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72B1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8072B1 KR101628072B1 KR1020150030238A KR20150030238A KR101628072B1 KR 101628072 B1 KR101628072 B1 KR 101628072B1 KR 1020150030238 A KR1020150030238 A KR 1020150030238A KR 20150030238 A KR20150030238 A KR 20150030238A KR 101628072 B1 KR101628072 B1 KR 1016280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software
- communication terminal
- cpu
- portable communication
- occupancy 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33—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for load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통신 단말(30)의 느림 진단장치로,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 및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한 과거 사용기록을 수신하는 통신부(11)와, 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로부터 응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위해 CPU를 점유하는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를 판정하는 CPU 점유율 판정부(13)와, 불량 유발 가능성이 있는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블랙리스트로서 보유하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와,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추출한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15)를 포함한다.A communication unit 11 for receiving software information and CPU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ast use record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A CPU occupancy rate judging unit 13 for judging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whose occupancy rate occupying the CPU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from the CPU information, A list database 50 and a comparison unit 15 for comparing the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extracted from the past use record with the black list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listed in the black lis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느림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w diagnosis apparatus and a diagnosis method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an operation speed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ing considerably slower than a normal speed.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휴대통신 단말의 이상이나 고장 등과 같은 불량에는 그 증상이 지속적으로 재현되는 이른바 재현 불량(再現不良)과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은 이른바 미재현 불량(未再現 不良)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본 발명자들의 확인에 의하면 미재현 불량의 비율이 재현 불량에 비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미재현 불량을 유형별로 보면 전원 리셋, 애플리케이션 오동작, 단말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거나 동작을 멈추는 느림/멈춤, 송수신불량, 충전불량 등이 다수를 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ypified by smart phones is expanding. In the case of malfunctions such as malfunctions or mal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o-called reproduction defects (reproducible defects) in which the symptoms are continuously reproduced and so- (Non-reproducible defec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percentage of non-reproducible defect accounts for a much larger proportion than the defect of reproduction, and if these non-reproducible defects are classified by type, power reset, application malfunction, It is analyzed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ly slowed or slow / stop,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ailure, and the charging failure are many.
이와 같은 미재현 불량은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증상이 일회성이라는 점에서 고장원인의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Such poor reproducibility is not persistent, and most of the symptoms are one-time, so it is difficult to diagnose the cause of the failure.
이와 같은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불량을 진단하는 장치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 failure such as a failure or an abnormality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외부로부터 취득한 진단 폴리시(policy)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을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대응하는 에러코드를 생성하여 자체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의 진단 서버로 출력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문제를 불량의 유형별로 검사하기 위한 상세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진단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However,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of diagnosing a fail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diagnosis policy acquired from the outside, generating an error code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result and displaying it on the self display device or outputting it to an external diagnostic server However, the details of inspecting problems such as failure or abnormality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ypes of defects are not describ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low diagnosis in which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markably slower than the normal speed Is not described.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의 진단, 그 중에서도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진단과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은 발견되지 않았다.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no prior literature related to diagnosis of poor reproducibil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slow diagnosis in which the operat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ignificantly slower than a normal speed has not been found.
본 발명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불량인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slow in operation spee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defect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는,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느려지는 느림 여부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와 상기 CPU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중 당해 응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위해 CPU를 점유하는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CPU 점유율 판정부와, 상기 느림 진단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slow diagnosis apparatu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ow diagnosis apparatu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agnose whether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 or not, A communication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software information and CPU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CPU information from the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CPU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oftware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A CPU occupancy rate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occupying a occupation rat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section of the slow diagnosis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한 과거 사용기록을 더 수신하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는, 불량 유발 가능성이 있는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블랙리스트로서 보유하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추출한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상기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a past usage rec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and the slow diagnosis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black list which holds, as a black list, And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extracted from the past use record with the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listed in the black list.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느려지는 느림 여부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응용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 및 상기 응용소프트웨어의 과거 사용기록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정보와 상기 CPU 정보로부터 당해 응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위해 CPU를 점유하는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CPU 점유율 판정단계와, 상기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응용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리스트 중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diagnosing the slownes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gnos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 is diagnosed by using the applic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CPU information and the past usage history of the application software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 CPU occupancy rate judging step of judging from the applic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CPU information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whose occupancy rate occupying the CPU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And a blacklist registration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of extracting an application software list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registered in the black list in the application software list.
바람직하게는, 상기 CPU 점유율 판정결과,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중 CPU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한다.Preferably, if the CPU occupancy rat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CPU occupancy rate of the application softwa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the application software is determined to be a bad application software.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결과, 상기 리스트 중에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한다.Preferably, if the black list entry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list includes the application software listed in the black list, the application software is determined to be a bad application software.
바람직하게는, 상기 CPU 점유율 판정단계와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는 동시에 병렬로 실행된다.Preferably, the CPU occupancy rate determination step and the blacklist entry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are executed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불량인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현상의 여부를 간단하고도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diagnose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deficiency that accounts for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the unreproducible fail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 A slow diagnosis device and a diagnostic method can be provided.
또,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현상의 발생원인을 특정 앱의 CPU 점유율의 정도와 사전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앱의 유무에 의해 이중으로 진단하므로 느림 현상의 원인을 더 확실하게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use of the slow phenomen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agnosed based on the degree of the CPU occupation rate of the specific ap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pp listed in the black list in advance, so that the cause of the slow phenomenon can be more reliably diagnosed.
또, CPU 점유율 판정단계와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를 병렬로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진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diagnostic time by simultaneously executing the CPU occupancy rate determination step and the blacklist entry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in paralle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diagnosing the slown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iagnosing a slown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통상의 휴대통신 단말에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관리에 기본이 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이외에 복수의 응용 소프트웨어(이하 간단하게 「앱」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현상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이들 복수의 앱 중 특정 앱이 휴대통신 단말의 중안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를 과도하게 점유함으로써 CPU의 동작이 느려지거나, 또는 앱 자체에 불량요인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본 발명에서는 휴대통신 단말에 이와 같은 앱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현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으로 한다.First,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app") is installed in addition to an operating system that is a basis for managemen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typic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represented by a smartphone As a main cause of the phenomenon that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normal speed, a specific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caused to transit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lowness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agnosed by diagnosing whether or not such an app exists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low diagnosis apparatus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는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속도가 정상적인 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느려지는 느림 현상을 진단하는 느림 진단장치(10)에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이 접속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어서 진단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slow diagnosis apparatus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the
느림 진단장치(1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프로세서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고, ROM에 저장된 느림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가 동작함으로써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The
또,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느림 현상이 발생하여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이며,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접속케이블은 휴대통신 단말(30)을 느림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며, 예를 들어 SCU100 케이블과 같은 접속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고, 휴대통신 단말(30)의 USB(Universal Serial Port) 포트를 통해서 느림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통상의 접속수단이다.The connection cable is a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느림 진단장치(10)는 통신부(11)와 메모리부(12)와 CPU 점유율 판정부(13)와 파싱부(14)와 비교부(15)와 제어부(16) 및 표시부(17)를 포함한다.The
통신부(11)는 접속케이블을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와 통신을 하면서 휴대통신 단말(30)에 진단용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또는, 휴대통신 단말(30) 내의 각종 소프트웨어 정보나 데이터 등을 판독한다.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1)는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와 통신을 확립하고, 휴대통신 단말(30)과의 통신이 확립되면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앱 정보, 메모리정보 및 CPU 정보를 판독해서 수신하고, 또,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판독하여 수신하여 메모리부(12)에 저장한다.The
앱의 과거 사용기록은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앱의 상기 판독 이전의 사용기록이며,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단말 내의 기억장치에 보관하고 있다.The past usage history of the app is the history of use of all the apps installed in the
메모리부(12)는 통신부(11)를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시에, 느림 진단장치(10)의 각 부에서 처리한 처리 후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이며, 예를 들어 EP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The
CPU 점유율 판정부(13)는 통신부(11)를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한 앱 정보, 메모리정보 및 CPU 정보로부터 복수의 각 앱별로 CPU 점유율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CPU를 점유하는 앱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특정 앱이 CPU를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점유하는가 여부의 판정은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10초 정도)의 CPU의 동작을 추적하여, 만일 특정 앱이 당해 앱의 동작을 위해 CPU를 10% 이상 점유한 앱이 있는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The CPU occupation
파싱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파싱(parsing)하여 메모리부(12)에 저장한다.The
비교부(15)는 파싱부(14)에 의해 파싱된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이용하여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한 입의 리스트를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블랙리스트와 비교하고,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중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의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앱을 추출한다.The
블랙리스트는 예를 들어 디버그 분석 등을 통해서 확인된 불량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앱의 리스트를 말하며, 느림 진단장치(10)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에 이와 같은 불량 유발 가능성이 확인된 앱의 리스트인 블랙리스트를 예를 들어 앱의 명칭, 버전, 불량을 유발한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과 함께 보유하고 있다.The black list refers to a list of apps that have a possibility of causing malfunction identified through debug analysis or the like and the
표시부(17)는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CPU 점유율 판정부(13)의 판정결과 및 상기 비교부(15)의 비교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표시는 당해 진단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기정보와 함께 진단의 내용별로, 즉, CPU 사용현황, 메모리 현황, 오류발생 앱의 리스트, 오류발생 내역 등의 항목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래프 등과 같은 도형으로 표시해도 좋다.The
제어부(16)는 느림 진단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The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느림 진단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먼저, 휴대통신 단말의 동작이 정상적인 속도보다 느려서 느림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30)을 접속케이블을 이용하여 느림 진단장치(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단계 S11).First, the
느림 진단장치(10)와 휴대통신 단말(30)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느림 진단장치(10)의 통신부(11)는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와 통신을 시도하고, 휴대통신 단말(30)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앱 정보, 메모리정보, CPU 정보 및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수신한다(단계 S11). 또, 필요에 따라서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의 단말기 고유번호 및 USIM정보 등을 함께 판독해도 좋다.The
이어서, 단계 S12로 진행하여, 단계 S12에서 제어부(16)에 따라서 CPU 점유율 판정부(13)는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한 앱 정보 및 CPU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각 앱에 대해 CPU 점유율을 확인하고(단계 S12),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중 CPU를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예를 들어 10% 이상 점유하는 앱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 단계 S12에서의 확인은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된 복수의 앱 모두에 대해서 각각의 앱별로 차례대로 확인한다.Nex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 In step S12, the CPU occupancy
단계 S13의 판정결과 CPU를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점유하는 앱이 하나도 없으면(단계 S13=NO) CPU 점유율 판정부(13)는 휴대통신 단말(30)을 정상으로 판정하고(단계 S14)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the step S13, if there is no app occupying the CPU at a predetermined rate or more (step S13 = NO), the CPU occupancy
단계 S13의 판정결과 CPU를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점유하는 앱이 있으면(단계 S13=YES) CPU 점유율 판정부(13)는 그 CPU를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점유하는 앱을 불량 앱으로 판정하고(단계 S15) 종료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당해 앱을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삭제하도록 조치한다.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the step S13, if there is an app occupying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of the CPU (step S13 = YES), the CPU occupation
한편, 상기 단계 S12와 병행하여, 제어부(16)는 파싱부(14)를 제어하여 단계 S11에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한 모든 앱의 과거 사용기록을 파싱하고(단계 S21), 단계 S22로 진행하여 파싱된 모든 앱의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앱의 리스트를 추출해서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블랙리스트와 비교한다.In parallel with the step S12, the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에는 불량 유발 가능성이 사전에 확인된 앱의 리스트인 블랙리스트를 예를 들어 앱의 명칭, 버전, 불량을 유발한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과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단계 S22에서의 비교는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중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의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앱과 예를 들어 앱의 명칭, 버전, 불량을 유발한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이 있는가 여부의 확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단계 S22에서의 비교 결과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중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의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앱이 없으면(단계 S23=NO) 단계 S24에서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은 느림 현상이 없는 정상 앱으로 판정하고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there is no app registered in the black list of the
만일, 단계 S22에서의 비교 결과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앱 중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0)의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앱이 있으면(단계 S23=YES) 단계 S25에서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앱은 불량 앱으로 판정하고 종료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당해 앱을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삭제하도록 조치한다.If there is an app registered in the black list of the
도 2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어부(17)는 표시부(18)를 제어하여 단계 S14, 단계 S15, 단계 S24 및 단계 S25의 판정결과를 표시부(18)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으며, 표시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2,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현상의 발생원인을 특정 앱의 CPU 점유율의 정도의 판단과 사전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앱의 유무에 의해 이중으로 진단을 하므로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하나인 느림 현상의 원인을 더 확실하게 진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ause of the slow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agnosed by the judgment of the degree of the CPU occupation rate of the specific ap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pp listed in the black list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diagnose the cause of the slowing phenomenon.
또,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2 내지 단계 S15의 처리와 단계 S21 내지 단계 S25의 처리를 병렬로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of steps S12 to S15 and the processing of steps S21 to S25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parallel,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diagnosing the slow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2 내지 단계 S15의 처리와 단계 S21 내지 단계 S25의 처리를 병렬로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느림 진단장치(10)의 병렬처리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어느 한 루틴을 먼저 처리하고, 나머지 루틴은 나중에 처리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단계 S11 내지 단계 S15의 각 단계의 처리를 먼저 실행하고, 이어서, 단계 S21 내지 단계 S25의 각 단계의 처리를 실행해도 좋고, 이와는 역으로, 단계 S21 내지 단계 S25의 각 단계의 처리를 먼저 실행하고, 이어서, 단계 S11 내지 단계 S15의 각 단계의 처리를 나중에 실행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explained that the processing from step S12 to step S15 and the processing from step S21 to step S25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parallel. However, if the parallel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10 느림 진단장치
11 통신부
12 메모리부
13 CPU 점유율 판정부
14 파싱부
15 비교부
16 제어부
17 표시부
30 휴대통신 단말
31 통신부
50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10 Slow Diagnosis Device
11 communication section
12 memory unit
13 CPU occupancy rate judgment section
14 parsing unit
15 comparator
16 control unit
17 Display
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1 communication section
50 blacklist database
Claims (8)
상기 휴대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한 과거 사용기록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와 상기 CPU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중 당해 응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위해 CPU를 점유하는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CPU 점유율 판정부와,
불량 유발 가능성이 있는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블랙리스트로서 보유하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추출한 응용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상기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느림 진단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A device for diagnosing the slownes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gnosing whether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 or no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software information and CPU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ast usage rec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From the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CPU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whose occupancy rate occupying the CPU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occupation rate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A blacklist database for holding a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that may be faulty as a blacklist,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extracted from the past use record with the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pplication software registered in the black lis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unit of the slow diagnosis apparatus.
상기 CPU 점유율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응용소프트웨어 중 CPU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PU occupancy judging section judges that the application software is a bad application software when the CPU occupancy rate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상기 비교부는 상기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추출한 응용소프트웨어 리스트에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arison unit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software is a bad application software if the application software listed in the black list i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software list extracted from the past use record.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응용소프트웨어 정보와 CPU 정보 및 상기 응용소프트웨어의 과거 사용기록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정보와 상기 CPU 정보로부터 당해 응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위해 CPU를 점유하는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CPU 점유율 판정단계와,
상기 과거 사용기록으로부터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응용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리스트 중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응용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agnosing the slownes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gnoses whether the operation speed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ow or not,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pplication software information, CPU information and a past use record of the application software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 CPU occupancy rate judging step of judging from the applic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CPU information whether there is any application software whose occupancy rate occupying the CPU for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A black list registration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of extracting a list of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past usage record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pplication software registered in the black list in the application software list, Of Slow Diagnosis.
상기 CPU 점유율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중 CPU 점유율이 미리 정해진 점유율 이상인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PU occupancy rate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software is a bad application software when the CPU occupancy rate of the application softwa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ccupancy rate.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리스트 중에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으면 당해 응용소프트웨어를 불량 응용소프트웨어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ack list registration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software is a bad application software if the list includes application software listed in the black list.
상기 CPU 점유율 판정단계와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응용소프트웨어 판정단계는 동시에 병렬로 실행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PU occupancy rate determination step and the blacklist entry application software determination step are executed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238A KR101628072B1 (en) | 2015-03-04 | 2015-03-04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238A KR101628072B1 (en) | 2015-03-04 | 2015-03-04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8072B1 true KR101628072B1 (en) | 2016-06-08 |
Family
ID=5619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0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8072B1 (en) | 2015-03-04 | 2015-03-04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807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8282A (en) * | 2005-07-07 | 2007-01-25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Process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JP2008271126A (en) | 2007-04-19 | 2008-11-06 | Ntt Docomo Inc |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for mobile terminal device |
KR20140146939A (en) * | 2013-06-18 | 2014-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238A patent/KR10162807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8282A (en) * | 2005-07-07 | 2007-01-25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Process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JP2008271126A (en) | 2007-04-19 | 2008-11-06 | Ntt Docomo Inc |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for mobile terminal device |
KR20140146939A (en) * | 2013-06-18 | 2014-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650685B (en) | Automatic test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CN109558282B (en) | A PCIE link detec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JP6542096B2 (en) | Failure diagnosis system | |
CN112367680B (en) | External communication test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lligent ammeter and computer equipment | |
CN112311620A (en) |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medium for diagnosing network | |
CN112269744A (en) | System abnormity tes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08357998A (en) | Elevator Fault Diagnosis method,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 |
US1112191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 |
CN106021066A (en) | Fault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11338951A (en) | Wireless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 |
CN114170705A (en) | Vehicle data upload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CN111597101A (en) | SDK access state detection metho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16136818A (en) | Health insp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message queue | |
CN112069070A (en) | A page detection method, apparatus, serv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075885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using test scrip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2306038B (en) | Detection method, detection device and diagnosis equipment | |
KR101628072B1 (en) |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slownes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626581B1 (en) | Test method for error appli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17707112A (en) | Fault diagnosis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6755949A (en) |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bnormal equipment in multi-equipment testing system and related products | |
CN108845932B (en) | Unit testing method and device of network library, storage medium and terminal | |
CN116166536A (en) | Test method, test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1737129B (en) | Service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9039813B (en) |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detecting internet access | |
CN116980331A (en) | Devi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2 |