko) 2015-09-15 2015-09-15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606A (ja) 2000-05-23 2002-03-26 Saint-Gobain Glass France サーモクロミック性の少なくとも1つの層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グレージング
KR20020086606A (ko) * 2000-03-17 2002-11-18 우벤 알로이즈 풍력발전장치
JP2008202289A (ja) * 2007-02-20 2008-09-04 Kajima Corp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EP2586933A1 (en) * 2011-10-24 2013-05-01 Areva Wind GmbH Working platform for an offshore wind energy 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4499A (ko) * 2012-12-10 2014-06-18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수직 이동이 자유로운 풍력 발전 타워 작업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606A (ko) * 2000-03-17 2002-11-18 우벤 알로이즈 풍력발전장치
JP2002086606A (ja) 2000-05-23 2002-03-26 Saint-Gobain Glass France サーモクロミック性の少なくとも1つの層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グレージング
JP2008202289A (ja) * 2007-02-20 2008-09-04 Kajima Corp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EP2586933A1 (en) * 2011-10-24 2013-05-01 Areva Wind GmbH Working platform for an offshore wind energy 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4499A (ko) * 2012-12-10 2014-06-18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수직 이동이 자유로운 풍력 발전 타워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615B2 (en) Modular tower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US20130174508A1 (en) Platform assembly for a wind turbine tower
US20180001975A1 (en) Photovoltaic Array System and Method
US20110020126A1 (en) Modular rotor blade for a power-generating turbin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power-generating turbine with modular rotor blades
KR101534690B1 (ko) 풍력발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풍력발전시스템
US20110142616A1 (en) Nacelle for wind turbine
CA2792693C (en) Wind energy turbine shell station
AU2012266314A1 (en) Wind energy plant tower
EP3546742B1 (en) Freestanding internal structure assembly for a wind turbine tower
RU2718379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участков башни, участок башни, башн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частка башни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участков башни
US9644386B2 (en) Connection between lattice tower and nacelle
US201902646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ing wind turbine components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tower
KR101628256B1 (ko) 풍력발전장치
EP2913522B1 (en) Tower for wind turbine apparatus
CN104884786A (zh) 漂浮式潮汐涡轮机
US11499528B2 (en) Wind turbine mast section, wind turbine mast and assembly method
KR20200056104A (ko) 적층구조형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101406575B1 (ko) 풍력발전장치
EP3239406B1 (en)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
KR101113594B1 (ko) 발전기 일체형 수직축 풍력발전기
EP3559460B1 (en) Wind turbine with a tubular support structure and a bearing assembly
EP4202214B1 (en) System for handling a wind turbine tower se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0392106Y1 (ko) 풍력발전기용 풍차
KR102173574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균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의 설치 방법
KR101988666B1 (ko) 풍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